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대혐기성 미생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절대혐기성 미생물은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생존하며, 혐기성 호흡 또는 발효를 통해 에너지를 얻는 미생물이다. 산소는 이들에게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효소의 기능을 저해하여 손상을 줄 수 있으며, 활성 산소종을 생성하거나 산화환원 전위를 증가시켜 성장을 억제하기도 한다. 이들은 동물의 창자, 심해, 토양 등 다양한 환경에서 발견되며, 혐기성 소화, 환경 정화, 전통 발효 식품 등에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절대혐기성 미생물 | |
---|---|
기본 정보 | |
학문 분야 | 미생물학 |
설명 | 산소에 의해 죽거나 성장이 저해되는 미생물 |
관련 용어 | 혐기성 세균, 산소, 호기성 세균 |
생태 및 생리 | |
산소와의 관계 | 산소 존재 하에 생존 불가능 |
대사 | 산소를 최종 전자 수용체로 사용하지 않음 발효 또는 혐기성 호흡에 의존 |
생존 전략 |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만 생존 가능 (예: 깊은 토양, 동물 내부, 밀폐된 용기) |
종류 | |
주요 분류 | 절대 혐기성 세균 (산소에 매우 민감) 통성 혐기성 세균 (산소 유무에 관계없이 생존 가능) |
건강 및 질병 | |
관련 질병 | 파상풍 보툴리누스 중독증 가스 괴저 |
감염 부위 | 산소가 부족한 조직 (예: 깊은 상처, 괴사 조직) |
예방 및 치료 | 상처 부위 소독 및 산소 노출 항생제 치료 |
산업적 이용 | |
발효 산업 | 젖산 발효 알코올 발효 아세트산 발효 |
환경 공학 | 혐기성 소화를 통한 폐수 처리 |
참고 문헌 |
2. 산소 민감성
절대혐기성 미생물의 산소 민감성은 산화 스트레스와 효소 생성과 같은 요인들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여겨진다. 산소는 또한 산화 스트레스와 관련 없는 방식으로 절대혐기성 미생물에 손상을 줄 수 있다.
분자 산소는 최고 점유 분자 궤도에 2개의 짝을 이루지 않은 전자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세포 내에서 쉽게 초과산화물(O2-)과 과산화 수소(H2O2)로 환원된다.[1] 이 두 생성물의 반응은 자유 수산화 라디칼(OH.)의 형성을 초래한다.[4] 초과산화물, 과산화 수소, 수산화 라디칼은 활성 산소 종(ROS)으로 알려진 화합물 부류이며, 절대혐기성 미생물을 포함한 미생물에 손상을 주는 반응성이 높은 생성물이다.[4] 호기성 생물은 이러한 생성물을 해독하기 위해 초과산화물 불균등화 효소와 카탈라아제를 생성하지만, 절대혐기성 미생물은 이러한 효소를 매우 적은 양으로 생성하거나 전혀 생성하지 않는다.[1][2][3][5] 절대혐기성 미생물의 산소 내성 가변성(0.5% 미만 ~ 8% O2)은 생성되는 초과산화물 불균등화 효소와 카탈라아제의 양을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2][3]
1986년, Carlioz와 Touati는 활성 산소 종이 혐기성 미생물에 독성이 있을 수 있다는 생각을 뒷받침하는 실험을 수행했다. 임의혐기성 미생물인 ''대장균''은 초과산화물 불균등화 효소 유전자의 결실로 변이되었다. 산소가 있는 상태에서, 이러한 변이는 특정 아미노산을 제대로 합성하거나 신진대사 동안 일반적인 탄소원을 기질로 사용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했다.[6]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는 변이된 시료가 정상적으로 성장했다.[6] 2018년, Lu 등은 포유류 소화관에서 발견되는 절대혐기성 미생물인 ''Bacteroides thetaiotaomicron''에서 산소 노출이 중요한 대사 효소를 비활성화시키는 초과산화물 수준 증가를 초래한다는 것을 발견했다.[6]
용존 산소는 용액의 산화환원 전위를 증가시키고, 높은 산화환원 전위는 일부 절대혐기성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한다.[3][5][7] 예를 들어, 메탄 생성균은 -0.3 V 미만의 산화환원 전위에서 성장한다.[7] 황화물은 일부 효소의 필수 구성 요소이며, 분자 산소는 이를 산화시켜 이황화물을 형성하여 특정 효소 (예: 질소 고정 효소)를 비활성화시킨다. 유기체는 이러한 필수 효소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성장할 수 없을 수 있다.[1][5][7] 산소를 환원하는 과정에서 전자가 소모되어 생합성을 위한 환원 당량이 부족하여 성장이 억제될 수도 있다.[7]
2. 1. 활성 산소 종 (ROS) 생성
분자 산소는 최고 점유 분자 궤도에 2개의 짝을 이루지 않은 전자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세포 내에서 쉽게 초과산화물(O2-)과 과산화 수소(H2O2)로 환원된다.[1] 이 두 생성물의 반응은 자유 수산화 라디칼(OH.)의 형성을 초래한다.[4] 초과산화물, 과산화 수소, 수산화 라디칼은 활성 산소 종(ROS)으로 알려진 화합물 부류이며, 절대혐기성 미생물을 포함한 미생물에 손상을 주는 반응성이 높은 생성물이다.[4] 호기성 생물은 이러한 생성물을 해독하기 위해 초과산화물 불균등화 효소와 카탈라아제를 생성하지만, 절대혐기성 미생물은 이러한 효소를 매우 적은 양으로 생성하거나 전혀 생성하지 않는다.[1][2][3][5] 절대혐기성 미생물의 산소 내성 가변성(0.5% 미만 ~ 8% O2)은 생성되는 초과산화물 불균등화 효소와 카탈라아제의 양을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2][3]2. 2. 효소 불활성화
분자 산소는 최고 점유 분자 궤도에 2개의 짝을 이루지 않은 전자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세포 내에서 쉽게 초과산화물 (O2-)과 과산화 수소 (H2O2)로 환원된다.[1] 이 두 생성물의 반응은 자유 수산화 라디칼 (OH.)의 형성을 초래한다.[4] 초과산화물, 과산화 수소, 수산화 라디칼은 활성 산소 종 (ROS)으로 알려진 화합물 부류이며, 절대혐기성 미생물을 포함한 미생물에 손상을 주는 반응성이 높은 생성물이다.[4] 호기성 생물은 이러한 생성물을 해독하기 위해 초과산화물 불균등화 효소와 카탈라아제를 생성하지만, 절대혐기성 미생물은 이러한 효소를 매우 적은 양으로 생성하거나 전혀 생성하지 않는다.[1][2][3][5] 절대혐기성 미생물의 산소 내성 가변성 (0.5% 미만 ~ 8% O2)은 생성되는 초과산화물 불균등화 효소와 카탈라아제의 양을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2][3]1986년, Carlioz와 Touati는 활성 산소 종이 혐기성 미생물에 독성이 있을 수 있다는 생각을 뒷받침하는 실험을 수행했다. 임의혐기성 미생물인 ''대장균''은 초과산화물 불균등화 효소 유전자의 결실로 변이되었다. 산소가 있는 상태에서, 이러한 변이는 특정 아미노산을 제대로 합성하거나 신진대사 동안 일반적인 탄소원을 기질로 사용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했다.[6]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는 변이된 시료가 정상적으로 성장했다.[6] 2018년, Lu 등은 포유류 소화관에서 발견되는 절대혐기성 미생물인 ''Bacteroides thetaiotaomicron''에서 산소 노출이 중요한 대사 효소를 비활성화시키는 초과산화물 수준 증가를 초래한다는 것을 발견했다.[6]
황화물은 일부 효소의 필수 구성 요소이며, 분자 산소는 이를 산화시켜 이황화물을 형성하여 특정 효소 (예: 질소 고정 효소)를 비활성화시킨다. 유기체는 이러한 필수 효소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성장할 수 없을 수 있다.[1][5][7] 산소를 환원하는 과정에서 전자가 소모되어 생합성을 위한 환원 당량이 부족하여 성장이 억제될 수도 있다.[7]
2. 3. 산화환원 전위
분자 산소는 최고 점유 분자 궤도에 2개의 짝을 이루지 않은 전자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세포 내에서 쉽게 초과산화물 (O2-)과 과산화 수소 (H2O2)로 환원된다.[1] 이 두 생성물의 반응은 자유 수산화 라디칼 (OH.)의 형성을 초래한다.[4] 초과산화물, 과산화 수소, 수산화 라디칼은 활성 산소 종 (ROS)으로 알려진 화합물 부류이며, 절대혐기성 미생물을 포함한 미생물에 손상을 주는 반응성이 높은 생성물이다.[4] 호기성 생물은 이러한 생성물을 해독하기 위해 초과산화물 불균등화 효소와 카탈라아제를 생성하지만, 절대혐기성 미생물은 이러한 효소를 매우 적은 양으로 생성하거나 전혀 생성하지 않는다.[1][2][3][5] 절대혐기성 미생물의 산소 내성 가변성 (0.5% 미만 ~ 8% O2)은 생성되는 초과산화물 불균등화 효소와 카탈라아제의 양을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2][3]용존 산소는 용액의 산화환원 전위를 증가시키고, 높은 산화환원 전위는 일부 절대혐기성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한다.[3][5][7] 예를 들어, 메탄 생성균은 -0.3 V 미만의 산화환원 전위에서 성장한다.[7] 황화물은 일부 효소의 필수 구성 요소이며, 분자 산소는 이를 산화시켜 이황화물을 형성하여 특정 효소 (예: 질소 고정 효소)를 비활성화시킨다. 유기체는 이러한 필수 효소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성장할 수 없을 수 있다.[1][5][7] 산소를 환원하는 과정에서 전자가 소모되어 생합성을 위한 환원 당량이 부족하여 성장이 억제될 수도 있다.[7]
절대혐기성 미생물의 산소 민감성은 산화 스트레스와 효소 생성과 같은 요인들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여겨진다. 산소는 또한 산화 스트레스와 관련 없는 방식으로 절대혐기성 미생물에 손상을 줄 수 있다.
1986년, Carlioz와 Touati는 활성 산소 종이 혐기성 미생물에 독성이 있을 수 있다는 생각을 뒷받침하는 실험을 수행했다. 임의혐기성 미생물인 ''Escherichia coli''은 초과산화물 불균등화 효소 유전자의 결실로 변이되었다. 산소가 있는 상태에서, 이러한 변이는 특정 아미노산을 제대로 합성하거나 신진대사 동안 일반적인 탄소원을 기질로 사용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했다.[6]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는 변이된 시료가 정상적으로 성장했다.[6] 2018년, Lu 등은 포유류 소화관에서 발견되는 절대혐기성 미생물인 ''Bacteroides thetaiotaomicron''에서 산소 노출이 중요한 대사 효소를 비활성화시키는 초과산화물 수준 증가를 초래한다는 것을 발견했다.[6]
2. 4. 환원 당량 부족
분자 산소(삼중항 산소)는 최고 점유 분자 궤도에 2개의 짝을 이루지 않은 전자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세포 내에서 쉽게 초과산화물 (O2-)과 과산화 수소 (H2O2)로 환원된다.[1] 이 두 생성물의 반응은 자유 수산화 라디칼 (OH.)의 형성을 초래한다.[4] 초과산화물, 과산화 수소, 수산화 라디칼은 활성 산소 종 (ROS)으로 알려진 화합물이며, 미생물에 손상을 주는 반응성이 높은 생성물이다.[4] 호기성 생물은 이러한 생성물을 해독하기 위해 초과산화물 불균등화 효소와 카탈라아제를 생성하지만, 절대혐기성 미생물은 이러한 효소를 매우 적은 양으로 생성하거나 전혀 생성하지 않는다.[1][2][3][5]용존 산소는 용액의 산화환원 전위를 증가시키고, 높은 산화환원 전위는 일부 절대혐기성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한다.[3][5][7] 예를 들어, 메탄 생성균은 -0.3 V 미만의 산화환원 전위에서 성장한다.[7] 황화물은 일부 효소의 필수 구성 요소이며, 분자 산소는 이를 산화시켜 이황화물을 형성하여 특정 효소 (예: 질소 고정 효소)를 비활성화시킨다.[1][5][7] 유기체는 이러한 필수 효소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성장할 수 없을 수 있다.[1][5][7] 산소를 환원하는 과정에서 전자가 소모되어 생합성을 위한 환원 당량이 부족하여 성장이 억제될 수도 있다.[7]
2. 5. 방어 기작 부재
분자 산소는 최고 점유 분자 궤도에 2개의 짝을 이루지 않은 전자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세포 내에서 쉽게 초과산화물 (O2-)과 과산화 수소 (H2O2)로 환원된다.[1] 이 두 생성물의 반응은 자유 수산화 라디칼 (OH.)의 형성을 초래한다.[4] 초과산화물, 과산화 수소, 수산화 라디칼은 활성 산소 종 (ROS)으로 알려진 화합물이며, 미생물에 손상을 주는 반응성이 높은 생성물이다.[4] 호기성 생물은 초과산화물 불균등화 효소와 카탈라아제를 생성하여 이러한 생성물을 해독하지만, 절대혐기성 미생물은 이러한 효소를 매우 적은 양으로 생성하거나 전혀 생성하지 않는다.[1][2][3][5] 절대혐기성 미생물의 산소 내성 가변성 (0.5% 미만 ~ 8% O2)은 생성되는 초과산화물 불균등화 효소와 카탈라아제의 양을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2][3]1986년, Carlioz와 Touati는 활성 산소 종이 혐기성 미생물에 독성이 있을 수 있다는 생각을 뒷받침하는 실험을 수행했다. 임의혐기성 미생물인 ''대장균''은 초과산화물 불균등화 효소 유전자의 결실로 변이되었다. 산소가 있는 상태에서, 이러한 변이는 특정 아미노산을 제대로 합성하거나 신진대사 동안 일반적인 탄소원을 기질로 사용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했다.[6]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는 변이된 시료가 정상적으로 성장했다.[6]
용존 산소는 용액의 산화환원 전위를 증가시키고, 높은 산화환원 전위는 일부 절대혐기성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한다.[3][5][7] 예를 들어, 메탄 생성균은 -0.3 V 미만의 산화환원 전위에서 성장한다.[7] 황화물은 일부 효소의 필수 구성 요소이며, 분자 산소는 이를 산화시켜 이황화물을 형성하여 특정 효소 (예: 질소 고정 효소)를 비활성화시킨다.[1][5][7]
3. 에너지 대사
절대혐기성 미생물은 혐기성 호흡 또는 발효를 통해 영양분을 에너지로 전환한다.[8] 호기성 호흡에서 당분해 과정에서 생성된 피루브산은 아세틸-CoA로 전환된다. 이어서 TCA 회로와 전자 전달계를 통해 분해된다. 혐기성 호흡은 전자 전달계에서 산소 이외의 전자 수용체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호기성 호흡과 다르다. 다른 전자 수용체의 예로는 황산염, 질산염, 철, 망간, 수은, 일산화 탄소 등이 있다.[8]
발효는 당분해에서 생성된 피루브산이 전자 전달계의 관여 없이 분해된다는 점(즉, 산화적 인산화가 없음)에서 혐기성 호흡과 다르다. 젖산 발효, 혼합산 발효, 2-3 부탄다이올 발효와 같이 유기 화합물이 유기산과 알코올로 환원되는 다양한 발효 경로가 존재한다.[8][4]
혐기성 호흡과 발효의 에너지 수율(즉, 생성되는 ATP 분자 수)은 호기성 호흡보다 낮다.[8] 이러한 이유로 호기성과 혐기성 모두에서 에너지를 대사할 수 있는 통성 혐기성 미생물은 호기성으로 에너지를 대사하는 것을 선호한다. 이는 통성 혐기성 미생물을 티오글리콜산 배지에서 배양할 때 관찰할 수 있다.[1]
3. 1. 혐기성 호흡
절대혐기성 미생물은 혐기성 호흡 또는 발효를 통해 영양분을 에너지로 전환한다.[8] 호기성 호흡에서 당분해 과정에서 생성된 피루브산은 아세틸-CoA로 전환된 후 TCA 회로와 전자 전달계를 통해 분해된다. 혐기성 호흡은 전자 전달계에서 산소 이외의 전자 수용체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호기성 호흡과 다르다.[8] 다른 전자 수용체의 예로는 황산염, 질산염, 철, 망간, 수은, 일산화 탄소 등이 있다.[8]발효는 당분해에서 생성된 피루브산이 전자 전달계의 관여 없이 분해된다는 점(즉, 산화적 인산화가 없음)에서 혐기성 호흡과 다르다.[8][4] 젖산 발효, 혼합산 발효, 2-3 부탄다이올 발효와 같이 유기 화합물이 유기산과 알코올로 환원되는 다양한 발효 경로가 존재한다.[8][4]
혐기성 호흡과 발효의 에너지 수율(즉, 생성되는 ATP 분자 수)은 호기성 호흡보다 낮다.[8] 이러한 이유로 호기성과 혐기성 모두에서 에너지를 대사할 수 있는 통성 혐기성 미생물은 산소가 존재 할 경우에는 호기성으로 에너지를 대사하는 것을 선호한다.
3. 2. 발효
절대혐기성 미생물은 혐기성 호흡 또는 발효를 통해 영양분을 에너지로 전환한다.[8] 호기성 호흡에서 당분해 과정에서 생성된 피루브산은 아세틸-CoA로 전환된 후 TCA 회로와 전자 전달계를 통해 분해된다. 혐기성 호흡은 전자 전달계에서 산소 이외의 전자 수용체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호기성 호흡과 다르다. 다른 전자 수용체의 예로는 황산염, 질산염, 철, 망간, 수은, 일산화 탄소 등이 있다.[8]발효는 당분해에서 생성된 피루브산이 전자 전달계의 관여 없이 분해된다는 점(즉, 산화적 인산화가 없음)에서 혐기성 호흡과 다르다.[8] 혐기성 호흡과 발효의 에너지 수율(즉, 생성되는 ATP 분자 수)은 호기성 호흡보다 낮다.[8]
3. 3. 에너지 효율
절대혐기성 미생물은 혐기성 호흡 또는 발효를 통해 영양분을 에너지로 전환한다.[8] 호기성 호흡에서 당분해 과정에서 생성된 피루브산은 아세틸-CoA로 전환된 후 TCA 회로와 전자 전달계를 통해 분해된다. 혐기성 호흡은 전자 전달계에서 산소 이외의 전자 수용체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호기성 호흡과 다르다. 다른 전자 수용체의 예로는 황산염, 질산염, 철, 망간, 수은, 일산화 탄소 등이 있다.[8]발효는 당분해에서 생성된 피루브산이 전자 전달계의 관여 없이 분해된다는 점(즉, 산화적 인산화가 없음)에서 혐기성 호흡과 다르다. 젖산 발효, 혼합산 발효, 2-3 부탄다이올 발효와 같이 유기 화합물이 유기산과 알코올로 환원되는 다양한 발효 경로가 존재한다.[8][4]
혐기성 호흡과 발효의 에너지 수율(즉, 생성되는 ATP 분자 수)은 호기성 호흡보다 낮다.[8] 이러한 이유로 호기성과 혐기성 모두에서 에너지를 대사할 수 있는 통성 혐기성 미생물은 호기성으로 에너지를 대사하는 것을 선호한다.
4. 생태 및 예시
절대혐기성 미생물은 동물의 창자, 심해, 정체된 물, 매립지, 토양의 깊은 퇴적물과 같이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발견된다.[9] 절대 혐기성 세균 속의 예로는 ''방선균''(Actinomyces), ''박테로이데스''(Bacteroides), ''클로스트리디움''(Clostridium), ''푸소박테리움''(Fusobacterium), ''펩토스트렙토코쿠스''(Peptostreptococcus), ''포르피로모나스''(Porphyromonas), ''프레보텔라''(Prevotella), ''프로피오니박테리움''(Propionibacterium), ''베일로넬라''(Veillonella)가 있다. ''클로스트리디움'' 종은 내생포자를 형성하는 세균으로, 이 휴면 상태에서 대기 중의 산소 농도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 나머지 세균들은 내생포자를 형성하지 않는다.[5]
''마이코박테리움''(Mycobacterium), ''스트렙토마이세스''(Streptomyces), ''로도코쿠스''(Rhodococcus) 속의 여러 종은 토양에서 발견되는 절대 혐기성의 예이다.[10] 절대 혐기성 미생물은 또한 인간과 다른 동물의 소화관과 반추동물의 첫 번째 위에서도 발견된다.[11]
절대 혐기성 균류 속의 예로는 반추위 곰팡이인 ''네오칼리마스틱스''(Neocallimastix), ''피로모나스''(Piromonas), ''스파에로모나스''(Sphaeromonas)가 있다.[12]
4. 1. 세균
절대혐기성 세균은 동물의 창자, 심해, 정체된 물, 매립지, 토양의 깊은 퇴적물과 같이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발견된다.[9] 절대 혐기성 세균 속의 예로는 ''방선균''(Actinomyces), ''박테로이데스''(Bacteroides), ''클로스트리디움(Clostridium), ''푸소박테리움''(Fusobacterium), ''펩토스트렙토코쿠스''(Peptostreptococcus), ''포르피로모나스''(Porphyromonas), ''프레보텔라''(Prevotella), ''프로피오니박테리움''(Propionibacterium), ''베일로넬라''(Veillonella)가 있다. ''클로스트리디움'' 종은 내생포자를 형성하는 세균으로, 이 휴면 상태에서 대기 중의 산소 농도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 나머지 세균들은 내생포자를 형성하지 않는다.[5]''마이코박테리움''(Mycobacterium), ''스트렙토마이세스''(Streptomyces), ''로도코쿠스''(Rhodococcus) 속의 여러 종은 토양에서 발견되는 절대 혐기성의 예이다.[10] 절대 혐기성 미생물은 또한 인간과 다른 동물의 소화관과 반추동물의 첫 번째 위에서도 발견된다.[11]
4. 2. 고균
절대혐기성 미생물은 동물의 창자, 심해, 정체된 물, 매립지, 토양의 깊은 퇴적물과 같이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발견된다.[9] 절대 혐기성 세균 속의 예로는 ''방선균''(Actinomyces), ''박테로이데스''(Bacteroides), ''클로스트리디움''(Clostridium), ''푸소박테리움''(Fusobacterium), ''펩토스트렙토코쿠스''(Peptostreptococcus), ''포르피로모나스''(Porphyromonas), ''프레보텔라''(Prevotella), ''프로피오니박테리움''(Propionibacterium), ''베일로넬라''(Veillonella)가 있다. ''클로스트리디움'' 종은 내생포자를 형성하는 세균으로, 이 휴면 상태에서 대기 중의 산소 농도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 나머지 세균들은 내생포자를 형성하지 않는다.[5]''마이코박테리움''(Mycobacterium), ''스트렙토마이세스''(Streptomyces), ''로도코쿠스''(Rhodococcus) 속의 여러 종은 토양에서 발견되는 절대 혐기성의 예이다.[10] 절대 혐기성 미생물은 또한 인간과 다른 동물의 소화관과 반추동물의 첫 번째 위에서도 발견된다.[11]
절대 혐기성 균류 속의 예로는 반추위 곰팡이인 ''네오칼리마스틱스''(Neocallimastix), ''피로모나스''(Piromonas), ''스파에로모나스''(Sphaeromonas)가 있다.[12]
4. 3. 균류
절대혐기성 균류에는 반추위 곰팡이인 네오칼리마스틱스(Neocallimastix), 피로모나스(Piromonas), 스파에로모나스(Sphaeromonas)가 있다.[12]5. 한국에서의 연구 및 활용
5. 1. 전통 발효 식품
5. 2. 혐기성 소화
5. 3. 환경 정화
참조
[1]
서적
Microbiology
William C Brown Pub
[2]
서적
Jawetz, Melnick & Adelberg's Medical Microbiology
McGraw Hill
[3]
서적
Sherris Medical Microbiology
McGraw Hill
[4]
간행물
Anaerobes: General Characteristics
http://www.ncbi.nlm.[...]
University of Texas Medical Branch at Galveston
1996
[5]
서적
Review of Medical Microbiology and Immunology
McGraw-Hill
[6]
논문
Endogenous superoxide is a key effector of the oxygen sensitivity of a model obligate anaerobe
2018-04-03
[7]
서적
Bacterial Physiology and Metabol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서적
Essential Microbiology
Wiley
[9]
웹사이트
Oxygen Requirements for Microbial Growth
https://courses.lume[...]
2021-05-08
[10]
논문
An obligately aerobic soil bacterium activates fermentative hydrogen production to survive reductive stress during hypoxia
2014
[11]
논문
Role of anaerobic bacteria in biological soil disinfestation for elimination of soil-borne plant pathogens in agriculture
2018-08-01
[12]
서적
The Fungi
Academic Press
[13]
웹사이트
http://textbookofba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