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충은 위, 서진 시대의 인물로, 청빈한 삶을 살며 학문에 정진했다. 위나라에서 상서랑, 진류태수, 사공, 사도를 거쳐 태보에 이르렀고, 서진 건국 후 태부와 수광공에 봉해졌다. 사마염의 선양을 도왔으며, 예법과 율령 정비에 참여했다. 274년에 사망하여 성공이라는 시호를 받았고, 서진 묘정에 배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진의 태부 - 양준 (서진)
양준은 서진 무제의 황후 양염의 사촌이자 혜제의 황후 양지의 아버지로, 딸이 황후가 되면서 권력을 잡았으나 혜제 즉위 후 섭정으로서 전횡을 일삼다가 가남풍에 의해 주살당하며 팔왕의 난의 서막을 알렸다.
| 정충 | |
|---|---|
| 인물 정보 | |
| 이름 | 정충 |
| 왕조 | 서진 |
| 칭호 및 직책 | 태부 · 수광공 |
| 출생 | 생년 미상 |
| 출신지 | 사주 형양군 개봉현 |
| 사망 | 태시 10년 윤1월 11일 (274년 3월 5일) |
| 자 | 문화 (文和) |
| 시호 | 성공 (成公) |
| 섬긴 군주 | 조조 조비 조예 조방 조모 조환 사마염 |
| 특기 사항 | null |
2. 생애
정충은 한미한 집안 출신으로, 청빈한 삶을 살면서 경서와 사서 연구에 몰두하여 유학과 제자백가에 박식했다.[9] 조비가 위나라 태자가 되면서 관직에 나아가, 위 문제 때 태자문학, 상서랑, 진류태수를 역임했다.[9] 조상이 보정할 때는 종사중랑, 산기상시, 광록훈을 지냈다.[9] 가평 3년(251년) 12월 사공, 감로 원년(256년) 10월 사도, 경원 4년(263년) 12월 19일 태보에 오르는 등 위나라에서 주요 관직을 두루 거쳤다.[10] 그의 지위는 삼공보다 높았고, 수광후에 봉해졌다.[9]
조모 즉위 후 『상서』를 가르쳤고, 정원 2년(255년) 9월 그 공로로 하사품을 받았다.[10] 조환 시대, 대장군 사마소는 "진공에 봉건하고, 구석을 더하며, 상국으로 임명한다"는 칙명을 여러 차례 사양했으나, 경원 4년(263년) 10월 정충이 여러 관료들을 이끌고 수락을 권하자 이에 따랐다.[6]
촉 평정 후, 진 문제는 가충, 양호 등에게 예의와 율령을 정하게 했는데, 이들은 먼저 정충에게 묻고 나서야 시행했다.[9] 함희 원년(264년) 7월, 여러 제도 개혁 시 순의가 예법, 가충이 법률, 배수가 관제를 고치고, 정충이 전체를 통괄했다.[6] 함희 2년(265년) 9월, 조환이 사마염에게 선양할 때, 그 책서를 기록했다.[8]
태시 원년(265년), 서진 건국 후 태부가 되었고, 작위는 수광공이었다.[9] 사례교위 이의와 어사중승 후사광이 정충과 하증, 순의가 질병을 이유로 조회에 나오지 않아 면직을 상주했으나, 무제는 받아들이지 않았다.[9] 태시 9년(273년)에 은퇴를 요청했고, 이듬해(274년)에 죽었다.[9] 무제는 조당에서 슬퍼했고, 태부를 추증했으며, 시호를 성(成)이라 했다. 아들이 없어 조카 정휘(鄭徽)가 뒤를 이었고, 정휘가 죽고 아들 정간(鄭簡)이 이었다.[9] 함녕 원년(275년) 7월, 건국 공신으로 진 왕조 묘정에 배향되었다.[8]
2. 1. 초기 생애와 경력
본래 한미한 집안 출신으로, 청빈하여 경사를 연구하기를 즐겼고 유학뿐 아니라 제자백가에도 박식했다.[9] 풍채가 뛰어나고 행실은 모두 예법에 준했지만, 자연스러운 태도로 지내며 향리에서의 명예를 구하지 않았기 때문에 오랫동안 초빙되지 않았다.건안 22년(217년), 조비가 위의 태자가 되자 문학으로 등용되었다.[9] 이후 위 문제가 되었을 때 태자문학이 되었고, 상서랑이 되었으며, 외직으로 나가 진류군태수가 되었다.[9] 정치를 다스리는 데 있어서 좋은 평판은 없었지만, 의식주를 검소하게 하고 재산도 축적하지 않았기 때문에 세상 사람들에게 존경을 받았다. 조상이 대장군이 되자 종사중랑으로 등용되었고, 이어서 산기상시[2], 광록훈으로 옮겼다.[9] 이 시대에, 손옹, 조희, 순의, 하안과 공동으로 『논어집해』를 저술했다.[3]
2. 2. 조위에서의 관직 생활
정충은 본래 한미한 집안 출신으로, 청빈하여 경사를 연구하기를 즐겼고 유학뿐 아니라 제자백가에도 박식했다.[9] 위 문제가 태자가 되었을 때 태자문학이 되었고, 상서랑이 되었으며, 외직으로 나가 진류태수가 되었다.[9] 조상이 보정할 때에는 종사중랑이 되었고 산기상시,[2] 광록훈으로 승진했다.[9] 가평 3년(251년) 12월, 사공이 되었다.[10] 감로 원년(256년) 10월에는 사도가 되었다.[10] 경원 4년(263년) 12월 19일에는 태보가 되었다.[10] 그 지위는 3공보다 높았으며, 수광후(壽光侯)에 봉해졌다.[9]2. 3. 서진 건국과 이후
265년 사마염이 선양을 받아 서진을 건국하자, 정충은 태부·수광공이 되었다.[9] 그 후, 정충이 병을 앓게 되자, 사례교위 이희와 어사중승 호사광은 정충을 면관하도록 소송을 제기했다. 정무를 수행할 수 없게 된 정충은 스스로 치사를 신청했지만, 사마염은 이를 허락하지 않았다. 태시 9년(273년), 정충은 다시 치사를 청원했다. 사마염은 정충을 "수광공의 신분으로 사저로 돌아가, 지위는 태보·태부와 동등하며, 삼공의 오른쪽에 둔다"라고 하여, 비로소 이를 수락했다.[9] 이듬해(274년)에 사망했고, 성공으로 시호되었고, 다시 태부의 지위를 추증받았다. 자식은 없고, 종자 정휘가 뒤를 이었다.[9]3. 가계

참조
[1]
문서
後漢時代までは河南尹。魏の一時期、及び西晋時代に滎陽郡が分離された。
[2]
문서
『晋書』鄭沖伝によると散騎常侍となったのは曹芳の時代だが、『三国志 (歴史書)』盧毓伝ではその前の曹叡の時代に、「常侍の鄭沖」への言及がある。
[3]
문서
s:zh:論語集解/論語序
https://zh.wikisourc[...]
[4]
서적
斉王紀
https://zh.wikisourc[...]
裴松之注
[5]
서적
高貴郷公紀
https://zh.wikisourc[...]
[6]
서적
太祖文帝紀
https://zh.wikisourc[...]
[7]
서적
陳留王紀
https://zh.wikisourc[...]
[8]
서적
世祖武帝紀
https://zh.wikisourc[...]
[9]
서적
왕상정충하증석포전
[10]
서적
삼소제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