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3대 달라이 라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3대 달라이 라마는 1578년 몽골의 알탄 칸으로부터 '달라이 라마' 칭호를 받은 쇠남갸초를 지칭한다. 쇠남갸초는 알탄 칸이 칭기즈 칸의 후손이 아니었기에 권력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쇠남갸초에게 쿠빌라이 칸의 환생으로 인정받았고, 그 대가로 '달라이 라마' 칭호를 받았다. 쇠남갸초는 몽골에 불교를 전파하고 겔룩파의 세력을 확장하는 데 기여했으며, 알탄 칸 사후에도 몽골과 티베트의 교류는 지속되었다. 쇠남갸초는 몽골과 티베트 곳곳에 불교 사원을 건립하며 권력을 강화했으나, 명나라 황제의 초청에는 응하지 못하고 1588년 몽골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달라이 라마 - 제6대 달라이 라마
    제6대 달라이 라마는 1683년 인도에서 태어나 5대 달라이 라마의 환생으로 인정받아 1697년 달라이 라마로 즉위했으나, 자유분방한 삶을 살다가 1706년 사망했으며, 그의 시와 노래는 티베트 문학에 영향을 미쳤다.
  • 달라이 라마 - 제2대 달라이 라마
    제2대 달라이 라마 게뒨 갸초는 1대 달라이 라마의 환생으로 인정받아 겔룩파 사상을 체계화하고 대중화에 기여하며 겔룩파 세력 확장과 티베트 불교의 신성성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티베트 불교 지도자이다.
  • 1588년 사망 - 정유길
    정유길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쳐 명종 때 왕의 총애를 받았으며, 윤원형 탄핵에 앞장서 훈구파, 소윤파, 사림파 모두에게 존경받아 좌의정에 이르렀다.
  • 1588년 사망 - 미마르 시난
    미마르 시난은 오스만 제국의 전성기를 이끈 건축가이자 토목 기사로, 쉴레이만 1세, 셀림 2세, 무라트 3세 세 명의 술탄을 섬기며 쉴레이마니예 모스크와 셀리미예 모스크를 포함한 300개가 넘는 건축물을 설계하여 오스만 건축 양식의 정점을 보여주었다.
  • 1543년 출생 - 호리오 요시하루
    호리오 요시하루는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기며 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우고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아들의 활약으로 이즈모국 24만 석의 영지를 얻었으며 온화한 인품으로 존경받다가 1611년에 사망한 무장이다.
  • 1543년 출생 - 도쿠가와 이에야스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센고쿠 시대 말기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이자 에도 막부 초대 쇼군으로, 탁월한 정치력과 군사적 재능으로 혼란기를 극복하고 에도 막부를 건설하여 일본 역사에 중요한 전환점을 만들었다.
제3대 달라이 라마
기본 정보
소남 갸초
종교불교
칭호제3대 달라이 라마
재임 기간1578년–1588년
이전제2대 달라이 라마 겐둔 갸초
이후제4대 달라이 라마 욘텐 갸초
아버지불명
어머니불명
출생일1543년
출생지위짱, 톨룽, 티베트
사망일1588년
사망 장소북원
티베트어བསོད་ནམས་རྒྱ་མཚོ་
와일리 표기bsod nams rgya mtsho
중국어 간체索南嘉措
한어 병음Suǒnán Jiācuò

2. 달라이 라마 칭호의 유래

'달라이 라마'라는 칭호는 1578년 몽골 투메드부의 지도자 알탄 칸이 티베트 불교 겔룩파의 고승 쇠남갸초에게 수여하면서 처음 사용되었다. '달라이'는 몽골어로 '바다'를, '라마'는 티베트어로 '스승'을 의미하여, '달라이 라마'는 '바다와 같은 지혜를 가진 스승'이라는 뜻을 지닌다.[4] 이 칭호는 몽골어 달라이-인 칸|Dalai-yin qanmn에서 유래했다.[4] 쇠남갸초는 이 칭호를 받은 최초의 인물이며, 알탄 칸은 사후에 그의 두 전임자에게도 이 칭호를 추서하여 쇠남갸초는 3대 달라이 라마가 되었다.

2. 1. 쇠남갸초와 알탄 칸의 만남

쇠남갸초는 티베트 불교의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강력한 후원자를 찾고 있었고, 알탄 칸은 자신의 통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불교의 권위를 이용하고자 했다.[4] 몽골의 지도자 알탄 칸은 칭기즈 칸의 후손이 아니었기 때문에 권력에 불안감을 느끼고 있었다.[4] 그는 쿠빌라이 칸의 환생임을 주장하며, 당시 티베트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던 불교의 수장인 쇠남갸초를 초청하여 이러한 불교적 논리를 확고히 하려 했다. 쇠남갸초는 알탄 칸의 초청을 받아 그의 영토에서 사람들을 가르쳤고, 알탄 칸을 쿠빌라이 칸의 환생으로 인정하였다. 이에 대한 답으로 알탄 칸은 쇠남갸초에게 '달라이 라마'라는 칭호를 헌정하였고,[4] 이전 두 명의 겔룩파 지도자에게도 이 칭호를 추존하였다.[4]

알탄 칸은 1569년에 쇠남갸초를 몽골로 초빙했으나, 쇠남갸초는 신변의 안전을 이유로 거절하고 대신 고위급 사제를 보냈다.[7] 하지만 알탄 칸은 쇠남갸초의 방문이 몽골에 티베트 불교를 전파할 기회라며 설득하였고, 무력과 회유를 동시에 하며 쇠남갸초를 설득하려 노력하였다. 1571년에 다시 한번 쇠남갸초를 초청했고, 주변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쇠남갸초는 몽골로 향하게 되었다. 쇠남갸초는 융숭한 대접을 받으며 알탄 칸의 궁전까지 행하였고, 궁전에서 1만 명의 군중들에게 환영받았다. 이 자리에는 불교에 귀의했다는 의미로 순백의 옷을 차려입은 알탄 칸 본인도 포함되어 있었다.[9]

쇠남갸초는 몽골인들에게 불교를 전파하며 살생을 금하고 옛 신들의 조각을 파괴하도록 하였고, 또한 살아있는 아내를 남편의 장례식과 함께 죽이는 관습을 금지하였다.[14] 그는 또한 몽골 전통의 피를 사용한 의식들을 성토하며 이를 금했고, 이와 같은 정책들은 알탄 칸의 적극적인 지지 하에 이루어졌다.[15][16] 알탄 칸은 몽골에 첫 불교 사원인 테첸 촌코르(Thegchen Chonkhor)를 지었고,[13] 적극적인 포교 정책을 펼쳐 50년이 지나자 대부분의 몽골인들은 불교 신자가 되었고, 1만 명에 달하는 스님들이 생겨났다.[13] 이들은 모두 티베트 불교의 겔룩파 신자였으며, 달라이 라마에 대한 절대적인 존경심을 품고 있었다.

몽골과의 이와 같은 협력은 결국 티베트 불교에 큰 도움이 되었으며, 특히 제5대 달라이 라마의 통치 시기에 그 빛을 발했다. 알탄 칸은 달라이 라마를 만나고 4년 후인 1582년에 세상을 떠났으며,[17] 그의 뒤를 이은 후임자도 불교에 귀의해 달라이 라마의 뜻을 펼치기 위해 노력하였다. 후에 알탄 칸의 증손자는 제4대 달라이 라마의 자리까지 올랐다.

2. 2. 칭호의 의미

'달라이'는 몽골어로 '바다'를 의미하며, '라마'는 티베트어로 '스승'을 의미한다.[4] 즉, 달라이 라마는 '바다와 같은 지혜를 가진 스승'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달라이 라마'라는 칭호는 1578년 몽골알탄 칸티베트의 지도자들에게 내려준 이름으로, 달라이-인 칸|Dalai-yin qanmn에서 유래하였다.[4]

3. 몽골의 불교화

쇠남갸초와 알탄 칸의 만남은 몽골에 티베트 불교가 확산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1569년 알탄 칸은 쇠남갸초를 몽골로 초빙했으나, 신변 안전을 이유로 거절하고 대신 고위급 사제를 보냈다. 하지만 알탄 칸은 쇠남갸초의 방문이 몽골에 티베트 불교를 전파할 기회라고 확신하여 1571년에 다시 한번 초청했다.[7] 주변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쇠남갸초는 몽골로 향했고, 1만 명이 넘는 군중의 환영을 받으며 알탄 칸을 만났다. 알탄 칸은 쇠남갸초에게 '달라이 라마' 칭호를 수여했고, 쇠남갸초는 알탄 칸에게 종교의 왕이라는 뜻의 '브라마'라는 칭호를 수여했다.[12] 쇠남갸초는 자신이 파그파의 환생이며, 알탄 칸은 쿠빌라이 칸의 환생이라고 선언하여 몽골과의 관계를 더욱 공고히 했다.[17]

3. 1. 알탄 칸의 불교 진흥 정책

알탄 칸은 몽골 최초의 불교 사원인 테첸 촌코르(Thegchen Chonkhor)를 건립하고, 티베트 경전을 몽골어로 번역하는 대규모 사업을 시작했다.[13] 쇠남갸초는 몽골인들에게 불교를 전파하며 살생을 금하고 옛 신들의 조각을 파괴하도록 했다.[14] 또한 남편의 장례식에 살아있는 아내를 함께 죽이는 관습을 금지했다.[14] 그는 몽골 전통의 피를 사용한 의식을 금지했고,[15] 이러한 정책들은 알탄 칸의 적극적인 지지 하에 이루어졌다.[16] 50년 안에 대부분의 몽골인들은 불교도가 되었고, 달라이 라마에게 충성하는 겔룩파 승려가 수만 명에 달했다.[13]

3. 2. 겔룩파의 성장과 티베트 통일

쇠남갸초는 정치적 감각이 뛰어난 인물로, 그의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강력한 후원자가 필요했다. 그는 몽골의 알탄 칸을 후원자로 정했다.[4] 쇠남갸초는 알탄 칸의 초빙을 받았으나 처음에는 거절하였지만, 알탄 칸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결국 몽골로 향하게 되었다. 1578년, 쇠남갸초는 몽골에서 1만 명이 넘는 군중들의 환영을 받았으며, 알탄 칸은 그에게 달라이 라마 칭호를 수여하였다.[9][12]

알탄 칸은 몽골에 최초의 불교 사원인 테첸 촌코르를 건립하고 티베트 경전을 몽골어로 번역하는 등 적극적으로 불교를 지원했다.[13] 쇠남갸초는 몽골인들에게 불교를 전파하며 살생 금지, 우상 파괴, 순장 금지 등 개혁적인 정책을 펼쳤으며, 이는 알탄 칸의 적극적인 지지 하에 이루어졌다.[14][15][16]

220px


쇠남갸초는 자신이 파그파의 환생이며, 알탄 칸은 쿠빌라이 칸의 환생이라고 선언하여 몽골과의 관계를 더욱 공고히 했다.[17] 몽골과의 동맹은 훗날 제5대 달라이 라마 시대에 겔룩파가 티베트의 정신적, 정치적 지도 세력으로 부상하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알탄 칸 사후에도 그의 후계자들은 불교를 지원했으며, 알탄 칸의 증손자는 제4대 달라이 라마로 지정되기도 했다. 1587년 10월, 쇠남갸초는 중국 황제로부터 뚜오얼즈창(Duǒ Er Zhǐ Chàng, 朵儿只唱)으로 승진했고, 권위의 인장을 받았다.[21][22]

4. 명나라와의 관계

쇠남갸초는 훗날 명나라 황제의 초청을 받았으나, 건강 문제로 응하지 못하고 몽골에서 생을 마감했다.[14]

5. 역대 달라이 라마

쇠남갸초는 '달라이 라마'라는 칭호를 처음 사용한 인물이다. '달라이 라마'는 1578년 몽골의 알탄 칸이 티베트 지도자들에게 내린 이름이다.[1] 쇠남갸초는 3대 달라이 라마로 여겨지지만, 이 칭호를 사용한 최초의 인물이다.[8]

알탄 칸칭기즈 칸의 후손이 아니었기 때문에 자신의 권력을 확고히 하기 위해 쿠빌라이 칸의 환생임을 주장했고, 불교적 논리를 강화하기 위해 쇠남갸초를 초청했다. 쇠남갸초는 알탄 칸의 초청을 받아 그의 영토에서 가르침을 펼쳤고, 알탄 칸을 쿠빌라이의 환생으로 인정했다. 그 대가로 알탄 칸은 쇠남갸초에게 '달라이 라마'라는 칭호를 내렸고, 이전 두 명의 전임자들에게도 이 칭호를 추존했다.[2]

알탄 칸은 1569년과 1571년에 쇠남갸초를 몽골로 초청했다. 쇠남갸초는 몽골로 가서 융숭한 대접을 받았고, 알탄 칸은 그에게 달라이 라마 칭호를 수여했다. 알탄 칸은 몽골에 첫 불교 사원을 지었고, 적극적인 포교 정책으로 50년 후 대부분의 몽골인들이 불교 신자가 되었다.[4]

쇠남갸초는 몽골인들에게 불교를 전파하며 살생, 옛 신들의 조각 파괴, 순장 풍습을 금지했다. 이러한 정책은 알탄 칸의 지지 하에 이루어졌다.[5]

알탄 칸은 달라이 라마를 만난 지 4년 후인 1582년에 사망했고, 그의 후임자도 불교를 지지하며 달라이 라마의 뜻을 따랐다. 알탄 칸의 증손자는 제4대 달라이 라마로 지명되었다.[7]

참조

[1] 웹사이트 tbrc.org: dge 'dun rgya mtsho http://www.tbrc.org/[...] 2008-11-04
[2] 서적 The Story of Tibet: Conversations with the Dalai Lama Grove Press 2006
[3] 서적 Tibetan Civiliza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1972
[4] 서적 The history of Tibet RoutledgeCurzon 2003
[5] 웹사이트 Mahayana Buddhism: Mongolian Buddhism https://www.buddhane[...] 2024-03-25
[6] 서적 Shamanism: Critical Concepts in Sociology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7] 서적 Tibet: An account of the history, religion and the people of Tibet Touchstone Books 1968
[8] 서적 Tibetan Civiliza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1972
[9] 서적 The Fourteen Dalai Lamas: A Sacred Legacy of Reincarnation Clear Light Publishers 2001
[10] 서적 The Snow Lion and the Dragon: China, Tibet, and the Dalai Lam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7
[11] 서적 The Tibetans Blackwell Publishing 2006
[12] 서적 The Dalai Lamas of Tibet Roli & Janssen 2004
[13] 서적 The Story of Tibet: Conversations with the Dalai Lama 2006
[14] 서적 Tibet: An account of the history, religion and the people of Tibet Touchstone Books 1968
[15] 서적 Tibetan Civiliza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1972
[16] 서적 The Fourteen Dalai Lamas: A Sacred Legacy of Reincarnation Clear Light Publishers 2001
[17] 서적 The Story of Tibet: Conversations with the Dalai Lama 2006
[18] 웹사이트 Buddha Relic was introduced to the public http://www.infomongo[...] 2013-10-20
[19] 서적 Wheel of Time Sand Mandala: Visual Scripture of Tibetan Buddhism Snow Lion Publications 2003
[20] 문서 see Note no.1
[21] 문서 Ming Veritable Records
[22] 웹사이트 http://www.xzmuseum.[...]
[23] 서적 历史的见证 https://books.google[...] 五洲传播出版社 2001
[24] 웹사이트 http://www.tibetolog[...]
[25] 서적 Tibet: An account of the history, religion and the people of Tibet Touchstone Books 1968
[26] 서적 The Story of Tibet: Conversations with the Dalai Lama 2006
[27] 서적 Tibet: An account of the history, the religion and the people of Tibet Touchstone Boo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