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6함대 (일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6함대는 1940년 11월 15일 창설된 일본 제국 해군의 잠수함 부대로, 태평양 전쟁 기간 동안 잠수함 작전을 통제했다. 초기에는 미국 서해안, 호주 동해안, 인도양 해상 수송로 정찰 임무를 수행했으며, 진주만 공격에도 참여했다. 전쟁 중반에는 수송 임무에 투입되었고, 연합군의 대잠 전술 발달로 인해 많은 잠수함이 손실되었다. 1944년 11월부터는 인간 어뢰 '가이텐'을 운반하는 자살 공격 임무를 수행했으며, 1945년 9월 2일 요코스카 항으로 귀환하며 모든 활동을 종료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일본의 함대 - 제2함대 (일본)
    제2함대는 일본 제국 해군이 창설한 기동 함대로, 러일 전쟁부터 태평양 전쟁까지 참전하며 핵심 전력으로 활동했으나, 주요 해전에서 큰 손실을 입고 1945년 해체되었다.
  •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일본의 함대 - 연합함대
    연합함대는 청일 전쟁 이후부터 태평양 전쟁까지 일본 제국 해군의 주력 부대로서 천황 직속 지휘를 받았으며, 항공모함 함대 결전 사상 실패와 해상 호위 부대 부족으로 궤멸되었고, 현재는 일본 해상자위대의 자위함대가 그 역할을 일부 계승한다.
  • 일본 제국 해군의 함대 - 제1함대 (일본)
    제1함대 (일본)는 1903년 창설되어 러일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중일 전쟁, 태평양 전쟁에 참전하며 일본 해군의 주요 전력으로 활동하다가 1944년 해체되었다.
  • 일본 제국 해군의 함대 - 제2함대 (일본)
    제2함대는 일본 제국 해군이 창설한 기동 함대로, 러일 전쟁부터 태평양 전쟁까지 참전하며 핵심 전력으로 활동했으나, 주요 해전에서 큰 손실을 입고 1945년 해체되었다.
  • 1940년 설립 - 김해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은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위치한 국제공항으로, 1976년 개항 이후 2023년 기준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이용객을 기록하며 동남권의 관문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만, 시설 부족, 안전 및 소음 문제로 인해 김해신공항 건설이 백지화되고 가덕도신공항 건설이 추진 중이다.
  • 1940년 설립 -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1940년 소련에 강제 병합되어 소련의 지배를 받다가 1991년 독립을 재선언할 때까지 공산화, 농업 집단화, 문화적 탄압, 강제 이주, 무장 저항 등 고난을 겪었으며, 고르바초프의 개혁과 시민 저항 운동을 통해 독립을 이루었다.
제6함대 (일본)
함대 정보
명칭제6함대
원어 명칭(다이 로쿠 칸타이)
활동 기간
시작1940년 11월 15일
종료1945년 9월 2일
국가
소속일본 제국
군종해군
역할 및 규모
역할잠수함 통합 운용
규모불명
지휘 체계
상위 부대연합함대
본부불명
별칭 및 상징
별명불명
표어불명
불명
군가불명
마스코트불명
장비 및 참전
장비불명
참전태평양 전쟁
기념 및 훈장
기념일불명
장식불명
훈장불명
지휘관
주요 지휘관불명

2. 역사

태평양 전쟁 초기, 제6함대는 소형 잠수함을 이용하여 미국 해군의 하와이 진주만 정박지에 대한 사전 정찰을 실시했고, 진주만 공격 초기 단계에 잠수정을 투입했다.[3] 개전 이후에는 하와이 방면 정찰, 특수 잠수정을 이용한 진주만 돌입, 동태평양에서의 통상 파괴, 오스트레일리아 방면 기뢰 부설 등에 종사했다. 그러나 진주만 공격 성공으로 주 목적인 점감 요격의 필요성이 옅어져 오스트레일리아 동쪽 해역이나 인도양에서의 통상 파괴에 중점을 두었다. 시드니 항 공격과 같이 소형 잠수함을 활용한 특수 임무도 수행했다.[3]

제6함대는 페낭 섬을 거점으로 영국 상선을 공격하는 과정에서 크리그스마린과 협력하기도 했으나,[3] 일본 해군 참모부는 여전히 연합군 주력함에 대한 매복 작전에 더 중점을 두었다.[3] 솔로몬 제도 공방전에서는 연합군 기지가 있는 에스피리투산토 섬이나 누벨칼레도니아 섬에 대한 정찰 임무를 수행했으나, 엄중한 경계로 인해 많은 함정이 격침되었다. 구축함을 이용한 "쥐 수송"도 어려워지자 잠수함을 이용한 "두더지 수송"에 동원되어 피해가 속출했다. 이후 솔로몬 제도에서 철수하여 콰잘레인 환초를 거점으로 내남양 경계를 담당했으나, 연합군의 대잠 기술 발달로 격침되는 함정이 늘어났다.

필리핀 전역과 전쟁 말, 미 함대의 경계 강화로 일본 해군 잠수함은 주로 인간 어뢰 '가이텐'을 운반하는 자살 공격 임무에 투입되었다.[5] 1944년 11월 8일, 가이텐의 실전 투입이 시작되어 가이텐 모함으로서 잠수함을 운용하였으며, 종전까지 28회 출격하였다.

사이판 전투 당시 섬에 남은 제독을 구출하려는 작전이 있었으나, 다카기 다케오 사령장관은 작전 중지를 요청하며 다른 제독들과 함께 전사하였다. 마리아나 해전레이테만 전투에서 정찰부대로 파견되었으나, 무선 통신 감청 및 초계선 간파로 인해 요격 부대로서의 임무를 완수하지 못했다.

제6함대의 마지막 출격은 종전 이후 초대형 잠수함 ''I-401''이 울리시 환초에서 요코스카로 귀환한 것이었다. ''I-400''과 ''I-401''은 울리시 환초 폭격을 목표로 출격했으나 종전 조칙을 받고 회항, 1945년 9월 2일 미군 감시 아래 요코스카 항에 귀환하여 제6함대의 모든 활동을 마쳤다.

2. 1. 태평양 전쟁 이전

1940년 11월 15일, 제6함대가 창설되어 일본 제국 해군 잠수함 작전 전반에 대한 통제 권한을 부여받았다.[1] 초기 임무는 미국 서해안, 오스트레일리아 동해안, 그리고 인도양의 해상 수송로에 대한 정찰이었다.

일본은 진주만 공격 이전부터 다양한 잠수함 함대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그 중 일부는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1]

특징
수중 배수량이 5,000톤이 넘는 유일한 잠수함
원자력의 출현 전까지 400피트가 넘는 길이의 잠수함
특수 설계된 항공기를 탑재할 수 있는 41척의 잠수함
어떤 국가보다 가장 긴 항속 거리와 최고 속도를 가진 잠수함



95식 어뢰의 롱 랜스 산소 추진 어뢰의 잠수함 발사형 개발로, 일본은 세계에서 가장 진보된 어뢰를 갖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가장 큰 탄두를 가진 어뢰를 보유하게 되었다.[1]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일본 제국 해군(IJN) 잠수함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눈에 띄는 성과를 거두지 못했는데, 이는 주로 일본 제국 해군 참모 본부의 구식 전략 때문이었다. 일본 제국 해군 참모 본부는 잠수함을 결정적인 수상 전투를 준비하기 위해 적 해군 기동 부대를 찾아내고 추적하는 데 주된 역할을 하는 정찰병 정도로 여겼다.[2] 일본 제국 해군 참모 본부는 잠수함이 일반적으로 잠수 속도가 느리고, 레이더와 소나로 추적하기 쉬우며, 수중 기동이 어렵고, 독일 U보트보다 튼튼하지 않았기 때문에 변화가 늦었을 것이다.[2]

2. 2. 태평양 전쟁 초기

태평양 전쟁 초기, 제6함대는 소형 잠수함을 이용하여 미국 해군의 하와이 진주만 정박지에 대한 사전 정찰을 실시했고, 진주만 공격 초기 단계에 잠수정을 투입했다.[3] 개전 이후에는 해상 수송 방해와 기뢰 부설 임무를 수행했다. 시드니 항 공격과 같이 소형 잠수함을 활용한 특수 임무도 수행했다.[3]

제6함대는 페낭 기지를 거점으로 영국 상선을 공격하는 과정에서 크리그스마린과 협력하기도 했으나,[3] 일본 해군 참모부는 여전히 연합군 주력함에 대한 매복 작전에 더 중점을 두었다.[3] 1942년, 일본 잠수함은 항공모함 2척, 순양함 1척, 구축함 여러 척을 격침시키고, 항공모함 1척과 전함 2척에 손상을 입히는 성과를 거두었다.[3]

2. 3. 태평양 전쟁 중후반

태평양 전쟁 개전 당시에는 하와이 방면의 정찰, 특수 잠수정에 의한 진주만 돌입, 동태평양에서의 통상 파괴, 오스트레일리아 방면의 기뢰 부설에 종사했다. 그러나 진주만 공격의 성공으로 인해 주 목적인 점감 요격의 필요성이 옅어져 오스트레일리아 동쪽 해역이나 인도양에서의 통상 파괴에 중점을 두게 되었다. 시드니 및 디에고 수아레스로의 특수 잠수정 돌입, 진주만 폭격을 감행한 2식 비행정에 대한 해상 급유 활동 등 잠수함의 특성을 활용한 특수 임무에도 종사했다.

페낭 섬을 거점으로 지속되었던 인도양 방면의 통상 파괴 활동에는 독일 잠수함 부대도 합류하여 일정 성과를 거두었으나, 대본영에서는 필요성을 인정하지 않고 산개선을 기본으로 한 잠수함 전술을 바꾸지 않았다.

솔로몬 제도의 공방전에 즈음하여 연합군 기지가 있는 에스피리투산토 섬이나 누벨칼레도니아 섬에 대한 정찰 임무에 종사했으나, 엄중한 경계로 인해 전몰함이 잇따랐다. 구축함에 의한 "쥐 수송"도 어려워진 말기에는 잠수함에 의한 "두더지 수송"에 동원되어 피해가 속출했다. 이윽고 솔로몬 제도에서 철수하여 콰잘레인 환초를 거점으로 내남양의 경계를 담당했다. 그러나 이때 즈음에는 연합군은 헌터 킬러 전술의 채용이나 소나의 개량, 헤지호그의 개발 등 대잠 기술을 확립하여 격침되는 함이 잇따랐다. 1944년 2월 콰잘레인 환초가 함락되자 거점을 잃은 함대는 일단 내지로 귀환했다.

사이판 섬을 둘러싼 지상전에 대비하여 섬에 잔류하는 제독들을 구출하기 위해 사이판에 잔류한 다카기 타케오 장관의 의지를 무시하는 형태로 구출 작전에 동원되었으나, 도착하기 전에 전몰하는 함이 잇따랐다. 사태를 알게 된 다카기 장관은 구출 작전의 중지를 호소하여 다른 제독과 마찬가지로 전사했다.

마리아나 해전·레이테 만 해전에 즈음하여 정찰 부대로 파견되었으나, 최전선의 실정에 맞지 않는 산개선 전술에 얽매인 것이 화근이 되어, 무선 통신 감청이나 초계선 파악 등으로 인해 격퇴당하여 최전선의 요격 부대로서의 임무는 수행할 수 없게 되었다.

1944년 11월 8일부터 인간 어뢰 "가이텐"의 실전 투입이 시작되어 가이텐 모함으로서 잠수함을 운용하게 되었다. 이후 종전까지 28회 출격했다.

울리시 환초 폭격을 목표로 출격한 이400·이401은 종전의 조칙을 받고 회항하여 9월 2일에 미군의 감시하에 요코스카 항으로 귀환하며 제6함대의 모든 활동을 종료했다. 종전시까지 공격에 매달린 유일한 함정 부대이다.

2. 4. 태평양 전쟁 말기

필리핀 전역과 전쟁 말, 미 함대의 경계 강화로 인해 일본 해군 잠수함은 주로 인간 어뢰 '가이텐'을 운반하는 자살 공격 임무에 투입되었다.[5] 1944년 11월 8일, 가이텐의 실전 투입이 시작되어 가이텐 모함으로서 잠수함을 운용하였으며, 종전까지 28회 출격하였다. 이는 일본 군부의 비인간적인 면모를 보여주는 사례이다.

사이판 전투 당시 섬에 남은 제독을 구출하려는 작전이 있었으나, 다카기 다케오 사령장관은 작전 중지를 요청하며 다른 제독들과 함께 전사하였다. 마리아나 해전레이테만 전투에서 정찰부대로 파견되었으나, 무선 통신 감청 및 초계선 간파로 인해 요격 부대로서의 임무를 완수하지 못했다.

제6함대의 마지막 출격은 종전 이후 초대형 잠수함 ''I-401''이 울리시 환초에서 요코스카로 귀환한 것이었다. ''I-400''과 ''I-401''은 울리시 환초 폭격을 목표로 출격했으나 종전 조칙을 받고 회항, 1945년 9월 2일 미군 감시 아래 요코스카 항에 귀환하여 제6함대의 모든 활동을 마쳤다.

3. 구조

제6함대는 1940년 11월 15일에 창설되어 일본 제국 해군의 잠수함 작전을 총괄했다. 초기에는 미국 서해안, 오스트레일리아 동해안, 인도양의 해상 수송로 정찰 임무를 맡았다.

제6함대의 지휘부 구성과 부대 편성은 시기에 따라 변화를 겪었다. 지휘부는 사령장관과 참모장으로 구성되었다.[6]

사령장관
계급이름기간
1중장히라타 노보루1940년 11월 15일1941년 7월 21일
2중장시미즈 미쓰미1941년 7월 21일1942년 3월 16일
3중장고마쓰 데루히사1942년 3월 16일1943년 6월 21일
4중장다카기 다케오1943년 6월 21일1944년 7월 10일
5중장미와 시게요시1944년 7월 10일1945년 5월 1일
6중장다이고 다다시게1945년 5월 1일1945년 9월 15일



참모장
계급이름기간
1소장이치오카 히사시1940년 11월 15일1941년 1월 6일
2소장미토 히사시1941년 1월 6일1942년 10월 22일
3소장시마모토 히사고로1942년 10월 22일1943년 11월 15일
4소장니시나 고조1943년 11월 15일1944년 12월 21일
5소장사사키 한큐1944년 12월 21일1945년 9월 15일



1940년 창설 당시에는 연습함 가토리를 기함으로 3개의 잠수전대로 구성되었고,[1] 각 잠수전대는 여러 척의 잠수함으로 구성된 잠수대를 예하에 두었다. 태평양 전쟁 개전 직후에는 잠수함 숫자가 늘었고, 미드웨이 해전 이후에는 잠수전대와 잠수함 배치가 변경되었으며, 제8잠수전대가 새로 편입되었다. 1944년 전시체제 개편 이후에는 잠수함 부대 중심으로 재편되었고, 1945년에는 세이란 공격기를 탑재한 제631해군항공대도 포함되었다.[1]

3. 1. 지휘부

제6함대(일본)의 지휘부는 사령장관과 참모장으로 구성되었다.[6]

'''사령장관'''

계급이름기간
1중장히라타 노보루1940년 11월 15일1941년 7월 21일
2중장시미즈 미쓰미1941년 7월 21일1942년 3월 16일
3중장고마쓰 데루히사1942년 3월 16일1943년 6월 21일
4중장다카기 다케오1943년 6월 21일1944년 7월 10일
5중장미와 시게요시1944년 7월 10일1945년 5월 1일
6중장다이고 다다시게1945년 5월 1일1945년 9월 15일



'''참모장'''

계급이름기간
1소장이치오카 히사시1940년 11월 15일1941년 1월 6일
2소장미토 히사시1941년 1월 6일1942년 10월 22일
3소장시마모토 히사고로1942년 10월 22일1943년 11월 15일
4소장니시나 고조1943년 11월 15일1944년 12월 21일
5소장사사키 한큐1944년 12월 21일1945년 9월 15일


3. 1. 1. 역대 사령장관

역대 제6함대 사령장관
계급성명취임이임
중장히라타 노보루1940년 11월 15일1941년 7월 20일
중장시미즈 미쓰미1941년 7월 21일1942년 3월 15일
중장코마쓰 데루히사1942년 3월 16일1943년 6월 20일
중장다카기 다케오1943년 6월 21일1944년 7월 9일
중장미와 시게요리1944년 7월 10일1945년 4월 30일
중장다이고 다다시게1945년 5월 1일1945년 9월 15일


3. 1. 2. 역대 참모장

역대 참모장
계급성명취임이임
소장이치오카 히사시1940년 11월 15일1941년 1월 5일
소장미토 히사시1941년 1월 6일1942년 10월 21일
소장시마모토 규고로1942년 10월 22일1943년 11월 14일
소장니시나 고조1943년 11월 15일1944년 12월 20일
소장사사키 한큐1944년 12월 21일1945년 9월 15일


3. 2. 부대 편성

제6함대는 시기에 따라 부대 편성이 크게 바뀌었다. 1940년 11월 15일 창설 당시에는 연습함 가토리를 기함으로 하여 3개의 잠수전대로 구성되었다.[1] 각 잠수전대는 여러 척의 잠수함으로 구성된 잠수대를 예하에 두었다.

태평양 전쟁 개전 직후인 1941년 12월 10일에는 기함 가토리와 3개의 잠수전대 체제를 유지하면서 잠수함 숫자가 늘었다.[1] 미드웨이 해전 이후인 1942년 7월 14일에는 잠수전대와 잠수함 배치가 변경되었고, 제8잠수전대가 새로 편입되었다.

1944년 4월 1일 전시체제 제도 개정 이후에는 잠수함 부대 중심으로 재편되었다. 이10, 이11과 같은 잠수함과 여러 잠수대가 제6함대에 소속되었다. 1945년 6월 1일 최종 부대 편성은 제1잠수대, 제15잠수대, 제16잠수대, 제34잠수대, 제11잠수전대, 제31잠수함기지대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세이란 공격기를 탑재한 제631해군항공대도 포함되었다.[1]

각 시기별 부대 구성은 다음과 같다.

  • 1940년 11월 15일 (신편 당시)[1]: 하위 섹션의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

  • 1941년 12월 10일 (태평양 전쟁 개전 당시)[1]: 하위 섹션 참조.

  • 1942년 7월 14일 (미드웨이 해전 이후)[1]: 하위 섹션 참조.

  • 1944년 4월 1일 (전시체제 제도 개정 이후)[1]:


함대포함 잠수함
이10, 이11
제2잠수대이19, 이21, 이39, 이40
제7잠수대이2, 이5, 이6
제12잠수대이169, 이171, 이174, 이175, 이176
제15잠수대이16, 이32, 이35, 이36, 이38, 이41, 이42, 이43, 이45
제22잠수대이177, 이180, 이181, 이184, 이185
제34잠수대로36, 로37, 로38, 로39, 로40, 로41, 로42, 로43, 로44
제7잠수전대
제8잠수전대
제11잠수전대쵸케이, 츠쿠시마루


  • 1945년 6월 1일 (최종)[1]: 하위 섹션 참조.

3. 2. 1. 1940년 11월 15일 (신편 당시)


  • 기함: 가토리
  • 제1잠수전대: 다이게이, 이20
  • 제1잠수대: 이15, 이16, 이17
  • 제2잠수전대: 이즈즈
  • 제11잠수대: 이74, 이75
  • 제12잠수대: 이68, 이69, 이70
  • 제20잠수대: 이71, 이72, 이73
  • 제3잠수전대: 초게이, 이7
  • 제7잠수대: 이1, 이2, 이3
  • 제8잠수대: 이4, 이5, 이6

3. 2. 2. 1941년 12월 10일 (태평양 전쟁 개전 당시)


  • 독립 기함: 가토리
  • 제1잠수전대: 야스쿠니마루 · I-9
  • * 제1잠수대: I-15 · I-16 · I-17
  • * 제2잠수대: I-18 · I-19 · I-20
  • * 제3잠수대: I-21 · I-22 · I-23
  • * 제4잠수대: I-24 · I-25 · I-26
  • 제2잠수전대: 산토스마루 · I-7 · I-10
  • * 제7잠수대: I-1 · I-2 · I-3
  • * 제8잠수대: I-4 · I-5 · I-6
  • 제3잠수전대: 다이게이 · I-8
  • * 제11잠수대: I-74 · I-75
  • * 제12잠수대: I-68 · I-69 · I-70
  • * 제20잠수대: I-71 · I-72 · I-73

3. 2. 3. 1942년 7월 14일 (미드웨이 해전 이후)

함대 구성
독립 기함: 가토리
제1잠수전대: 헤이안마루·I-9
* 제2잠수대: I-15·I-17·I-19
* 제4잠수대: I-25·I-26
* 제15잠수대: I-31·I-32·I-33
제2잠수전대: 산토스마루·I-7
* 제7잠수대: I-1·I-2·I-3
* 제8잠수대: I-4·I-5·I-6
제3잠수전대: 야스쿠니마루·I-11
* 제11잠수대: I-174·I-175
* 제12잠수대: I-168·I-169·I-171·I-172
제8잠수전대: 히에이마루·I-10
* 제1잠수대: I-16·I-18·I-20
* 제3잠수대: I-21·I-22·I-24
* 제14잠수대: I-27·I-29·I-30


3. 2. 4. 1944년 4월 1일 (전시체제 제도 개정 이후)

함대포함 잠수함
이10, 이11
제2잠수대이19, 이21, 이39, 이40
제7잠수대이2, 이5, 이6
제12잠수대이169, 이171, 이174, 이175, 이176
제15잠수대이16, 이32, 이35, 이36, 이38, 이41, 이42, 이43, 이45
제22잠수대이177, 이180, 이181, 이184, 이185
제34잠수대로36, 로37, 로38, 로39, 로40, 로41, 로42, 로43, 로44
제7잠수전대
제8잠수전대
제11잠수전대쵸케이, 츠쿠시마루


3. 2. 5. 1945년 6월 1일 (최종)

부대포함된 함선
제1잠수대이13, 이14, 이400, 이401
제15잠수대이36, 이44, 이47, 이53, 이56, 이58, 이351, 이361, 이363, 이366, 이367
제16잠수대이369, 이372, 파101, 파102, 파103, 파104, 파105
제34잠수대이156, 이157, 이158, 이159, 이162, 이165, 려46, 려50, 려109
제11잠수전대장경, 이201, 이202, 이373
제31잠수함기지대이8, 이12
부속제631해군항공대 세이란 x 6


참조

[1] 서적 Polar, Submarines of the Imperial Japanese Navy
[2] 서적 Boyd, Japanese Submarine Force in World War II
[3] 서적 Dull, A Battle History of the Imperial Japanese Navy
[4] 서적 D'Albas, Death of a Navy
[5] 웹사이트 Parshall, Combinedfleet.com
[6] 데이터베이스 Wendel, Axis History Databa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