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군은 중국 역사에서 여러 시기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기원전 244년 진나라가 위나라를 공격하여 설치한 것이 시초이다. 전한 시대에는 연주에 속했으며, 왕망의 신나라 시기에는 치정군으로 개칭되었다가 후한 시대에 동군으로 명칭이 회복되었다. 이후 복양국, 남복양군으로 분리되기도 했으며, 북위 시대에 다시 설치되어 연주에 속했다. 수나라 때는 기주, 활주, 연주로 불리다가 607년 동군으로 개칭되었으며, 618년 당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활주로 개칭되어 동군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 동군에는 복양, 연, 백마 등 여러 현이 속했으며, 한연수, 조조 등 주요 인물들이 동군 태수를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허난성의 군 - 하남군
    하남군은 전국 시대 한나라에서 처음 설치되어 진나라를 거쳐 전한 시대에는 삼하로 불렸으며, 후한 시대에는 하남윤으로 개칭되어 낙양을 관할하는 중요한 지역으로 위진 시대까지 존속한 군이다.
  • 허난성의 군 - 남양군 (중국)
    남양군은 기원전 272년 진나라 소양왕 때 설치되어 한수 북쪽의 옛 초나라 땅을 관할했던 군으로, 시대에 따라 소속과 영역이 변하다 수나라 때 잠시 등주로 바뀌었다가 당나라 때 폐지되었다.
  • 산둥성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 산둥성의 군 - 제북군
    제북군은 진나라가 제나라를 멸망시킨 후 설치된 군으로, 전한 시대에는 제북나라로 바뀌었으며, 유흥거의 반란으로 폐지되었다가 제북군과 제남군으로 분리되기도 했다.
  • 진나라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 진나라의 군 - 회계군
    회계군은 중국 고대 월나라의 중요 지역으로, 우와 관련이 깊으며 진시황에 의해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경제, 군사, 문화적으로 번영을 누렸던 행정 구역이다.
동군
개요
위치중국의 춘추전국시대
존속 기간기원전 6세기 ~ 기원전 3세기 말
중심지허난 성 북부, 산둥 성 서부, 허베이 성 남부
역사
형성춘추 시대 초기
멸망진나라에 의해 멸망
주요 사건조나라와의 장평 전투
정치
통치 방식군현제
주요 정책법가 사상 기반의 강력한 통치
군사
주요 전투장평 전투
군사적 특징강력한 기병 운용
사회
사회적 특징엄격한 법률과 규율
주요 인물오기, 상앙
문화
사상적 기반법가 사상
주요 유적동군 지역의 고대 성곽 및 유물

2. 역사적 배경

기원전 242년 진나라 장군 몽오가 위나라를 공격하여 산조, 연, , 장평, 옹구, 산양 등 20개 성을 함락시키면서 동군이 설치되었다.[10]

기원전 196년 황자 유휘팽월을 대신하여 양왕에 봉해지면서 양국에 동군이 추가되었다.[11] 기원전 181년 양왕 유휘가 조왕이 되고, 여왕 여산이 양왕이 되었다가, 기원전 180년 여산이 살해되자 양국이 폐지되고 다시 동군이 설치되었다.[12]

전한 말 동군은 연주에 속했으며, 22개 현, 40만 1,297호, 165만 9,028명을 관할했다.[13] 왕망 때 '''치정군'''으로 개칭되었다가,[14] 후한 건국 후 동군으로 명칭이 회복되어 15개 현을 관할했다.[15]

277년(서진 함녕 3년), 황자 사마윤이 복양왕에 봉해지면서 복양국이 설립되었고,[16] 복양, 림구, 백마, 전성의 4개 현을 관할했다.[17] 남조 송 때에는 남서주 소속 남복양군이 림구, 유차 2개 현을 관할했다.[18]

북위 때 동군이 다시 설치되어 연주에 속했고, 활대성에 군치가 설치되었으며, 동연, 평창, 백마, 량성, 산조, 장원, 장락의 7개 현을 관할했다.[19]

589년( 개황 9년) 기주가 설치되었고, 596년 활주로 개칭되었다가, 606년 연주로 다시 개칭되었다. 607년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면서 연주는 동군으로 개칭되었고, 백마, 영창, 위남, 복양, 봉구, 광성, 자성, 웨이성, 이호의 9개 현을 관할했다.[20]

618년(무덕 원년), 이 군제를 폐지하면서 동군은 활주로 개칭되었고, 동군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21]

2. 1. 전국 시대

기원전 244년, 진나라몽오를 보내 위나라를 공격하고 40여 성을 빼앗아 처음 설치했다. 위나라의 동쪽 지역이라 하여 동(東)이라는 이름이 붙었다.[22]

기원전 242년, 진나라 장군 몽오가 위나라를 공격하여 산조, 연, , 장평, 옹구, 산양 등 20개 성을 함락시키자 동군이 설치되었다.[10]

기원전 196년(고제 11년), 황자 유휘팽월을 대신하여 양왕에 봉해지면서 양국에 동군이 추가되었다.[11] 기원전 181년(여후 7년), 양왕 유휘가 조왕이 되고, 여왕 여산이 양왕이 되었다. 기원전 180년(여후 8년), 여산이 살해되자 양국이 폐지되고 다시 동군이 설치되었다.[12]

전한 말 동군은 연주에 속했으며, 22개 현을 관할했다. 40만 1,297호, 165만 9,028명이 동군에 속했다.[13]

현 이름한자
복양濮陽
료성聊城
돈구頓丘
발간發干
치평茌平
동무양東武陽
박평博平
동아東阿
이호離狐
림읍臨邑
이묘利苗
수창壽張
수량須昌
악창樂昌
양평陽平
백마白馬
남연南燕
임구廩丘



왕망 때, '''치정군'''으로 개칭되었다.[14]

후한이 건국되면서 동군으로 명칭이 회복되었다. 후한 시대 동군은 15개 현을 관할했다.[15]

현 이름한자
복양濮陽
백마白馬
돈구頓丘
동아東阿
동무양東武陽
림읍臨邑
박평博平
료성聊城
발간發干
낙평樂平
양평陽平
위국衛國
곡성穀城



277년(서진 함녕 3년), 황자 사마윤이 복양왕에 봉해지면서 복양국이 설립되었다.[16] 복양국은 복양, 림구, 백마, 전성의 4개 현을 관할했다.[17]

남조 송 때, 남서주에 속하는 남복양군이 있었고, 림구, 유차의 2개 현을 관할했다.[18]

북위 때, 동군이 다시 설치되었다. 동군은 연주에 속했고, 활대성에 군치가 설치되었으며, 동연, 평창, 백마, 량성, 산조, 장원, 장락의 7개 현을 관할했다.[19]

589년(개황 9년), 기주가 설치되었다. 596년(개황 16년), 활주로 개칭되었다. 606년(대업 2년), 연주로 개칭되었다. 607년(대업 3년)에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면서 연주는 동군으로 개칭되었다. 동군은 백마, 영창, 위남, 복양, 봉구, 광성, 자성, 웨이성, 이호의 9개 현을 관할했다.[20]

618년(무덕 원년), 이 군제를 폐지하면서 동군은 활주로 개칭되었고, 동군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21]

2. 2. 전한

고제가 아들 유회를 양나라 왕에 봉하면서 동군을 양나라에 덧붙여주었다.[23] 연주자사부에 속했으며, 기원전 8년 기준 총 23현, 40만 1,297호, 165만 9,028명이 있었다. 현대의 랴오청 시, 푸양 시 영역에 해당한다.

이름치소비고
복양현푸양시 푸양현 남 어둔촌(于屯村) 일대옛 제구(帝丘)로 위 성공이 천도한 곳이며 전욱(顓頊)의 옛 터.
반현랴오청 시 부근?왕선겸 등의 설에 따르면 별도의 현이 아니라 관현이 반관현으로 잘못 써진 것이라 하나, 거연한간 등의 당대 사료에서 반현의 존재가 확인됐다.
관현푸양시 칭펑현응소에 따르면 이곳에 하나라의 관호(觀扈)가 있었고, 후한 광무제가 이름을 위(衛)로 고쳐 주나라의 후예를 봉했다.
요성현랴오청시 약간 서북 요고묘(聊古廟) 백가와(白家洼) 일대
돈구현푸양시 칭펑현 고성진(固城鎭)
발간현랴오청시 관현
범현지닝시 량산현 수장집진(壽張集鎭) 일대
치평현산둥 성 랴오청 시 츠핑 현 남서쪽茌平이라고도 쓴다.[25][26][27]
동무양현랴오청시 선현 남 십팔리포진(十八里鋪鎭) 일대우임금이 치수한 탑수(漯水)가 이곳 동북에서 흘러나와 세 군을 지나 천승군에서 바다로 들어간다.
박평현랴오청시 츠핑현 왕채과촌(王菜瓜村) 일대
여현허쩌시 윈청현 진파향(陳坡鄕)소노의 봉국이다.
청현랴오청시 둥창푸구 장로집진(張爐集鎭) 일대
동아현랴오청시 양구현 아성진(阿城鎭)도위가 다스렸다.
이호현허쩌시 무단구 이촌진(李村鎭) 일대
임읍현랴오청시 둥어현
이묘현?
수창현타이안시 둥핑현 동평호 동 유와촌(劉洼村) 일대옛 수구국(須句國)으로 대호의 후손이며 풍성이다.
수량현타이안시 둥핑현 동평호(東平湖) 동남 동평호운하 동안치우의 사당이 서북 제상(泲上)에 있다. 구성(朐城)이 있다. 응소에 따르면 후한 광무제의 숙부 조효왕 유양을 피휘해 수장으로 고쳤다고 한다.
악창현허난 성 푸양 시 난러 현 북서쪽
양평후국랴오청시 선현
백마현안양시 화현 백마장촌(白馬墻村)
남연현신샹시 옌진현 북동 교행장촌(喬杏庄村) 일대남연국(南燕國)이 있었는데 길성이며 황제의 후손이다.
늠구현허쩌시 쥐안청현 수보향(水堡鄕) 일대

[28]

2. 3. 신나라

왕망은 동군의 이름을 치정(治亭)으로 고치고, 일부 현의 이름을 아래와 같이 변경했다.[28]

전한
복양(濮陽)치정(治亭)
관(觀)관치(觀治)
둔구(頓丘)순구(順丘)
발간(發干)집순(戢楯)
범(范)건목(建睦)
치평(茬平)공숭(功崇)
동무양(東武陽)무창(武昌)
박평(博平)가목(加睦)
여(黎)여치(黎治)
청(淸)청치(淸治)
이호(離狐)서호(瑞狐)
임읍(臨邑)곡성정(穀城亭)



진류군이 해체되었을 때, 봉구현(封丘縣) 이동(以東)을 편입하였다.[29]

2. 4. 후한

140년 기준 동군은 15개 성, 136,088호, 603,393명을 거느렸다.[30]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복양현濮陽縣푸양시 푸양현 남 어둔촌(于屯村) 일대옛 곤오국(昆吾國)이다.
연현燕縣신샹시 옌진현 북동 교행장촌(喬杏庄村) 일대본디 남연국(南燕國)이다. 옹향(雍鄕), 작성(胙城, 옛 작나라), 평양정(平陽亭), 와정(瓦亭), 도성(桃城)이 있었다.
백마현白馬縣안양시 화현 백마장촌(白馬墻村)위향(韋鄕)이 있다.
돈구현頓丘縣푸양시 칭펑현 고성진(固城鎭)
동아현東阿縣랴오청시 양구현 아성진(阿城鎭)청정(淸亭)이 있다.
동무양현東武陽縣랴오청시 선현 남 십팔리포진(十八里鋪鎭) 일대 → 랴오청시 선현 장채진(張寨鎭) 일대답수[31](濕水)가 나온다.
범현范縣지닝시 량산현 수장집진(壽張集鎭) 일대진정(秦亭)이 있다.
임읍현臨邑縣랴오청시 둥어현패묘(沛廟)가 있다.
박평현博平縣랴오청시 츠핑현 왕채과촌(王菜瓜村) 일대
요성현聊城縣랴오청시 약간 서북 요고묘(聊古廟) 백가와(白家洼) 일대이의취(夷儀聚), 섭척(聶戚)이 있다.
발간현發干縣랴오청시 관현
악평후국樂平候國랴오청시 둥창푸구 장로집진(張爐集鎭) 일대옛 청(淸)현으로 장제가 개명했다.
양평후국陽平候國랴오청시 선현신정(莘亭), 강성성(岡成城)이 있다.
위공국衛公國푸양시 칭펑현본래 관(觀)이란 옛 나라로 요성(姚姓)인데, 광무제가 개명했다. 하목성(河牧城), 간성(竿城)이 있다.
곡성현穀城縣지난시 핑인현 동아진(東阿鎭) 서부 일대춘추 시대엔 소곡(小穀)이었다. 휴하취(巂下聚)가 있다.



수량현은 수장현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수창현과 함께 동평국으로, 치평현은 제북국으로, 이호현과 늠구현은 제음군으로 넘어갔다.[27]

2. 5. 위진

서진 건국 후, 신설된 양평군황하 이북 지역이, 동평국에 범현이, 제북국에 임읍·동아·곡성현이 넘어가면서 동군의 영역은 축소되었다.[32] 277년 (서진 무제 함녕 3년) 8월, 사마윤이 복양왕으로 책봉되면서 동군은 '''복양국(濮陽國)'''으로 승격되었다.[32][33]

2. 6. 남북조 시대

북위 초기 동군이 다시 설치되었다. 494년(북위 효문제 태화 18년) 사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 위나라 때 동군은 7현 30,521호 107,717명을 거느렸다.[34]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동연현東燕縣신샹시 옌진현 북동 교행장촌(喬杏庄村) 일대398년(진 안제 융안 2년) 연현(燕縣)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현 경내에 연성(燕城), 요사(堯祠), 오자서의 사당(伍子胥祠)이 있었다.
평창현平昌縣526년(북위 효명제 효창 2년) 백마현에서 분리신설되어 평창성(平昌城)에 치소를 두었다.
백마현白馬縣안양시 화현 백마장촌(白馬墻村)현 경내에 조구(朝溝), 백마성(白馬城), 번성(樊城), 범호성(凡豪城)이 있었다.
양성현涼城縣안양시 화현 초루촌(焦樓村)현 경내에 양성(涼城), 남중성(南中城), 서왕모의 사당(西王母祠)이 있었다.
산조현酸棗縣신샹시 옌진현 서북 왕촌(王村) 일대487년(북위 효문제 태화 11년) 소황현에 통폐합되었다가 494년 지금의 위치에서 재설치되었다.
장원현長垣縣447년(북위 태무제 태평진군 8년) 외황현에 통폐합되었다가 502년(북위 선무제 경명 3년) 재설치되었다. 현 경내에 평구성(平丘城), 광성(匡城), 포성(蒲城), 자로사(子路祠), 장원성(長垣城), 위영공의 사당(衞靈公祠), 용성(龍城)이 있었다.
장락현長樂縣


2. 7. 수나라

9현 121,905호였다. 군제를 폐지했을 때 기주(杞州), 활주(滑州), 연주라 하였다.[35] 지금의 신샹시 동부, 안양시 화현, 푸양시 푸양 현 일대이다.

현명대략적 위치비고
백마안양시 화현
영창(靈昌)안양시 화현 서남
위남(衛南)안양시 화현 동북
복양푸양시 푸양 현
봉구신샹시 펑추 현
광성(匡城)신샹시 창위안 현596년(개황 16년)에 장원(長垣)을 개명
조성(胙城)598년에 동연(東燕)을 개명
위성(韋城)안양시 화현 동남
이호


3. 주요 인물


  • 한연수 (? ~ 기원전 60년)
  • 진함 (? ~ 기원전 24년)
  • 왕상 (? ~ 기원전 20년)
  • 아무개 (? ~ 기원전 14년): 소령의 난으로 피살되었다.[36]
  • 병창 (2년)
  • 적의 (? ~ 7년)

참조

[1]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s:zh:史記/卷006
[2] 서적 Book of Han :s:zh:漢書/卷001下
[3] 서적 Book of Han :s:zh:漢書/卷013
[4] 서적 Book of Han :s:zh:漢書/卷028上
[5] 서적 Book of Later Han :s:zh:後漢書/卷1下
[6] 서적 Book of Later Han :s:zh:後漢書/卷111
[7] 서적 Book of Jin :s:zh:晉書/卷014
[8] 서적 Book of Wei :s:zh:魏書/卷106上
[9] 서적 Book of Wei :s:zh:隋書/卷30
[10] 서적 史記
[11] 서적 漢書
[12] 서적 漢書
[13] 서적 漢書 筑摩書房
[14] 서적 漢書 筑摩書房
[15] 서적 後漢書
[16] 서적 晋書
[17] 서적 晋書
[18] 서적 宋書
[19] 서적 魏書
[20] 서적 隋書
[21] 서적 旧唐書
[22] 서적 사기 :zh:史記/卷008
[23] 서적 한서 :zh:漢書/卷001下
[24] 저널 漢初 郡國制와 지방통치책 2004
[25] 서적 사기
[26] 서적 한서
[27] 서적 속한서
[28] 서적 한서
[29] 서적 한서
[30] 서적 후한서 https://zh.wikisourc[...]
[31] 문서 한서에서 탑수(漯水)라고 한 그 강이다.
[32] 서적 진서 https://zh.wikisourc[...]
[33] 서적 자치통감 https://zh.wikisourc[...]
[34] 서적 위서 https://zh.wikisourc[...]
[35] 서적 수서
[36] 서적 한서 권10 성제기
[37] 서적 삼국지 권1 무제기제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