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앳치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지 앳치슨은 미국의 외교관으로, 1896년 플로리다주 덴버에서 태어났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를 졸업하고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으며, 이후 미국 국무부에서 극동 관련 업무를 주로 담당했다. 중국 베이징, 창사, 톈진, 난징 등지에서 근무했으며, 난징 공사관 2등 서기관으로 재직 중 일본군의 파나이호 공격 사건을 겪었다. 2차 세계 대전 이후 연합군 최고사령부의 정치 고문 및 외교국장을 역임하며 일본 헌법 개정에 관여했고, 대일 정책에서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 1947년 B-17 폭격기 추락 사고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외교관 - 지미 카터
지미 카터는 해군 장교와 땅콩 농장 운영을 거쳐 조지아 주지사를 역임하고 도덕적, 진보적 이미지로 미국의 제39대 대통령을 지냈으며, 퇴임 후 카터 센터 설립과 인도주의 활동으로 2002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고 미국 역대 대통령 중 최장수 기록을 세웠다. - 미국의 외교관 - 리처드 스나이더
리처드 스나이더는 미국의 외교관이자 관료로, 국무부 외교관, NSC 수석보좌관, 주일 미국 대사관 수석 공사,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국무차관보 대리 등을 역임했으며 오키나와 반환 협상에 기여하고 주한 미국 대사로서 한미 관계에 관여했다. - 1947년 사망 - 홍사용
홍사용은 노작, 소아, 백우라는 호를 사용한 한국의 시인이자 극작가로, 민족주의적 낭만파 시인으로 평가받으며 일제강점기 친일 활동을 하지 않았고, 휘문의숙 재학 중 3.1 운동에 참여, 문예지 창간, 극단 활동, 희곡 창작 등의 활동을 했다. - 1947년 사망 - 김만일
김만일은 김일성과 김정숙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자 김정일의 동생으로, 소련에서 알렉산더 김으로 불렸으며, 사망 원인과 시점에 대해서는 북한과 러시아 측 기록이 다르고 김정일 책임론도 제기되나 신빙성은 낮다. - 1896년 출생 - 이기붕
이기붕은 이승만 정권에서 요직을 두루 거치며 권력의 핵심 인물로 활동했으나, 3.15 부정선거와 4.19 혁명으로 몰락하여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1896년 출생 - 허정
허정은 일제강점기 임시정부에서 활동하고 해방 후 제헌 국회의원, 교통부 장관, 사회부 장관, 서울특별시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독립운동가로, 4·19 혁명 후 대통령 권한대행 및 국무총리를 지내며 제2공화국 수립에 기여했다.
조지 앳치슨 | |
---|---|
기본 정보 | |
이름 | 조지 아치슨 주니어 |
출생일 | 1896년 10월 20일 |
출생지 | 콜로라도주덴버 |
사망일 | 1947년 8월 17일 |
직업 | 외교관 주일미국 합중국 법제 정책 고문 |
출신 학교 |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
인물 정보 | |
![]() |
2. 약력
조지 앳치슨은 1896년 미국 플로리다주 덴버에서 태어났다.[5]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를 졸업하고[4][6]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군 복무를 했다. 1920년 국무부 외교국에 들어가[5] 중국 베이징공사관에서 통역 연수생으로 근무했으며,[5][7] 이후 주로 극동 관련 업무를 담당했다.[7]
1920년 국무부 외교국에 들어가[5], 중국의 베이징공사관에서 통역 연수생으로 근무했다.[5][7] 이후 주로 극동 관련 사안을 담당했다.[7]
1923년부터 중국 창사 영사관 부영사[8], 1926년부터 캐나다 노스베이 영사관 부영사[8], 1927년부터 1934년까지 톈진 영사관 영사[5], 1934년부터 1939년까지 난징 공사관(1935년 대사관으로 승격) 2등 서기관을 지냈다.[5] 1938년부터 1939년까지 난징 외교관 지구 관리 위원장도 맡았다.[5]
1937년 12월, 중일 전쟁 난징 공략전 당시 일본군의 공습으로 파나이호가 침몰하는 사건(파나이호 사건)이 발생했을 때, 앳치슨은 대사관원들과 함께 승선해 있었으나 구조되어 상하이로 이송되었다.[6]
1939년 워싱턴 D.C. 국무성 극동부에서 근무했고,[7] 1941년부터 1943년까지 국무성 극동부 차장을 지냈다.[5] 1943년 충칭 대사관 참사관,[5] 1945년 대리 공사로 승진했다.[5][7] 중국 공산당에 대한 무기 대여 지원을 제안하는 등 중국 국민당 정부 지지 세력과 대립하기도 했다.[7]
1945년 9월 7일 연합군 최고사령부 더글러스 맥아더 사령관의 정치 고문(POLAD) 자격으로 일본에 파견, 1946년 4월 18일 연합군 최고사령부 외교국장에 취임했다. 1946년 4월 22일부터 맥아더 대신 연합국 대일이사회의 미국 대표 겸 의장도 겸임했으며, 1946년 5월 30일 대사급으로 승진했다. 1947년 8월 17일 B-17 폭격기 추락 사고로 사망했다.
3. 중국 근무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와의 관계
1923년부터 1924년까지 중국의 창사 영사관에서 부영사를 지냈다.[8]
1927년부터 1934년까지 중국의 톈진 영사관에서 영사를 지냈다.[5] 1934년부터 1939년까지 중국의 난징 공사관(1935년에 대사관으로 승격)에서 2등 서기관을 지냈다.[5] 1938년부터 1939년까지는 난징 외교관 지구 관리 위원장도 맡았다.[5]
1937년 12월 12일, 중일 전쟁의 난징 공략전으로 일본군의 공습을 받아 미국 함대의 양쯔강 경비함 파나이호가 침몰했다. (파나이호 사건)[6] 당시 난징 공사관(1935년에 대사관으로 승격)에서 2등 서기관으로 근무중이던[5] 앳치슨은 12월 11일에 파나이호로 피난을 시작했으나,[6] 다음날 일본군의 공격을 받았다.[6] 앳치슨 등 대사관원은 구조되어 상하이로 이송되었다.[6]
1938년 3월 11일, 애치슨은 난징으로 돌아갔지만, 그 이틀 후에 다시 상하이로 이동했다.[6]
1943년부터 중국의 충칭 대사관에서 참사관이 되었고,[5] 1945년에 대리 공사로 승진했다.[5][7] 1945년, 애치슨은 상사였던 패트릭 제이 할리 주중 대사의 업무 명령을 위반했다는 혐의를 받았다.[7] 당시 미국 연방 의회에서는 중국 국민당 정부를 지지하는 세력이 강했다. 그러나 애치슨은 이에 반발하여 중국 공산당에 대한 무기 대여 지원을 제안했다.[7] 애치슨은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던 극동 국장 존 카터 빈센트와 손을 잡고 미국은 중국 공산당과 좋은 관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권장했다.[7] 애치슨은 국무 장관 제임스 번스의 옹호를 받았지만, 결국 할리 주중 대사의 요구에 따라 자택 근신 조치를 받았다.[7]
3. 1. 파나이호 사건
1937년 12월 12일, 중일 전쟁의 난징 공략전으로 일본군의 공습을 받아 미국 함대의 양쯔강 경비함 파나이호가 침몰했다. (파나이호 사건)[6] 당시 난징 공사관(1935년에 대사관으로 승격)에서 2등 서기관으로 근무중이던[5] 앳치슨은 12월 11일에 파나이호로 피난을 시작했으나,[6] 다음날 일본군의 공격을 받았다.[6] 앳치슨 등 대사관원은 구조되어 상하이로 이송되었다.[6]
3. 2. 대한민국 임시정부 지원
4. 대일 정책
조지 앳치슨은 일본에 대해 강경한 자세를 취했다.[15] 1947년 7월 26일 아시다 사토시 외무상이 대일강화조약 관련 9개 항목의 일본 정부 요망안을 제출했지만, 앳치슨은 이틀 뒤 접수를 거부했다.[15] 충칭 임시정부의 조소앙, 김구 등과 접촉한 경험이 있어 임시정부 사정에 정통했다.[15] 앳치슨의 사망을 계기로 연합군 최고사령부 내에서 윌리엄 시볼드 등 일본 전문가가 득세하기 시작했고, 대일 정책에서도 징벌적 정책과 민주화 정책에서 온건한 현상 유지 정책 내지 역코스가 시작됐다.[16]
1945년 9월 7일, 앳치슨은 연합군 최고사령관 더글러스 맥아더의 정치 고문으로 국무성에서 파견되었다.[4] 번스 국무장관은 앳치슨에게 맥아더의 움직임을 감시하는 역할도 기대했다.[10] 10월 8일에는 고노에 후미마로 등과 일본국 헌법 개정에 관해 회합을 갖고 미국 측 개정안을 제시했다.[11] 1946년 1월 초에는 미국 정부에 아사히 신문, 마이니치 신문, 요미우리 신문 등 일본 보도 매체에 관한 간결한 보고를 했다.[12]
1946년 4월 18일, 연합군 최고사령관 총사령부 내에 외교국이 설치됨에 따라 외교국장으로 취임했으며[4], 대사 지위도 부여받았다.[5] 4월 22일부터는 맥아더의 대리로서 대일 이사회 의장도 맡았다.[4] 1947년 5월 3일, 일본국 헌법이 공포되었다.
1947년 8월 15일, 앳치슨은 공무로 워싱턴 D.C.로 돌아가기 위해 B-17 폭격기를 타고 도쿄를 출발했다.[13] 괌에서 엔진을 교체하고,[13] 마셜 제도 콰잘레인 환초를 거쳐 하와이 제도 오아후 섬으로 향하던 중,[13] 8월 17일 연료 부족으로 오아후 섬 서쪽 약 100킬로미터 지점에서 추락했다.[14] 앳치슨의 유해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8월 17일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었다.[8]
4. 1. 대일 강화 조약 관련 일본 정부 요망안 거부
4. 2. 일본 헌법 개정 관여
1945년 9월 7일, 앳치슨은 연합군 최고사령관 더글러스 맥아더의 정치 고문으로 국무성에서 파견되었다.[4] 번스 국무장관은 앳치슨에게 맥아더의 움직임을 감시하는 역할도 기대했다.[10]10월 8일, 전 내각총리대신 고노에 후미마로, 다카기 야사카, 마쓰모토 시게하루, 우시바 토모히코와 일본국 헌법 개정에 관해 처음으로 회합을 갖고[11], 12개 항목의 미국 측 개정 항목안을 제시하여 검토를 시작했다.
국무·육군·해군 삼성 조정 위원회가 일본의 통치 체제 개혁의 지침(SWNCC228과 SWNCC228/1)을 책정한 1946년 1월 초에는 미국 정부에 대해 아사히 신문, 마이니치 신문, 요미우리 신문 등 보도 매체에 관한 간결한 보고를 했다.[12]
같은 해 4월 18일, 연합군 최고사령관 총사령부 내에 외교국이 설치됨에 따라 외교국장으로 취임[4]했다. 더불어 대사 지위도 부여받았다.[5] 1946년 4월 22일부터는 맥아더의 대리로서 대일 이사회 의장도 맡았다.[4]
1947년 5월 3일, 일본국 헌법이 공포되었다.
4. 3. 앳치슨 사후 미국의 대일 정책 변화
아시다 사토시 외무상은 1947년 7월 26일 앳치슨 연합군 최고사령부 외교국장에게 대일강화조약 관련 9개 항목의 일본 정부 요망안을 제출했지만, 앳치슨은 7월 28일 아시아 외무상을 불러 접수를 거부했다.[15] 반면 충칭에 있을 때 충칭 임시정부의 조소앙, 김구 등과 접촉해본 경험을 갖고 있어 임시정부 사정에 정통했다.[15] 앳치슨의 사망을 계기로 연합군 최고사령부 내에서 중국 전문가 대신 윌리엄 시볼드 등 일본 전문가가 득세하기 시작했고, 대일 정책에서도 징벌적 정책과 민주화 정책에서 온건한 현상 유지 정책 내지 역코스가 시작됐다.[16]5. 사망
1947년 8월 15일, 앳치슨은 공무로 워싱턴 D.C.로 돌아가기 위해 B-17 폭격기에 탑승하여 도쿄를 출발했다.[13] 앳치슨을 태운 B-17 폭격기는 도중 엔진 문제로 괌에서 엔진을 교체했다.[13] B-17 폭격기는 3시간의 테스트 비행을 한 후 약 2,000킬로미터 떨어진 마셜 제도 콰잘레인 환초까지 비행했다.[13] 8월 16일, 앳치슨을 태운 B-17 폭격기는 콰잘레인 환초를 출발하여 다음 목적지인 하와이 제도의 오아후 섬을 향했으나,[13] 8월 17일 연료 부족으로 오아후 섬 서쪽 약 100킬로미터 지점에서 추락했다.[14] 앳치슨의 유해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8월 17일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었다.[8]
6. 평가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Chinese Civil War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3-07-29
[2]
서적
China Hand: An Autobiograph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2-01-31
[3]
뉴스
ARMY CRAFT CRASHES IN OCEAN Ambassador Atcheson Dies in Plane Crash Near to Hawaii Isle
https://cdnc.ucr.edu[...]
2021-03-22
[4]
웹사이트
日本国憲法の誕生 人物紹介
https://www.ndl.go.j[...]
국립국회도서관
2010-02-21
[5]
서적
The United States in Asia: A Historical Dictionary
Greenwood Pub Group
[6]
서적
Terror in Minnie Vautrin's Nanjing: Diaries and Correspondence, 1937-38
Univ of Illinois Pr
[7]
뉴스
FOREIGN RELATIONS: It Can't Be Helped
http://www.time.com/[...]
2010-02-21
[8]
웹사이트
Index to Politicians: Ashlin to Athens
http://politicalgrav[...]
2010-02-21
[9]
웹사이트
The Sinking of the USS Panay
http://www.usspanay.[...]
2010-03-14
[10]
서적
日本永久占領―日米関係、隠された真実
講談社
[11]
서적
近代日本総合年表 第四版
岩波書店
[12]
문서
The Acting Political Adviser in Japan (Atcheson) to the Secretary of State
https://history.stat[...]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s States, 1946: The Far East. Volume VIII.
[13]
뉴스
Spaatz Asks Crash Probe
1947-08-19
[14]
뉴스
Atcheson Lost in Airplane's Crash at Sea
1947-08-18
[15]
간행물
독도1947
[16]
간행물
독도194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