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보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보전은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정보의 전달 및 차단과 관련된 활동을 의미한다. 고대에는 시각적 수단을 이용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암호 해독, 허위 정보 유포 등 정교한 형태로 발전했다. 현대에는 전자전, 심리전, 사이버전 등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며, 특히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정보전이 활발히 활용되었다. 정보전은 지휘통제, 전자전, 심리전, 사이버전, 첩보 기반전, 경제 정보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의 발전으로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사이버 공간은 현대 정보전의 핵심 전장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사이버 공격의 위협과 함께 익명성, 추적의 어려움으로 인한 윤리적, 법적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보전 -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 대한 러시아의 개입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 대한 러시아의 개입은 러시아 정부가 사이버 공격, 소셜 미디어 선전, 허위 정보 유포 등의 방식으로 미국 선거에 영향을 미치려 한 일련의 활동을 의미하며, 미국 정보 당국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지시로 이루어졌다고 결론 내렸다.
  • 정보전 - 군사 기만
    군사 기만은 적을 속여 아군에게 유리한 상황을 만들고자 고대부터 현대까지 사용된 전략적 행위로, 적의 판단을 흐리게 하거나 오판을 유도하여 전략적 우위를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심리전 전술 - 제5열
    제5열은 스페인 내전에서 유래된 용어로, 적을 돕는 내부 세력을 지칭하며, 전쟁, 냉전 등 특정 시기에 특정 집단을 잠재적 위협으로 간주하여 차별과 탄압의 근거로 사용되기도 한다.
  • 심리전 전술 - 충격과 공포
    충격과 공포는 할란 K. 울만과 제임스 P. 웨이드가 정의한 급속 지배 전략의 핵심 효과로, 가용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적의 주요 기지를 신속하고 동시적으로 타격하여 전쟁 수행 의지를 마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며, 2003년 이라크 침공 당시 사용되어 논란을 야기했다.
  • 역정보 - 필터 버블
    필터 버블은 인터넷 정보제공자가 사용자 맞춤형으로 정보를 필터링하여 사용자가 기존 관점에 맞는 정보만 접하게 되는 현상으로, 개인을 특정 정보에 가두고 사회적으로 시민 담론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 역정보 - 대중조작
    대중조작은 물리적 힘 없이 군중의 참여, 통제, 영향력 행사를 통해 특정 목표를 달성하는 행위로, 선전, 권위, 장소 선정, 전달 방식 등 다양한 요소를 활용하여 정치, 종교, 소셜 미디어 등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며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여론 조작의 위험성과 윤리적 문제가 논의된다.
정보전
정보전
개요
정의정보와 정보 시스템을 활용하여 적의 정보를 왜곡하거나 파괴하고, 자신의 정보를 보호하는 전략 및 전술 활동
목표적의 지휘 통제 능력 약화, 심리 조작, 오도, 기만 등을 통해 아군에게 유리한 환경 조성
주요 활동심리전
사이버전
전자전
기만
물리적 파괴
정보 보안
역사
고대고대 전쟁에서도 정보의 중요성이 인식되었으며, 기만과 첩보 활동이 활용됨
현대현대에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정보전의 중요성이 더욱 커짐. 사이버 공격, 허위 정보 유포 등 새로운 형태의 정보전이 등장
21세기정보전은 사이버 공간, 우주, 전자기 스펙트럼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되었으며, 민간 영역으로도 확산되는 추세
유형
심리전적의 사기를 저하시키고 아군의 사기를 고양시키기 위한 활동
사이버전컴퓨터 네트워크 및 정보 시스템을 공격하거나 방어하는 활동
전자전전자기 스펙트럼을 활용하여 적의 통신 및 레이더 시스템을 방해하거나 교란하는 활동
기만적을 오도하여 아군에게 유리한 상황을 조성하는 활동
정보 보안아군의 정보 및 정보 시스템을 보호하는 활동
물리적 파괴적의 정보 관련 시설 및 장비를 파괴하는 활동
전술 및 기술
정보 수집적의 정보, 지리적 특성, 기상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는 활동
정보 분석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전략 수립 및 의사 결정에 활용
정보 유포허위 정보 유포, 심리전 메시지 전달 등을 통해 적을 기만하거나 심리적으로 조작하는 활동
정보 파괴적의 정보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통신 장비 등을 파괴하거나 기능 저하시키는 활동
정보 보안정보 시스템을 해킹, 바이러스, 악성코드로부터 보호하는 활동
영향
군사적 영향전쟁의 승패를 좌우할 수 있을 정도로 군사 작전에 큰 영향
경제적 영향금융 시스템 및 경제 활동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음
사회적 영향사회 불안, 갈등을 조장하고 민주주의적 가치를 훼손할 수 있음
정치적 영향정부의 신뢰도를 하락시키고 정치적 불안정을 야기할 수 있음
대응
정보 보안 강화정보 시스템 및 네트워크에 대한 보안 강화, 사이버 공격에 대한 방어 체계 구축
허위 정보 대응허위 정보 식별 및 검증 기술 개발, 허위 정보 유포자에 대한 제재 강화
정보전 인력 양성정보전 전문가 양성, 정보전 관련 교육 및 훈련 강화
국제 협력정보전 위협에 대한 국제적 공조 및 협력 강화
법적 및 윤리적 고려 사항
국제법정보전 수행 시 국제법 및 전쟁법 준수
민간인 보호정보전 수행 시 민간인에 대한 피해 최소화
윤리적 책임정보전 수행 시 윤리적 문제에 대한 신중한 고려
추가 정보
관련 용어심리전
사이버전
전자전
기만
정보 보안
비대칭전략
네트워크 중심전
인지전
디지털 전쟁
관련 학문정보학
커뮤니케이션학
국제정치학
군사학
컴퓨터 과학
관련 문서
관련 문서사이버전
심리전
전자전
기만
정보 보안
참고 자료
참고 자료영문 위키백과 정보전 문서
일본어 위키백과 정보전 문서

2. 역사

정보전은 "국가 목표 달성을 위해 정보를 사용하는 것"으로 정의된다.[6] NATO는 "정보전은 상대방보다 정보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수행되는 작전"이라고 정의한다.[7]

정보전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 인터넷, 라디오 전송을 방해하거나, 탈취하여 허위 정보를 퍼뜨리는 캠페인을 벌일 수 있다. 물류 네트워크를 마비시키거나, 적의 통신 네트워크를 마비 또는 스푸핑할 수도 있다. 증권 거래소 거래에 전자적으로 개입하거나, 민감한 정보를 유출하거나, 허위 정보를 배포하여 파괴할 수도 있다. 드론, 감시 로봇, 웹캠을 사용하거나, 커뮤니케이션 관리, 합성 미디어를 활용하기도 한다. 소셜 미디어 등 온라인 콘텐츠 생성 플랫폼을 이용하여 대중의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8]

미국 공군은 1980년대부터 정보전 비행대를 운용해 왔다. 미 공군의 공식 임무는 "공중, 우주 및 사이버 공간에서 비행하고, 싸우고, 승리하는 것"이며,[9] 여기서 사이버 공간은 정보전 역할을 의미한다.

미 공군은 항공기와 조종사를 위험에 빠뜨리는 대신, 소프트웨어 등을 사용하여 원격으로 적 통신 목표물을 무력화한다. 이는 더 안전하며, 적 영토 점령 후 통신망을 신속하게 재활성화할 수 있게 한다. 대정보전 부대는 적의 정보전 능력을 무력화한다. 이러한 기술은 걸프 전쟁에서 이라크 통신 네트워크에 처음 사용되었다.

걸프 전쟁 당시, 네덜란드 해커들이 미국 국방부 컴퓨터에서 미군 이동 경로 정보를 훔쳐 이라크에 팔려고 했으나, 이라크는 이를 날조라고 생각하여 거절했다.[10]

정보전은 평시와 전시에 정보 우세를 확보하기 위한 활동이다. 미 공군에 따르면 방어적 대정보 활동은 항상 실시되며, 정보전은 항상 수행되고 있다. 공세적 대정보 활동은 전자전, 심리전, 군사적 기만 등을 포함한다. 정보전은 단계적으로 발전하며, 가짜뉴스 또는 선전 유포, 지휘통제 중추 및 정보 발신원 물리적 파괴, 컴퓨터 바이러스 투입, 해커에 의한 불법 접근, 데이터 변조·파괴, 전자기 펄스에 의한 물리적 파괴 등이 있다.

2. 1. 초기 역사

나치 독일의 프랑스 침공 당시인 1940년 5월, 독일은 프랑스 측에 허위 전화를 걸어 정보를 혼란시키는 후방 교란을 실시했다.[33]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당시 우크라이나군이 점령한 러시아 인터넷 여단이 사용하던 사무실

2. 2. 현대

걸프 전쟁에서 CIA은 이라크에 납품될 예정이었던 컴퓨터에 컴퓨터 바이러스를 심어 통신망을 무력화시키려 했으나, 다국적군의 폭격으로 컴퓨터가 파괴되어 무산되었다. 이는 정보전의 초기 사례로 꼽힌다.[33] 1999년 1월, 미 공군 정보부 컴퓨터는 러시아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조직적인 공격(문라이트 메이즈)을 받았다.[11][12][13]

2007년 오퍼레이션 오처드에서 이스라엘군은 시리아의 핵 시설로 추정되는 곳을 공격하며, 시리아 방공 시스템에 대한 사이버 공격을 병행하여 공격을 인지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현대에는 분산 서비스 거부(DDOS) 공격과 같이 네트워크나 웹사이트의 주요 기능을 상실할 때까지 방해하는 사이버 공격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사이버 공격은 군사 시설뿐만 아니라, 전력망 서버와 같이 민간 시설에도 영향을 미쳐 정전을 일으키고 경제적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최신 군사 기술에는 물리적 ICT가 도입되어, 드론과 같은 자율 로봇을 전장에 배치하여 국경 순찰 및 지상 목표 공격 등의 임무를 수행하게 한다. 노스롭 그루먼 X-47B와 같은 일부 고급 로봇은 자율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다. 원격에서 드론을 조종함에도 불구하고, 드론 조종사 상당수는 여전히 전통적인 전쟁의 스트레스 요인을 겪고 있다.[14]

현대 ICT는 군대 간의 정보 전파 속도를 향상시키는 등 통신 관리에도 발전을 가져왔다. 일부 군대는 아이폰을 사용하여 드론이 수집한 데이터와 정보를 업로드하기도 한다.[15][16]

3. 주요 개념 및 유형

정보전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각 형태는 상호 연관되어 복합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정보전은 "우리 국가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정보를 사용하는 것"[6]으로 설명되며, NATO에 따르면 "상대방보다 정보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수행되는 작전"[7]이다.

정보전의 여러 형태는 다음과 같다.


  • 텔레비전, 인터넷, 라디오 전송을 방해하거나 탈취하여 허위 정보 캠페인에 사용.
  • 물류 네트워크 마비.
  • 현대 온라인 소셜 커뮤니티에서 적의 통신 네트워크 마비 또는 스푸핑.
  • 증권 거래소 거래를 전자적으로 개입, 민감한 정보 유출 또는 허위 정보 배포를 통해 파괴.
  • 드론 및 기타 감시 로봇 또는 웹캠 사용.
  • 커뮤니케이션 관리
  • 합성 미디어
  • 조직적인 소셜 미디어 및 기타 온라인 콘텐츠 생성 플랫폼 사용으로 대중의 인식에 영향을 미침.[8]


미국 공군은 1980년대부터 정보전 비행대를 운용해 왔으며, 이들의 공식 임무는 "공중, 우주 및 사이버 공간에서 비행하고, 싸우고, 승리하는 것"[9]이며, 후자는 정보전 역할을 의미한다. 미 공군은 전략적 적 통신 목표물을 공격하기 위해 항공기와 조종사를 위험에 빠뜨리는 대신, 소프트웨어 등을 사용하여 원격으로 무력화하는 안전한 대안을 사용한다. 또한, 이러한 네트워크를 폭발물 대신 전자적으로 무력화하면 적 영토 점령 후 신속하게 재활성화할 수 있다. 적의 이러한 능력을 무력화하기 위해 대정보전 부대가 배치되며, 걸프 전쟁에서 이라크 통신 네트워크에 처음 적용되었다.

걸프 전쟁 동안 네덜란드 해커들이 미국 국방부 컴퓨터에서 미군 이동 경로 정보를 훔쳐 이라크에 팔려 했으나, 이라크는 이를 날조라고 생각하고 거절했다.[10]

사이버 공간의 주요 무기는 네트워크 중심전과 지휘통제통신컴퓨터정보감시정찰(C4ISR)이다. 사이버 공격의 근본 목표는 공격받는 측보다 우월한 정보 우세를 확보하는 것이며, 피해 당사자의 정보 수집 및 배포 능력을 방해하거나 거부하는 것을 포함한다. 사이버 공격은 군사 당사자뿐만 아니라 피해 국가 전체 인구에 영향을 미치며, 일상생활의 사이버 공간 네트워크 통합으로 인해 전시에 민간인도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최신 군사 기술 혁신에는 물리적 ICT가 도입되어 국경 순찰 및 지상 목표 공격을 위해 무인 항공기와 같은 자율적인 로봇을 전장에 배치하고 있다. 현대 ICT는 군대 간 통신 관리에도 발전을 가져와, 데이터 지원 장치와 같은 새로운 ICT 도입으로 군대는 빠르게 정보를 전파할 수 있다.

정보전은 1994년경부터 미국 국방부와 미군에서 중요성이 인식되기 시작했다. 정보전의 기본 개념은 필요한 정보가 필요한 때, 필요한 사람에게, 필요한 내용으로 제공되는 것을 둘러싼 투쟁이다. 미 공군은 적의 정보 활동을 정지·저하시키고 아군을 방호하며 정보 활동을 유리하게 하는 활동, 미 해군은 아군 정보를 방호하고 적 정보 시스템을 이용·정지시키며 적을 기만하여 우세를 획득·유지하는 활동, 미 육군은 통신 스펙트럼을 장악하고 지휘관에게 적 예측을 가능하게 하며 아군 부대가 적 위치를 파악하여 전투력을 높이는 활동으로 정의한다. 랜드 연구소는 정보전의 특징으로 저렴한 비용, 모호한 경계선, 심리전의 중요성, 공격 판정의 어려움, 동맹·협력 관계의 취약성 등을 꼽았다. 미국 국방대학교는 정보전을 7가지 형태로 분류하고, 행위를 방어·조작·저하·거절로 정리하고 있다.

3. 1. 지휘통제전 (Command and Control Warfare)

2022년 우크라이나군은 러시아군 통신의 결함을 이용,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통신하게 한 후 감청하고 대화의 중요한 부분에서 통신을 차단했다.[17] ("러시아 지휘관들은 때때로 우크라이나 휴대전화 네트워크에 무임승차하여 통신한다")[18]는 공개 통신을 사용하는 동안 FSB(러시아 연방보안국)가 장성들의 사망에 대해 논의할 때 이러한 약점이 드러났다. 사망한 장성으로는 비탈리 게라시모프(2022년 3월 7일 사망)[19]안드레이 수호베츠키(2022년 2월 28일 사망)[20][21]가 있다.

지휘통제전(Command and Control Warfare)은 지휘 체계를 파괴·방해·교란함으로써 전력의 통제를 어지럽히고 적 부대를 분단하는 전투를 가리킨다. 조직적인 활동에는 통일적인 지휘·통제가 필수적이며, 그렇기 때문에 예전부터 적의 지휘관이나 본부를 노려 공격하는 것은 기본적인 전법이었다. 또한 전령의 살상, 지휘통제 시스템이 의존하고 있는 발전소나 송전 시설의 파괴 등의 수단이 사용된다. 지휘 체계의 단절은 적이 광범위하게 부대를 지휘·통제하는 경우, 지휘관·사령부의 파괴·무력화와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적 부대별 권한이 극히 미약하고, 각 부대 현장 지휘관이 독자 행동을 할 수 없는 군대 조직인 경우, 자위적인 전투 활동조차도 봉쇄할 수 있게 된다.

지휘 체계 단절에는 물리적으로 사령부를 파괴하는 하드웨어적 수법과 지휘통제 시스템을 혼란·정지시키는 소프트웨어적 수법이 있다. 하드웨어적 수법은 사령부와 부대를 잇는 후방연락선·통신 회선·중계 분배 시설 또는 그 기능을 유지하는 시설(발전소·위성 통신소·송전선 등)에 대한 물리적 공격이며, 이에 대항하기 위해서는 통신망을 중복화해야 한다. 소프트웨어적 수법은 전자전, 해커전, 정보기반전, 경제정보전 등과 일부 내용이 중복된다.

3. 2. 전자전 (Electronic Warfare)

전자전은 정보전에서 통신·전파 방해를 가리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강력한 전자기 펄스를 이용한 파괴 활동 등의 수단도 포함한다.[33]

3. 3. 심리전 (Psychological Warfare)

심리전은 특정 민족에게 특정 행동이나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정보를 퍼뜨리는 등의 수단을 사용하는 전투이다.[28]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 러시아군은 우크라이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통신을 하게 한 후 감청하고 대화의 중요한 부분에서 통신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심리전을 수행했다.[17] 또한,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를 침공하기 전에 지지를 얻기 위해 우크라이나 정부가 자국 러시아어 사용 인구에 대해 폭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주장을 퍼뜨렸다.[22] 구글 뉴스와 같은 검색 결과에 러시아 측 주장이 나타나도록 인터넷에 대량의 허위 정보를 게시하는 방식으로 조작했다.[22]

2024년 ''데일리 텔레그래프(The Daily Telegraph)''는 중국과 러시아가 영국의 여론을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조작하기 위해 친팔레스타인 인플루언서들을 지원하고 있다고 보도했다.[27] NBC는 러시아가 친팔레스타인 시위에 대한 미국의 경찰 작전의 정당성을 훼손하고, 우크라이나 침공에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으로 여론의 초점을 돌리는 등 미국 내 분열을 야기하기 위해 다양한 수단을 사용하고 있다고 보도했다.[28]

3. 4. 사이버전 (Cyber Warfare)

사이버전(Cyber Warfare)은 컴퓨터 간 사이버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디지털화된 정보 전달을 둘러싼 전투를 의미한다.Cyber Warfare영어 해킹, 컴퓨터 바이러스 유포, 디도스(DDoS) 공격 등이 대표적인 사이버전 수단이다.

대한민국북한의 지속적인 사이버 공격 위협에 직면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북한 해커 조직이 국내 방산업체들을 대상으로 해킹을 시도한 사례가 있다.

3. 5. 첩보 기반전 (Intelligence-based Warfare)

첩보 기반전(Intelligence-based Warfare, IBW)은 각종 센서를 활용하여 정보를 획득하고, 적의 정보 수집 활동을 방해하는 것을 말한다. 정찰 위성, 무인 항공기(드론), 인간 정보(HUMINT) 등이 활용된다.

고대부터 연막과 밤은 적에게 아군의 위치와 상태 정보를 숨기는 원시적인 센서 방해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이는 첩보 기반전의 기본적인 속성을 보여준다. 현대에는 연막에 대응하여 적외선 센서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걸프전에서 다국적군의 승리에 크게 기여하여 현대 군대의 필수 장비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전자기 펄스를 이용한 컴퓨터 파괴 활동과 그 방호 역시 첩보 기반전에 포함된다.[17]

2022년 우크라이나군은 러시아군의 통신 결함을 이용하여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통신하도록 유도한 후, 이를 감청하고 대화의 중요한 부분에서 통신을 차단하기도 하였다.[19][20][21]

3. 6. 경제 정보전 (Economic Information Warfare)

현대의 경제 활동은 인터넷 등의 정보 인프라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경제 정보전은 이러한 경제 시스템을 교란하거나 마비시키기 위해 정보 기술을 활용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금융 시스템 공격, 에너지 공급망 교란, 핵심 기술 유출 등이 경제 정보전에 해당한다.[37]

인터넷은 컴퓨터의 상호 의존 네트워크일 뿐, 기밀 보호나 방범 기능이 내재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편리성과 동시에 군사적 공격·범죄 행위에 대한 보안성이 요구된다. 1995년 미국 국방대학교는 미국의 통신·금융 네트워크가 공격에 취약하며, 공격을 받을 경우 경제 활동이 중단되고 최악의 경우 국가 기능에 치명적인 손해를 입을 위험성이 있다고 지적하며, 미국 의회에 조사 연구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다만 모든 시스템이 완전히 정지될 가능성은 낮으며, 어디까지나 최악의 가능성을 기반으로 한 필요성이다.

4. 새로운 전장: 사이버 공간

사이버 공간은 현대 정보전의 핵심 전장으로 부상하고 있다. 주요 무기는 네트워크 중심전과 지휘통제통신컴퓨터정보감시정찰(C4ISR) 체계이다. 한 국가가 다른 국가를 대상으로 사이버 공격을 하는 근본적인 목표는 정보 우세를 확보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정보를 수집하고 배포하는 능력을 방해하거나 거부하는 것이 포함된다.[14]

2007년 이스라엘군의 공격으로 시리아의 추정 핵 시설이 파괴된 사건은 사이버 공격의 위험성을 보여주는 실제 사례이다. 당시 시리아 방공 시스템에 대한 사이버 공격이 함께 이루어져, 시리아는 핵 시설 공격을 인지하지 못했다.[14] (DDOS) 공격은 네트워크나 웹사이트의 주요 기능을 상실할 때까지 방해하는 기본적인 사이버 공격의 예시이다.

사이버 공격은 군사 시설뿐만 아니라 민간 시설에도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특정 지역의 전력망 서버를 공격하여 통신을 방해하면, 민간인과 기업도 정전을 겪어 경제적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14] 현대의 ICT는 군대 간의 통신 관리에도 발전을 가져왔다. 정보를 전파하는 속도가 빨라졌으며, 일부 군대는 아이폰을 사용하여 드론이 수집한 정보를 업로드하기도 한다.[15][16]

4. 1. 사이버 공격의 위협

사이버 공격은 국가, 기업, 개인 등 모든 주체에게 심각한 피해를 입힐 수 있으며, 특히 국가 기반 시설에 대한 공격은 사회 전체를 마비시킬 수 있다. (DDoS) 공격, 랜섬웨어 공격, (APT) 공격 등 다양한 형태의 사이버 공격이 발생하고 있다. 컴퓨터 간 사이버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디지털화된 정보 전달을 둘러싼 전투를 사이버전쟁, 사이버테러, 사이버범죄라고 한다.

4. 2. 사이버 공간에서의 윤리적, 법적 문제

사이버 공격은 공격자를 특정하기 어렵고, 공격 근원지 파악도 쉽지 않아 익명성과 추적의 어려움 때문에 책임 소재를 규명하기가 매우 어렵다. 또한, 민간 시설과 군사 시설의 구분이 모호해짐에 따라 사이버 공격 발생 시 국제법 적용에 대한 논란도 있다.

사이버 공간에서는 개인 정보 보호와 표현의 자유 같은 윤리적 문제도 중요한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사이버 공격은 개인의 민감한 정보를 유출시키거나, 특정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데 악용될 수 있으며, 이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5. 한국의 정보전 대응

대한민국은 북한의 지속적인 사이버 공격 위협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북한은 2023년 한국수력원자력, 한국항공우주산업 등 주요 기관을 대상으로 해킹을 시도한 바 있다. 정부는 사이버 안보 역량 강화, 전문 인력 양성, 국제 협력 등을 통해 정보전 대응 능력을 강화해야 한다.

5. 1. 한국의 정보전 관련 사건

2012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당시 국가정보원이 댓글 등을 통해 여론을 조작하려 한 국가정보원 여론조작 사건은 정보전의 부정적 측면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북한은 지속적으로 대한민국을 대상으로 사이버 공격을 감행하고 있으며, 2013년 3.20 사이버 테러, 2016년 금융망 해킹 시도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일본과의 독도 영유권 분쟁, 위안부 문제 등 역사적 갈등은 사이버 공간에서 정보전의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6. 기타 개념

국가 간 전쟁 외에도 여러 종류의 정보전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기업, 국가 등 지적재산권에 대한 분쟁인 특허 분쟁[37]도 정보전, 정보 전쟁으로 볼 수 있다. 스포츠 경기 분야에서 정보 관리나 책략을 위해 사실과 다른 발표를 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역시 정보전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34]

참조

[1] 서적 Global Challenge 10, State of the Future 19.1 The Millennium Project 2018
[2] 웹사이트 Information Warfare https://irp.fas.org/[...] 2022-10-24
[3] 서적 Chapter 9 Defense Acropolis Books 1989
[4] 웹사이트 Information Warfare: What and How? https://www.cs.cmu.e[...] 2019-10-20
[5] 논문 How China's Cognitive Warfare Works: A Frontline Perspective of Taiwan's Anti-Disinformation Wars 2022-07-19
[6] 웹사이트 Information warfare https://www.hsdl.org[...] Air University (U.S.). Press 2022-03-26
[7] 웹사이트 Information warfare https://www.nato.int[...] NATO 2022-03-26
[8] 논문 Weaponising Social Media for Information Divide and Warfare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2022-06-28
[9] 웹사이트 About the Air Force: Our Mission - airforce.com https://web.archive.[...] 2015-02-18
[10] 뉴스 Computer security experts: Dutch hackers stole Gulf War secrets https://apnews.com/9[...] 2019-10-20
[11] 웹사이트 Technology News, Analysis, Comments and Product Reviews for IT Professionals https://web.archive.[...] 2008-03-28
[12] 웹사이트 The Warnings? - Cyber War! - FRONTLINE - PBS https://www.pbs.org/[...] 2015-02-18
[13] 논문 Information Warfare: A Philosophical Perspective http://philpapers.or[...] 2015-02-18
[14] 뉴스 Report: High Levels Of 'Burnout' In U.S. Drone Pilots https://www.npr.org/[...] 2011-12-18
[15] 논문 Information Warfare: A Philosophical Perspective http://uhra.herts.ac[...] 2012
[16] 뉴스 Syria War Stirs New U.S. Debate on Cyberattacks https://www.nytimes.[...] 2014-02-24
[17] 뉴스 'Idiots': Russian military phone calls hacked after own soldiers destroy 3G towers https://www.yahoo.co[...] 2022-03-08
[18] 뉴스 The secret US mission to bolster Ukraine’s cyber defences ahead of Russia’s invasion https://arstechnica.[...] 2022-03-09
[19] 뉴스 Ukraine claims Russian general has been killed in Kharkiv https://www.cnn.com/[...] 2022-03-08
[20] 뉴스 Ukraine forces say Chechen commander Magomed Tushayev killed near Kyiv https://www.upi.com/[...] 2022-03-03
[21] 뉴스 Russian Officer Complains About Dead General and Comms Meltdown in Intercepted Call https://www.yahoo.co[...] 2022-03-07
[22] 웹사이트 The surprising performance of Kremlin propaganda on Google News https://www.brooking[...] 2022-03-01
[23] 웹사이트 Rosyjska ingerencja w amerykańskie wybory prezydenckie w latach 2016 i 2020 jako próba realizacji rewolucyjnego scenariusza walki informacyjnej https://warsawinstit[...] 2021-07-03
[24] 논문 Wybory prezydenckie jako narzędzie destabilizacji państw w teorii i praktyce rosyjskich operacji informacyjno-psychologicznych w XX i XXI w. http://cejsh.icm.edu[...] 2019
[25] 웹사이트 Russia's 2024 Election Influence Campaign Has Started, Microsoft Analysis Finds https://www.forbes.c[...] 2024-04-17
[26] 논문 Discolored Revolutions: Information Warfare ins Russia's Grand Strategy https://cpb-us-e1.wp[...] 2022
[27] 뉴스 Russia and China 'manipulating UK public opinion by promoting pro-Palestinian influencers' https://www.telegrap[...] 2024-05-18
[28] 뉴스 Russia is trying to exploit America's divisions over the war in Gaza https://www.nbcnews.[...] 2024-04-30
[29] 뉴스 Pentagon Ran Secret Anti-Vax Campaign to Undermine China during Pandemic https://www.reuters.[...] 2024-06-14
[30] 웹사이트 Pentagon Stands by Secret Anti-Vaccination Disinformation Campaign in Philippines After Reuters Report https://www.military[...] 2024-06-14
[31] 논문 Russian Information Warfare: Implications for Deterrence Theory https://www.jstor.or[...] 2018
[32] 뉴스 Cyberwar Nominee Sees Gaps in Law https://www.nytimes.[...] 2010-04-15
[33] 간행물 奇跡待つのみ、仏首相が敗戦報告演説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1994
[34] 웹사이트 日本フィギュアの情報戦は士気高める狙い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8-02-11
[35] 서적 Chapter 9 Defense Acropolis Books 1989
[36] 서적 CYBERWARFARE SOURCEBOOK https://books.google[...] Lulu.com 2015-04-14
[37] 웹사이트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