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링허우 세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링허우 세대는 1990년대 이후 중국의 개혁개방 시기에 성장한 세대로, 이전 세대와 구별되는 특징을 보인다. 인터넷 사용에 능숙하고 해외 브랜드 선호, 개성 중시, 소비 성향을 보이며, 개인주의적 성향과 실용주의적 가치관을 갖는다. 창업에 대한 관심이 높고 사회 문제에 대한 참여 의식도 있으며, 한푸 부흥 운동과 같은 전통문화 복원에도 참여한다. 그러나 학업 스트레스, 대인 관계 어려움, 심리적 불안 등 문제점도 나타나며, 세대 갈등과 사회 적응에 대한 과제를 안고 있다. 이들은 중국 사회의 주역으로 성장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변화를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
주링허우 세대는 개혁개방 정책이 빠르게 발전하고 큰 성과를 거둔 시기, 즉 중국 사회가 가장 격렬하게 전환되던 시기에 태어나고 성장했다[12]. 과학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사람들의 사상과 이데올로기가 다양화된 시대적 배경 속에서 자랐으며[12], 이는 이들의 세계관과 가치관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12].
주링허우 세대는 중국의 개혁개방 이후 급격한 경제 성장과 사회 변화 속에서 성장하며 이전 세대와는 다른 독특한 가치관과 사회 참여 양상을 보인다. 물질적 풍요와 인터넷의 발달은 이들의 사고방식과 행동 양식에 큰 영향을 미쳤다.
2. 사회적 배경 및 특징
이러한 환경 속에서 주링허우는 이전 세대와는 다른 뚜렷한 특징을 보인다. 대체로 풍요로운 환경에서 성장하여 사고방식이 긍정적이고, 새로운 것에 대한 도전 의욕이 강하며 진보적이고 참신함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13]. 또한 인생을 즐기는 데 가치를 두며, 절약보다는 적절한 소비와 자신을 위한 취미 생활을 통해 삶의 만족을 추구한다[1]. 해외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가 높고 개성이 뚜렷하며, 패션, 화장품, IT 제품 등 유행에 민감하게 반응한다[1].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성장하여 인터넷을 통한 정보 검색 및 활용에 매우 익숙하다[1].
사회적으로는 보수적인 기성세대와 달리 진취적이고 개방적이며 시대 조류에 민감한 모습을 보인다[1]. 예를 들어 2008년 티베트 소요 사태로 인한 국제사회의 반중 분위기나 베이징 올림픽 보이콧 움직임에 맞서, 인터넷과 집단행동을 통해 올림픽 개최를 옹호하는 데 앞장서기도 했다[1].
그러나 한편으로는 대부분 외동아들, 외동딸로 태어나 과보호 속에서 성장하여 연약하고 개인주의적인 성향이 강하다는 비판도 받는다[1][13]. 생활의 어려움을 직접 경험하지 못해 주변에 신경 쓰지 않고 자기 본위적이며, 자신에게 맞지 않는 것은 무시하고 마음 가는 대로 행동한다는 지적도 있다[13].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때로는 현실과 동떨어진 사고방식이나 행동이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13].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아와 가치관 추구에 대한 강한 욕구를 바탕으로 새로운 소비 계층으로 부상하고 있다[1].
2. 1. 성장 환경
"90后"가 태어나고 자란 시대는 개혁개방 정책의 발전이 가장 빠르고 큰 성과를 거둔 시기로, 중국 사회가 가장 격렬하게 전환된 때이다. 과학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사람들의 사상·개념, 이데올로기의 다양화가 진전되었으며, 정치, 경제, 사상,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큰 변화는 "90后"의 세계관, 가치관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12]. 이러한 배경에서 "90后"는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환경에서 성장했으며[13], 이전 세대보다 긍정적이고 새로운 것에 대한 도전 의욕이 강하며 진보적이고 참신한 사고방식을 가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인생을 즐기는 데 가치를 두며, 절약보다는 적절한 소비와 자신을 위한 취미 생활을 통해 삶의 만족을 추구한다[13]. 해외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가 높고 개성이 뚜렷하며, 패션, 화장품, IT 제품 등 유행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가정 환경"90后"의 가정에서는 많은 전통적인 가치관이 변화했다. 이들의 부모 세대는 시장 경제 체제 속에서 성장하며 성공적인 경력과 풍요로운 생활을 중시했다. 자유와 독립을 추구하며 바쁜 일상을 보내는 부모들은 자녀와 직접 소통할 시간이 부족했고, 이로 인해 자녀 교육을 학원이나 조부모에게 맡기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대부분 외동아들, 외동딸로 태어나 가정 내에서 과보호를 받으며 성장하는 경우가 많았다[13]. 이러한 환경은 "90后"가 자기중심적이고 독점욕이 강하며, 때로는 주변의 압박에 약하고 좌절 대처 능력이 부족한 모습을 보이게 하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일부는 타인과의 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겪고 마음을 닫아버리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교육 환경"90后"는 의무 교육 과정에서 "감부"(부담을 줄이는 교육)나 "소질 교육"(개성과 인성을 중시하는 교육) 등 여러 교육 개혁을 경험했다[14]. 1997년부터 시작된 개혁은 암기 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스스로 생각하는 능력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그러나 교육의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학교 내 경쟁은 심화되었고, 다양한 사교육 기관이 등장했다. 많은 부모는 자녀가 경쟁 사회에서 뒤처지지 않도록 어릴 때부터 과외 등 사교육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교육 환경 속에서 "90后"는 총명하고 다재다능하며 폭넓은 취미를 갖게 되었지만, 동시에 학습에 대한 조급함, 좌절 대처 능력 부족, 강한 질투심 등의 문제점을 드러내기도 했다[15]. 학업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두지 못할 경우, 일부 학생들은 억지를 부리거나 기묘한 행동으로 관심을 끌어 심리적 만족을 얻으려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정보 환경인터넷의 급속한 발전은 "90后"의 성장 환경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99년 약 400만 명이었던 중국의 인터넷 이용자는 2010년 약 4억 명으로 폭발적으로 증가했으며, "90后"는 이전 세대보다 훨씬 어린 나이부터 인터넷을 접하며 성장했다. 인터넷을 통한 정보 검색에 익숙하며, 대학생의 90% 이상이 매일 인터넷을 이용할 정도로 의존도가 높다. 그러나 인터넷의 불확실성과 익명성은 현실에서의 관계 형성을 어렵게 만들고, 무관심이나 자폐증과 유사한 경향을 유발할 수 있다는 지적이 있다. 인터넷 중독("인터넷 헤로인")은 청소년의 인격 형성이나 인생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2. 2. 정보 습득 및 활용
주링허우 세대는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성장하여 정보 습득과 활용에 매우 능숙하다. 1999년 약 400만 명에 불과했던 중국의 인터넷 이용자는 2010년 약 4억 명으로 폭발적으로 증가했으며, 이들은 어린 시절부터 자연스럽게 인터넷 환경에 노출되었다. 중국 청년 연구 센터의 조사에 따르면, 7세에서 15세 사이 중국 아동의 70% 이상이 인터넷 사용 경험이 있으며, 도시 지역에서는 절반 이상의 가정이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다. 이는 대학 시절부터 인터넷을 접하기 시작한 바링허우 세대와 비교했을 때 훨씬 이른 시기이며, 인터넷 의존도 또한 더 높은 경향을 보인다. 실제로 대학생의 90% 이상이 매일 인터넷을 이용하며, 컴퓨터는 이들 세대에게 필수품으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환경은 주링허우 세대의 소비 패턴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이들은 인터넷을 통해 해외의 다양한 문화와 상품 정보를 쉽게 접하며, 해외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 특히 패션, 화장품, IT 제품 등에 관심이 많으며,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 제품에 대한 관심도 높다. 한국과 중국을 오가며 물건을 대신 구매해주는 '따이공(代工)'이나 해외 직접 구매 방식인 '하이타오(海淘)'를 통해 원하는 상품을 적극적으로 구매하는 경향을 보인다. 중국의 모바일 결제 서비스인 알리페이( 支付宝|즈푸바오중국어 )의 보고서에 따르면, 노동절 연휴 기간 해외 소비에서 주링허우 세대의 비중이 크게 증가했으며, 처음으로 바링허우 세대를 넘어서 해외 소비 시장의 주요 세력으로 부상했음을 보여주었다.
인터넷은 정보 습득과 소비 활동 외에도 이들의 사회적 활동에도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어, 2008년 티베트 소요 사태나 베이징 올림픽 보이콧 움직임에 대응하여 인터넷을 통해 여론을 형성하고 집단행동을 조직하며 올림픽 개최를 옹호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인터넷의 광범위한 사용은 긍정적인 측면만 있는 것은 아니다. 높은 인터넷 의존도는 현실 사회에서의 관계 형성을 어렵게 만들거나 회피하게 하는 경향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일부에서는 무관심이나 자폐증적 성향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또한, 인터넷상의 불확실하고 불안정한 정보와 관계가 이들의 인격 형성이나 가치관 정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존재한다.
2. 3. 소비 성향
주링허우 세대는 해외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가 강하며, 자신의 개성을 드러낼 수 있는 패션, 화장품, IT 제품 등에 관심이 많다.[1] 인터넷과 함께 성장하여 인터넷을 통한 정보 검색에 익숙하며, 절약보다는 적절한 소비와 자신을 위한 취미 생활을 통해 삶을 즐기는 것을 추구한다.[1] 이들은 자아와 가치관 추구에 대한 강한 욕구를 보여주며 새로운 소비 계층으로 주목받고 있다.[1]
이러한 소비 성향은 구체적인 소비 방식으로 나타난다. 대표적인 예가 代购|따이꼬우중국어와 海淘|하이타오중국어이다. 代购|따이꼬우중국어는 구매 대행을 의미하는데, 한류 열풍의 영향으로 중국 내 한국 제품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한국의 가방, 고급 화장품, 미용 제품 등을 따이꼬우를 통해 구매하는 경우가 많다.[2] 이는 주링허우 세대가 현재의 삶을 즐기며 작은 사치를 누리려는 소비 경향을 보여준다.[2]
海淘|하이타오중국어는 해외 직접 구매를 뜻하는 말로, 인터넷 사용에 능숙한 주링허우들은 따이꼬우 외에도 하이타오를 통해 원하는 물건을 구매한다.[3] 중국 최대 모바일 결제 서비스 업체인 즈푸바오(支付宝)의 보고서에 따르면, 노동절 연휴 기간 중국인의 해외 소비에서 주링허우 세대의 소비가 두드러졌으며, 즈푸바오를 이용한 해외 소비 규모에서 처음으로 빠링허우를 넘어섰다.[3] 이는 주링허우 세대가 해외 소비 시장의 주요 세력으로 부상했음을 보여준다.[3]
3. 가치관 및 사회 참여
이 세대는 일반적으로 개인주의적이고 실용주의적인 성향을 보이며, 자신의 개성과 삶의 질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새로운 것에 대한 도전 정신이 강하며, 특히 인터넷과 IT 기술을 활용한 창업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더불어 사회 문제에 대한 관심도 높아, 온라인 공간 등을 통해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기도 한다. 이러한 주링허우 세대의 다양한 가치관과 사회 참여 모습은 현대 중국 사회를 이해하는 중요한 열쇠가 된다.
3. 1. 개인주의 및 실용주의
주링허우 세대는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이 빠르게 발전하고 큰 성과를 거둔 시기에 태어나고 자랐다. 이 시기는 과학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사람들의 사상과 이데올로기가 다양화된 때이기도 하다. 정치, 경제, 사상, 문화 등 여러 분야에서의 급격한 변화는 주링허우의 세계관과 가치관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12].
이들은 물질적으로 비교적 풍요로운 환경에서 성장했으며, 이로 인해 긍정적인 사고방식과 새로운 것에 대한 강한 도전 의욕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또한 진보적이고 참신함을 추구하며, 인생을 즐기는 것에도 가치를 둔다. 그러나 기성세대와는 다른 이러한 특성 때문에 현실과 동떨어진 사고방식이나 행동이 때때로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어려운 생활을 경험하지 못해 주변을 신경 쓰지 않고 자기중심적이며, 자신에게 맞지 않는 것을 무시하고 마음대로 행동한다는 비판도 있다[13].
주링허우는 주로 외아들, 외동딸로 태어나 가정에서 과보호를 받으며 자란 경우가 많아, 이로 인해 다소 연약하고 개인주의적인 성향이 강하게 나타나기도 한다. 절약보다는 적절한 소비와 자신을 위한 취미 생활을 통해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며, 자아실현과 가치관 추구에 대한 강한 욕구를 보인다. 이러한 성향은 이들을 새로운 소비 계층으로 부상하게 만들었다. 특히 해외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가 높고, 패션, 화장품, IT 제품 등에 관심이 많다.
개성을 중시하는 경향 또한 두드러진다. 일부 학생들은 학업에서 뛰어나지 못할 경우, 억지를 부리거나 소란을 피우고, 독특한 옷차림을 하는 등 다른 방식으로 심리적 만족감을 얻으려 하기도 한다. 이를 통해 교사나 친구들의 관심을 끌어 '남들과 다르다'는 느낌을 얻고 심리적 균형을 맞추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개인주의적 성향은 몇 가지 문제점을 동반하기도 한다. 많은 주링허우가 극도로 이기적이며 인내심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어릴 때부터 가정의 중심이었던 경험 때문에 독점욕이 강하고, 타인과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거나 좌절을 쉽게 극복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사소한 일에도 과도하게 반응하거나 극단적인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또한, 교육 경쟁 심화 속에서 어린 시절부터 학업 스트레스를 경험하며 공부에 대한 초조함을 느끼는 경우도 많다.
가정 환경이나 교육 방식의 문제로 인해 일부는 타인과의 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겪거나 마음을 닫아버리는 경우도 있다. 이들은 타인에게 진심을 전하지 못해 깊은 관계를 맺기 어려워하며, 이해받지 못한다는 생각에 고독감을 느끼기도 한다. 사회의 일원으로서 관계를 맺고 이해받고 싶어 하지만, 이러한 내적 갈등으로 인해 불안, 초조함, 의기소침 등의 심리적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성장한 세대인 만큼, 인터넷을 통한 정보 검색에 익숙하지만, 동시에 인터넷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경향도 나타난다. 일부 청소년들은 인터넷의 부정적인 영향을 인지하면서도 스스로를 통제하기 어려워하는 문제를 겪기도 한다.
서치나와 같은 매체에서는 주링허우에 대한 인터뷰 기사를 통해 이들의 다양한 면모를 보여주기도 한다[17]. 이들은 매우 강한 고집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경제 성장을 배경으로 밝고 활기찬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따라서 '주링허우' 또는 '90后'라고 일괄적으로 규정하기보다는 다양한 개인이 존재하며, 단순한 유형화는 어렵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3. 2. 도전 정신과 창업
최근 주링허우 세대의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창업에 대한 높은 관심과 실행력이다. 인터넷과 최신 IT 기기에 능숙한 이들은 이러한 기술 친화성을 바탕으로 창업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특히 '중국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베이징의 중관촌 등지에서 이들은 창업 생태계를 이끄는 핵심 동력으로 자리매김하며 중국 경제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인터넷과 스마트폰이 일상화된 환경에서 성장한 주링허우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자신의 취미나 관심사를 사업 기회로 연결하는 데 능숙하다. 많은 이들이 졸업 후 전통적인 취업 대신 인터넷 기반 창업을 선택하며, 이는 중국 내 창업 열풍을 주도하고 진입 장벽을 낮추는 효과를 낳고 있다.
주링허우는 기존의 권위적이고 위계적인 조직 문화에 반해, 개인의 독창성을 존중하고 수평적으로 소통하며 민주적으로 협상하는 방식을 선호한다. 이러한 성향은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자신의 아이디어를 실현하고 동료들과 협력하며 성장할 수 있는 창업 환경에 대한 선호로 이어진다.
3. 3. 사회 문제에 대한 관심
주링허우 세대는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성장하여 정보 검색에 익숙하며, 기성세대와 달리 진취적이고 개방적인 태도를 보인다. 이러한 특징은 사회 문제에 대한 관심과 참여로 이어지기도 한다.
티베트 유혈사태 이후 형성된 국제사회의 반(反) 중국 분위기나 베이징 올림픽 보이콧 움직임에 대해, 일부 주링허우 세대는 인터넷과 집단행동을 통해 적극적으로 반대 의사를 표현하고 올림픽 개최를 옹호하는 목소리를 냈다.
한편, 중국 내에서는 해외 유학 후 귀국하는 '하이구이'(海归|하이구이zho)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하이구이'는 '바다에서 돌아오다'라는 의미로, 해외 유학을 마치고 중국으로 돌아와 활동하는 인재를 뜻한다. 발음이 비슷한 '바다거북이'를 의미하는 '하이구이'(海龟|하이구이zho) 역시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최근 중국 정부는 해외 선진국의 고급 인재를 유치하기 위한 '청년천인계획'(千人计划|청년천인계획zho) 등을 통해 주링허우 세대를 대학 교수로 영입하는 등 적극적인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러한 정부의 지원에 힘입어 많은 하이구이들이 중국으로 돌아와 다양한 분야에서 국가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4. 문제점 및 과제
주링허우 세대가 태어나고 자란 시기는 개혁개방 정책이 빠르게 발전하고 큰 성과를 거두며 중국 사회가 가장 격렬하게 전환되던 때이다. 또한 과학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사람들의 사상, 개념, 이데올로기의 다양화가 진행된 시기이기도 하다. 정치, 경제, 사상,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큰 변화는 '주링허우 세대'의 세계관과 가치관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12]。
이러한 배경 속에서 '주링허우 세대'는 비교적 풍요로운 환경에서 성장했다고 할 수 있다. 그 영향으로 사고방식이 긍정적이고 새로운 것에 대한 도전 의욕이 강하며, 진보적이고 참신함을 추구하고 인생을 즐기는 데 가치를 두는 세대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이전 세대의 보수적이고 때로는 소극적인 모습과는 다른 이들의 특성은 때때로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생활의 어려움을 직접 경험하지 못했기에 현실과 동떨어진 사고방식이나 행동을 보이며, 주변을 신경 쓰지 않고 자기 본위적이고, 자신에게 맞지 않는 것은 무시하며 마음대로 살아간다는 지적도 있다[13]。 이러한 특징들은 학업 스트레스, 대인 관계의 어려움, 인터넷 의존과 같은 심리적 문제나 기성세대와의 갈등, 사회 적응의 어려움 등 다양한 문제와 과제로 이어지고 있다.
4. 1. 심리적 문제
한 고등학교가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심리 검사 결과, '주링허우 세대'의 3대 심리적 불안 요소는 학업에 대한 조급함, 대인 관계에서의 어려움, 과도한 민감성인 것으로 나타났다.조사에 따르면, '주링허우 세대'가 가장 크게 느끼는 불안은 학업과 관련된 것이다. "시험 성적이 나쁘거나, 불합격했을 경우"를 가장 걱정하며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답한 학생이 가장 많았다. 또한, "학업에 대한 압박감이 너무 심하다"는 응답이 전체의 71%에 달해, 경쟁적인 교육 환경과 부모의 높은 기대치가 상당한 심리적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15] 어린 시절부터 과외 등 치열한 경쟁에 노출되면서 총명하고 다재다능하게 성장한 측면도 있지만, 동시에 학습에 대한 조급함, 좌절에 대한 낮은 대처 능력, 강한 질투심 등의 문제도 함께 나타났다.[15]
중고등학생의 약 절반 이상이 대인 관계에 불안감을 느낀다고 답했으며, 특히 고등학교 2학년의 경우 그 비율이 70~80%에 달했다. 일부 부모들이 자녀에게 대인 관계에서 "손해를 보지 않도록" 가르치는 경향이 동년배 친구 관계 형성을 어렵게 만드는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된다. 이로 인해 타인에게 마음을 열지 못하고 고독감을 느끼거나, 심한 경우 자폐증과 유사한 성향을 보이거나 냉담한 태도를 취하기도 한다. 또한, 약 40%의 학생들은 타인의 언행이나 주변의 소음에 과도하게 민감하게 반응하며, 자신이 타인에게 어떻게 비춰지는지를 매우 신경 쓰는 경향을 보였다.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 역시 '주링허우 세대'의 심리에 큰 영향을 미쳤다. 80년대생보다 더 어린 시절부터 인터넷을 접하면서 의존도가 높아졌으며, 이는 현실 사회에서의 관계를 회피하게 만들고 교제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원인으로 분석된다. 인터넷이 가진 불확실성과 온라인 관계의 불안정성이 그들의 마음을 사로잡아 현실 도피의 수단이 되기도 하며, 심한 경우 '인터넷 헤로인'이라 불릴 정도의 인터넷 중독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성장 과정에서 대부분 외동으로 자라면서 가정 내에서 특별한 대우를 받는 환경은 이기적이고 인내심이 부족한 성향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15] 이들은 주변의 압박에 약하고 좌절을 극복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며, 때로는 사소한 문제에도 과도하게 반응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일부 학생들은 학업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두지 못할 때, 억지를 부리거나 소란을 피우고 기묘한 차림을 하는 등 다른 방식으로 심리적 만족을 얻으려 하기도 한다.
이러한 심리적 문제들은 이상이나 신념의 부재, 강한 실리 추구 경향, 자기 중심적인 개성 추구 등과 맞물려 소년범죄, 사생팬, 인터넷 중독과 같은 사회 문제로 이어지며 중국 사회의 고민거리가 되고 있다.
4. 2. 세대 갈등
주링허우 세대가 태어나고 자란 시기는 개혁개방 정책이 빠르게 발전하고 큰 성과를 거두며 중국 사회가 격렬하게 전환되던 때이다. 또한 과학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사상, 개념, 이데올로기의 다양화가 진행된 시기이기도 하다. 정치, 경제, 사상, 문화 등 여러 분야에서의 큰 변화는 주링허우 세대의 세계관과 가치관에 큰 영향을 미쳤다[12]。이러한 배경 속에서 주링허우 세대는 비교적 풍요로운 환경에서 성장했다. 그 영향으로 사고방식이 긍정적이고 새로운 것에 대한 도전 의욕이 강하며, 진보적이고 참신함을 추구하고 인생을 즐기는 데 가치를 두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전 세대의 보수적이고 때로는 소극적인 모습과는 다른 이들의 특성은 때때로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생활의 어려움을 직접 경험하지 못했기에 주변을 신경 쓰지 않고 자기중심적이며, 자신에게 맞지 않는 것은 무시하고 마음대로 살아간다는 지적이 있다[13]。
- 가정 환경의 변화: 90년대생의 가정에서는 많은 전통적인 가치관이 변화했으며, 이들의 부모 세대 역시 시장 경제 체제와 함께 성장했다. 부모 세대는 이전의 가치를 일부 버리고 성공적인 경력과 풍요로운 생활을 추구하며 성장하는 중국 사회와 함께했다. 그들은 자유와 독립을 중시하며 사업 성공과 높은 삶의 질을 추구했다. 이러한 부모 밑에서 자란 90년대생의 교육은 종종 경제적인 측면과 연결되기 쉬웠다. 성공을 위해 바쁜 부모들은 자녀와 직접 소통할 시간이 줄어들었고, 교육은 학원이나 조부모에게 맡겨지는 경우가 많아졌다.
- 교육 환경의 변화와 영향: 90년대생은 의무 교육 과정에서 '부담을 줄이는 교육'이나 '개성과 인성을 중시하는 교육' 등 여러 교육 개혁을 경험했다[14] . 1997년부터 이어진 개혁으로 교육 방식은 단순 암기 위주에서 스스로 생각하는 방식으로 변화했으며, 이는 이전 세대와는 다른 교육 경험을 제공했다. 교육의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학교 교육의 압박이 강해졌고 다양한 사교육 기관이 등장했다. 많은 부모는 자녀가 경쟁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 학교 교육만으로는 부족하다고 느껴 어릴 때부터 과외나 학습 지도를 통해 전문적인 교육을 시켰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90년대생은 총명하고 다재다능하며 폭넓은 취미를 갖게 되었고 자신을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동시에 학습에 대한 조급함, 좌절에 대한 대처 능력 부족, 강한 질투심, 인터넷 의존 등의 문제점도 나타났다. 이들은 자신감이 있지만 쉽게 상처받고 섬세하며 다소 이기적인 특성을 보이기도 한다[15] .
- 정보 환경의 변화와 영향: 정보 사회의 도래와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은 90년대생의 삶에 막대한 양의 정보를 쏟아냈다. 1999년 약 400만 명이었던 중국의 인터넷 이용자는 2010년 약 4억 명으로 급증했다. 중국 청년 연구 센터 조사에 따르면, 7~15세 중국 아동의 70% 이상이 인터넷 사용 경험이 있으며, 도시 지역 절반 이상의 아동이 가정에서 인터넷을 이용한다. 80년대생보다 더 어린 시절부터 인터넷을 접한 90년대생은 인터넷 의존도가 높다. 90% 이상의 대학생이 매일 인터넷을 이용하며 컴퓨터는 필수품이 되었다. 인터넷의 불확실성과 온라인 관계의 불안정성이 이들의 마음을 사로잡아 현실 사회에서의 관계를 회피하게 만들고, 이는 교제 능력 저하나 무관심, 심지어 자폐증 경향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인터넷이 인격 및 인생관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주링허우 세대 내에서는 다음과 같은 특징들이 관찰되며, 이는 기성세대와의 갈등 요인이 되기도 한다.
- "남들과는 다르다"는 것을 추구함: 일부 학생들은 학업 성취 외에 다른 방식으로 심리적 만족을 얻으려 한다. 예를 들어 억지를 부리거나 소란을 피우고, 독특한 옷차림을 하는 등의 행동으로 교사나 친구들의 관심을 끌어 '남들과 다르다'는 느낌을 얻고 심리적 균형을 유지하려 한다.
- 공부에 대한 초조함: 교육 산업화와 경쟁 심화 속에서 많은 90년대생은 어릴 때부터 학업 스트레스를 경험하며 공부에 대한 초조함을 느낀다.
- 이기심과 부족한 인내심: 대부분 외동으로 자라면서 집안의 중심이 되는 경험을 하여 독점욕이 강하고 이기적인 성향을 보일 수 있다. 또한 압박에 약하고 좌절 극복 능력이 부족하여 사소한 일에도 과민하게 반응하거나 지나친 행동을 하기도 한다.
- 내향성 및 관계 형성의 어려움: 가정 환경이나 교육 방식의 영향으로 일부는 타인과의 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겪거나 마음을 닫는 경향을 보인다. 진정한 친구를 사귀기 어려워하고 타인에게 이해받지 못한다고 느낄 때 고독감을 느낀다. 사회화 과정에서 관계를 맺고 이해받고 싶어 하지만, 이러한 어려움 때문에 초조함, 불안, 우울 등의 감정을 경험하기도 한다.
- 인터넷 과다 의존: "인터넷 헤로인"이라는 표현이 나올 정도로 인터넷 중독은 청소년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인터넷에 빠진 이들 중 다수는 그 위험성을 인지하면서도 스스로를 통제하기 어려워한다.
서치나의 인터뷰 기사 등에 따르면, 주링허우 세대는 매우 강한 고집을 가지면서도 경제 성장을 배경으로 밝고 활기찬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17]。 이처럼 '주링허우 세대'는 다양한 개인들로 구성되어 있어 단순하게 유형화하기는 어렵지만, 기성세대와는 다른 가치관과 생활 방식으로 인해 여러 측면에서 세대 갈등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4. 3. 사회 적응
주링허우 세대가 태어나고 자란 시기는 개혁개방 정책의 발전이 두드러지고 사회가 급격하게 변화하던 때였다. 과학 기술의 발전과 함께 사상과 이데올로기의 다양성도 커졌다. 이러한 정치, 경제, 사상, 문화 전반의 큰 변화는 주링허우 세대의 세계관과 가치관 형성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12]이들은 비교적 풍요로운 환경에서 성장하여 긍정적인 사고방식과 새로운 것에 대한 도전 의식이 강하며, 진보적이고 인생을 즐기려는 경향을 보인다. 하지만 기존 세대의 보수적인 모습과는 다른 이들의 특성은 때때로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현실과 동떨어진 생각이나 행동, 생활의 어려움을 겪어보지 않아 자기중심적이고 주변을 신경 쓰지 않는다는 지적, 자신에게 맞지 않는 것을 무시하고 마음대로 행동한다는 비판 등이 있다.[13]
가정 환경에서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주링허우 세대의 부모들은 시장 경제와 함께 성장하며 이전 세대의 가치나 전통에서 벗어나 성공적인 경력과 풍요로운 삶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했다. 이들은 자유와 독립을 중시하며 사업 성공과 높은 삶의 질을 목표로 삼았다. 이러한 부모 세대의 가치관은 자녀 교육에도 영향을 미쳐, 교육이 금전적인 문제와 연결되기 쉬웠다. 바쁜 부모들은 자녀와 직접 소통할 시간이 부족했고, 교육은 학원이나 조부모에게 맡겨지는 경우가 많았다.
교육 측면에서 주링허우 세대는 '감부(부담 경감 교육)'나 '소질 교육(개성 중시 교육)' 등 여러 교육 개혁을 경험했다.[14] 1997년부터 시작된 개혁은 단순 암기 위주 교육에서 벗어나 스스로 생각하는 서구식 교육 방식으로 전환을 시도했다. 교육의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학교 내 경쟁 압박은 강해졌고 다양한 사교육 기관이 등장했다. 경쟁 사회의 압박을 느낀 부모들은 자녀가 학교 교육만으로는 부족하다고 여겨 어릴 때부터 과외나 전문 교육을 시키는 경우가 많았다. 그 결과, 주링허우 세대는 총명하고 다재다능하며 폭넓은 취미를 갖게 되었고 자신을 중요하게 여기는 성향을 보였다. 하지만 동시에 학습에 대한 조급함, 좌절에 대한 낮은 대처 능력, 강한 질투심, 인터넷 의존 등의 문제점도 나타났다. 이들은 자신감이 넘치면서도 쉽게 상처받고 섬세하며 다소 이기적인 특성을 지니게 되었다.[15]
정보화 사회의 도래와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은 주링허우 세대의 삶에 막대한 양의 정보를 쏟아냈다. 1999년 약 400만 명이던 중국의 인터넷 이용자는 2010년 약 4억 명으로 폭증했다. 중국 청년 연구 센터 조사에 따르면, 7세에서 15세 사이 중국 아동의 70% 이상이 인터넷 사용 경험이 있으며, 도시 지역 아동의 절반 이상이 가정에서 인터넷을 이용한다. 주링허우 세대는 80년대생보다 더 어린 나이부터 인터넷을 접했고 의존도 또한 높다(대학생의 90% 이상이 매일 인터넷 사용). 인터넷의 불확실성과 온라인 관계의 불안정성은 이들의 마음을 사로잡아 현실에서의 관계를 기피하게 만들기도 했다. 이는 현실 사회에서의 교제 능력 저하, 무관심, 자폐증 경향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도 있으며, 인격이나 인생관 형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한 고등학교에서 실시한 심리 검사 결과, 학업에 대한 조급함, 대인 관계의 어려움, 과도한 민감성이 주링허우 세대의 3대 심리적 불안 요소로 나타났다. 조사에 따르면 이들이 가장 크게 느끼는 불안은 학업과 관련된 것이었다. "걱정이나 스트레스를 느끼는 것"에 대해 "시험 성적이 나쁘거나 불합격했을 경우"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짜증의 원인"으로는 "학업에 대한 압박감이 너무 심하다"는 응답이 71%에 달했다.
또한 중고등학생의 절반 이상이 대인 관계에 불안감을 느끼며, 특히 고등학교 2학년의 경우 그 비율이 70~80%에 달했다. 부모 세대가 대인 관계에서 "손해 보지 않도록" 가르치는 경향이 친구 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주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다. 약 40%의 학생은 과도하게 민감한 경향을 보였는데, 타인의 말과 행동, 주변 소음에 지나치게 신경 쓰고 다른 사람에게 자신이 어떻게 비춰지는지를 매우 의식했다.
이처럼 1990년 이후 출생한 중국 청년들 사이에서는 이상이나 신념의 부족, 강한 실리주의적 사고방식, 자기중심적인 개성 추구와 같은 심리적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일부 청소년의 범죄, 사생팬 문화, 인터넷 중독과 같은 사회 문제로 이어지며 중국 사회의 고민거리가 되고 있다.
5. 한푸 부흥 운동 참여
한푸 부흥 운동은 1970년대생("70後"), 1980년대생("80後"), 그리고 1990년대생인 주링허우("90後")의 일부가 주체가 되어 시작된 민간의 풀뿌리 운동이다. 주로 젊은 화이트칼라 계층과 대학생, 고등학생, 중학생들이 중심이 되었으며, 이들의 영향을 받은 어린이들과 상대적으로 성숙하고 온건한 중장년층까지 참여하는 양상을 보인다. 한푸 부흥 운동은 나이, 성별, 직업을 넘어 전통 문화를 사랑하는 사람들이 모여 한족의 전통 의복 부흥을 목표로 삼고, 사람들의 전통 문화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자 기획되었다. 이 운동에 대한 조직과 활동 계획은 인터넷뿐만 아니라 학교, 회사, 관광지, 공원 등 다양한 온·오프라인 공간에서 논의되고 추진되었다.
참가자들은 전통 의상을 입고, 고전을 읽으며, 관련 축제를 열거나 고향에 대한 강연을 여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친다. 비록 참여자 모두가 전통 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지식을 갖춘 것은 아니지만, 전통 문화를 지키고 계승하려는 의지를 바탕으로 활동하고 있다. 특히 이 운동을 주도하는 핵심 세대는 기성세대가 아닌, "80後"와 주링허우("90後")로 불리는 젊은이들이라는 점이 특징이다.[18] 주링허우 세대는 이처럼 한푸 부흥 운동과 같은 전통문화 복원 움직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전통과 현대를 융합하려는 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6. 전망
주링허우 세대는 긍정적인 사고방식과 새로운 것에 대한 강한 도전 의욕을 가지고 있으며, 진보적이고 참신함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인생을 즐기는 것에도 가치를 두는 세대로 평가받는다.[13] 하지만 때로는 현실과 동떨어진 사고방식이나 자기중심적인 행동으로 인해 비판을 받기도 한다. 생활의 어려움을 직접 경험하지 못해 주변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고 자신에게 맞지 않는 것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는 지적도 있다.[13]
현재 주링허우 세대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도 존재하지만, 긍정적인 측면과 성장 가능성 또한 주목받고 있다. 과거 '바링허우(80后)' 세대 역시 처음에는 "붕괴하는 세대" 등으로 혹평을 받았으나, 베이징 올림픽 성화 봉송이나 쓰촨 대지진 복구 활동 등 중요한 사회적 경험을 통해 책임감 있는 세대로 성장하며 사회의 인정을 받았다.
이러한 선례에 비추어 볼 때, 주링허우 세대 역시 시간이 지나면서 사회적 책임과 의무를 배우고 실천함으로써 기존의 부정적인 인식을 불식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이들은 중국 사회의 발전에 기여하며 새로운 시대를 이끌어갈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전망된다.[19]
참조
[1]
웹사이트
Post-90s Graduates Changing the Workplace
http://www.womenofch[...]
[2]
웹사이트
Brands Struggle To Connect With China's "Post-90s" Generation - Jing Daily
http://www.jingdaily[...]
2012-07-02
[3]
웹사이트
Talking About Whose Generation?: Why Western generational models can't account for a global workforce
https://www2.deloitt[...]
Deloitte Review
2010
[4]
웹사이트
China's post-90s generation plays greater role in consumption: survey
http://news.xinhuane[...]
[5]
웹사이트
'"Be myself": Experiences of the post-90s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Canadian Universities'
https://macsphere.mc[...]
2016-09
[6]
웹사이트
China Case Study: The Me-Generation or Agent of Political Change? — Democratic Citizenship and Chinese Young Adults
http://asianbaromete[...]
2012-09
[7]
CNN
How will China's tech-savvy, post-90s generation shape the nation?
https://web.archive.[...]
CNN
2010-07-18
[8]
웹사이트
Communication Disconnect: Generational Stereotypes between Generation X/Y and Baby Boomers in American and Chines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https://core.ac.uk/d[...]
2011-04
[9]
웹사이트
China Luxury Report 2019: How young Chinese consumers are reshaping global luxury
https://www.mckinsey[...]
McKinsey & Company
2019-04
[10]
웹사이트
Double-clicking on the Chinese consumer: The new health craze, the rise of the post-90s generation, and other trends worth watching
https://www.mckinsey[...]
McKinsey & Company
2017-11
[11]
뉴스
社会眼中的90后
http://grow.banyueta[...]
半月谈网
2011-04-07
[12]
뉴스
90后大学生心理特征及对高校思政工作的挑战与思考
http://xcb.scu.edu.c[...]
追求网
2011-01-05
[13]
뉴스
【10-004】中国の90后世代とこれからの中国の経済成長
http://www.spc.jst.g[...]
中国総合研究センター
2010-08-11
[14]
뉴스
90后女厕所产女放水箱将其淹死 90后偷吃禁果之痛谁为其幸福人生埋单?
http://finance.guche[...]
股城网
2011-07-18
[15]
뉴스
普通高中90后学生的德育现状与对策
http://www.fzwgyxx.c[...]
福建省福州外国语学校网站
2011-05-05
[16]
뉴스
90后心理困惑:焦虑敏感压力大
http://www.tsingming[...]
中国清明網
2011-08-04
[17]
뉴스
上海“90後”ゲーム少女「箱根に行って温泉はいりたい!」
http://news.searchin[...]
サーチナ
2011-08-08
[18]
뉴스
汉服祭祀 “90后”唱主角
http://news.sina.com[...]
新浪網
2009-05-29
[19]
뉴스
“90后”是一代什么样的人?
http://www.xlzx.cn/h[...]
上海心理諮詢網
2007-1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