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은 가브리엘 천사가 마리아에게 예수의 잉태를 알린 것을 기념하는 축일이다. 루카 복음서에 기록된 천사의 인사와 마리아의 응답은 성모송과 삼종기도의 기원이 되었다. 6세기부터 기념되었으며, 서방 교회에서는 성주간이나 부활 주간에 해당될 경우 날짜가 변경되지만, 동방 교회에서는 변경되지 않는다. 3월 25일로 기념되며, 춘분과 연관되어 창조와 구원의 시작을 의미한다. 한국의 가톨릭 교회와 개신교에서도 기념하며,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3월 25일을 국제 낙태 반대 운동의 날로 지정했다. 또한 그리스 독립 기념일과 레바논의 공휴일과도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스라엘의 공휴일 - 욤 하쇼아
    욤 하쇼아는 나치와 그 협력자들에 의해 자행된 유대인 대량 학살(홀로코스트) 희생자들을 기리는 이스라엘의 국가 기념일이다.
  • 이스라엘의 공휴일 - 승리의 날 (5월 9일)
    승리의 날(5월 9일)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나치 독일에 대한 연합국의 승리를 기념하는 날로, 독일 항복 문서 서명과 시차로 인해 소련 및 구 소련 국가에서 5월 9일에 기념하며, 러시아를 중심으로 대규모 행사와 상징을 통해 기념되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기념 방식에 변화가 있다.
  • 3월 25일 - 노예제 및 대서양 노예 무역 희생자 국제 추모의 날
    노예제 및 대서양 노예 무역 희생자 국제 추모의 날은 노예제와 대서양 노예 무역 희생자를 기리고 인종 차별과 편견의 위험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날로, 유엔의 아프리카계 사람들을 위한 국제 10년이 시작된 2015년에는 "여성과 노예제"라는 주제로 기념되었으며 뉴욕 유엔 본부에 "귀환의 방주"라는 영구 기념물이 공개되었다.
  • 3월 25일 - 억류되고 행방불명된 활동가를 위한 국제 연대의 날
    억류되고 행방불명된 활동가를 위한 국제 연대의 날은 매년 3월 25일, 억류되거나 행방불명된 활동가들의 석방과 정의 구현을 위한 국제적인 연대를 강조하며, 특히 알렉 콜렛을 기리는 날이다.
  • 기독교 예배 및 전례 - 성찬
    성찬은 기독교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최후의 만찬을 기념하여 빵과 포도주를 나누는 예식으로, 성찬례, 성만찬, 성체성사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교파에 따라 그 의미와 방식에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 기독교 예배 및 전례 - 축복
    축복은 긍정적인 기원, 찬사, 신성한 은총을 의미하며, 종교적, 일상적 맥락에서 다양한 대상에 적용되는 의례적인 형태를 갖기도 한다.
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
기본 정보
이름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
유형기독교
성모 영보(주님 탄생 예고)
성모 영보(주님 탄생 예고)
기념일3월 25일
빈도매년
관련주님 성탄 대축일
언어별 명칭
설명
설명대천사 가브리엘이 마리아를 방문한 것을 기념하는 축일
기타
관련 기념일주님 성탄 대축일, 성모 희보 축일, 춘분

2. 성경적 서술

루카 복음서에 따르면, 가브리엘이 마리아에게 "은총이 가득한 이여, 기뻐하여라. 주님께서 너와 함께 계시다."(ave gratia plena Dominus tecum|아베 그라치아 플레나 도미누스 테쿰la)라고 인사하며 예수의 잉태를 알렸다.[3] 마리아는 하느님의 뜻에 "저에게 당신의 말씀대로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fiat mihi secundum verbum tuum|피앗 미히 세쿤둠 베르붐 툼la)라고 응답하였다.[3]

이 "천사의 인사"는 성모송삼종기도의 기원이 되었으며, 기도의 두 번째 부분은 엘리사벳이 성모 방문에서 마리아에게 한 인사에서 유래한다.[4]

2. 1. 가브리엘의 알림

루카 복음서에 따르면, 천사 가브리엘이 마리아에게 나타나 "은총이 가득한 이여, 기뻐하여라. 주님께서 너와 함께 계시다."(ave gratia plena Dominus tecum|아베 그라치아 플레나 도미누스 테쿰la)라고 인사하며 예수의 잉태를 알렸다.[3] 마리아는 하느님의 뜻에 "저에게 당신의 말씀대로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fiat mihi secundum verbum tuum|피앗 미히 세쿤둠 베르붐 툼la)라고 응답하였다.[3]

이 "천사의 인사"는 성모송삼종기도의 기원이 되었으며, 기도의 두 번째 부분은 성 엘리사벳이 성모 방문에서 마리아에게 한 인사에서 유래한다.[4]

2. 2. 마리아의 응답

가브리엘이 마리아에게 한 "천사의 인사"는 루카 복음서에 기록되어 있다. "은총이 가득한 이여, 기뻐하여라. 주님께서 너와 함께 계시다."(ave gratia plena Dominus tecumla)[3] 그리고 마리아는 하느님의 뜻에 "저는 당신의 말씀대로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fiat mihi secundum verbum tuumla)라고 응답하였다.[3]

이 "천사의 인사"는 성모송삼종기도의 기원이며, 기도의 두 번째 부분은 성 엘리사벳이 성모 방문에서 마리아에게 한 인사에서 유래한다.[4]

2. 3. 성모송과 삼종기도

가브리엘이 마리아에게 한 "천사의 인사"는 루카 복음서에 기록되어 있다. "은총이 가득한 이여, 기뻐하여라. 주님께서 너와 함께 계시다."(ave gratia plena Dominus tecumla)[3] 그리고 마리아는 하느님의 뜻에 "저에게 당신의 말씀대로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fiat mihi secundum verbum tuumla)라고 응답하였다.[3]

이 "천사의 인사"는 성모송삼종기도의 기원이며, 기도의 두 번째 부분은 엘리사벳이 성모 방문에서 마리아에게 한 인사에서 유래한다.[4]

3. 역사

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은 5세기부터 기념되기 시작했다는 주장이 있다.[2] 이 축일에 대한 최초의 확실한 언급은 656년 톨레도 공의회[5][6]와 692년 트룰로 공의회[2] 기록에 나타난다.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스가 525년에 서기 달력 시스템을 처음 도입했을 때, 그는 새해 시작을 3월 25일로 정했다. 이는 기독교 교리에 따르면 은총의 시대가 3월 25일 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에 성모 마리아 안에서 성령에 의해 예수 그리스도가 잉태되면서 시작되었기 때문이다.[7]

그리스 독립 기념일은 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에 기념되며, 3월 25일은 레바논의 공휴일이기도 하다.

요한 바오로 2세는 예수의 잉태를 기념하기 위해 3월 25일을 국제 낙태 반대 운동의 날로 지정했다.[11]

3. 1. 초기 교회의 기념

656년 톨레도 공의회와[5][6] 692년 트룰로 공의회[2]의 기록에서 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에 대한 언급이 나타난다. 톨레도 공의회는 이 축일이 교회 전체에서 기념된다고 설명하고 있으며,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는 사순 시기 동안 주님 탄생일(일요일)과 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을 제외한 모든 축제를 금지하였다.[2] 1240년 잉글랜드 우스터 시노드에서는 이 축일에 모든 노역을 금지했다.[2] 성 아타나시우스, 성 그레고리오스 뉘시 및 성 아우구스티누스를 포함한 많은 교회 교부들이 이 축일이 삼위일체의 제2위이신 분의 성육신을 기념하는 것이라고 설명하였다.[2]

초기 기독교 시대에는 3월 25일을 춘분이자 창세기 창조 설화의 날이며, 그리스도가 세상을 구원하기 시작한 날로 여겼다.[7] c. 240년에 작성된 가짜 키프리아누스의 저작물인 《De Pascha Computus》에서는 예수의 오심과 죽음이 아담의 창조와 타락과 일치해야 하며, 세상이 봄에 창조되었으므로 그리스도 또한 춘분 직후에 잉태되고 죽었다는 주장이 나타난다.[7] 고대 순교록에서는 3월 25일을 아담의 창조, 예수의 십자가 처형, 루시퍼의 타락, 이스라엘 백성의 홍해 통과, 이삭의 희생과 연관시켰다.[8] 중세의 《황금 전설》은 3월 25일을 창조와 주님 탄생 예고의 날뿐만 아니라, 그리스도의 십자가 처형과 죽음을 포함한 여러 중요한 사건의 날로 기록하고 있다.[9]

3. 2. 춘분과의 연관성

3세기 말엽 가짜 키프리아누스가 쓴 《De Pascha Computus》에는 성육신이 3월 25일에 일어났다는 견해가 담겨 있다. 이 책은 예수의 오심과 죽음이 아담의 창조와 타락과 일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세상이 봄에 창조되었으므로, 그리스도 또한 춘분 직후에 잉태되고 죽었다는 것이다. 이와 비슷한 계산은 초기 및 후기 중세 시대에도 나타나며, 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과 크리스마스 날짜의 유래가 되었다.[7] 고대 순교록에서는 3월 25일을 아담의 창조, 예수의 십자가 처형, 루시퍼의 타락, 이스라엘 백성의 홍해 통과, 이삭의 희생과 연관시켰다.[8] 중세의 《황금 전설》은 3월 25일을 창조와 주님 탄생 예고뿐만 아니라, 그리스도의 십자가 처형과 죽음의 성사사를 포함한 여러 중요한 사건이 일어난 날로 특정한다.[9]

기독교 고대 시대에는 3월 25일을 예수의 실제 사망일로 여겼다.[7] 주님 탄생 예고는 춘분이 창세기 창조 설화의 날이자, 그리스도의 구원이 시작된 날이라는 믿음 때문에 3월 25일에 기념되었다.

3. 3. 축일 날짜의 이동

서방 교회(가톨릭 교회, 성공회, 루터교, 서방 전례 정교회) 전통에서는 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이 성주간이나 부활 주간 중, 또는 전례력의 일요일에 해당될 경우 날짜를 옮긴다. 성주간 전의 일요일을 피하기 위해 다음 날인 3월 26일을 대신 지킨다. 2016년과 2024년처럼 3월 25일이 성주간이나 부활 주간에 속하는 해에는 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은 부활 팔일 축제 다음 월요일, 즉 부활 제2주일 다음 월요일로 옮겨진다.[8]

반면, 동방 교회(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동방 가톨릭 교회) 전통에서는 어떠한 경우에도 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의 날짜를 옮기지 않는다. 이들 교회는 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이 다른 축일과 겹치는 해를 위해 특별히 결합된 전례를 가지고 있다. 심지어 성금요일에 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이 겹치더라도 성찬 예식을 거행한다.[10]

4. 신학적 의미

주님 탄생 예고는 삼위일체 하느님의 제2위인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을 기념하는 중요한 사건으로, 성 아타나시우스, 성 그레고리오스 뉘시, 성 아우구스티누스 등 많은 교회 교부들이 이 사건을 설명했다.[2]

초기 기독교 시대에는 3월 25일을 예수의 실제 사망일이자 성육신이 일어난 날로 여겼다. c. 240년에 작성된 가짜 키프리아누스의 저작물 《De Pascha Computus》는 예수의 오심과 죽음이 아담의 창조와 타락과 일치해야 하며, 세상이 봄에 창조되었으므로 그리스도 또한 춘분 직후에 잉태되고 죽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계산은 초기 및 후기 중세 시대에도 나타나며, 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과 크리스마스의 날짜에 영향을 주었다.[7]

중세의 《황금 전설》은 3월 25일을 창조와 주님 탄생 예고, 그리스도의 십자가 처형과 죽음 등 여러 중요한 사건이 일어난 날로 기록하고 있다.[9]

4. 1. 성육신

성 아타나시우스, 성 그레고리오스 뉘시, 성 아우구스티누스 등 많은 교회 교부들이 삼위일체의 제2위이신 분의 성육신을 기념하는 주님 탄생 예고의 신학적 의미를 설명했다.[2]

4. 2. 국제 낙태 반대의 날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예수의 잉태를 기념하기 위해 3월 25일을 국제 낙태 반대 운동의 날로 지정했다.[11] 이는 가톨릭 교회의 생명 존중 사상을 반영하는 것이지만, 여성의 자기 결정권을 존중하는 관점에서는 이견이 있을 수 있다.

5. 문화적 영향

주님 탄생 예고는 예술, 문학,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져 왔다.

5. 1. 회계 연도

중세와 초기 근대 잉글랜드에서 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과 크리스마스는 회계 연도의 구분을 표시하는 네 개의 "분기일" 중 두 개였다. 다른 두 개는 6월 24일의 하지 (또는 성 요한 세례자 탄생 축일)와 9월 29일의 미카엘 축일이었다.[7]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스서기 달력 시스템을 서기 525년에 처음 도입했을 때, 그는 새해의 시작을 3월 25일로 정했다. 이는 기독교 교리에 따르면 은총의 시대가 3월 25일 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에 성모 마리아 안에서 성령에 의해 예수 그리스도가 잉태되면서 시작되었기 때문이다.[7]

5. 2. 그리스 독립 기념일

그리스 독립 기념일은 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에 기념된다.

5. 3. 레바논 공휴일

3월 25일은 레바논의 공휴일이다.[10]

참조

[1] 웹사이트 The Major Feasts of the Church https://www.goarch.o[...] Greek Orthodox Archdiocese of America 2024-02-22
[2] 웹사이트 Solemnity of the Annunciation of the Lord https://www.catholic[...] Catholic News Agency 2024-02-22
[3] 웹사이트 The Feast of the Annunciation http://www.bbc.co.uk[...] BBC 2024-02-22
[4] 웹사이트 Annunciation of the Lord http://holyfamilysis[...] Holy Family Sisters 2012-10-27
[5]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Catholicism Scarecrow Press
[6] 서적 Why Can the Dead Do Such Great Things?: Saints and Worshippers from the Martyrs to the Reforma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5
[7] 웹사이트 Why March 25, the Annunciation, Was Once New Year's Day https://www.ncregist[...] National Catholic Register 2024-02-22
[8] 간행물 Feast of the Annunciation of the Blessed Virgin Mary
[9] 문서 "Golden Legend'', vol. 3, the Annunciation."
[10] 웹사이트 The Annunciation of our Most Holy Lady, the Theotokos and Ever-Virgin Mary https://www.oca.org/[...] Orthodox Church in America 2024-02-22
[11] 웹사이트 "Feast of the Annunciation", Illinois Knights http://www.illinoisk[...] 2014-10-09
[12] BBC -Religions The Feast of the Annunciation http://www.bbc.co.uk[...]
[13] 웹인용 Feast of the Annunciation at EWTN http://www.ewtn.com/[...] 2014-03-25
[14] 웹인용 CNA, ''Solemity of the Annunciation of the Lord'' http://www.catholicn[...] 2014-03-28
[15] 웹인용 Holy Family Sisters, ''Annunciation of the Lord'' http://holyfamilysis[...] 2014-03-25
[16] 문서 Solemnity of the Annunciation of the Lord http://www.americanc[...]
[17] 문서 Feast of the Annunciation http://www.newadven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