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학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학생은 자국이 아닌 다른 나라에서 교육 기회를 추구하는 학생을 의미하며, 각 국가별로 유학생의 정의는 상이하다. 미국, 유럽, 캐나다, 호주, 일본 등은 유학생 비자, 프로그램, 자격 요건 등을 다르게 규정한다. 21세기 초, 국제 정세의 변화는 유학생 이동에 영향을 미쳤으며, 미국과 영국 외에 중국, 한국 등 동아시아 국가들이 유학 대상국으로 부상하고 있다. 유학생은 경제적 기여를 하지만, 언어 장벽, 문화 차이, 정신 건강 문제 등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하기도 한다. 유학은 학생들의 언어 능력과 문화적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하며, 숙소, 적응, 관련 단체 등의 요인이 유학 경험에 영향을 미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제 교육 산업 - 미국 F 비자
미국 F 비자는 유학생을 위한 비자로, F-1은 풀타임 학생, F-2는 F-1 소지자의 배우자 및 자녀, F-3는 캐나다 또는 멕시코 국적 학생에게 발급되며, SEVP 인증 학교 입학 및 풀타임 학업 유지를 통해 학생 신분을 유지해야 하고, 소득 발생 시 세금 보고 의무가 있다. - 국제 교육 산업 - 국제 학생증
국제 학생증(ISIC)은 유네스코 후원으로 설립된 ISIC 협회에서 발급하는 국제 학생 신분증으로, 전 세계 130개국 이상에서 학생임을 증명하고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하여 학생들의 국제 교류 및 여행을 지원한다. - 학생 - 졸업
졸업은 학교의 교육 과정을 마치는 것으로, 학위 취득과 연관되며 졸업식에서는 학위 수여, 송별사, 학사복 착용 등의 절차가 진행되고, 중세 유럽 대학에서 유래되어 현대에는 다양한 졸업 문화가 존재한다. - 학생 - 입학
입학은 학교나 교육 기관에 학생이 등록하는 것을 의미하며, 각국은 다양한 입학 제도를 운영하고 초등학교 입학 나이는 만 5세에서 7세까지 차이가 있으며 학년 시작 시기도 다르다. - 유학 (교육) - 프랑스 문화원
프랑스 문화원은 프랑스 외무부 산하 기관으로, 전 세계에서 프랑스 문화와 언어를 알리고 국제 교류를 증진하며 프랑스어 교육, 문화 소개, 유학 지원 등을 제공한다. - 유학 (교육) - 이탈리아 문화원
이탈리아 문화원은 이탈리아 문화와 과학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한국과의 문화 교류를 활성화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이탈리아어 강좌, 도서관 운영, 문화 행사 개최 등을 통해 이탈리아 문화를 소개하고 포스코 마라이니 상과 스가 아츠코 번역상을 통해 문화 교류에 기여한다.
| 유학생 | |
|---|---|
| 개요 | |
| 정의 | 외국에 있는 고등학교, 대학교, 대학원 등의 교육 기관에서 유학을 목적으로 일시적으로 거주하는 사람 |
| 관련 용어 | 유학 해외 유학 교환 학생 |
| 특징 | |
| 목적 | 학업 증진, 문화 교류, 어학 능력 향상 등 |
| 체류 자격 | 해당 국가의 비자 필요 |
| 학업 | 외국어 능력 필요 문화적 차이 이해 필요 |
| 생활 | 경제적 부담 발생 향수병 경험 가능 |
| 통계 (유네스코) | |
| 대륙별 유학생 유입 현황 | http://data.uis.unesco.org/index.aspx?queryid=3804 참고 |
2. 각국의 유학생 정의
"외국인 유학생"과 "국제 학생"의 정의는 국가마다 다르다.[1]
;미국
미국에서 유학생은 비이민, 임시 비자로 고등 교육 수준의 학업을 할 수 있도록 허가된 개인을 의미한다.[2] 대부분의 유학생들은 F1 비자를 소지하고 있다.[3]
;유럽
유럽 연합 회원국의 학생들은 에라스무스 프로그램을 통해 다른 국가에서 공부할 수 있다.[4] 이 프로그램은 EU 출신 학생들이 정부 간의 협정에 따라 다른 국가에서 공부할 수 있도록 한다.[4]
;캐나다
캐나다는 국제 학생을 영주권자 신분이 아니고, 교육을 받기 위해 캐나다에 입국하기 위해 캐나다 정부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비 캐나다인 학생으로 정의한다.[5] 유학 허가증은 학업 수준과 개인이 캐나다에서 공부할 수 있는 기간을 명시한다. 6개월 이상이 걸리지 않는 한, 국제 학생은 입국 시 허가된 체류 기간 내에 과정을 마칠 경우 유학 허가가 필요하지 않다.[6] 국제 학생의 주거 및 커뮤니티 지원을 돕기 위해 계획된 캐나다 최초의 국제 하우스(I-House)는 1959년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개관했다.[7]
;호주
호주에서 유학생은 호주 시민, 호주 영주권자, 뉴질랜드 시민, 또는 호주 영주권 인도주의적 비자 소지자가 아닌 자를 의미한다.[8]
;일본
일본에서 유학생은 국제교육연구소에 따르면, "일본의 모든 대학교, 대학원, 단기 대학, 기술 전문 대학, 전문 훈련 대학 또는 대학교 예비 과정에서 교육을 받고 '대학생' 비자 상태로 일본에 거주하는 외국 경제 출신 학생"이다.[9] 이는 국가마다 "외국인 유학생"과 "국제 학생"의 정의가 다른데 따른 것이다.[1]
2. 1. 미국
미국에서 유학생은 비이민, 임시 비자로 고등 교육 수준의 학업을 할 수 있도록 허가된 개인을 의미한다.[2] 대부분의 유학생들은 F1 비자를 소지하고 있다.[3]2. 2. 유럽
유럽 연합 회원국의 학생들은 에라스무스 프로그램을 통해 다른 국가에서 공부할 수 있다.[4] 이 프로그램은 EU 출신 학생들이 정부 간의 협정에 따라 다른 국가에서 공부할 수 있도록 한다.[4]2. 3. 캐나다
캐나다는 국제 학생을 영주권자 신분이 아니고, 교육을 받기 위해 캐나다에 입국하기 위해 캐나다 정부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비 캐나다인 학생으로 정의한다.[5] 유학 허가증은 학업 수준과 개인이 캐나다에서 공부할 수 있는 기간을 명시한다. 6개월 이상이 걸리지 않는 한, 국제 학생은 입국 시 허가된 체류 기간 내에 과정을 마칠 경우 유학 허가가 필요하지 않다.[6] 국제 학생의 주거 및 커뮤니티 지원을 돕기 위해 계획된 캐나다 최초의 국제 하우스(I-House)는 1959년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개관했다.[7]2. 4. 호주
호주에서 유학생은 호주 시민, 호주 영주권자, 뉴질랜드 시민, 또는 호주 영주권 인도주의적 비자 소지자가 아닌 자를 의미한다.[8]2. 5. 일본
일본에서 유학생은 국제교육연구소에 따르면, "일본의 모든 대학교, 대학원, 단기 대학, 기술 전문 대학, 전문 훈련 대학 또는 대학교 예비 과정에서 교육을 받고 '대학생' 비자 상태로 일본에 거주하는 외국 경제 출신 학생"이다.[9] 이는 국가마다 "외국인 유학생"과 "국제 학생"의 정의가 다른데 따른 것이다.[1]3. 유학생 현황
21세기 초, 9.11 테러, 2007-2008년 금융 위기, 브렉시트, 도널드 트럼프의 미국 대통령 당선 등은 유학생 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10] 목적 국가의 비자 및 이민 정책 변화는 교육 중 및 교육 후 고용 기회에 영향을 미치며,[10][11] 정치적 발전은 종종 주요 고려 사항이 된다. 일례로,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 전에 실시된 설문 조사에 따르면, 잠재적인 유학생의 4분의 1이 조셉 R. 바이든이 대통령으로 선출될 경우 미국에서 유학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응답했다.[12]
전통적으로 미국과 영국이 가장 인기 있는 유학 대상국이었으나, 최근에는 중국, 한국, 일본, 대만 등 동아시아 국가들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13]
OECD에 따르면, 외국인 유학생의 약 5분의 1이 지역적으로 이동하며, 이들을 "글로컬" 학생이라고 정의한다.[14] 미국과 영국과 같은 주요 목적지의 학비가 상승하고 이민 장벽이 높아짐에 따라 많은 유학생들이 대체 목적지를 모색하고 있으며, "가성비"를 더 요구하고 있다. 국제적으로 이동하는 학생 수는 2015년보다 51% 증가한 230만 명 증가한 2030년까지 69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15] 국제 교육의 경제성은 유학생뿐만 아니라 그들을 유치하는 데 관심이 있는 대학과 국가에게도 우려 사항이다.[16]
국제교육연구소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유학생 등록 상위 10개 국가는 다음과 같다:[17]
| 순위 | 목적 국가 | 2023년 유학생 수 | 최대 송출 국가 |
|---|---|---|---|
| 1 | 미국 | 1,057,188 | 중국, 인도, 대한민국 |
| 2 | 영국 | 718,085 | 중국, 인도, 나이지리아 |
| 3 | 캐나다 | 660,230 | 인도, 중국, 프랑스 |
| 4 | 프랑스 | 392,630 | 모로코, 알제리, 중국 |
| 5 | 호주 | 361,247 | 중국, 인도, 네팔 |
| 6 | 독일 | 349,438 | 중국, 인도, 시리아 |
| 7 | 러시아 | 282,922 | 카자흐스탄, 중국, 우즈베키스탄 |
| 8 | 중국 | 210,903 | 대한민국, 태국, 파키스탄 |
| 9 | 일본 | 181,741 | 중국, 베트남, 네팔 |
| 10 | 스페인 | 135,478 | 중국, 루마니아, 알바니아 |
유네스코에 따른 2022년 기준 유학생 등록 상위 10개 국가는 다음과 같다:[18]
| 순위 | 목적 국가 | 2022년 유학생 수 |
|---|---|---|
| 1 | 미국 | 833,204 |
| 2 | 영국 | 674,931 |
| 3 | 호주 | 382,007 |
| 4 | 독일 | 376,359 |
| 5 | 러시아 | 340,326 |
| 6 | 캐나다 | 312,630 |
| 7 | 프랑스 | 263,459 |
| 8 | 터키 | 224,048 |
| 9 | 중국 | 210,903 |
| 10 | 네덜란드 | 135,535 |
3. 1. 아시아
3. 1. 1. 대한민국
2023년, 대한민국 대학 및 전문대학에서 공부하는 유학생 수는 약 180,000명이었다.[43] 주요 유학 대상국은 중국, 베트남, 몽골, 일본 등 아시아 국가이다. 더불어민주당은 외국인 유학생 유치를 통해 국내 대학의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고,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이 서로 교류하며 글로벌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특히, 첨단 분야의 외국인 유학생을 적극적으로 유치하여 국내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한다.3. 1. 2. 중국
2016년, 중국은 전 세계 유학생 수 기준 세 번째로 큰 유학생 유치 국가였으며,[49] 2018년에는 492,185명의 유학생이 중국에서 공부했다.[19] 이는 2017년 대비 10.49% 성장한 수치이다.[19] 2003년 이후 중국의 유학생 수는 꾸준히 증가했으며, 테러나 대침체의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20]과 영국[21]의 유학생 수 감소와는 대조적이다. 특히 중국은 영어를 사용하는 아프리카 학생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유학 국가가 되었다.[22]


2016년 기준으로, 중국으로 유학 온 학생들은 주로 아시아(60%) 출신이었으며, 유럽(16%)과 아프리카(14%)가 그 뒤를 이었다. 아프리카는 2015-2016년 연간 23.7%의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23]

2018년 기준 중국으로 유학생을 가장 많이 보낸 국가는 대한민국으로, 50,600명의 학생이 중국에서 공부했다.[19] 그 외에도 태국, 파키스탄, 인도, 미국, 러시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일본 등 다양한 국가 출신의 학생들이 중국에서 유학하고 있다. 특히, 아프리카 국가 전체를 합하면 81,562명으로, 상당한 규모의 유학생들이 중국에서 공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23][24][19]
| 순위 (2018) | 국가 | 외국인 유학생 수 | 순위 (2017) | |||||||||||||||||||||||||||||||||||||||||||||||||||||||||||||||||||||||||||||||||||||||
|---|---|---|---|---|---|---|---|---|---|---|---|---|---|---|---|---|---|---|---|---|---|---|---|---|---|---|---|---|---|---|---|---|---|---|---|---|---|---|---|---|---|---|---|---|---|---|---|---|---|---|---|---|---|---|---|---|---|---|---|---|---|---|---|---|---|---|---|---|---|---|---|---|---|---|---|---|---|---|---|---|---|---|---|---|---|---|---|---|---|---|
| 2018 | 2017 | % of 총계 (2018) | ||||||||||||||||||||||||||||||||||||||||||||||||||||||||||||||||||||||||||||||||||||||||
| - | 모든 아프리카 국가 묶음 | 81,562 | 61,594 | 16.57% | - | |||||||||||||||||||||||||||||||||||||||||||||||||||||||||||||||||||||||||||||||||||||
| 1 | 50,600 | 70,540 | 10.28% | 1 | ||||||||||||||||||||||||||||||||||||||||||||||||||||||||||||||||||||||||||||||||||||||
| 2 | 28,608 | 23,044 | 5.81% | 2 | ||||||||||||||||||||||||||||||||||||||||||||||||||||||||||||||||||||||||||||||||||||||
| 3 | 28,023 | 18,626 | 5.69% | 3 | ||||||||||||||||||||||||||||||||||||||||||||||||||||||||||||||||||||||||||||||||||||||
| 4 | 23,192 | 18,717 | 4.71% | 5 | ||||||||||||||||||||||||||||||||||||||||||||||||||||||||||||||||||||||||||||||||||||||
| 5 | 20,996 | 23,838 | 4.27% | 4 | ||||||||||||||||||||||||||||||||||||||||||||||||||||||||||||||||||||||||||||||||||||||
| 6 | }} || 19,239 || 17,971 || 3.91% || 6 |- | 7 || ** || 15,050 || 14,714 || 3.06% || 8 |- | 8 || ** || 14,645 || - || 2.98% || - |- | 9 || ** || 14,230 || 13,595 || 2.89% || 7 |- | 10 || ** || 11,784 || 13,996 || 2.39% || 9 |- | 11 || ** || 11,299 || 10,639 || 2.30% || |- | 12 || ** || 10,735 || - || 2.18% || - |- || 13 || ** || 10,695 || - || 2.17% || - |- || 14 || ** || 10,158 || - || 2.06% || - |- || 15 || ** || 9,479 || - || 1.93% || - |} ![]() 2016년, 유학생들은 주로 베이징(77,234명)과 상하이(59,887명)에서 공부했지만, 최근에는 다른 지역으로 분산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중국이 유학생들에게 인기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세계적인 수준의 대학교가 많다.[25] # 중국 대학교들은 매력적인 연구 중심지이다.[26] # 선진국에 비해 학비가 저렴하다.[27] # 대학교와 프로그램의 종류가 다양하다.[27] # 중국 경제 성장으로 인해 취업 기회가 많다.[27] # 많은 학부 및 대학원 프로그램이 영어로 제공된다. # 중국 정부는 유학생들에게 많은 장학금을 제공한다(2016년 49,022개).[23] 중국은 설득과 매력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소프트 파워를 강화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장학금을 통한 유학생 유치는 이러한 영향력을 확대하는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28][29] 3. 1. 3. 인도2019년, 인도는 47,000명 이상의 유학생을 유치했으며, 2023년까지 이 숫자를 20만 명으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인도는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서아시아 및 아프리카에서 가장 많은 유학생을 유치하고 있으며, 다양한 학비 면제 및 장학금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30][31]
3. 1. 4. 일본일본은 유학생들에게 인기있는 국가로 부상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더 많은 유학생을 유치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며, 현재 약 18만 명의 유학생이 일본 교육 기관에서 공부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향후 몇 년 안에 유학생 수를 30만 명으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38] 일본학생지원기구(JASSO)에 따르면, 2022년 5월 1일 기준으로 일본 내 유학생 수는 231,146명이었다.[39][40][41] 이는 일본이 적극적으로 유학생 유치에 힘쓰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3. 1. 5.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는 유학생들에게 떠오르는 목적지이다. 이 세 나라는 2005년에서 2006년 사이에 이들 국가에서 고등 교육을 받기로 결정한 25만에서 30만 명 사이의 유학생들을 포함하여, 전 세계 학생 시장의 약 12%를 차지한다.[42]3. 1. 6. 이란이란에는 2018년에 55,000명의 유학생이 있었다.[33] 2021년에는 두 배 이상 증가하여 130,000명 이상으로 늘었으며, 그중 절반이 아자드 대학교와 파얌누르 대학교에 등록했다.[34] 이란은 테헤란 대학교에서 공부하기 위해 이라크 인민 동원군 PMF에 등록했다.[35] 2023년까지 레바논, 이라크, 러시아, 시리아, 파키스탄, 아프리카 국가 등 15개국에서 온 학생들이 있었다. 그들은 인문학, 과학, 법학, 의학, 건설, 회계를 공부한다.[36][37]3. 2. 오세아니아호주는 인구당 유학생 비율이 세계에서 가장 높으며, 2020년에는 775,475명의 유학생이 호주의 대학교 및 직업 훈련 기관에 등록했다.[44][45] 2019년, 유학생은 호주 대학교 학생의 27%를 차지했다. 국제 교육은 호주의 가장 큰 수출 품목 중 하나이며, 많은 학생들이 졸업 후 호주에 남아 인구 통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46]3. 2. 1. 호주호주는 인구당 유학생 비율이 세계에서 가장 높으며, 2020년에는 775,475명의 유학생이 호주의 대학교 및 직업 훈련 기관에 등록했다.[44][45] 2019년, 유학생은 호주 대학교 학생의 27%를 차지했다. 국제 교육은 호주의 가장 큰 수출 품목 중 하나이며, 많은 학생들이 졸업 후 호주에 남아 인구 통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46]3. 3. 유럽3. 3. 1. 프랑스와 독일2016년, 프랑스는 전 세계에서 네 번째로 많은 유학생을 유치한 국가로, 245,349명의 유학생을 받았다.[47] 독일은 다섯 번째로 많은 유학생을 유치했으며, 244,575명의 유학생이 있었다.[48][49] 2016/17 학년도 이후, 독일에서 대학에 다니는 외국인 학생 수는 꾸준히 증가하여 5년 전 358,895명에서 작년에는 411,601명으로 증가했다.[50]프랑스-독일 대학교를 통해 두 나라는 대학 간의 협력 프레임워크를 구축하여 학생들이 국경을 넘어 특정 프랑스-독일 학과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51] 3. 3. 2. 영국영국은 전통적인 유학 강국으로, 2023년 기준 세계 2위의 유학생 유치 국가이다.3. 3. 3. 네덜란드2017년을 기준으로 81,000명의 유학생이 네덜란드에서 공부했으며, 이는 고등 교육 학생 인구의 12%를 차지했다. 이들 학생 중 12,500명, 즉 15.4%는 이전에 다른 곳에서 공부한 네덜란드 국적 학생들이었다. 네덜란드 유학생의 4분의 3은 유럽 연합 국가 출신이며, 그중 가장 큰 비중은 독일 출신이다. 비EU 학생 중에서는 중국 학생들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전체 유학생의 3분의 2는 학사 학위를 위해 네덜란드를 찾는다.[52]3. 3. 4. 러시아러시아는 소련 시대부터 주로 개발도상국 출신의 유학생들의 중심지였다. 2019년에는 약 30만 명의 유학생을 유치하며 세계 5위의 유학생 목적지였다.[53]2019년 러시아로 유학생을 가장 많이 파견한 상위 10개 국가는 다음과 같다.[53]
3. 4. 북아메리카3. 4. 1. 캐나다캐나다 이민·난민·시민부(IRCC)는 2019년 12월 기준으로 642,480명의 유학생이 있었으며, 이는 전년 대비 13% 증가한 수치로 집계했다.[54] 2019년, 캐나다 유학생의 30%는 인도 출신이었고, 25%는 중국 출신이었다.[55]3. 4. 2. 미국미국은 전통적인 유학 강국으로, 2023년 기준 세계 1위의 유학생 유치 국가이다.매년 약 75만 명의 중국인과 40만 명의 인도 학생들이 해외 고등 교육 기관에 지원한다.[57][58] 2016-17년 미국의 대학교 및 대학의 학부 및 대학원 외국인 신규 등록은 2.1% (거의 5,000명) 감소했는데, 이는 첫 해 학업에만 1억 2,500만 달러의 잠재적 수익 감소로 이어진다.[59] 2013-2014년 미국에서 국제 학생 수 증가는 중국의 학부생들이 주도했다. 중국 학생 수는 미국 전체 외국인 학생의 31%로 증가했는데, 이는 국제 교육 연구소가 1948년부터 국제 학생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시작한 이후 단일 국가로는 가장 높은 집중도였다.[60] 4. 유학생의 요건
예비 유학생은 입학 전에 일반적으로 언어 시험을 치러야 한다.[61] 시험과는 별개로, 일부 유학생은 도착 시 현지 언어에 대한 뛰어난 구사력을 갖추고 있지만, 일부는 국내에서 우수하다고 여겨지는 언어 능력이 강의를 이해하거나, 빠른 대화에서 유창하게 의사소통하는 데 부적합하다고 생각한다. NAFSA: 국제 교육자 협회에서 의뢰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에서 유학생을 위한 학점 연계 집중 영어 준비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제3자 제공 업체의 범위를 조사했다.[61] 이러한 패스웨이 프로그램은 학위 프로그램에 등록하기 전에 영어 및 학업 준비에 추가적인 도움이 필요한 유학생을 모집하고 지원하도록 설계되었다. 4. 1. 학생 비자외국 국적의 유학생은 일반적으로 학생 비자를 발급받아야 하며, 이는 체류 국가에서의 합법적인 신분을 보장한다.[62] 미국에서는 유학생이 입국하기 전에 학생 비자를 발급받기 위해 다닐 학교를 선택해야 한다. 외국 학생이 수강하려는 과정과 학교 유형에 따라 F-1 비자 또는 M-1 비자가 필요한지 결정된다.[63] 각 학생 비자 신청자는 미국에서 공부하는 동안 학비, 도서 및 생활비를 지불할 재정적 능력이 있음을 증명해야 한다.[63]5. 경제적 영향
전미 유학생 자문 협회(NAFSA)의 연구에 따르면 미국의 국제 고등 교육 등록 증가는 경제적 이점을 가져다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1-2022 학년도 분석에 따르면, 거의 100만 명의 유학생이 미국 경제에 338억 달러를 기여했으며 335,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했다. 이는 전년 대비 거의 19% 증가한 수치이다.[64] 6. 고등 교육 마케팅
고등 교육 마케팅은 오늘날, 특히 주요 영어 사용 국가인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뉴질랜드, 영국 및 미국에서 확고하게 자리 잡은 거대 과정이다. 교육 마케팅의 세계적인 발전을 이끈 주요 요인 중 하나는 세계를 극적으로 축소시킨 세계화일 수 있다.[66] 주요 영어 사용 대상 국가(MESDC) 간의 해외 유학생 유치 경쟁이 심화되면서, 고등 교육 기관들은 국제 무대에서 자신을 마케팅하는 것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66] 지속 가능한 국제 학생 유치 전략을 구축하기 위해 고등 교육 기관(HEI)은 유치 시장을 다변화하여 신흥 시장의 미래 성장 잠재력을 활용하고, 수요가 불안정한 중국, 인도, 나이지리아와 같은 주요 시장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위험 노출을 줄여야 한다.[67] 유치 전략의 일환으로 고등 교육 기관은 글로벌 평가 인증서(GAC) 프로그램과 같은 대학 준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외국에 국제 분교를 설립하는 등 국제 학생들의 안정적인 등록을 보장하기 위해 몇 가지 접근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6. 1. 글로벌 평가 인증 (GAC) 프로그램글로벌 평가 인증(GAC) 프로그램은 ACT 교육 솔루션(ACT Education Solution, Ltd.)에서 개발 및 제공하는 대학 준비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이 해외 입학 및 등록을 준비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68] 이 프로그램은 비영어권 출신 학생들이 대학 수준의 학습을 준비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대학에서 학사 학위를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도록 돕는다. GAC 프로그램을 완료한 학생들은 미국, 영국 및 캐나다를 포함한 120개의 소위 패스웨이 대학교(Pathway Universities)에 입학할 기회를 갖는다.[69]주로 이 프로그램은 아카데믹 영어, 수학, 컴퓨터, 학습 기술, 비즈니스, 과학 및 사회 과학과 같은 커리큘럼으로 구성된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ACT 시험과 TOEFL 및 IELTS와 같은 영어 능력 시험을 준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70] 6. 2. 해외 분교 캠퍼스국제 분교 캠퍼스를 개설하는 것은 물리적 거리의 제약을 극복하고 강력한 글로벌 진출을 구축하기 위해 다른 국가에서 유학생을 유치하는 새로운 전략이다.[71] 실제로 분교 캠퍼스 개설은 고등 교육의 범위를 넓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과거에는 고등 교육에 대한 높은 수요와 함께 미국 내 많은 대학들이 해외에 분교 캠퍼스를 설립했다.[71] 국경 없는 고등 교육 관측소(OBHE)의 보고서에 따르면, 2006년 이후 전 세계적으로 해외 분교 캠퍼스 수가 43% 증가했다. 미국의 고등 교육 기관은 성장률과 해외 분교 캠퍼스 수에서 대부분 우위를 차지하며, 현재 해외 분교 캠퍼스의 거의 50%를 차지한다.[72] 그러나 일부 연구 보고서에서는 해외 분교 캠퍼스가 지방 정부의 간섭,[73] 지속 가능성 문제, 그리고 학문적 명성과 재정에 대한 손실과 같은 장기적인 전망 등 여러 가지 문제와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고 밝혔다.7. 유학생의 어려움
유학생들은 언어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는 유학생이 현지 친구를 사귀고 지역 문화에 익숙해지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때로는 이러한 언어 장벽으로 인해 유학생들이 원어민의 무시나 무례함을 겪기도 한다.[74] 대부분의 유학생들은 또한 유학 중인 국가에서 지원 그룹이 부족하다. 유학생 교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북미의 모든 대학에는 국제 학생 사무실이 있지만,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유학생의 개별적인 필요를 고려할 자원과 능력이 부족할 때가 있습니다.[75] 특정 대학에 같은 국적의 학생이 많을수록 새로운 문화에 참여하는 데 더 나은 지원을 받을 수 있다. 7. 1. 정신 건강유학생들은 외국에서 공부하면서 삶을 변화시키는 사건에 직면하며, 이는 정신 건강에 잠재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고통을 유발할 수 있다.[89] 많은 유학생들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면서 향수병, 외로움, 고립감, 문화적 차이 이해의 어려움 등을 겪는다.[89] 특히, 특정 문화권에서는 정신 질환을 약점으로 간주하여 유학생들이 도움을 청하지 않고 혼자 어려움을 이겨내려는 경향이 있어 정신 건강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89]중국 출신 유학생의 45%가 우울증을 겪었고, 29%가 불안을 겪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90] 유학생들이 불안을 느끼는 주요 요인으로는 학업 압박, 재정 문제, 새로운 문화 적응, 친구 사귀기, 외로움 등이 있다.[91] 유학생들은 교사나 성인보다는 또래 친구들에게 더 의존하는 경향이 있는데,[92] 새로운 환경에서 친구를 사귀지 못하면 적응에 더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93]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많은 유학생들이 원격 학습으로 인해 시차, 수면 방해, 사회적 고립을 경험하면서 정신 건강 문제가 심화되었다.[94] 언어와 의사소통 장벽은 유학생들의 불안과 스트레스를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95] 유학생들은 언어 차별을 겪을 수 있으며, 이것이 정신 건강을 악화시킬 수 있다. 유학생들은 대학교에서 제공하는 개인 상담을 이용할 가능성이 낮고,[96] 전문적인 도움을 받는 것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강하기 때문에,[97] 그룹 중심의 접근 방식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98] 협력 워크숍이나 문화 교류 그룹과 같은 활동은 유학생들 간의 공동체 의식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99][100] 또한, 정신 건강 자원 및 상담 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94][101] 사회복지사, 교직원, 학술 직원들은 사전 교육을 통해 유학생들에게 적절한 지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102] 8. 유학 (Study Abroad)
유학은 학생이 자국이 아닌 다른 나라에서 교육 기회를 추구하는 행위이다.[103] 이는 초등, 중등 및 고등학생을 포함할 수 있다. 2012년 연구에 따르면 유학하는 학생 수는 미국의 고등 교육 기관에 등록된 전체 학생의 약 9.4%를 차지하며[104][105] 이는 체험 경제의 일부이다.[106][107] 8. 1. 숙소유학생의 유학 경험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는 숙소이다.[110][111]8. 2. 유학 생활 적응8. 2. 1. 긍정적 정서정서적 성향은 감정적 기질이다. 긍정적 정서성을 보이는 사람들은 기쁨과 흥분과 같은 긍정적인 감정과 기분을 경험하고,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포함한 세상을 긍정적으로 바라본다. 그들은 쾌활하고, 열정적이며, 활기차고, 사교적이며, 활력이 넘치는 경향이 있다. 연구에 따르면 긍정적인 정서적 경향을 가진 유학생들은 환경에 대한 만족도와 상호 작용이 더 높으며, 체류 국가의 시민 행동에 참여한다.[106][112]8. 2. 2. 적응 개념유학생의 대처 연구와 관련하여, 외국 업무 환경 적응 개념과 그 조작화는 광범위한 방법론적 논의의 대상이 되어 왔다.[113][114]8. 3. 관련 단체
참조
[1]
웹사이트
Glossary
https://www.iie.org/[...]
Institute of International Education
2018-11-16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