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갈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갈현은 후한 말기의 인물로, 원술 또는 유표의 지원을 받아 예장 태수가 되었으나 주호와의 대립 끝에 서성에서 피살되었다. 그는 랑야군 양도현 출신으로 제갈량과 제갈균을 길렀으며, 예장 태수 임명 후 주호의 공격을 받아 난창을 잃고 서성으로 후퇴했다. 이후 197년 서성 백성들의 반란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년 사망 - 진기 (원술 부하)
진기는 영웅기에 기록된 원술 휘하 장수로, 원술이 황제를 칭하려 할 때 반대하다 죽임을 당했으며, 구강태수로 임명되어 손책과의 동맹 관계에 갈등을 빚었고, 여포 공격에 참여했다 패배하기도 했다. - 197년 사망 - 곽사
후한 말 동탁의 부하였던 곽사는 이각 등과 장안을 점거하고 헌제를 옹립하여 권력을 장악했으나, 이각과의 다툼 끝에 조조에게 패하고 부하에게 살해당한 인물이다. - 중국 삼국 시대 사람 - 위유
위유는 후한 말 유우의 동조연으로, 유우가 공손찬을 공격하려 할 때 만류했으며 이민족과의 관계 개선을 위한 정책을 건의했으나 193년에 병사한 인물이다. - 중국 삼국 시대 사람 - 위자 (삼국지)
위자는 후한 말 장막의 부장으로, 조조를 알아보고 동탁 토벌을 지원했으며, 서영과의 전투에서 전사했다. - 암살된 사람 - 제임스 쿡
제임스 쿡은 18세기 영국의 탐험가이자 해군 장교로서, 세 차례의 태평양 탐험을 통해 뉴질랜드와 오스트레일리아 동부 해안을 탐사하고 지도를 제작하는 등 지리적 발견에 기여했으며 남극권에 진입하고 하와이 제도를 기록했으나, 하와이에서 원주민과의 충돌로 사망했다. - 암살된 사람 - 정여립
정여립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동인으로 전향하여 이이를 비판하다 관직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간 후 대동계를 결성했으나 반란 혐의로 자결했으며, 기축옥사로 동서인 갈등을 심화시킨 인물이다.
| 제갈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인물 정보 | |
| 이름 | 제갈현 |
| 한자 표기 | 諸葛玄 |
| 로마자 표기 | Zhuge Xuan |
| 생년 | 미상 |
| 사망일 | 197년 2월 (건안 2년 1월) |
| 사망 장소 | 충인현, 장시성 또는 샹양, 후베이성 |
| 출생지 | 이난현 / 이수이현, 산둥성 |
| 직업 | 정치인 |
| 가족 | 제갈량, 제갈근, 제갈탄 |
| 관직 정보 | |
| 관직 | 예장태수 (Yuzhang 太守) |
| 임기 시작 | 미상 |
| 임기 종료 | 195년 |
| 군주 | 한 헌제 |
2. 생애
제갈현은 산둥성의 현재 이난현 또는 이수이현에 위치한 랑야군(琅邪郡중국어) 양도현() 출신이다.[1] 그의 조상 제갈풍(諸葛豐중국어)은 전한 원제 때 사례교위(司隷校尉중국어)를 지냈다.[1] 그의 사촌 제갈규(諸葛珪중국어)는 후한 말 영제 때 태산군(현재의 산둥성 타이안시 주변)에서 보좌관으로 일했다.[2] 제갈규 부부가 일찍 사망하자, 제갈현은 어린 조카 제갈량과 제갈균(諸葛均중국어)을 길렀다.[3]
190년대 중반, 군벌 원술은 제갈현을 예장군(현재의 장시성 난창시 주변)의 태수(太守중국어)로 임명했다.[3] 제갈현은 제갈량과 제갈균을 데리고 예장군으로 가려 했으나,[3] 195년경,[4] 한나라 중앙 정부가 주호를 새 태수로 임명하면서 무산되었다.[5] 이후 제갈현은 제갈량, 제갈균과 함께 형주 자사였던 친구 유표에게 의탁했다.[5] 제갈현 사후, 제갈량과 제갈균은 샹양시 서쪽 약 20 리 떨어진 융중( 隆中중국어)으로 이사했다.[6][7]
2. 1. 초기 생애와 가족
제갈현은 산둥성의 현재 이난현 또는 이수이현에 위치한 랑야군(琅邪郡중국어) 양도현() 출신이다.[1] 그의 조상 제갈풍(諸葛豐중국어)은 전한 원제 (재위: 기원전 48~33년) 때 사례교위(司隷校尉중국어)를 지냈다. 제갈현의 사촌 제갈규(諸葛珪중국어)는 후한 말 영제 (재위: 168~189년) 때 태산군(현재의 산둥성 타이안시 주변)에서 보좌관으로 일했다.[2]제갈규 부부가 일찍 사망했기 때문에, 제갈현은 그들의 두 어린 아들인 제갈량과 제갈균(諸葛均중국어)을 길렀다.[3]
2. 2. 예장태수 임명과 갈등
원술은 주술 사후 제갈현을 예장 태수로 임명했으나, 후한 조정에서는 주호를 예장태수로 임명했다.[1] 주호는 양주자사 유요의 지원을 받아 제갈현을 공격했고, 제갈현은 남창에서 서성(西城)으로 물러나 주둔했다.[1] 건안 2년(197년) 정월, 서성 백성들이 반란을 일으켜 제갈현을 죽이고 그 목을 유요에게 보냈다.[1]원위의 ''헌제춘추''에는 유표가 제갈현을 예장태수로 임명하여 주술을 대체했다고 기록되어 있다.[8] 한나라 조정이 주술의 사망 소식을 듣고 주호를 새 태수로 임명하자, 제갈현은 권력 이양을 꺼렸다.[8] 이에 주호는 유요와 연합하여 제갈현을 공격했고, 제갈현은 난창시를 잃고 서성현(현재의 장시성 충런현 남쪽)으로 후퇴했다.[8] 197년 2월, 서성현 백성들이 제갈현에게 반란을 일으켜 그를 살해하고 그의 머리를 유요에게 보냈다.[8]
사마광의 ''자치통감''은 주호가 유요와 연합하여 제갈현을 예장군에서 몰아낸 시점까지는 ''헌제춘추''의 기록을 지지한다.[9] 그러나 제갈현이 197년 2월 서성현에서 사망했다는 내용은 확인하지 않는다.
다른 설에 따르면, 예장 태수였던 주술이 병사하자, 제갈현은 유표에 의해 예장 태수로 임명되어 남창에 주둔했다.[11] 조정은 주술의 죽음을 듣고 주호를 예장 태수로 파견하고, 유요에게 주호 지원을 명했다.[11] 제갈현은 진퇴양난에 빠져 결국 병력을 동원한 싸움으로까지 발전했다.[11] 그 결과, 제갈현이 패주하여 서성까지 도망쳤고, 대신 주호가 남창에 부임하게 되었다.[11] 197년 정월, 착융에게 선동된 서성의 주민들이 반란을 일으키자, 제갈현은 휩쓸려 전사하고, 그 목이 유요에게 보내졌다.[11]
2. 3. 최후
주술이 죽은 후, 제갈현은 원술 또는 유표의 지원으로 예장 태수가 되었다.[1] 그러나 후한 조정에서는 주호를 예장태수로 임명했고, 주호는 양주 자사 유요의 지원을 받아 제갈현을 공격했다.[1] 제갈현은 남창에서 물러나 서성(西城)에 주둔했으나, 건안 2년(197년) 정월 서성 백성들이 반란을 일으켜 제갈현을 죽이고 그 목을 유요에게 보냈다.[1]한편, 다른 설에 따르면 예장 태수였던 주술이 병사하자 유표가 제갈현을 예장 태수로 임명했다.[11] 조정은 주술의 죽음을 듣고 주호를 예장 태수로 파견하고 유요에게 주호 지원을 명했다.[11] 제갈현은 주호에게 권력을 넘겨주기를 꺼려 주호와 유요 연합군과 전투를 벌였으나 패배하였다.[8][11] 제갈현은 서성까지 도망쳤으나, 197년 정월 서성 주민들이 반란을 일으켜 제갈현은 사망하고, 그 목은 유요에게 보내졌다.[11]
3. 가계도
제갈현의 가계도는 다음과 같다.
참조
[1]
서적
Wu Shu annotation in Sanguozhi vol. 52
[2]
서적
Sanguozhi vol. 35
[3]
서적
Sanguozhi vol. 35
[4]
서적
Zizhi Tongjian vol. 61
[5]
서적
Sanguozhi vol. 35
[6]
서적
Sanguozhi vol. 35
[7]
서적
Han Jin Chunqiu annotation in Sanguozhi vol. 35
[8]
서적
Xiandi Chunqiu annotation in Sanguozhi vol. 35
[9]
서적
Zizhi Tongjian vol. 61
[10]
서적
蜀書 諸葛亮伝
[11]
서적
献帝春秋 および 呉書 劉繇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