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해 이사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내해 이사금은 신라의 10대 이사금으로, 성은 석씨이며 벌휴 이사금의 손자이다. 조분 이사금의 누이와 결혼하여 사촌 간 근친혼을 하였으며, 재위 기간 동안 백제의 잦은 침입과 가야와의 교류가 있었다. 214년 백제의 공격에 맞서 사현성을 함락시켰으며, 가야를 지원하기도 했다. 210년과 226년 가뭄으로 죄수들을 석방하는 등 내정을 다스리다 재위 35년 만인 230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월성 석씨 - 벌휴 이사금
벌휴 이사금은 신라의 제9대 이사금으로, 아달라 이사금 사후 추대되어 왕위에 올랐으며 활발한 정복 활동과 백제와의 교전, 군주 제도 마련 등의 업적을 남겼고, 그의 후손들은 신라 왕위를 이었다. - 월성 석씨 - 탈해 이사금
탈해 이사금은 알에서 태어났다는 설화가 전해지며, 남해 차차웅의 사위가 되어 대보를 지내다가 유리 이사금 사후 왕위에 올라 왜, 백제, 가야 등 주변 세력과 외교 및 군사적 갈등을 겪으며 영토 확장에 힘썼고, 김알지를 발견하여 신라 김씨 왕조의 기원을 마련했으며, 80년에 사망했다. - 230년 사망 - 교황 우르바노 1세
교황 우르바노 1세는 222년부터 230년까지 로마 가톨릭교회의 17대 교황으로 재임하며 교회 성장에 기여했고, 미사 중 신자들이 예물을 바칠 것을 지시했으며, 가톨릭교회와 동방정교회의 성인이자 독일 프랑켄 지방의 포도와 와인의 수호성인으로 추앙받는다. - 230년 사망 - 종요
후한 말부터 위나라의 정치가이자 서예가였던 종요는 조조를 도와 옹주 내정을 담당했고 위나라 건국 후 상국, 태위에 올랐으며, 특히 해서체 발전에 기여하여 "해서체의 아버지"로 불린다. - 이사금 - 벌휴 이사금
벌휴 이사금은 신라의 제9대 이사금으로, 아달라 이사금 사후 추대되어 왕위에 올랐으며 활발한 정복 활동과 백제와의 교전, 군주 제도 마련 등의 업적을 남겼고, 그의 후손들은 신라 왕위를 이었다. - 이사금 - 아달라 이사금
아달라 이사금은 신라의 제8대 왕이자 박씨 왕조의 마지막 왕으로, 계립령과 죽령을 개통하여 영토를 확장하고 백제와 긴장 관계를 유지했으며 왜와 평화로운 외교 관계를 맺었고, 연오랑 세오녀 설화와 왕위 계승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내해 이사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칭호 | 이사금 |
이름 | 내해(奈解) |
성 | 석(昔) |
휘 | 엽(燁) |
재위 기간 | 196년 - 230년 |
신라 제 몇 대 이사금 | 제10대 이사금 |
가계 | |
부왕 | 석이매(昔伊買) |
모후 | 내례부인(內禮夫人) |
왕후 | 조분 이사금(助賁泥師今)의 누이 |
생애 | |
즉위 년도 | 196년 |
사망 년도 | 230년 |
주요 업적 | 왜구 방어 및 국경 안정 |
기타 | 골벌국(骨伐國)을 정벌함. |
능묘 | |
능묘 위치 | 위치 정보 없음 |
기타 정보 | |
시대 | 삼국시대 |
국가 | 신라 |
2. 생애
성은 석씨(昔氏)이며, 아버지는 벌휴 이사금의 아들 이매(伊買)이고 어머니는 지마 이사금의 딸 내례부인(內禮夫人)이다. 사후 아버지 이매는 헌성대왕(憲聖大王)에 추존되었다. 벌휴 이사금의 태자인 석골정(昔骨正)과 둘째 아들 석이매가 일찍 사망하였고, 석골정의 아들 조분이 어렸기 때문에 왕위에 올랐다.
내해 이사금 재위 기간 동안 백제의 잦은 침입이 있었다.[1] 214년 백제군이 요차성(腰車城)을 공격해오자 반격에 나서 백제의 사현성(沙峴城)을 함락시켰다.[2] 218년 백제가 장산성(獐山城)에 침입해오자 직접 군대를 이끌고 나가 격퇴했다.[1] 이 밖에 가야와 밀접한 교류를 했다.[1]
내해 이사금의 조부는 9대 왕 벌휴 이사금이고, 아버지는 석이매(昔伊買)이다. 외조부는 6대 왕 지마 이사금이며, 외조모는 갈문왕 마제(摩帝)의 딸인 애례부인 김씨(愛禮夫人 金氏)이다. 어머니는 내례부인(內禮夫人) 박씨로, 아달라 이사금과 먼저 혼인하였으나, 후에 석이매와 혼인하였다.
[1]
뉴스
https://www.su-wan.c[...]
2020-01-22
왕비는 조분 이사금의 누이 석씨로, 사촌 간에 근친혼을 하였다. 자녀로는 태자 우로와 조분 이사금의 왕비가 된 딸 아이혜가 있다. 병마사(兵馬事)를 관장했던 이벌찬 이음(利音)은 그의 이부형이다.
3. 치세
199년 음력 7월 백제가 국경을 침범하였으나, 자세한 기록은 없다. 203년 음력 10월에는 말갈의 공격을 받았다. 208년 음력 2월 왜가 국경을 침범하였다.
201년 음력 2월 가야와 화친을 요청하였다.[1] 209년 포상팔국(浦上八國)이 가야를 침략하고자 해 신라에 구원을 요청하자, 진한 6부의 병사를 이끌고 구원하게 하였다. 팔국의 장군을 죽이고 포로 6천여를 구해냈다.[1] 212년 가야의 왕자를 볼모로 받았다.[1]
214년 음력 7월 백제가 요거성(腰車城, 충청북도 보은군?)[4]을 공격, 요거성주 설부(薛夫)를 죽이자, 백제를 치게 하여 사현성(沙峴城, 경상북도 문경시 롱암면 사현리?)을 공격하였다.[4][1] 222년 음력 10월 백제가 우두주(牛頭州, 강원도 춘천시)를 공격, 웅곡(熊谷, 강원도 춘천시 동남 감계?)[5]까지 출격했다가 백제군에게 패했다. 224년 음력 7월 봉산(烽山, 경상북도 영주시)[6] 아래에서 백제와 싸워 승리하고 1천기를 죽이고 사로잡은 뒤 음력 8월 봉산에 성을 쌓았다.
207년 왕자 이음(利音), 혹은 내음(奈音)을 이벌찬으로 임명했다. 220년 왕자이자 이벌찬인 이음이 죽어 충훤을 이벌찬으로 삼았다.
내정 면에서는 210년과 226년 두 차례에 걸쳐 장기간의 가뭄이 발생하여, 옥에 갇힌 죄수의 재심을 실시하고 죄가 가벼운 자들을 석방했다.
재위 35년 만인 230년 3월에 사망했다.
4. 가계
왕비는 석골정(昔骨正)의 딸이다. 딸 아이혜부인(阿爾兮夫人)은 11대 왕 조분 이사금(助賁泥師今)과 혼인하였고, 아들 석우로(昔于老)는 조분 이사금의 딸인 명원부인 석씨와 혼인하여 16대 왕 흘해 이사금을 낳았다. 또 다른 아들 내음 갈문왕(昔奈葛文王)이 있었다. 이부형인 박이음(昔利音)의 딸 미소부인 박씨는 조분 이사금과 혼인하여 14대왕 유례 이사금을 낳았다.
참조
[2]
문서
사현성(沙峴城) : 공주 광정리 산성
[3]
문서
浦 meaning beach, riverside, riverbank
[4]
문서
他に慶尚北道[[尚州市]]東部に比定する説もある。
[5]
문서
他に江原道[[横城郡]]横城面の古名とする説、[[平昌郡]]珍富面に比定する説もある。
[6]
문서
他に烽山の候補として、『[[新増東国輿地勝覧]]』には慶尚南道[[昌寧郡]]霊山面に烽山烽燧の名称が見える。
[7]
문서
『[[三国遺事]]』巻5・勿稽子条によれば、保羅国・古自国・史勿国などとする。保羅国・古自国は[[慶尚南道]][[固城郡]]、史勿国は慶尚南道[[泗川市]]に比定されている。また、勿稽子については『[[三国史記]]』巻48に伝が立てられてい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