맨위로가기

기정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정진은 1798년에 태어나 1879년에 사망한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로, 위정척사 사상을 대표하는 인물이다. 그는 호남 지역의 독자적인 유학 학파인 노사학파를 형성했으며, 이기론과 호락논쟁에 대한 독자적인 견해를 제시했다. 1866년 병인양요 당시 척화주전론을 주장하며 위정척사파의 지도자로 활동했고, 저서로는 《납량사의》, 《외필》, 《노사집》 등이 있다. 그의 문집과 저서를 새긴 목판은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2. 생애

기정진은 조광조의 문인이었던 기준기묘사화로 인해 처형되자,[2] 그의 친형이자 기대승의 아버지 기진[3] 광주로 낙향하여 살게 된 후손이다.[4] 11대조 기원은 장성군 행주 기씨 입향조이다.[5]

20대 중반부터 5~6년 동안 영취산·문수사·관불암 등에서 독서하고 두류산 등을 유람했다. 하지만 6세에 천연두를 앓은 이후 평생 다양한 병을 앓아 몸이 매우 허약하였다. 그가 남긴 시에는 병을 앓아 친구를 만나지도, 유람을 가지도 못하는 처지를 한탄하는 내용이 많이 나온다.

31세에 향시에 합격하고, 1831년 사마시에 장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다. 46세가 되던 1843년 《납량사의》를 지어 독자적인 학문의 완성을 보였다. 이후 조선 후기 성리학의 대표적인 논쟁인 사칠논쟁호락논쟁에서 독자적인 입장을 피력하는 한편 제자를 받아 노사학파를 이루게 된다. 노사학파는 기정진 이전까지 뚜렷한 학파 없이 기호학파와 연계되어 있던 호남지역 최초의 독자적 유학 학파였다.[8]

1862년 진주민란의 원인을 삼정의 문란으로 보고 이를 바로잡을 것을 요구하는 상소인 〈임술의책〉을 지었으나 올리지는 않았다. 이 상소는 손자가 보관하다가 그의 문집 《노사집》에 실려 오늘날까지 전하고 있다.[9] 기정진은 〈임술의책〉에서 정약용의 《목민심서》가 제시하는 각종 폐단을 철폐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10]

1866년 병인양요를 맞아 〈병인소〉로 불리는 상소를 올렸다.[11] 〈병인소〉에서 기정진은 내치를 바로잡고 군비를 강화하면 외적을 물리칠 수 있다며 척화주전론(斥和主戰論, 화친하자는 주장을 물리치고 싸우기를 주장함)을 펼쳐[12] 위정척사파의 대표적인 인물이 되었다.[13] 기정진이 〈병인소〉에서 제시한 방법은 미리 조정의 계획을 확정할 것, 외교적 언사를 다듬을 것, 지형을 살피고 군사를 조련할 것 등의 여섯 가지 책략이었고,[1] 훗날 육조소(六條疏)라 불리게 된다.

기정진은 이기론에서 철저히 주리론(主理論, 이가 주체가 되고 기는 종속된다는 주장)의 입장을 취했으며 이이의 주기론(主氣論, 기가 주체가 되고 이는 종속된다는 주장)을 반박하였고, 이는 20세기 초까지 유학자들의 논쟁을 불러왔다.[14]

2. 1. 출생과 가계

1798년(정조 22) 6월 3일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 동산리 조동(槽洞)마을에서 아버지 기재우와 어머니 안동 권씨 사이에서 태어났다.[1] 기묘사화 때 희생된 기준(奇遵)의 후손으로, 그의 셋째 형 기원(奇遠)이 장성군에 정착하면서 장성 행주 기씨의 시조가 되었다.[5] 9대조는 하서 김인후의 문인 금강 기효간(奇孝諫)이고, 5대조는 우암 송시열의 문인 기정익(奇挺翼)이다. 증조부 기종상(奇宗相)은 증사복시정, 조부 기태량(奇泰良)은 증이조참의, 아버지 기재우(奇在祐)는 이조참판에 추증되었다.

2. 2. 유년기와 수학

1798년(정조 22) 6월 3일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 동산리 조동(槽洞)마을에서 아버지 기재우와 어머니 안동 권씨 사이에서 태어났다.[1] 아버지 기재우는 풍수지리에 심취하여 순창군에 어머니 묘를 마련한 뒤 계속하여 순창에서 일생을 보냈다.[6] 6세에 천연두를 앓아 왼쪽 시력을 잃었다.[7][6] 7~8세에 경서와 역사서를 두루 공부하고 13세에 백암사(白巖寺)에서 독서했다. 14세에 조상의 학맥으로 하서 김인후의 후손인 생원 김의휴(金宜休)의 셋째 딸과 혼인했다.

1815년(순조 15) 5월 15일 아버지가 돌아가신 뒤 이틀 만에 어머니도 세상을 떠났다. 양친을 여의자 아버지의 유언에 따라 선대의 고향인 전남 장성 소곡(현재. 황룡면 아곡리 하남)으로 이주했고 거기서 삼년상을 치렀다.

2. 3. 관직 생활과 사퇴

1831년 사마시에 장원으로 합격하여 進士중국어가 되었다. 이듬해인 1832년 강릉참봉에 제수되었으나, 이조에서 조상의 이름을 잘못 기재하자 벼슬을 버리고 귀향했다.[5] 1835년(헌종 1) 현릉참봉, 1837년 사옹원 주부, 1842년 전설사 별제 등에 임명되었으나, 병을 핑계로 사임하거나 벼슬에 나아가지 않았다.[5] 1861년 사헌부 장령, 1864년 사헌부 집의, 1866년 동부승지ㆍ호조참의, 1876년 호조참판 등에 제수되었으나 모두 거절하고 학문에 전념했다.

2. 4. 말년

1862년부터 13년간 장성군 황룡면 장산리 하사(下沙)에 거주하며 '노사(蘆沙)'라는 아호를 노령산 아래 하사(下沙) 사람이라는 뜻에서 취하였다.[1]

1875년 장성군 진원면 고산리로 거처를 옮겼고 이곳에서 말년을 보내다가 1879년 82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1883년 문집 《노사집》이 간행되었고, 1910년 문간(文簡)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기거하던 강학당에 1927년 고산서원이라는 편액을 걸었다. 고산서원1994년 정비되어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15]

3. 학술과 학파

기정진은 기호학파의 영향을 받던 호남 지역에서 독자적인 사상 체계를 구축하여 노사학파를 형성하였다. 그는 김인후와 기효간 등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이의 학설을 따랐다.[8] 그러나 호락논쟁을 비판하고, 성리학 원전을 연구하여 이일원론적 주리론을 주장하였다.[1]

그는 이(理)와 기(氣)를 주종 관계로 해석하여 이(理)만이 실제하고 기(氣)는 이(理)의 파편이라고 보았다.[8] 이는 이이의 주기론이나 이황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과 다른 것으로, 이일분수(理一分殊)로 표현되었다.[1] 이러한 기정진의 이기설은 20세기 초 유학 논쟁의 중심이 되었다.[18]

노사학파는 기정진을 종조로 하며, 문인 대다수가 호남 출신이었다.[8]

3. 1. 노사학파의 형성

기정진 이전 호남 지역은 특별한 학파 없이 기호학파의 영향 아래 있었다. 기정진은 특별한 스승 없이[1] 조선 중기의 성리학자인 하서 김인후와 그의 수제자인 9대조 금강 기효간 등 선대 학자들의 영향을 받아 율곡 이이의 학설을 따르는 기호학파 아래서 학문을 닦았다.[8]

그러나 당시 기호학파의 최대 논쟁 주제인 호락논쟁에 대해서는 호론과 낙론 모두를 비판하며 독자적인 사상 체계를 구축하였다.[16] 기정진은 선대 학자들의 논의 결과에 얽매이지 않고 성리학의 근원인 송나라 시기 문헌을 직접 연구하였으며 이일원론의 관점에서 주리론을 주장하였다.[1]

기정진은 이기론의 이(理)와 기(氣)를 대칭적 개념으로 해석하는 것에 반대하여 주종 관계로 해석하였다. 그는 오직 이만이 실제하며 기는 파편화된 이의 한 조각이라는 입장을 제시하였다.[8] 기정진의 이러한 학설은 기호학파가 기존에 받아들인 이이의 주기론과도 다를 뿐만 아니라 이와 기가 서로 작용하여 발생한다는 퇴계 이황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17]과도 다른 것이다. 기정진은 이러한 자신의 입장을 본원적 실제인 이가 여럿으로 나뉘어 기로 나타난다는 이일분수(理一分殊)로 표현하였다.[1] 기정진의 이기설에 대한 새로운 해석은 퇴계 이황을 이은 영남 유학인 정재학파 역시 이황의 이론에 대해 새로운 해석을 내놓은 것과 맞물려 20세기 초 새로운 유학 논쟁의 중심이 되었다.[18]

기정진은 노사학파의 종조이다. 노사학파의 문인록에 기록된 사람만 해도 6백여 명에 달하는데 이 가운데 대다수는 호남 출신이었다.[8]

3. 2. 이기론(理氣論)과 이일분수(理一分殊)

기정진은 이기론(理氣論)에서 이(理)와 기(氣)를 대칭적인 개념이 아닌 주종 관계로 해석하였다. 그는 오직 이(理)만이 실제하며 기(氣)는 파편화된 이(理)의 한 조각이라는 입장을 제시하였다.[8] 기정진의 이러한 학설은 기호학파가 기존에 받아들인 이이의 주기론(主氣論)과도 다를 뿐만 아니라 이황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17]과도 다른 것이었다. 기정진은 자신의 입장을 본원적 실제인 이(理)가 여럿으로 나뉘어 기(氣)로 나타난다는 이일분수(理一分殊)로 표현하였다.[1] 그의 이기설(理氣說)에 대한 새로운 해석은 이황을 이은 영남 유학인 정재학파 역시 이황의 이론에 대해 새로운 해석을 내놓은 것과 맞물려 20세기 초 새로운 유학 논쟁의 중심이 되었다.[18]

3. 3. 호락논쟁(湖洛論爭) 비판

기정진은 당시 기호학파의 최대 논쟁 주제인 호락논쟁에 대해 호론과 낙론 모두를 비판하며 독자적인 사상 체계를 구축하였다.[16] 기정진은 선대 학자들의 논의 결과에 집착하지 않고 성리학의 근원인 송나라 시기 문헌을 직접 연구하였으며 이일원론의 관점에서 주리론을 주장하였다.[1]

기정진은 이기론의 이(理)와 기(氣)를 대칭적 개념으로 해석하는 것에 반대하여 주종 관계로 해석하였다. 그는 오직 이만이 실제하며 기는 파편화된 이의 한 조각이라는 입장을 제시하였다.[8] 이러한 기정진의 학설은 기호학파가 기존에 받아들인 이이의 주기론과도 다를 뿐만 아니라 이와 기가 서로 작용하여 발생한다는 퇴계 이황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17]과도 다른 것이다. 기정진은 자신의 입장을 본원적 실제인 이가 여럿으로 나뉘어 기로 나타난다는 이일분수(理一分殊)로 표현하였다.[1]

4. 위정척사(衛正斥邪) 사상

기정진이 〈병인소〉를 올린 이후 그의 문인들은 스승을 따라 위정척사파가 되었다. 기정진의 거처 담대헌은 훗날 고산서원이 되었으며, 기정진 사후 손자인 기우만이 물려받았다. 기우만은 할아버지의 뒤를 이어 호남 유림의 종가 노릇을 하였고, 1895년 을미사변이 발생하자 각 고을에 통문을 돌려 을미의병을 조직하였다. 이후 아관파천을 비판하는 상소를 올리는 등 활동을 하다가 경술국치 이후 일제와의 타협을 거부하며 은거하였다.[19]

4. 1. 병인양요(丙寅洋擾)와 척화주전론(斥和主戰論)

1866년 병인양요 당시 〈병인소〉를 올려 척화주전론을 주장했다. 기정진은 내치를 바로잡고 군비를 강화하면 외적을 물리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조정의 계획 확정, 외교적 언사, 지형 활용, 군사 조련 등 여섯 가지 방책(육조소, 六條疏)을 제시했다.[19]

4. 2. 위정척사파(衛正斥邪派)의 지도자

기정진이 〈병인소〉를 올린 이후 그의 문인들은 스승을 따라 위정척사파가 되었다. 훗날 고산서원이 되는 기정진의 거처 담대헌은 기정진 사후 손자인 기우만이 물려받았다. 기우만은 할아버지의 뒤를 이어 호남 유림의 종가 노릇을 하였고 1895년 을미사변이 발생하자 각 고을에 통문을 돌려 을미의병을 조직하였다. 기우만의 의병은 광주와 나주로 진출하였으나 고종이 파견한 선유사의 명령에 따라 해산하였다. 이후 기우만은 아관파천을 비판하는 상소를 올리는 등 활동을 하다가 경술국치 이후 일제와의 타협을 거부하며 은거하였다.[19]

5. 저서

기정진의 대표적인 저서로는 1843년에 저술한 《납량사의》(納凉私義)와 1878년에 저술한 《외필》(猥筆)이 있다. 1883년 그가 사망한 후 발간된 《노사집》(蘆沙集)에는 유학자들과 주고받은 편지를 묶은 《답문유편》(答問類編)이 수록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주요 유학 논쟁에 대한 기정진의 견해가 담겨 있다.


  • 《납량사의》(納凉私義)
  • 《답문유편》(答問類編)
  • 《외필》(猥筆)
  • 《노사집》(蘆沙集)

6. 관련 문화재

장성 고산서원 노사선생전집 및 답문류편 목판은 조선 고종 때의 학자이자 성리학의 6대가로 추앙받는 기정진(1798∼1876)의 문집과 그의 저서 『답문류편』을 1902년(고종 39년)에 목판에 새긴 것이다. 문집은 653매, 『답문류편』은 209매이다.

목판에 새긴 연대는 늦으나 빠진 목판이 없을 뿐 아니라 간행처인 신안사가 조선 후기 경상도 일원의 출판 기능을 담당했던 곳임에도 불구하고 이곳에서 간행된 책자가 전하는 것이 없으므로 그 사료사적 가치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1999년 7월 5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14호로 지정되었다.

참조

[1] 뉴스 순창인물(2) 노사 기정진, 조선 성리학 마지막 거장 http://www.openchang[...] 열린순창 2019-02-14
[2] 백과사전 기준 http://encykorea.aks[...]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문서 한성부 청파 만리현 거주
[4] 문서 기대승의 아들
[5] 뉴스 장성의 인물 노사 기정진 http://www.jsnews.co[...] 장성군민신문 2012-01-13
[6] 백과사전 기정진 조모 묏자리 http://sunchang.gran[...] 디지털순창문화대전
[7] 문서 순창 설화
[8] 논문 노사학파의 지역적 전개양상과 사상적 특성 https://www.kci.go.k[...] 국학연구 2009
[9] 서적 노사집 http://db.mkstudy.co[...]
[10] 웹사이트 유학자들의 강학과 그 공간의 훼절 http://contents.hist[...] 우리역사넷
[11] 실록 부호군 기정진이 이양선의 출몰과 관련하여 아뢰다 http://sillok.histor[...] 조선왕조실록 1869-08-16
[12] 웹사이트 척화주전론 http://contents.hist[...] 우리역사넷
[13] 웹사이트 성리학, 몸으로 실천한 철인(哲人)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 下 https://www.itkc.or.[...] 한국고전번역원
[14] 논문 외필의 기원 https://www.kci.go.k[...] 유학연구 2020
[15] 뉴스 노사 기정진 선생, 의(義)로운 실천정신 깃든...'장성 고산서원(長城 孤山書院)' https://www.todaygwa[...] 투데이 광주 전남 2021-10-17
[16] 백과사전 호락논쟁 http://encykorea.aks[...]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7] 백과사전 이기호발설 http://encykorea.aks[...]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8] 웹사이트 간재학파의 심주기론과 한말 주리론의 논쟁 http://contents.hist[...] 우리역사넷
[19] 웹사이트 기우만 http://yulgok.geeo.k[...] 율곡학 프로젝트 2022-0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