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엽나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엽나무(학명: Gleditsia japonica)는 콩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수로,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쥐의 귀를 닮은 열매 모양에서 유래되었다는 설과 한자어 '조협'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는 '주엽나무'는 줄기에 가시가 많고, 초여름에 연한 황록색 꽃을 피우며 가을에 비틀린 꼬투리 열매를 맺는다. 목재는 건축, 가구 등에 사용되고, 열매는 사포닌 성분 때문에 세정제로 이용되었으며, 꼬투리와 종자는 한방에서 약재로 사용되기도 한다. 주엽나무는 또한 곤충과의 관계, 문화적 의미를 지니며, 꽃말은 '장대함'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실거리나무아과 - 카시아속
    카시아속은 다양한 기후에서 자라는 식물들을 포함하는 속으로, 많은 종이 다른 속으로 이동되었지만, 관상용, 산림 복구, 사막화 방지 등에 활용되며, 일부 종은 전통 의학이나 요리에도 사용되나 독성이 있는 경우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고, 한국에서는 카시아를 찾아볼 수 있다.
  • 실거리나무아과 - 소목 (식물)
    소목은 콩과에 속하는 식물로, 심재와 협에서 적색 염료인 브라질린을 얻을 수 있으며, 가지에 가시가 있고 노란색 꽃이 피며, 소목색 염료 및 한방 약재로 사용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주엽나무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꽃
씨앗 포드
씨앗 포드
학명Gleditsia japonica
명명자Miq.
이명Caesalpiniodes japonicum (Miq.) Kuntze
Fagara horrida Thunb.
Gleditsia coccinea Koehne
Gleditsia delavayi Franch.
Gleditsia horrida subsp. delavayi (Franch.) Paclt
Gleditsia horrida subsp. velutina (L.C.Li) Paclt
Gleditsia koraiensis Nakai
Gleditsia vestita Chun & F.C.How ex B.G.Li
Zanthoxylum horridum (Thunb.) DC.
일본어 이름사이카치
분류
식물계
문 (계급 없음)피자식물
강 (계급 없음)진정쌍떡잎식물군
콩목
콩과
아과자케치아과
주엽나무속
분포
서식지전 세계 도시
기타
다른 뜻낙엽 교목

2. 명칭

학명은 ''Gleditsia japonica''이다. 일본어 명칭 '''사이카치'''는 생약 중 하나인 조각자(皂角子, 사이카쿠시)에서 유래했으며, "皂"은 검은색을, "角"은 꼬투리를 나타낸다[3]. 중국에서는 산조협(山皂莢)이라고 부른다. 한국어 명칭 "주엽나무"는 열매 모양이 쥐의 귀를 닮았다는 것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한자어 "조협(皁莢)"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3. 분포

일본에서는 혼슈 중부 지방 이서, 시코쿠, 규슈에 분포하며, 한반도, 중국에도 분포한다. 산야나 강가에 자생한다. 열매나 줄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재배되기도 한다.

4. 특징

낙엽 활엽수인 주엽나무는 줄기가 곧게 뻗으며 높이는 12m에서 20m 정도이다. 수피는 짙은 회갈색으로 코르크가 많고, 늙으면 세로로 얕게 갈라진다. 줄기나 가지에는 가지가 변형된 크고 갈라진 날카로운 가시가 많이 있다. 잎은 어긋나기 또는 마주나기를 한다. 짧은 가지에서는 1회 우상복엽이고, 긴 가지에서는 1 - 2회 우상복엽이며, 길이는 20cm에서 30cm이다. 소엽은 길이 1.5cm에서 4cm 정도의 장타원형으로, 8 - 12쌍 정도이다.

꽃은 초여름(5 - 6월) 무렵 어린 잎 사이에서 뻗은 길이 10cm에서 20cm 정도의 총상화서에 옅은 황록색의 작은 이 많이 핀다. 웅화, 자화, 양성화가 같은 그루에 피며, 꽃잎은 4장으로 타원형이다.

열매는 가을(10 - 11월)에 길이 20cm에서 30cm로 비틀린 잿빛 꼬투리 형태로 열린다. 꼬투리 안에는 여러 개의 씨앗이 있으며, 씨앗은 크기가 1cm 정도의 둥근 편평형이다. 겨울이 되면 익은 검은 꼬투리가 떨어진다.

겨울눈은 어긋나며, 반구형이나 원추형으로 가시 아래에 생긴다. 짧은 가지에 생기는 겨울눈은 여러 개가 모여 덩어리 모양이 된다. 측아의 인편은 4 - 6장이다. 잎이 떨어진 흔적에 생기는 엽흔은 심장형이나 도란형으로 관다발 흔은 3개 있다.

4. 1. 아종


  • ''주엽나무'' var. ''delavayi'' 刺叶皂荚|츠예자오자중국어 – 동히말라야, 중국 남중부[1]
  • ''주엽나무'' var. ''japonica'' – 중국 남동부, 중국 북중부, 만주, 한국, 일본[1]
  • ''주엽나무'' var. ''stenocarpa'' 좁은협과주엽|좁은협과주엽한국어한국[1]
  • ''주엽나무'' var. ''velutina'' 毛皂荚|마오자오자중국어중국 남동부[1]

한국의 어린 개체

5. 이용

목재는 건축, 가구, 기구, 땔감 등으로 사용된다.

열매(꼬투리)는 사포닌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기름때를 제거하기 위해 비누 대신 예로부터 세제나 입욕제로 유용하게 사용되었다. 꼬투리를 물에 담가 손으로 비비면 미끈거림과 거품이 나오기 때문에, 예전에는 이것을 비누 대신 이용했다. 비누를 쉽게 구할 수 있게 된 후에도 비누의 알칼리 성분으로 손상되는 비단 옷의 세탁 등에 이용된 듯하다(달여서 사용).

꼬투리는 皁莢(사이카치 또는 소쿄)라는 생약으로 거담제, 이뇨제로 사용된다. 씨앗은 한방에서는 皁角子(사이카쿠시)라고 하며, 이뇨나 거담 약으로 사용했다. 또한 가시는 皁角刺(소카쿠시)라고 하며, 종기나 류머티즘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다.

어린 싹과 어린 잎은 식용으로 하기도 한다. 씨앗은 팽이 등 아이들의 장난감으로도 이용된다.

6. 한국에서의 주엽나무

한국에서는 예로부터 주엽나무 열매에 사포닌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기름때를 제거하기 위해 비누 대신 사용하였다.[1] 꼬투리를 물에 담가 손으로 비비면 미끈거림과 거품이 나왔기 때문에, 예전에는 이것을 비누 대신 이용했다. 비누를 쉽게 구할 수 있게 된 후에도 비누의 알칼리 성분으로 손상되는 비단 옷을 세탁할 때 달여서 사용하기도 했다.

콩깍지는 皁莢(사이카치 또는 소쿄)라는 생약으로 거담제, 이뇨제로 사용하며, 종자는 한방에서 皁角子(사이카쿠시)라고 칭하며 이뇨나 거담 약으로 사용했다.[1] 가시는 皁角刺(소카쿠시)라고 하며, 종기나 류머티즘에 효과가 있다고 여겨진다.

목재는 건축, 가구, 기구, 땔감용으로 사용한다.[1] 콩은 팽이 등 아이들의 장난감으로도 이용되며, 어린 싹과 잎은 식용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7. 곤충과의 관계

주엽나무 종자에는 사이카치콩바구미라는 곤충이 기생한다. 사이카치콩바구미는 콩바구미과의 딱정벌레 유충으로, 콩바구미과는 바구미의 일종이 아니라 잎벌레과에 가깝다.[4] 주엽나무 종자는 경실 종자여서 종피가 손상되기 전까지는 거의 흡수되지 않아 발아가 잘 일어나지 않는다. 사이카치콩바구미가 열매에 알을 낳고 유충이 종피를 갉아먹으면 비가 올 때 유충은 익사하고 종자는 수분을 흡수하여 발아한다. 비가 오지 않으면 유충은 종자 내부를 다 먹고 번데기를 거쳐 성충이 된다.

주엽나무 줄기에서는 굴참나무떡갈나무처럼 수액이 잘 흘러나오는데, 이 수액은 장수풍뎅이사슴벌레 등 곤충들의 좋은 먹이가 된다. 일본에서는 장수풍뎅이를 カブトムシ|가부토무시일본어라고 하는데, "사이카치무시"라고 부르는 지역도 있다.[4]

8. 문화

주엽나무의 꽃말은 "장대함"이다.[1]

또한 주엽나무는 만엽집에 수록된 와카에도 등장한다.


  • 만엽집(권16) 皂莢爾 延於保登礼流 糞(屎)葛 絶事無 宮将為
  • * 쥐똥나무에 얽혀 자란 똥풀(계요등) 끊이지 않고 궁궐을 섬기리라(고미야왕)


참조

[1] 간행물 Gleditsia japonica Miq. 2022-10-22
[2] 논문 The Global Urban Tree Inventory: A database of the diverse tree flora that inhabits the world's cities
[3] 웹사이트 Gleditsia japonica Miq. サイカチ(標準) 2023-04-07
[4] 서적 標準語引き 日本方言辞典 小学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