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리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종리군은 동진 안제 때 회남군을 분할하여 설치된 중국의 옛 행정 구역이다. 서주에 속했으며, 남조 시대에는 남서주, 남연주, 북서주 등으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북제 시기에는 서초주에 속했고, 수나라 때 호주로 개칭되었다가 수 양제 때 종리군으로 다시 이름이 바뀌었다. 당나라 초에는 호주로 개칭되었으며, 천보 연간에 다시 종리군으로 바뀌었다가 건원 연간에 호주로 환원되어 종리군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 종리군의 관할 현은 시대에 따라 변동되었으며, 연현, 조가, 낙평, 우, 령, 종리, 정원, 화명, 도산 등이 포함되었다.
동진 때 회남군에서 분할되어 종리군이 설치되었다. 이후 여러 왕조를 거치며 소속과 명칭이 변경되었다.
2. 역사적 배경
남조 송 시기에는 남서주, 남연주, 서주 등으로 소속이 바뀌었다. 남조 제 때는 북서주에 속했다.
북제 때는 서초주에 속했으며, 582년(개황 2년) 서초주가 호주로 개칭되면서 종리군은 호주에 속했다. 583년(개황 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종리군은 폐지되었다. 607년(대업 3년) 호주가 다시 종리군으로 바뀌었다.
620년(당나라 무덕 3년), 종리군은 호주로 개칭되었고, 742년(천보 원년)에 다시 종리군으로 바뀌었다가, 758년(건원 원년)에 호주로 개칭되어 종리군의 명칭은 사라졌다.
2. 1. 남조
동진의 안제 때, 회남군을 분할하여 종리군이 설치되었다. 종리군은 서주에 속했으며, 군 치소는 연현에 두었다.
421년 (남조 송 영초 2년), 회남의 서주가 남서주로 개칭되면서 종리군은 남서주에 속하게 되었다. 원가 연간에는 종리군이 남연주로 전속되었다. 473년 (원휘 원년), 종리군은 다시 서주로 전속되었다. 송나라 때 종리군은 연, 조가, 낙평 3현을 관할했다.
남조 제 때, 종리군은 북서주에 속했으며, 연, 조가, 우, 령 4현을 관할했다.
2. 1. 1. 남조 시대의 행정 구역
영가의 난으로 회남군에 속한 현 대부분이 폐지되고 회남군이 장강이남으로 교치되면서 이 지역은 버려졌다. 한편, 후조는 320년에 복양군의 일부를 분리해 '''동연군(東燕郡)'''을 신설했다. 하지만 동연군 설치 이후 화북지역이 다시 내란으로 황폐화되자 주민들은 이를 피해 종리현 지역에 정착했다.[5]
이에 안제 치하 동진은 종리현을 연현(燕縣)으로 개명하고 종리군을 새로이 설치했다. 유송 대에는 3현 3,272호 17,832명을 거느리게 되었다.[5] 473년(유송 후폐제 원휘 원년), 북서주가 신설되면서 북서주의 속군이 되었다.[5]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직위 | 비고 |
---|---|---|---|---|
연현 | 燕縣 | 추저우시 펑양 현 임회관진(臨淮關鎭) 동 | 현령(縣令) | 본래 종리현이었으나 종리군을 신설하면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
조가현 | 朝歌縣 | 추저우시 펑양 현 동 | 하내군 주민들이 정착한 지역에서 신설되었다. | |
낙평현 | 樂平縣 | 추저우시 펑양 현 동남 | 동군 주민들이 정착한 지역에서 신설되었다. 남제 시기인 483년(남제 무제 영명 원년), 제음군으로 이관되었다. | |
우현 | 虞縣 | 미상 | 본래 마두군에 속했으나 483년 본군으로 이관되었다. | |
영현 | 零縣 |
2. 2. 북조, 수
북제 때 종리군은 서초주에 속했다. 582년(개황 2년), 서초주는 호주로 개칭되었고, 종리군은 호주에 속했다. 583년(개황 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종리군은 폐지되어 호주에 편입되었다. 607년(대업 3년)에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면서 호주가 종리군으로 개칭되었다.2. 2. 1. 북조, 수 시대의 행정 구역
북제 때 '''서초주(西楚州)'''로 분리되었다. 수나라 건국 초기에 주현제가 실시되면서 종리군이 폐지되고 그 자리에 '''호주(濠州)'''가 설치되었다. 수양제 때 군현제가 다시 실시되면서 호주는 종리군으로 개명되었다. 4현 35,015호를 거느렸다.[6]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종리현 | 鐘離縣 | 추저우시 펑양 현 임회관진(臨淮關鎭) 동 | |
정원현 | 定遠縣 | 추저우시 딩위안 현 동남 | 양나라 때 동성현(東城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고 임호군(臨濠郡)으로 승격되었다. 임호군은 북제 때 광안군(廣安郡)으로 개명되었으나 수나라 초에 폐지되었다. 북제 때 구강군(九江郡) 폐지 이후 설치된 곡양현(曲陽縣)이 본현에 통폐합되었다. 또한 후경의 난 때 양나라가 설치한 안주(安州)가 본현에 내속되었다. |
화명현 | 化明縣 | 추저우시 밍광 시 동북 여산호진 일대 | 제음군 수릉현(睢陵縣)이었으나 북제 때 지남현(池南縣)으로 개명되었다. 진나라가 본현을 수복한 뒤 원래 이름으로 복귀시켰다가 북주가 이 지역을 차지하면서 소의현(昭義縣)으로 개명되었다. 개황 초 제음군이 폐지되면서 같이 폐지되었으나 대업 초 지금의 이름으로 복구되었다. |
도산현 | 塗山縣 | 벙부시 위후이 구 서 마성진 일대 | 북제 때 형산군(荊山郡) 마두현(馬頭縣)이었으나, 개황 초기 현은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고 군은 폐지되었다. 현내에 당도산(當塗山)이 있었다. |
2. 3. 당
620년 당 고조 무덕 3년에 종리군은 호주(濠州)로 개칭되었고, 소의, 도산, 정원, 종리 4현을 관할했다. 742년(당 현종 천보 원년) 호주는 종리군으로 다시 개칭되었다가, 758년(당 숙종 건원 원년)에 종리군은 호주로 다시 바뀌면서 종리군의 명칭은 사라졌다.[7]2. 3. 1. 당 시대의 행정 구역
620년(당 고조 무덕 3년), 종리군이 '''호주(濠州)'''로 개명되었다. 그리고 임호현(臨濠縣)이 정원현으로, 화명현이 초의현(招義縣)으로 개명되면서 종리현, 도산현, 정원현, 초의현의 4개 현을 통치하게 되었다.[7] 742년(당 현종 천보 원년), 군현제가 실시되면서 '''종리군(鐘離郡)'''이 설치되었다. 758년(당 숙종 건원 원년), 주현제가 재실시되면서 호주로 돌아왔다. 본래 3현 2,660호 13,855명을 거느렸으나 천보 연간에 21,864호 108,361명을 거느리게 되었다.[7]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종리현 | 鐘離縣 | 추저우 시 펑양 현 임회관진 동 | 621년(당 고조 무덕 4년), 도산현이 종리현에 통폐합되었다. |
정원현 | 定遠縣 | 추저우 시 딩위안 현 동남 | |
초의현 | 招義縣 | 추저우 시 밍광 시 동북 여산호진 일대 |
참조
[1]
서적
宋書
[2]
서적
南斉書
[3]
서적
隋書
[4]
서적
旧唐書
[5]
서적
송서 35권 지 제25 주군지 1 서주 종리군
https://zh.wikisourc[...]
[6]
서적
수서 31권 지 제26 지리지 下 양주 종리군
https://zh.wikisourc[...]
[7]
서적
구당서 40권 지 제20 지리지 3 회남도 호주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