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선방역지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방역지도는 명종 12년(1557)에서 13년(1558) 사이에 제작된 조선 전기의 지도로, 현재 대한민국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비단에 채색된 이 지도는 조선 팔도의 주현, 수영, 병영을 표시하고 각 지역을 다르게 색칠하여 알아보기 쉽게 제작되었다. 임진왜란 때 일본으로 유출되었다가 1930년대에 회수되었으며, 동시대 다른 지도들의 제작 시기를 추정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지도는 북쪽으로는 만주, 남쪽으로는 제주도와 대마도까지를 조선 영토로 묘사하고 있으며, 울릉도는 표기되어 있지 않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기도의 국보 - 화성 용주사 동종
    화성 용주사 동종은 854년 범일이 주조하여 병자호란의 화마를 피해 보존되어 1790년 용주사 재건과 함께 다시 설치된 조선 시대의 동종으로, 용뉴, 비천상, 삼존상 등의 장식과 문양을 갖추고 한국 불교 미술과 종 제작 기술을 보여주는 국보 제120호 문화유산이다.
  • 과천시의 문화유산 - 과천향교
    과천향교는 1398년에 창건되어 1690년 현재 위치로 이전된 조선시대 지방 교육 기관으로, 중·고등학교 수준의 교육을 담당하고 사장학과 경학을 가르치며 제사를 지냈으며, 1996년에 복원되었다.
  • 한국의 고지도 - 대동여지도
    대동여지도는 김정호가 제작한 한국의 대표적인 고지도로, 전국을 상세하게 묘사하고 다양한 지형지물과 시설물을 기호와 색상으로 표기하여 가독성을 높였으며, 휴대와 이용이 편리하도록 제작되었다.
  • 한국의 고지도 -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는 1402년 조선에서 제작된 세계지도로, 이택민의 『성교광피도』, 청준의 『혼일강리도』, 조선과 일본 지도를 바탕으로 조선의 정치적 위상과 세계 지리에 대한 이해를 보여주는 역사적 자료이며, 아프리카, 유럽, 중동 지역에 대한 상세한 묘사와 한반도 및 일본 묘사에서 조선의 관점을 반영하고 있다.
조선방역지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명칭조선방역지도
한글 표기조선방역지도
한자 표기朝鮮方域之圖
일본어 (히라가나) 표기ちょうせんほういきのず
일본어 (가타카나) 표기チョソンバンヨクジド
문화재 정보
국가대한민국
유형국보
지정 번호248
지정일1989년 8월 1일
주소경기도 과천시 교육원로 86, 국사편찬위원회 (중앙동, 국사편찬위원회)
시대조선시대
관리국사편찬위원회
수량1폭
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문화재청 ID11,02480000,31
이미지 정보
조선방역지도
조선방역지도

2. 제작 배경 및 특징

조선방역지도는 조선 전기에 제작된 지도이다. 크기는 가로 61㎝, 세로 132㎝이다. 명종 12년(1557)∼명종 13년(1558)경에 제작되었다고 추정되며, 임진왜란일본에 유출되어 대마도에 보관되어 있던 것을 1930년대에 입수하였다. 첨용감(濟用監)에서 제작을 맡았으며, 지도 하단에 기록된 자목(座目)을 통해 제작에 참여한 사람들을 알 수 있다. 동국지도(東國地圖)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는 설이 있다.

이 지도는 당시 조선의 지도 제작 수준 및 형식을 보여주며, 제작자와 제작 연대가 확실하여 다른 지도의 제작 시기를 밝히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원본 고지도로서의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아 1989년 8월 국보로 지정되었다.

보존 상태는 양호한 편이나, 북쪽의 평안도만주 지역 지명은 판독이 어렵고, 남쪽의 전라도경상도 일부는 훼손되었다.

2. 1. 지도 구성

조선방역지도는 3단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맨 위에는 '조선방역지도'라는 제목이 전서로 쓰여 있다. 중간 부분에는 지도가 그려져 있으며, 맨 아래에는 지도 제작에 참여한 사람들의 관직, 성명, 본관, 아버지의 관직명이 기록되어 있다.

지도에는 조선 팔도의 주현(州縣)과 수영(水營) 및 병영(兵營)이 표시되었고, 각 군현마다 다른 색을 사용하여 알아보기 쉽게 하였다. 또한 산과 강의 경계도 자세하고 정확하게 묘사되어 있다. 지도의 형태는 현재의 전국지도와 매우 유사하다. 북쪽으로는 만주 지역, 남쪽으로는 제주도, 대마도까지 표시하여 조선 전기의 영토 인식을 보여준다.

각 도별 채색은 경상도는 적색, 전라도충청도는 황색, 강원도는 황록색, 경기도는 연황색, 황해도는 백색, 함경도는 청색, 평안도는 녹색으로 표현되어 있다.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와 비교하면, 두만강압록강이 직선으로 표현된 점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정확하다. 울릉도는 표기되어 있지 않으며, 만주와 대마도를 조선 영토처럼 표현하고 있다.

2. 2. 지도의 특징

지도에는 조선 팔도의 주현(州縣)과 수영(水營) 및 병영(兵營)이 표시되었는데, 특히 각 군과 현마다 색을 다르게 하여 알아보기 쉽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산과 강의 경계도 자세하고 정확하게 묘사하고 있다. 지도의 형태는 지금의 전국지도 모습과 매우 유사하다. 북쪽으로는 만주 지역과 남쪽으로는 제주도, 대마도까지 표시하여, 조선 전기 영토 의식을 엿볼 수 있다.

조선방역지도는 비단(絹)으로 된 병풍(契會圖)에 그려진 조선 팔도의 도현 지도이다. 크게 3단으로 나눌 수 있는데, 상단에는 “조선방역지도”라는 지도 제목이 전서체(篆書體)로 쓰여 있고, 중단에는 지도가 그려져 있으며, 하단에는 제작에 참여한 12명의 관직, 성명, 본관(本貫), 아버지의 관직명이 기록되어 있다.

조선반도 전역을 각 도, 현, 수영, 병영을 표기하고 채색하여 군현의 경계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 경상도(慶尙道)는 적색, 전라도(全羅道)·충청도(忠清道)는 황색, 강원도(江原道)는 황록색, 경기도(京畿道)는 연황색, 황해도(黃海道)는 백색, 함경도(咸鏡道)는 청색, 평안도(平安道)는 녹색으로 표현되어 있다. 산맥과 수계의 경계를 정교하게 표기하고 있으며,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混一疆理歴代國都之圖)와 비교하면 두만강(豆滿江)과 압록강(鴨綠江)이 직선적으로 표현된 점을 제외하면 대체로 정확하다. 이 지도에는 울릉도(鬱陵島)가 표기되어 있지 않고, 만주(滿洲)와 대마도(對馬島)를 조선 영토처럼 표현하고 있다.

3. 역사적 의의 및 가치

조선방역지도는 조선 전기에 제작된 한국 지도로, 크기는 가로 61㎝, 세로 132㎝이다. 지도에는 조선 팔도의 주현(州縣), 수영(水營), 병영(兵營)이 표시되어 있고, 각 군현마다 다른 색을 사용하여 알아보기 쉽게 하였다. 산과 강의 경계도 자세하고 정확하게 묘사되어 있으며, 지도의 형태는 현재의 전국지도 모습과 매우 유사하다. 북쪽으로는 만주 지역, 남쪽으로는 제주도, 쓰시마섬까지 표시하여 조선 전기의 영토 인식을 엿볼 수 있다.

명종 12년(1557)∼명종 13년(1558)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임진왜란일본으로 유출되었다가 1930년대에 다시 한국으로 돌아왔다. 동국지도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는 설이 있으며, 제용감에서 제작을 담당했다. 제작 참여자 명단은 지도 하단에 기록되어 있다.

비단 병풍에 그려진 조선 팔도의 도현 지도로, 상단에는 "조선방역지도"라는 제목이 전서체로 쓰여 있고, 중단에는 지도가, 하단에는 제작 참여자 12명의 관직, 성명, 본관, 아버지의 관직명이 기록되어 있다. 각 도, 현, 수영, 병영은 채색을 통해 구분되어 있으며, 경상도는 적색, 전라도, 충청도는 황색, 강원도는 황록색, 경기도는 연황색, 황해도는 백색, 함경도는 청색, 평안도는 녹색으로 표현되어 있다.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와 비교했을 때, 두만강압록강이 직선적으로 표현된 점을 제외하면 대체로 정확하다. 울릉도는 표기되어 있지 않지만, 만주와 쓰시마섬를 조선 영토처럼 표현하고 있다.

3. 1. 문화재적 가치

조선 전기에 제작된 이 지도는 명종 12년(1557)에서 명종 13년(1558)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임진왜란일본에 유출되어 쓰시마섬에 보관되어 있던 것을 1930년대에 입수하였다. 이 시기 조선 지도의 제작 수준 및 형식을 알 수 있어 가치가 높으며, 만든 이와 연대가 확실하여 다른 지도의 제작 시기를 밝힐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1989년 8월 국보로 지정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