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를라크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를라크주는 필리핀 루손 섬 중앙부에 위치한 내륙 지방으로, "말라-타를라크"에서 유래된 명칭은 'talahib' 풀이 풍부하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1874년 스페인 식민 행정부 하에서 중앙 루손의 마지막 주로 조직되었으며, 팜팡가주와 팡가시난주에서 분리된 지역을 포함한다. 필리핀 혁명 당시 수도가 되기도 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군의 점령과 바탄 죽음의 행진의 종착지인 캠프 오도넬이 위치했던 곳으로, 농업을 중심으로 경제 활동이 이루어진다. 캄팡팡안, 일로카노, 타갈로그 등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며, 벨레니즈모 사 타를라크와 치차론 이니루반 축제 등 지역 특색을 보여주는 문화 행사도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타를라크주 - 클라크 특별경제구역
    클라크 특별경제구역은 필리핀 팜팡가 주에 위치한 자유 무역 지대로, 클라크 공군 기지를 전환하여 설립되었으며 클라크 개발 공사가 개발 및 관리하며 동남아시아 비즈니스 허브를 목표로 한다.
  • 중앙루손 지방 - 아우로라주
    아우로라주는 필리핀 루손 섬 동중부에 위치하며 케손 주와 역사적 관련이 깊고 시에라 마드레 산맥의 일부를 포함하는 열대 우림 기후 지역으로, 농업이 주요 산업이며 타갈로그족과 일로카노족 문화가 혼합된 문화를 지닌 8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된 주이다.
  • 중앙루손 지방 - 누에바에시하주
    누에바에시하는 필리핀 루손 섬 중앙부에 위치하며, 스페인과 미국의 식민지 시대를 거쳐 담배 재배 중심지로 성장했고, 쌀 생산의 중심지이자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지역이다.
  • 루손섬 - 메트로 마닐라
    메트로 마닐라는 필리핀의 수도권으로, 여러 도시와 자치구로 구성되어 다양한 지형과 역사를 지니고 필리핀 경제의 중심지이자 국제적인 도시이지만, 높은 인구 밀도와 사회적 과제도 안고 있다.
  • 루손섬 - 라구나주
    라구나주는 필리핀 칼라바르존 지역에 위치하며 라구나 데 바이 호수에서 이름이 유래되었고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여러 역사적 사건을 거쳐 현재는 농업, 산업, 관광을 기반으로 경제를 발전시키고 있는 필리핀 국민 영웅 호세 리살의 출생지이다.
타를라크주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필리핀 내 타를라크 위치
필리핀 내 위치
별칭중부 루손의 용광로
표어Awit ng Tarlac (타를라크의 노래)
기본 정보
타를라크 주의 깃발
깃발
타를라크 주의 문장
문장
국가필리핀
소속 지역중부 루손 지방
설립일1872년
중심지타를라크 시
주지사수잔 얄릿 술릿
부주지사칼리토 S. 다비드
면적3,053.45 km²
인구 (2020년)1,503,456명
인구 밀도auto
독립 시0개
구성 도시1개 (타를라크 시)
자치체17개
바랑가이511개
하원 의원 지역구타를라크 주의 선거구
시간대PST
UTC 오프셋+8
웹사이트visit-tarlac.com
지리
최대 고도1,655m (이바 산)
인구 통계 (2000년)
민족카팜팡안족
일로카노족
팡가시난족
타갈로그족
언어카팜팡안어
일로카노어
팡가시난어
타갈로그어
필리핀 영어

2. 역사

타를라크 주는 스페인 식민 통치 말기인 1874년, 기존의 팜팡가 주와 팡가시난 주 일부 지역을 통합하여 중앙 루손의 마지막 주로 조직되었다.[4][5] '타를라크'라는 이름은 아이타족 언어로 특정 풀을 지칭하는 단어에서 유래했다.

1896년 필리핀 혁명 발발 시, 타를라크는 스페인에 대항하여 봉기한 최초의 8개 주 중 하나였으며, 1899년에는 잠시 제1 필리핀 공화국의 수도가 되기도 했다. 이후 미국의 통치를 거치며 민정이 수립되었고, 필리핀 독립 교회가 이곳에서 창립되는 등 종교적 변화도 겪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 제국의 점령 하에 있었으며, 특히 카파스의 캠프 오도넬은 악명 높은 바탄 죽음의 행진의 종착지로서 수많은 전쟁 포로들이 희생된 비극의 장소였다. 전후에는 후크발라합과 같은 농민 운동 및 농지 개혁 요구가 활발히 일어나는 등 사회적 긴장이 고조되기도 했다.[6][7][8]

1972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가 계엄령을 선포하면서 타를라크 주 역시 독재 정권의 탄압을 피할 수 없었다. 니노이 아키노 상원의원을 비롯한 많은 이들이 투옥되거나 희생되었으며,[17][18][19][20][21] 지역 내 군사 기지가 정치범 수용소로 이용되기도 했다.[22] 1986년 피플 파워 혁명으로 마르코스 독재가 종식된 이후, 타를라크 주는 현대 필리핀의 일부로서 발전해왔으며, 군사적으로는 미국과의 합동 군사 훈련인 발리카탄 훈련의 주요 장소로 활용되고 있다.

2. 1. 스페인 식민 시대

타를라크라는 이름은 아이타족 언어에서 '타를라크'라고 불리는 ''talahib'' 풀의 이름에서 유래한 것을 스페인어로 표기한 것이다.[4] 현재 주도 주변 지역은 "tarlak" 풀이 풍부하다는 의미의 "matarlak" 또는 "malatarlak"으로 불렸다.[5]

타를라크는 원래 남부 지역은 팜팡가 주에, 북부 지역은 팡가시난 주에 속해 있었다. 1874년, 스페인 식민 행정부는 중앙 루손 지역의 마지막 주로 타를라크 주를 조직했으며, 주의 이름은 현재의 주도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처음에는 콘셉시온, 카파스, 밤반, 마발라카트, 마갈랑, 포락, 플로리다블랑카, 빅토리아, 그리고 타를라크 마을을 중심으로 군사 지휘부를 구성했다. 이 중 일부 지역은 다시 팜팡가 주로 돌아갔으나, 나머지는 새로운 타를라크 주에 편입되었다.

1800년대 후반까지 스페인 통치 기간 동안 타를라크는 중앙 루손의 다른 주들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반란이 적었다. 후안 데 라 크루스 팔라리스가 팡가시난에서 일으킨 팔라리스 반란만이 타를라크 북부 지역까지 영향을 미쳤다.

2. 2. 필리핀 혁명

1896년 필리핀 혁명 당시 타를라크주는 인접한 팜팡가주와 함께 스페인에 대항하여 봉기한 최초의 8개 주 중 하나였다. 1899년 3월, 에밀리오 아기날도 장군이 이전 수도인 말롤로스를 버리고 떠나면서 타를라크는 제1 필리핀 공화국의 새로운 수도가 되었다. 이는 아기날도가 추격하는 미국 군대를 피하기 위해 수도를 누에바에시하주로 옮기기 전까지 약 한 달 동안 지속되었다.

2. 3. 미국 식민 시대

1899년 10월 23일, 혁명군의 군종 참사였던 그레고리오 아글리파이는 타를라크주 파니퀴에서 필리핀 사제 회의를 소집했다. 이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필리핀 독립 교회의 헌법 초안을 마련하고 성직자의 필리핀화를 요구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필리핀의 로마 가톨릭 교회로부터의 분리로 이어졌다.

같은 해 11월, 미국 군대가 타를라크를 점령하였고, 1901년에는 이 지역에 미국에 의한 민정이 수립되었다.

2. 4. 일본 식민 시대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타를라크주의 카파스에 위치한 캠프 오도넬은 중요한 역사의 현장이었다. 1942년 4월 9일 바탄에서 항복한 필리핀군과 미군 병사들은 악명 높은 바탄 죽음의 행진 끝에 이곳으로 이송되었다. 이곳은 행진의 종착지였으며, 수많은 포로들이 굶주림, 질병, 그리고 일본군의 처형으로 인해 목숨을 잃었다.

일본 점령 기간 동안 필리핀 연방군의 일반 사령부는 1942년 1월 3일부터 1946년 6월 30일까지, 필리핀 경찰의 제3경찰 연대는 1944년 10월 28일부터 1946년 6월 30일까지 타를라크주와 루손 중부 일부 지역에 주둔했다. 필리핀 연방군 소속 현지 부대들은 1942년부터 1945년까지 타를라크주와 루손 중부에서 정찰 작전을 수행했으며, 후크발라합 공산주의 게릴라를 포함한 여러 게릴라 단체들과 협력하여 일본 제국군을 공격했다.

1945년 초, 연합군인 미군과 필리핀군 부대는 아링가이 사령부 소속 게릴라들과 함께 캠프 오도넬을 해방하기 위한 작전을 전개했다. 카파스에서 벌어진 이 습격 작전을 통해 미군, 필리핀군 및 기타 연합군 소속 포로들을 성공적으로 구출했다.

이후 1945년 1월 20일부터 8월 15일까지, 연합군(필리핀군, 미군)과 게릴라 부대는 루손 전투의 일환으로 타를라크 전투를 벌여 일본 제국군으로부터 타를라크주를 탈환했다.

2. 5. 전후 시대

전쟁으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혼란 속에서 필리핀 독립이 국제적으로 인정받았지만, 정부 기관은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렀다. 이 시기, 특히 종전 후 수십 년 동안 사회적 불만과 긴장이 고조되었다.[6] 루손 중부와 타를라크의 광활한 농업 지대에서는 이러한 긴장이 주로 토지 소유권 문제와 농업 노동자의 열악한 근로 조건에 집중되었다.[7]

필리핀 공산주의 게릴라전 운동인 후크발라합은 본래 일본 점령에 맞서 싸우기 위해 루손 중부의 농민들이 결성한 조직이었으나, 독립 이후 필리핀 정부로부터 소외되었다. 당시 냉전이 시작되면서 서방 세계의 영향을 받은 필리핀 정부는 필리핀의 공산주의 위협에 대한 두려움을 내세우며 후크발라합을 탄압했다. 결국 후크발라합은 새로운 정부에 대항하는 반란으로 투쟁 방향을 바꾸었으나, 이후 국방부 장관을 거쳐 대통령이 된 라몬 마그사이사이의 일련의 개혁과 군사적 승리를 통해 진압되었다.[8]

그러나 무장 투쟁보다 더 효과적이었던 것은 농지 개혁과 노동권 강화를 꾸준히 요구한 여러 정치 및 노동 운동이었다. 노동자와 농민들의 시위는 점차 힘을 얻어 여러 필리핀 대통령들이 직접 그들을 만나 요구 사항을 수용하게 만들었다. 대표적인 성공 사례는 1969년 필리핀 농지 개혁 운동(FARM)이 주도한 '토지 정의 행진'이다. 이들은 타를라크에서 말라카냥까지 행진할 계획이었으나, 당시 마르코스 대통령이 이들이 타를라크 시의 캠프 세르빌라노 아키노에 머무는 동안 직접 만나 요구를 조기에 수용했다.[3]

2. 6. 마르코스 독재 시대

1970년대 초는 타를라크 주뿐만 아니라 필리핀 전체에 혼란과 변화가 가득한 시기였다.[9][3]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는 1969년 대통령 재선에 도전하면서 막대한 외채를 들여 공공 사업을 벌였다.[10][11] 이는 필리핀 경제를 급격히 악화시켰고, 1969년 필리핀 국제수지 위기로 이어져 심각한 경제난과 사회 불안을 야기했다.[12][13][14][15]

결국 마르코스는 헌법상 임기가 1년 남은 1972년 9월, 필리핀 전역에 계엄령을 선포하고 이후 14년간 권력을 유지했다.[16] 이 시기는 마르코스 정권의 심각한 인권 침해로 얼룩졌는데,[17][18] 특히 정치적 반대자, 학생 운동가, 언론인, 종교 지도자, 농민 등 독재에 맞선 이들이 주요 탄압 대상이었다.[19] 타를라크 주 역시 독재의 그늘을 피할 수 없었다. 캄프 세르빌라노 아키노와 타를라크 시의 캄프 마카불로스 등 최소 두 곳의 군사 기지가 정치범 구금 센터로 이용되었다.[20][21] 이 구금 센터들은 팜팡가 주의 캄프 올리바스에서 관리하는 구금자 지역 사령부 II(RECAD II) 소속이었다.[22]

계엄령 선포는 타를라크 주 정치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르코스를 비판하던 정치 지도자들이 체포되었는데, 대표적으로 꼰셉시온 출신의 상원의원 니노이 아키노와 캄프 크라메에 수감된 밤반 시장 페드로 D. 멘디올라가 있었다. 필리핀 개발 아카데미(DAP) 부회장이었던 호라시오 모랄레스처럼 정부 내에서 변화를 모색하려던 타를라크 출신 비판자들도 있었지만, 결국 독재 체제 하에서의 활동에 한계를 느끼고 등을 돌렸다.[23] 평범한 타를라크 시민들의 저항도 이어졌다. 전 신학생 테레시토 시손은 교사, 농민, 클라크 공군 기지 노동자들의 권리를 위해 싸웠으나, 마르코스 구금 센터에서 두 차례 고문을 당한 후 건강이 악화되어 1980년 사망했다.[24] 에두아르도 아키노,[25] 메라도 아르세,[26] 베네딕토 파세테스[27] 등 타를라크 주 출신 활동가들은 독재에 맞서 무장 투쟁을 선택했고, 마르코스 군대와의 교전 중 사망했다.

니노이 아키노는 1983년 8월 암살되었고, 이는 필리핀 전역에서 거센 항의 시위를 불러일으켰다. 결국 마르코스는 1986년 2월 조기 총선을 실시하겠다고 발표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독재 정권의 탄압은 선거 직전까지 계속되어, 반대 세력의 선거 운동 조직자였던 제레미아스 데 헤수스가 암살당하는 비극도 발생했다.[28]

2. 7. 현대

타를라크주 크로우 밸리에서 군사 훈련 중인 미국과 필리핀 군


필리핀 육군은 타를라크주 카파스 시의 바랑가이 파틀링과 산타 루시아 경계에 있는 크로우 밸리를 필리핀군과 동맹군의 시험장으로 사용해왔다. 2006년 3월 17일에는 이곳에서 대규모 군사 훈련이 실시되었으며[29], 이는 항구적 자유 작전 - 필리핀의 일환으로 추정된다.

타를라크는 매년 열리는 연합 발리카탄 훈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곳이 미국 육군과 필리핀 육군의 주요 훈련장으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타를라크주 카파스에 위치한 크로우 밸리에서는 항공, 포병, 소화기 훈련을 포함한 다양한 전투 훈련이 진행된다. 발리카탄 훈련은 2022년부터 [https://www.rfa.org/english/news/china/balikatan-china-reaction-04182024020433.html 10,000명 이상의 군인]이 참가하는 등 그 규모가 점차 커지고 있다.

3. 지리

타를라크 시의 풍경


타를라크주는 내륙 지방으로 루손 중앙 평원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남쪽으로는 팜팡가, 동쪽으로는 누에바에시하, 북쪽으로는 팡가시난, 서쪽으로는 잠발레스와 접한다. 총 면적은 3053.6km2이다. 타를라크주의 약 75%는 평야이고 나머지는 구릉지 또는 완만한 산지이다.

지형적으로 동부는 평야, 서부는 구릉지 또는 완만한 산지로 나뉜다. 이 때문에 타를라크주 서부에는 여러 산이 있다. 카파스에는 텔라카와 산(Mt. Telakawa, 일명 짚 모자 산), 부에노 산(Mt. Bueno), 모르-아시아 산(Mt. Mor-Asia), 카누만 산(Mt. Canouman), 달린 산(Mt. Dalin) 등이 위치한다. 산클레멘테에는 두에그 산(Mt. Dueg)과 마신 산(Mt. Maasin)이 있으며, 카밀링에는 다마스 산(Mt. Damas)이 있다. 마운트 피나투보의 일부도 밤반과 카파스에 걸쳐 있다(정상 분화구는 인접한 잠발레스에 위치). 마얀톡과 산호세는 전체가 산지이며, 이곳에서는 석탄, 철, 구리, 온대 기후 과일 및 채소, 장작, 모래, 암석 등 천연 자원과 임산물이 풍부하고, 멧돼지나 사슴과 같은 야생 동물도 서식한다.

농업을 위한 주요 수원으로는 여러 강이 있다. 타를라크 시의 타를라크 강, 콘셉시온의 루콩 강과 파루아 강, 밤반의 사코비아-밤반 강, 라파스의 리오 치코 강 등이 주요 수원이다. 서쪽의 삼발레스 산맥에서 발원하는 타를라크 강은 북쪽으로 흘러 팡가시난주로 들어가 아그노 강과 합류한다.

3. 1. 행정 구역

타를라크주는 17개의 지방 자치체와 1개의 구획 도시로 세분화되며, 이들은 모두 3개의 국회의원 선거구에 속한다. 주 전체에는 총 511개의 바랑가이가 있다.

타를라크주 정치 지도


시/자치체선거구인구 (2020)면적 (km²)인구 밀도 (/km²)바랑가이
아나오제1선거구12,20823.87km251118
밤반제3선거구78,260251.98km231115
카밀링제1선거구87,319140.53km262161
카파스제3선거구156,056377.6km241320
콘셉시온제3선거구169,953234.67km272445
헤로나제2선거구94,485128.89km273344
라파스제3선거구68,952114.33km260321
마얀톡제1선거구32,597311.42km210524
몬카다제1선거구62,81985.75km273337
파니퀴제1선거구103,003105.16km298035
푸라제1선거구25,78131.01km283116
라모스제1선거구22,87924.4km29389
산클레멘테제1선거구13,18149.73km226512
산호세제2선거구41,182592.81km27013
산마누엘제1선거구28,38742.1km267415
산타이그나시아제1선거구51,626146.07km235324
타를라크 시 (주도)단독385,398274.66km21,40376
빅토리아제2선거구69,370111.51km262226
총계scope="col" |1,503,4563046.49km2494511



2010년 인구 조사 기준, 카파스의 '크리스토 레이' 바랑가이가 인구가 가장 많았으며, 밤반의 '말론조' 바랑가이가 가장 적었다.

3. 2. 기후

중앙 루손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타를라크 주는 세 개의 뚜렷한 계절을 가지고 있다. 3월부터 6월까지는 여름, 7월부터 10월 초까지는 몬순 우기, 그리고 10월 말부터 2월까지는 몬순 겨울이다. 여름, 특히 5월에는 강풍, 번개, 우박을 동반한 심한 뇌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타를라크 주는 연평균 기온이 23°C로, 이 지역에서 가장 추운 지역 중 하나이다. 추위가 자주 찾아오는 것은 아니지만, 때때로 평균 기온이 17°C까지 내려가고 낮 최고 기온이 27°C에 머무는 경우도 있다. 또한 광범위한 저지대 고도와 극심한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 2월과 3월에는 이 지역에서 가장 바람이 많이 부는 곳이기도 하다. 기록된 최저 기온은 11.2°C이고 최고 기온은 38.8°C이다.

기온 외에도, 열지수는 특히 건기 동안 극심한 기상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필리핀 대기 지구 물리학 및 천문 서비스 관리국(PAGASA)의 예측에 따르면, 타를라크 주는 일반적으로 40°C에서 50°C 사이의 최대 열지수를 경험한다.

타를라크의 기후 자료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C)32.132.834.436.235.334.032.832.132.432.832.732.0
평균 최저 기온 (°C)21.121.622.723.824.624.524.224.424.123.722.921.9
평균 강수일수122313162221201084
출처: Storm247[39]


4. 인구

2020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타를라크주의 인구는 1,503,456명이며, 인구 밀도는 약 490명/km2이다.

타를라크 주에는 두 개의 주요 민족 집단이 거주한다. 주의 남부에는 주로 캄팡간족이 살고, 북부에는 주로 일로카노족이 거주한다. 이 두 언어 집단은 주도에서 함께 어울려 살고 있다. 타갈로그족팡가시난족도 주 인구의 일부를 구성하는데, 타갈로그족은 주로 누에바에시하불라칸에서 이주해왔다. 그 외 삼발레스,[31] 바탄, 오로라주 등지에서 온 이들도 있으며, 이들 중 상당수는 누에바에시하주와의 경계 지역에 거주한다.[32]

'''타를라크주의 연도별 인구'''
연도인구
1903135,107
1918171,560
1939264,857
1948327,019
1960426,647
1970559,708
1975629,664
1980688,505
1990859,708
1995945,810
20001,068,783
20071,227,375
20101,273,240
20151,366,027
20201,503,456


5. 종교

1997년에 소실된 오래된 대천사 미카엘 본당 교회


스페인의 영향은 타를라크주의 종교적 신념에서 뚜렷하게 나타난다. 필리핀 전체 인구의 80~83%가 로마 가톨릭을 믿는 것과 같이[34], 타를라크주에서도 로마 가톨릭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복음주의 신자를 포함한 개신교 단체는 주 인구의 약 6%를 차지한다.[35] 카밀링에 있던 대천사 미카엘 본당 교회는 1997년 화재로 소실되기 전까지 이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종교 건축물이었다.

201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타를라크주의 주요 종교 단체 및 신자 비율은 다음과 같다.

종교2010년 인구 조사 비율 (%)
그리스도의 교회7.43
아글리파얀 교회2.24
복음주의1.97
여호와의 증인0.64



그리스도의 교회는 신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카파스, 파니퀴, 타를라크 등 3개의 하위 지역과 다수의 지역 및 바랑가이 예배당을 운영하고 있다. 이 외에도 주 내에는 무슬림, 애니미즘 신봉자, 토착 신앙 신봉자, 무신론자 등이 존재한다.

6. 경제

헤로나의 쌀 농장


타를라크 주의 경제는 농업이 주를 이룬다. 타를라크 주는 중앙 루손 지방에서 사탕수수 (주요 작물)를 가장 많이 생산하는 지역 중 하나이다.[40][41][42][43][44][45][46][47] 기타 주요 작물로는 옥수수, 코코넛, 과일(바나나, 깔라만시, 망고), 채소(가지, 마늘, 양파) 등이 있다.

내륙 지역이기 때문에 어류 생산은 양어장에 한정되지만, 광대한 강 시스템과 관개 시설을 갖추고 있다. 서쪽 삼발레스 주 경계에는 산림 지대가 있어 벌목 산업에 목재를 제공한다. 서부 지역에서는 망간과 철과 같은 광물 매장량도 발견된다.

타를라크는 자체적인 쌀 및 옥수수 제분소, 제재소, 벌목 설비를 갖추고 있다. 3개의 설탕 정제 공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앙 루손 지역에 많은 설탕 제품을 공급하며, 특히 비토리아 시의 머스코바도 설탕이 유명하다. 기타 기업들은 비료와 같은 농업 관련 서비스를 제공한다. 수공예 산업 중에서는 점토가 풍부하여 도자기 산업이 발달했다. 주요 산업으로는 카밀링 시의 치차론 (돼지 껍질 칩)과 이니루반 제조, 아나오 시의 일랑일랑 제품 생산이 있다. 틸라피아 생산 또한 타를라크에서 개선되고 있으며, 팜팡가 주에 이어 중앙 루손 지역의 두 번째 "''틸라피아 수도''"로 만들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코라손 아키노 전 대통령의 아버지인 호세 코황코가 설립한 호세 코황코 앤 선스(Jose Cojuangco and Sons Inc., JCSI) 사가 소유한 아시엔다(대농원) 아시엔다 루이시타가 위치해 있다.

7. 문화

타를라크주의 문화는 주 내에 거주하는 캄팡팡안, 팡가시난, 일로카노, 타갈로그, 아에타 등 다양한 민족의 문화가 혼합된 형태이다. 마치 문화 용광로처럼, 이 지역은 타를라케뇨 유산을 이루는 다채로운 축제, 전통, 신념과 함께 유형 문화 유산, 경관, 공예품 등을 간직하고 있다.

7. 1. 벨레니즈모 사 타를라크 (Belenismo sa Tarlac)

Belenismo sa Tarlac|벨레니즈모 사 타를라크es는 전 에두아르도 코후앙코 주니어 대사의 누이인 이사벨 코후앙코-순타이가 타를라크 주를 "필리핀의 벨렌 수도"로 만들고자 시작한 행사이다. 2007년 9월 처음 시작된 이 벨렌 축제는 같은 해 12월 16일에 첫 벨렌 제작 워크숍을 열었으며, 주최 측은 매년 타를라크 주에서 열리는 연례 행사로 계획했다. 첫 벨렌 제작 대회에서는 최소 24명의 경찰관이 제작한 타를라크 PNP 사무실 벨렌이 1등을 차지했고, 로렌 레가르다 상원의원이 시상식을 주재했다.

스페인어로 벨레니즈모(Belenismoes)는 벨렌( Belénes ) 제작 예술을 뜻한다. 벨렌은 예수 탄생 장면을 표현한 것으로, 성가족 (요셉, 마리아, 아기 예수)이 별의 인도를 받아 구유로 찾아온 동방 박사 세 사람의 방문을 받는 모습을 나타낸다.

7. 2. 치차론 이니루반 축제 (Chicharon Iniruban Festival)

매년 10월 마지막 주 카밀링에서 열리는 축제이다. 모든 성인의 날을 준비하고 풍성한 수확과 좋은 품질의 육류 제품, 특히 치차론 또는 바그넷에 대해 감사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또한 일로카노 사람들이 만드는 이국적이고 맛있는 떡인 ''이니루반''도 선보인다. 축제의 주요 행사로는 거리 춤 경연대회, 미스 이니루반 미인 선발대회, 시의 농업 무역 박람회 등이 있다. 2000년에 시작되어 이 지방에서 가장 오래된 문화 행사로 알려져 있다.

8. 주요 인물


  • 프란시스코 마카불로스 - 필리핀 혁명 장군이자 전 타를라크 주지사
  • 세르빌리아노 아키노 - 필리핀 혁명 장군
  • 베니그노 아키노 주니어 - 전 필리핀 상원의원이자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독재정권 시절 계엄령 하의 야당 지도자
  • 코라손 아키노 - 제11대 필리핀 대통령
  • 베니그노 아키노 3세 - 제15대 필리핀 대통령
  • 카를로스 P. 로물로 - 제4대 유엔 총회 의장, 제14대 필리핀 외무부 장관, 제11대 필리핀 대학교 총장, 문학 분야 필리핀 국민 예술가
  • 오노프레 코르푸스 - 제23대 필리핀 교육부 장관, 제13대 필리핀 대학교 총장, 정치 경제 및 정부 분야 필리핀 국민 과학자
  • 오라시오 모랄레스 - 제8대 농지개혁부 장관
  • 알베르토 로물로 - 제23대 필리핀 외무부 장관, 제34대 필리핀 행정장관
  • 제슬리 라푸스 - 제31대 필리핀 통상산업부 장관, 제34대 필리핀 교육부 장관
  • 길버트 테오도로 - 제25대 필리핀 국방부 장관
  • 볼테르 가즈민 - 제26대 필리핀 국방부 장관
  • 베니그노 아키노 시니어 - 제6대 필리핀 하원의장, 제10대 필리핀 농무부 장관 및 전 필리핀 상원 의원
  • 마카리오 페랄타 주니어 - 전 필리핀 상원 의원, 제13대 필리핀 국방부 장관
  • 호세 로이 - 전 필리핀 상원 의원
  • 에바 에스트라다 칼라우 - 전 필리핀 상원 의원
  • 테시 아키노-오레타 - 전 필리핀 상원 의원
  • 세사르 벵존 - 제9대 필리핀 대법원 대법원장, 국제사법재판소의 최초 필리핀인 재판관
  • 헤수스 바레라 - 제67대 필리핀 대법원 대법관
  • 파울리노 산토스 - 제2대 필리핀군 참모총장
  • 리카르도 다비드 - 제41대 필리핀군 참모총장
  • 니카노르 바르톨로메 - 제16대 필리핀 국가 경찰청장
  • 레오노르 리베라 - 호세 리잘의 사촌이자 연인으로, 마리아 클라라로 잘 알려져 있다.
  • 베르나베 부스카이노 - 필리핀 공산당의 군사 조직인 신인민군의 창립자.
  • 그레고리오 C. 브릴란테스 - 다수의 상을 수상한 소설가.
  • 알렉스 니뇨 - 필리핀 만화가로, 미국의 출판사 DC 코믹스, 마블 코믹스, 워렌 퍼블리싱 및 잡지 ''헤비 메탈''에서 활동한 것으로 유명하다.
  • 샤오 추아 - 공공 역사학자
  • 벤자민 카브레라 - 의사
  • 알베르토 라멘토 - 제9대 최고 주교이자 필리핀 독립 교회(IFI) 주교 최고 의회 의장.
  • 단딩 코후앙코 - 필리핀 및 동남아시아 최대 식음료 기업인 산 미구엘 코퍼레이션(San Miguel Corporation)의 회장 겸 CEO이다.[38] 그는 마르코스 정권 시절 마르코스의 측근으로 널리 여겨졌다.
  • 이온 페레즈 - TV 진행자.
  • 로르나 톨렌티노 - 베테랑 배우.
  • 아론 빌라플로르 - 배우.

참조

[1] 웹사이트 List of Provinces http://www.nscb.gov.[...] National Statistical Coordination Board 2013-08-21
[2] 웹사이트 Tarlac: Population Reached a Million Mark (Results from the 200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NSO)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02-08-13
[3] 웹사이트 History of Tarlac http://visit-tarlac.[...] Tarlac Province Official Portal 2015-08-30
[4] 서적 Tarlac and the Revolutionary Landscape: Essays on the Philippine Revolution from a Localized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Center for Tarlaqueño Studies, Tarlac State University
[5] 웹사이트 Resources for Local Governance – Tarlac http://lgu.pids.gov.[...]
[6] 서적 Kasaysayan, The Story of the Filipino People Volume 9:A Nation Reborn. Asia Publishing Company Limited
[7] 웹사이트 A History of the Philippine Political Protest https://www.official[...]
[8] 서적 No Other Way Out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서적 Marcos Martial Law: Never Again Filipinos for a Better Philippines, Inc.
[10] 논문 IMF Stabilization Program and Economic Growth: The Case of the Philippines https://dirp4.pids.g[...] 1992
[11] 서적 The Philippine Economy: Development, Policies, and Challeng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12] 논문 Exchange Rate Movements in the Philippines
[13] 서적 Rebellion and repression in the Philippines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1989
[14] 서적 Ferdinand Marcos and the Philippines: The Political Economy of Authoritarianism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7
[15] 서적 The Philippines reader : a history of colonialism, neocolonialism, dictatorship, and resistance https://archive.org/[...] South End Press 1987
[16] 서적 Kasaysayan, The Story of the Filipino People Volume 9:A Nation Reborn. Asia Publishing Company Limited
[17] 웹사이트 Alfred McCoy, Dark Legacy: Human rights under the Marcos regime http://www.hartford-[...] Ateneo de Manila University 1999-09-20
[18] 서적 State and society in the Philippines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05
[19] 뉴스 Gone too soon: 7 youth leaders killed under Martial Law https://www.rappler.[...]
[20] 서적 Dark Memories of Torture, Incarceration, Disappeareance, and Death under Ferdinand E. Marcos Sr.'s Martial Law
[21] 문서 Panaglagip: The North Remembers – Martial Law Stories of Struggle and Survival
[22] 뉴스 Remnants of a dark era https://business.inq[...] 2018-09-22
[23] 웹사이트 Horacio Boy Morales - Bantayog ng mga Bayani https://bantayogngmg[...] 2023-06-17
[24] 웹사이트 Sison, Teresito "Sito" De Guzman - Bantayog ng mga Bayani https://bantayogngmg[...] 2024-03-15
[25] 웹사이트 Eduardo Aquino - Bantayog ng mga Bayani https://bantayogngmg[...] 2023-05-25
[26] 웹사이트 Merardo Arce - Bantayog ng mga Bayani https://bantayogngmg[...] 2023-05-25
[27] 웹사이트 Benedicto Pasetes - Bantayog ng mga Bayani https://bantayogngmg[...] 2023-06-21
[28] 웹사이트 Jeremias De Jesus - Bantayog ng mga Bayani https://bantayogngmg[...] 2023-05-28
[29] 웹사이트 Tarlac Military Testing Ground http://www.timawa.ne[...]
[30] 웹사이트 Weather forecast for Tarlac, Philippines http://uk.storm247.c[...] StormGeo AS
[31] 웹사이트 Bot Verification https://tarlac.gov.p[...]
[32] 웹사이트 201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www.psa.gov.[...]
[33] 웹사이트 Tarlac https://visitcentral[...]
[34] 웹사이트 MAP: Catholicism in the Philippines https://www.rappler.[...] 2015-01-18
[35] 웹사이트 Provincial Summary - Tarlac 2009 http://philchal.org/[...]
[36] 웹사이트 Belenismo sa Tarlac https://web.archive.[...] Philippine Daily Inquirer 2015-08-30
[37] 웹사이트 Tarlac Provincial Capitol http://tarlacprovinc[...] 2015-08-30
[38] 뉴스 Spotlight: The Philippines' power broker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5-06-18
[39] 웹인용 Weather forecast for Tarlac, Philippines http://uk.storm247.c[...] StormGeo AS 2016-04-22
[40] 웹인용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41] 데이터베이스
[42] 데이터베이스
[43] 데이터베이스
[44] 데이터베이스
[45] 데이터베이스
[46] 데이터베이스
[47] 데이터베이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