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그랑프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 그랑프리는 1990년대 초 F1 경주 유치를 위한 중국 정부의 노력으로 시작되었다. 1999년 주하이 인터내셔널 서킷에서 F1 경주가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서킷의 FIA 표준 미달로 취소되었다. 2004년부터 2019년까지 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에서 개최되었으며, 2020년부터 2023년까지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취소되었다가 2024년 다시 개최되었다. 루이스 해밀턴은 이 대회에서 6번 우승하여 최다 우승 드라이버이며, 메르세데스는 최다 우승 컨스트럭터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 그랑프리 - 2013년 중국 그랑프리
2013년 중국 그랑프리는 2013년 포뮬러 원 시즌의 세 번째 라운드로 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에서 개최되었으며, 루이스 해밀턴이 예선 1위를, 페르난도 알론소가 결승에서 우승했고, 마크 웨버는 실격과 리타이어를 겪었다. - 중국 그랑프리 - 2008년 중국 그랑프리
2008년 중국 그랑프리는 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에서 열린 포뮬러 원 월드 챔피언십 17번째 경기로, 루이스 해밀턴이 우승하며 드라이버 챔피언십 우위를, 페라리 팀은 2, 3위를 기록하며 컨스트럭터 챔피언십에서 맥라렌과의 격차를 벌렸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스포츠 - 2008년 하계 패럴림픽
2008년 베이징에서 '하나의 세계, 하나의 꿈' 슬로건 아래 개최된 하계 패럴림픽은 소 '푸니우 러러'를 마스코트로, 19개 경기장에서 20개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조정이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스포츠 - 2022년 동계 패럴림픽
2022년 동계 패럴림픽은 2022년 3월 4일부터 3월 13일까지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서 개최되었으며, 46개국이 참가하여 5개 종목에서 78개의 경기가 열렸고, 중국이 메달 집계 1위를 기록했다. - 2004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AFC 챔피언스리그 투
AFC 챔피언스리그 투는 아시아 축구 연맹이 주관하는 클럽 대항전으로, 2024/25 시즌부터 3개 티어 시스템으로 개편되면서 신설되었으며, AFC컵의 기록을 계승하여 32개 팀이 동아시아와 서아시아로 나뉘어 참가하고, 결승전은 단판 승부로 우승 상금은 250만 달러이다. - 2004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코리아 오픈 (테니스)
코리아 오픈은 대한테니스협회가 WTA 투어 대회 유치 승인을 받아 대한민국에서 처음 개최된 WTA 투어 테니스 대회로, 여러 후원사를 거쳐 2024년부터 WTA 500 시리즈로 격상되었으나 2020년에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취소되기도 했다.
중국 그랑프리 | |
---|---|
중국 그랑프리 | |
![]() | |
서킷 | 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 (2004–2019, 2024–현재) |
랩 수 | 56 |
서킷 길이 (km) | 5.451 |
서킷 길이 (mi) | 3.387 |
레이스 길이 (km) | 305.066 |
레이스 길이 (mi) | 189.559 |
처음 개최 | 2004 |
개최 횟수 | 17 |
최다 드라이버 우승 | 루이스 해밀턴 (6회) |
최다 컨스트럭터 우승 | 메르세데스 (6회) |
현재 년도 | 2024 |
폴 포지션 드라이버 | 막스 페르스타펜 |
폴 포지션 팀 | 레드불 레이싱-혼다 RBPT |
폴 포지션 시간 | 1:33.660 |
우승 드라이버 | M. 페르스타펜 |
우승 팀 | 레드불 레이싱-혼다 RBPT |
우승 시간 | 1:40:52.554 |
2위 | L. 노리스 |
2위 팀 | 맥라렌-메르세데스 |
2위 시간 | +13.773 |
3위 | S. 페레스 |
3위 팀 | 레드불 레이싱-혼다 RBPT |
3위 시간 | +19.160 |
패스티스트 랩 드라이버 | 페르난도 알론소 |
패스티스트 랩 팀 | 애스턴 마틴 아람코-메르세데스 |
패스티스트 랩 | 1:37.810 |
기타 정보 | |
중국어 (간체) | 中国大奖赛 |
로마자 표기 | Zhōngguó Dàjiǎngsài |
영어 이름 | Chinese Grand Prix |
일본어 이름 | 中国グランプリ |
2. 역사
1990년대 초, 중국 정부는 포뮬러 원 경주를 유치하기 위한 노력을 시작했다. 1996년 광둥성 주하이시에 주하이 인터내셔널 서킷이 개장했지만, 국제자동차연맹(FIA) 표준을 충족하지 못해 1999년 F1 월드 챔피언십 개최는 무산되었다.[4][5]
2002년, 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 운영진은 포뮬러 원 그룹과 2004년부터 7년간 중국 그랑프리를 개최하는 계약을 체결했다.[2] 2004년 첫 중국 그랑프리가 개최되었으며, 페라리의 루벤스 바리첼로가 우승했다.
2008년에는 수익성 문제로 경주 취소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으나,[6] 2011년 F1과 주최측 간의 합의를 통해 2017년까지 계약이 연장되었다.[8] 이후 2020년까지 계약이 다시 연장되었으며, 2019년에는 F1 월드 챔피언십 1000번째 레이스를 개최했다.[9][10]
2020년부터 2023년까지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경기가 취소되었으나,[11] 2024년 포뮬러 원 일정에 복귀했다.[13]
2. 1. 주요 사건
- 2005년: 르노 F1 팀이 컨스트럭터즈 챔피언을 확정지었다.[24] 맥라렌의 후안 파블로 몬토야가 배수구 뚜껑을 밟아 리타이어하면서 르노가 첫 컨스트럭터즈 타이틀을 획득했다.
- 2006년: 미하엘 슈마허가 그의 마지막 F1 우승(91승)을 기록했다.[24] 예선에서 고전했던 슈마허는 결승에서 르노를 제치고 우승하여 포인트 랭킹 선두인 페르난도 알론소와 동률을 이루었다.
- 2009년: 레드불 레이싱이 팀 첫 승리를 1-2 피니시로 장식했다.[24] 세바스티안 페텔이 우승하고 마크 웨버가 2위를 차지했다.
- 2012년: 메르세데스 AMG F1의 니코 로스버그가 첫 폴 포지션에서 첫 우승을 달성했다.[24] 메르세데스 웍스로서는 1955년 이탈리아 GP 이후 57년 만의 승리였다.
- 2015년: 토로 로소의 맥스 페르스타펜이 엔진 블로우로 인해 정지하여 세이프티카가 출동한 채 레이스가 종료되었다.[24]
- 2019년: F1 월드 챔피언십 통산 1000번째 레이스가 개최되었고, 루이스 해밀턴이 우승하여 메르세데스가 1-2 피니시를 장식했다.[25][26]
- 2020년 ~ 2023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팬데믹으로 인해 경기가 취소되었다.[27]
3. 역대 우승자
중국 그랑프리의 역대 우승자 정보는 다음과 같다. 모든 경기는 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에서 개최되었다.[28]
년도 | 결승일 | 라운드 | 우승자 | 컨스트럭터 | 결과 | |
---|---|---|---|---|---|---|
2004 | 9월 26일 | 16 | 루벤스 바리첼로 | 페라리 | 상세 | |
2005 | 10월 16일 | 19 | 페르난도 알론소 | 르노 | 상세 | |
2006 | 10월 1일 | 16 | 미하엘 슈마허 | 페라리 | 상세 | |
2007 | 10월 7일 | 16 | 키미 래이쾨넨 | 페라리 | 상세 | |
2008 | 10월 19일 | 17 | 루이스 해밀턴 | 맥라렌-메르세데스 | 상세 | |
2009 | 4월 19일 | 3 | 제바스티안 페텔 | 레드불-르노 | 상세 | |
2010 | 4월 18일 | 4 | 젠슨 버튼 | 맥라렌-메르세데스 | 상세 | |
2011 | 4월 17일 | 3 | 루이스 해밀턴 | 맥라렌-메르세데스 | 상세 | |
2012 | 4월 15일 | 3 | 니코 로스베르크 | 메르세데스 | 상세 | |
2013 | 4월 14일 | 3 | 페르난도 알론소 | 페라리 | 상세 | |
2014 | 4월 20일 | 4 | 루이스 해밀턴 | 메르세데스 | 상세 | |
2015 | 4월 12일 | 3 | 루이스 해밀턴 | 메르세데스 | 상세 | |
2016 | 4월 17일 | 3 | 니코 로스베르크 | 메르세데스 | 상세 | |
2017 | 4월 9일 | 2 | 루이스 해밀턴 | 메르세데스 | 상세 | |
2018 | 4월 15일 | 3 | 다니엘 리카르도 | 레드불-태그호이어 | 상세 | |
2019 | 4월 14일 | 3 | 루이스 해밀턴 | 메르세데스 | 상세 | |
2020 - 2023 |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중단 | |||||
2024 | 4월 21일 | 5 | 맥스 페르스타펜 | 레드불-혼다-RBPT | 상세 |
3. 1. 드라이버
Lewis Hamilton영어 (루이스 해밀턴)은 중국 그랑프리에서 6회로 가장 많은 우승을 차지한 드라이버이다. 2회 이상 우승한 드라이버로는 Fernando Alonsoes (페르난도 알론소)와 Nico Rosbergde (니코 로스버그)가 있다.[14][29]우승 횟수 | 드라이버 | 우승 년도 |
---|---|---|
6 | 루이스 해밀턴 | 2008, 2011, 2014, 2015, 2017, 2019 |
2 | 페르난도 알론소 | 2005, 2013 |
니코 로스베르크 | 2012, 2016 | |
출처:[14] |
- '''굵은 글씨'''는 2024년 F1 세계 선수권 대회에 참가 중인 드라이버를 나타낸다.
3. 2. 컨스트럭터
승리 횟수 | 팀 | 승리 연도 |
---|---|---|
6 | 메르세데스 | 2012, 2014, 2015, 2016, 2017, 2019 |
4 | 페라리 | 2004, 2006, 2007, 2013 |
3 | 맥라렌 | 2008, 2010, 2011 |
레드 불 | 2009, 2018, 2024 | |
출처:[14] |
- '''굵은 글씨'''는 2024년 F1 세계 선수권 대회에 참가 중인 컨스트럭터.
3. 3. 엔진 제조사
Mercedes-AMG High Performance Powertrains영어에서 제조한 메르세데스 엔진이 9회로 최다 우승을 기록했다.[31] 페라리 엔진이 4회[31], 르노 엔진이 2회 우승했다.[31]횟수 | 제조사 | 우승 연도 |
---|---|---|
9 | 메르세데스 | 2008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9년 |
4 | 페라리 | 2004년, 2006년, 2007년, 2013년 |
2 | 르노 | 2005년, 2009년 |
출처: [31] |
- '''굵은 글씨'''는 2024년 F1 세계 선수권 대회에 참가 중인 제조사이다.
3. 4. 연도별 우승자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