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앙크로아티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앙크로아티아는 디나르 알프스와 파노니아 분지의 경계에 걸쳐 있는 크로아티아의 지역이다. 지형은 산악 지형과 평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산으로는 이반시치차 산과 메드베드니차 산 등이 있다. 이 지역은 흑해 배수 유역에 속하며, 사바 강, 드라바 강 등의 강이 흐른다. 행정 구역은 10개의 주와 자그레브 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그레브 시를 포함하여 2011년 기준 240만 명 이상의 인구가 거주한다. 경제적으로는 자그레브 시가 국내총생산에 가장 크게 기여하며, 도매 및 소매 무역, 가공 산업 등이 발달했다. 교통은 유럽 교통 복도와 자그레브 공항을 통해 이루어지며, 문화적으로는 중세 시대의 건축물과 유적이 풍부하게 남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로아티아의 지역 - 달마티아
    달마티아는 아드리아해 동부 해안을 따라 뻗은 역사적, 지리적, 문화적 지역으로, 고대 로마 속주였으며 현재는 크로아티아의 역사적 지역으로 인식되지만 명확한 법적 경계는 없고, 다양한 세력의 지배와 문화적 교류를 거쳐 크로아티아 역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 크로아티아의 지역 - 슬라보니아
    슬라보니아는 크로아티아 동부의 드라바 강, 사바 강, 다뉴브 강으로 둘러싸인 비옥한 평야 지대로, 다양한 문화의 영향을 받으며 크로아티아의 5개 주로 구성되어 농업과 식품 가공업이 발달했고 풍부한 문화유산과 전통으로 유명한 역사적인 지역이다.
  • 크로아티아의 역사적 지역 - 달마티아
    달마티아는 아드리아해 동부 해안을 따라 뻗은 역사적, 지리적, 문화적 지역으로, 고대 로마 속주였으며 현재는 크로아티아의 역사적 지역으로 인식되지만 명확한 법적 경계는 없고, 다양한 세력의 지배와 문화적 교류를 거쳐 크로아티아 역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 크로아티아의 역사적 지역 - 슬라보니아
    슬라보니아는 크로아티아 동부의 드라바 강, 사바 강, 다뉴브 강으로 둘러싸인 비옥한 평야 지대로, 다양한 문화의 영향을 받으며 크로아티아의 5개 주로 구성되어 농업과 식품 가공업이 발달했고 풍부한 문화유산과 전통으로 유명한 역사적인 지역이다.
  • 크로아티아의 지리 - 달마티아
    달마티아는 아드리아해 동부 해안을 따라 뻗은 역사적, 지리적, 문화적 지역으로, 고대 로마 속주였으며 현재는 크로아티아의 역사적 지역으로 인식되지만 명확한 법적 경계는 없고, 다양한 세력의 지배와 문화적 교류를 거쳐 크로아티아 역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 크로아티아의 지리 - 발칸반도
    발칸반도는 유럽 남동부의 반도로 아드리아해, 지중해, 흑해에 접하며 다뉴브강, 사바강, 쿠파강 이남 지역을 지칭하고, 다양한 국가들이 위치하며 역사적, 지정학적 중요성으로 '유럽의 화약고'라고도 불린다.
중앙크로아티아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중앙 크로아티아
중앙 크로아티아
공식 명칭스레디슈냐 흐르바츠카
다른 명칭고르스카 흐르바츠카
우자 흐르바츠카
설명중앙 크로아티아는 크로아티아의 역사적 지역이다.
일반 정보
국가크로아티아
중심 도시자그레브
면적29,302km²
인구2,224,623명
역사적 정보
지역 구분크로아티아 고유 지역은 크로아티아의 공식적인 하위 구분이 아니며, 역사적 지역이다.
기타
해당 카운티벨로바르-빌로고라 주
카를로바츠 주
코프리브니차-크리제브치 주
크라피나-자고레 주
리카-세니 주
리토랄-고르스키 코타르 주
메지무레 주
시사크-모슬라비나 주
바라주딘 주
자그레브 주
자그레브 (도시)

2. 지리

크로아티아 본토는 디나르 알프스와 판노니아 평원의 경계에 걸쳐 있다.[10] 디나르 알프스는 후기 쥐라기 시대부터 최근까지 활동적인 습곡 및 충상대와 연결되어 있으며, 남부 알프스에서 남동쪽으로 뻗어 있는 알파인 조산대의 일부이다.[12] 카르스트 지형은 특히 디나르 알프스에서 두드러진다.[13]

파노니아 분지는 후기 고생대 바리스크 조산 운동 동안 형성된 지각 구조의 마이오세 시대의 얇아짐과 침강을 통해 형성되었다. 고생대와 중생대 구조는 파푸크 산과 다른 슬라보니아 산에서 볼 수 있다. 이 과정은 또한 12–17 Mya에 분지에서 화산암 사슬을 형성하게 했고, 5 Mya까지 심화된 침강뿐만 아니라 약 7.5 Mya에 홍수 현무암이 관찰되었다. 현대 지각 변동으로 인한 카르파티아 산맥의 융기는 흑해로의 물의 흐름을 차단했고, 파노니아 해가 분지에 형성되었다. 그 결과 특히 강 계곡, 특히 사바 강, 드라바 강, 쿠파 강을 따라 넓은 평원이 형성되었다. 평원에는 호르스트와 그라벤 구조가 흩어져 있으며, 이는 파노니아 섬 산과 같이 파노니아 해의 표면을 뚫고 나온 것으로 여겨진다.

이 지형 중 가장 높은 곳은 자그레브 북쪽에 있는 1059m 높이의 이반시치차 산과 1035m 높이의 메드베드니차 산이다.[8] 동쪽 슬라보니아의 파푸크 산과 포제슈카 고라 산의 화성암 지형과 함께 489m 높이의 모슬라바츠카 고라의 일부는 디나르 알프스를 일으킨 것과 동일한 판 구조론 충돌의 화산호의 잔재일 수 있다.[12][16]

사바 강(Sava)과 자그레브를 배경으로 한 메드베드니차 산


고르스키 코타르의 리스냑 산


바라주딘 남쪽의 이반시치차 산


크로아티아 본토의 가장 높은 산[8]
봉우리고도좌표
벨레비트 산바간스키 브르흐1757m
플레시비차 산오제블린1657m
벨리카 카펠라 산벨롤라시차-쿨라1533m
리스냑 산리스냑1528m
스녜즈니크 산스녜즈니크1506m
줌베라크 산스베타 게라1181m
이반시치차 산이반시치차1059m
메드베드니차 산슬리에메1035m
사모보르스카 고라 산예페티치879m
스트라힌시치차 산스트라힌시치차846m
플레시비차 산플레시비차777m
라브나 고라 (트라코슈찬)라브나 고라686m
칼니츠코 고르예 산칼니크642m
즈린스카 고라 산피라미다616m
보데니차 산보데니차537m
페트로바 고라 산벨리키 페트로바츠512m



이 지역은 디나르 알프스의 일부이며, 후기 쥐라기 시대부터 최근까지의 습곡 및 충상대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남부 알프스에서 남동쪽으로 뻗어 있는 알파인 조산대의 일부이다.[12] 크로아티아의 디나르 알프스는 고르스키 코타르와 리카 지역 전체와 달마티아의 상당 부분을 포함하며, 북동쪽 가장자리는 1181m 높이의 줌베라크 산에서 바노비나 지역까지, 사바 강을 따라 이어진다.[11] 그리고 서쪽의 지형은 이스트라의 1272m 높이의 치차리아 산과 1396m 높이의 우츠카 산이다. 산악 크로아티아는 1500m보다 높은 8개의 크로아티아 산 중 5개(벨레비트 산, 플레시비차 산, 벨리카 카펠라 산, 리스냑 산 및 스녜즈니크 산)을 포함한다.[17] 카르스트 지형은 크로아티아의 절반을 차지하며, 특히 디나르 알프스와 산악 크로아티아에서 두드러진다.[13] 산악 크로아티아에는 수많은 동굴이 있다.[18]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길고 디나르 알프스 전체에서 가장 긴 동굴인 20656m 높이의 키타 가체시나는 산악 크로아티아의 남부 벨레비트 지역에 위치해 있다.[19]

2. 1. 지형

크로아티아 본토는 디나르 알프스와 파노니아 분지의 경계에 걸쳐 있다.[10] 디나르 알프스는 후기 쥐라기 시대부터 최근까지 활동적인 습곡 및 충상대와 연결되어 있으며, 남부 알프스에서 남동쪽으로 뻗어 있는 알파인 조산대의 일부이다.[12] 카르스트 지형은 특히 디나르 알프스에서 두드러진다.[13]

파노니아 분지는 후기 고생대 바리스크 조산 운동 동안 형성된 지각 구조의 마이오세 시대의 얇아짐과 침강을 통해 형성되었다. 고생대와 중생대 구조는 파푸크 산과 다른 슬라보니아 산에서 볼 수 있다. 이 과정은 또한 12–17 Mya에 분지에서 화산암 사슬을 형성하게 했고, 5 Mya까지 심화된 침강뿐만 아니라 약 7.5 Mya에 홍수 현무암이 관찰되었다. 현대 지각 변동으로 인한 카르파티아 산맥의 융기는 흑해로의 물의 흐름을 차단했고, 파노니아 해가 분지에 형성되었다. 그 결과 특히 강 계곡, 특히 사바 강, 드라바 강, 쿠파 강을 따라 넓은 평원이 형성되었다. 평원에는 호르스트와 그라벤 구조가 흩어져 있으며, 이는 파노니아 섬 산과 같이 파노니아 해의 표면을 뚫고 나온 것으로 여겨진다.

이 지형 중 가장 높은 곳은 자그레브 북쪽에 있는 1059m 높이의 이반시치차 산과 1035m 높이의 메드베드니차 산이다.[8] 동쪽 슬라보니아의 파푸크 산과 포제슈카 고라 산의 화성암 지형과 함께 489m 높이의 모슬라바츠카 고라의 일부는 디나르 알프스를 일으킨 것과 동일한 판 구조론 충돌의 화산호의 잔재일 수 있다.[12][16]

크로아티아 본토의 가장 높은 산[8]
봉우리고도좌표
벨레비트 산바간스키 브르흐1757m
플레시비차 산오제블린1657m
벨리카 카펠라 산벨롤라시차-쿨라1533m
리스냑 산리스냑1528m
스녜즈니크 산스녜즈니크1506m
줌베라크 산스베타 게라1181m
이반시치차 산이반시치차1059m
메드베드니차 산슬리에메1035m
사모보르스카 고라 산예페티치879m
스트라힌시치차 산스트라힌시치차846m
플레시비차 산플레시비차777m
라브나 고라 (트라코슈찬)라브나 고라686m
칼니츠코 고르예 산칼니크642m
즈린스카 고라 산피라미다616m
보데니차 산보데니차537m
페트로바 고라 산벨리키 페트로바츠512m



이 지역은 디나르 알프스의 일부이며, 후기 쥐라기 시대부터 최근까지의 습곡 및 충상대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남부 알프스에서 남동쪽으로 뻗어 있는 알파인 조산대의 일부이다.[12] 크로아티아의 디나르 알프스는 고르스키 코타르와 리카 지역 전체와 달마티아의 상당 부분을 포함하며, 북동쪽 가장자리는 1181m 높이의 줌베라크 산에서 바노비나 지역까지, 사바 강을 따라 이어진다.[11] 그리고 서쪽의 지형은 이스트라의 1272m 높이의 치차리아 산과 1396m 높이의 우츠카 산이다. 산악 크로아티아는 1500m보다 높은 8개의 크로아티아 산 중 5개(벨레비트 산, 플레시비차 산, 벨리카 카펠라 산, 리스냑 산 및 스녜즈니크 산)을 포함한다.[17] 카르스트 지형은 크로아티아의 절반을 차지하며, 특히 디나르 알프스와 산악 크로아티아에서 두드러진다.[13] 산악 크로아티아에는 수많은 동굴이 있다.[18]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길고 디나르 알프스 전체에서 가장 긴 동굴인 20656m 높이의 키타 가체시나는 산악 크로아티아의 남부 벨레비트 지역에 위치해 있다.[19]

2. 1. 1. 주요 산

벨레비트 산 (바간스키 브르흐, 1757m), 플레시비차 산 (오제블린, 1657m), 벨리카 카펠라 산 (벨롤라시차-쿨라, 1533m), 리스냑 산 (리스냑, 1528m), 스녜즈니크 산 (스녜즈니크, 1506m), 줌베라크 산 (스베타 게라, 1181m), 이반시치차 산 (이반시치차, 1059m), 메드베드니차 산 (슬리에메, 1035m)

2. 2. 수문 및 기후

이 지역의 대다수는 흑해 배수 유역에 포함되며, 다뉴브강을 제외하고 사바강, 드라바강, 무라 강, 쿠파강 등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큰 강들이 흐른다.[20][21] 크로아티아 본토에서 가장 큰 호수는 바라주딘 근처에 있는 두브라바 호수와 바라주딘 호수 저수지이다.[8] 국제적으로 중요한 람사르 습지 목록에 포함된 크로아티아 습지 4곳 중 2곳은 시사크 근처 사바 강과 로냐강을 따라 있는 론스코 폴레와 야스트레바르스코 근처의 크르나 믈라카이다.[20]

플리트비체 호수—세계 유산
]]

슬룬치차 강 폭포 in 라스토케


디나르 알프스 지형의 높은 카르스트 지형화로 인해 토양과 암석의 투과성이 증가하고 석회화(travertine) 장벽과 폭포가 형성되었다.[22] 수로와 카르스트의 상호 작용을 보여주는 가장 훌륭한 예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된 플리트비체 호수[23]와 플리트비체 호수 북쪽에 위치한 라스토케이다.[24]

쾨펜 기후 구분에 따라 온화하고 비가 많은 습윤 대륙성 기후 (Dfb)이다. 월 평균 기온은 -3 °C (1월)와 18 °C (7월) 사이이다. 아드리아해의 완화 효과가 없기 때문에 크로아티아의 다른 지역보다 이 지역에서 기온의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35.5 °C의 최저 기온은 1919년 2월 3일 차코베츠에서 기록되었으며, 42.4 °C의 최고 기온은 1950년 7월 5일 카를로바츠에서 기록되었다.[8]

3. 역사

크로아티아 고유 지역은 15세기부터 시작된 베네치아 공화국오스만 제국의 정복으로 인해 중세 크로아티아 왕국의 영토가 축소되면서 역사적으로 정의되었다.[58] 15세기 말 보스니아 왕국이 멸망한 이후 이 지역에 대한 오스만 제국의 침략이 시작되었고, 1493년 크르바바 전투에서 절정에 달했다.[36] 1522년에는 크로아티아의 수도가 달마티아에서 비하치로 이전되었다. 이에 대응하여 합스부르크 제국은 크로아티아 군사 변경 지역을 설치하여 제국의 직접 통치하에 두었다.[59] 1528년까지 리카의 거의 모든 지역이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있었다.[36]



오스만 제국은 달마티아 지역을 점령했고, 1493년 크르바바 전투와 1526년 모하치 전투에서 승리하여 슬라보니아를 잃었다. 이로 인해 크로아티아는 헝가리 왕국과의 동군 연합을 통해 헝가리에 묶여 있었으나 헝가리가 패배했다. 오스만 제국의 정복 범위는 크로아티아 고유 지역의 남부 및 동부 경계를 표시한다. 크로아티아 고유 지역은 과거 크로아티아 왕국(reliquiae reliquiarum olim magni et inclyti regni Croatiaela)과 합스부르크 제국 내의 크로아티아 왕국의 유물로 불렸다.[58] 크로아티아 군사 변경 지역은 16세기 후반에 점차적으로 설립되어 크로아티아 왕국으로부터 더 많은 영토를 빼앗아 군사 지역을 제국의 직접 통치하에 두었다.[59] 오스만 제국의 크로아티아 영토 침략은 1593년 시사크 전투까지 계속되었으며, 이는 오스만 제국의 첫 번째 결정적인 패배로, 국경의 보다 지속적인 안정을 가져왔다.[60] 오스만 제국의 이 지역에 대한 지배력이 약해지면서 군사 변경 지역은 리카 전체를 포함하도록 확장되었다. 1881년, 이 지역은 고르스키 코타르와 함께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에 편입되었으며, 고르스키 코타르는 크로아티아-오스만 전쟁 내내 크로아티아 왕국의 일부로 남아 있었다.[60]

대터키 전쟁에서 오스만 제국이 패배하고 카를로비츠 조약 (1699년)이 체결된 후, 회복된 영토에서 별도의 슬라보니아 왕국이 형성되어 크로아티아 왕국의 확정된 국경을 확인했다.[60] 1868년의 크로아티아-헝가리 협정 조항에 따라, 슬라보니아는 자그레브에서 통치되는 영토인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에 추가되었고 군사 변경 지역은 폐지되었다. 리에카는 새로운 왕국에서 제거되었으며, 코르푸스 세파라툼이 대신 헝가리에 부속시켰다.[61][62] 제1차 세계 대전과 트리아농 조약 이후, 헝가리는 리예카와 메지무르예, 그리고 다른 영토를 새로 설립된 세르브인, 크로아티아인 및 슬로베인 왕국에 잃었다.[63][64] 1921년 헌법은 이 나라를 단일 국가로 정의하고 역사적 행정 구역을 폐지하여 크로아티아의 자율성을 사실상 종식시켰다.[65] 메지무르예는 1947년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에 할당되었는데, 이는 1943년과 1945년 AVNOJ의 결정에 따라 구 유고슬라비아의 구성 공화국의 모든 국경이 경계 위원회에 의해 정의되었을 때였다.[66]

코르둔과 바니야 인민 봉기 기념비


유고슬라비아의 붕괴 이후, 1991년 크로아티아 독립 선언 이후,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 (RSK)은 크로아티아의 일부 지역, 특히 크로아티아의 일부 지역인 바노비나와 코르둔을 선포했으며, 카를로바츠 동쪽과 시사크 남쪽을 포함하여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의 시작을 알렸다.[67] 1992년 1월 휴전 이후,[68] 국제 연합 평화 유지군이 이 지역에 배치되었다.[69] 이 지역은 1995년 8월 폭풍 작전에서 재탈환될 때까지 크로아티아 정부의 통제를 받지 않았다. 크로아티아군의 작전은 RSK 군대의 마지막 작전 부대가 글리나 근처의 비두세바츠에서 항복한 후 종료되었다.[70] 전쟁 후, 이 지역의 여러 마을과 지방 자치 단체는 특별 국가 관심 지역으로 지정되었다.

4. 행정 구역

중앙크로아티아는 10개의 주와 1개의 직할시로 구성된다.[8][9]


4. 1. 주 목록

5. 인구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크로아티아 본토 10개 주 전체와 자그레브시의 총 인구는 2,418,214명으로, 크로아티아 전체 인구의 56.4%를 차지한다.[9] 전체 인구의 가장 큰 비율은 자그레브시에 거주하며, 그 다음이 자그레브이다. 리카-세니주는 크로아티아 본토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주이다.[9] 주의 인구 밀도는 1제곱킬로미터당 156.9명에서 9.5명 사이이며, 메지무르예주에서 가장 높은 밀도를 기록하고 리카-세니주에서 가장 낮다. 가장 높은 인구 밀도는 자그레브시 지역에서 기록되었으며, 1제곱킬로미터당 1,236.9명이다.[9] 자그레브는 크로아티아 본토에서 가장 큰 도시이며, 그 다음은 리에카, 카를로바츠, 바라주딘, 시사크, 벨리카 고리카이다. 크로아티아 본토의 다른 도시들은 인구가 3만 명 미만이다.[9] 200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크로아티아인이 이 지역 인구의 92.0%를 차지하며, 가장 큰 소수 민족은 인구의 3.4%를 차지하는 크로아티아 세르비아인이다. 세르비아 소수 민족의 가장 큰 비율은 시사크-모슬라비나주와 카를로바츠주에서 기록되었으며 (각각 11.7%와 11.0%), 비엘로바르-빌로고라주에서는 상당한 체코인 소수 민족이 관찰되었으며, 이들은 주의 인구의 5.3%를 차지했다.[28]

자그레브


리에카


카를로바츠


바라주딘


크로아티아 본토의 인구 밀도가 높은 도시 지역
순위도시도시 인구지방 자치 단체 인구
1자그레브자그레브 시686,568792,875
2리에카프리모르예-고르스키 코타르128,624213,666
3카를로바츠카를로바츠46,82755,981
4바라주딘바라주딘38,74647,055
5시사크시사크-모슬라비나33,04947,699
6벨리카 고리카자그레브31,34163,511
7비엘로바르비엘로바르-빌로고라27,09940,443
8코프리브니차코프리브니차-크리제브치23,89630,872
9자프레시치자그레브19,57425,226
10사모보르자그레브15,86737,607
출처: 크로아티아 통계청, 2011년 인구 조사[9]


6. 경제

크로아티아 본토의 저지대는 국가 국내총생산(GDP)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지역이다. 자그레브시는 크로아티아 GDP의 34.3%를 차지하며, 프리모르예-고르스키 코타르 주(8.3%), 자그레브 주(5.9%), 바라즈딘 주(3.6%)가 그 뒤를 잇는다.[29][30] 이 지역은 크로아티아 GDP의 65.5%를 기여하며, 평균 1인당 GDP는 14,414 유로로 전국 평균보다 17.5% 높다.

자그레브시의 경제는 도매소매 무역(38.1%), 가공 산업(20.3%)이 주를 이루며, 에너지 산업, 정보 및 통신, 토목 공학, 전문 기술 및 과학 서비스, 금융 서비스, 운송 및 보관 서비스 등이 뒤를 잇는다.[31] 자그레브 주의 경제는 도매 및 소매 무역(53.5%)과 가공 산업(25.7%)이 지배적이며, 운송(6.1%) 및 토목 공학(5.3%)이 그 뒤를 잇는다.[31] 2020년, 크로아티아 본토에 본사를 둔 가장 큰 기업은 INA, Konzum plus(Fortenova Grupa 기업 집단), Hrvatska elektroprivreda이며, 모두 자그레브에 있다.[32]

바라즈딘 주에서 가장 큰 회사는 식품 가공 회사 Vindija이며,[32] 코프리브니차-크리제브치 주에서 가장 큰 회사는 식품 가공 회사인 Podravka이다.[32] 시사크-모슬라비나 주에서 가장 큰 회사는 석유화학 공장 Petrokemija이며,[32] 카를로바츠 주에서 가장 큰 회사는 육류 가공 회사인 PPK Karlovac이다.[32] 크라피나-자고르예 주에서 가장 큰 회사는 유리 포장 생산 회사 Vetropack Straža이고,[32] 메지무리예 주에서 가장 큰 회사는 육류 가공 회사 차코베츠이다.[32] 리카-세니 주에서 가장 큰 회사는 Calcit Lika이다.[32]

GDP1인당 GDP
백만 지수
(크로아티아=100)
지수
(크로아티아=100)
벨로바르-빌로고라9251.87,98665.1
카를로바츠1,0352.08,30167.7
코프리브니차-크리제브치9791.98,71171.0
크라피나-자고르예1,0212.07,91964.5
리카-세니4360.98,87872.4
메지무리예1,1422.210,30284.0
프리모르예-고르스키 코타르4,2708.314,797120.6
시사크-모슬라비나1,3092.67,86864.1
바라즈딘1,8653.610,89988.8
자그레브3,0115.99,71079.1
자그레브 시17,54430.922,695185.0
총계:33,53765.514,414117.5
출처: 크로아티아 통계청(2018년 데이터)[33][34]



리카와 고르스키 코타르 지역은 임업, 농업, 축산업이 주요 산업이었으나,[35]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으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36] 2000년대 이후 농촌 관광을 중심으로 관광 산업이 성장하고 있다.[37]

6. 1. 주요 기업

7. 교통

루치코 분기점—자그레브의 두 범유럽 복도 교차로


중앙크로아티아에는 세 개의 범유럽 복도(Pan-European transport corridors and corridor branches)가 지나간다.[38] 복도 Vb는 A4 고속도로를 포함하며, 자그레브에서 바라주딘과 헝가리 국경까지 연결된다. A1 및 A6 고속도로의 일부 구간은 자그레브 남쪽에서 카를로바츠와 리예카 방향으로 뻗어 있다. 이 교통 복도에는 자그레브를 거쳐 리예카 항구와 부다페스트를 연결하는 병행 철도 노선도 포함되어 있다. 복도 X는 A3 고속도로와 이 지역을 서에서 동으로 뻗어가는 복선 철도로, A2 고속도로—복도 X의 Xa 분기로 나타난다. 이 세 경로는 자그레브 근처에서 분기점을 형성한다.[38]

자그레브 공항은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큰 공항이다.[39] 2012년 4월, 크로아티아 정부와 자그레브 공항 국제 회사 제한 회사는 지역 교통 허브로서 공항을 개발하고 관리하기 위한 30년 양허 계약을 체결했다.[40]

시사크 하류의 사바 강은 항해가 가능하다. 그러나 이 항해 노선은 1991년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발발 이후 사용이 중단되었으며, 전쟁 종전 이후 완전히 복원되지 않아 시사크에 도달할 수 있는 선박의 크기가 제한되었다.[41][42]

파이프라인 운송 인프라는 야드란스키 나프토보드(Jadranski naftovod, JANAF) 파이프라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사크와 비르예의 원유 저장 시설 및 터미널을 사바 강 동쪽에 있는 슬라본스키 브로드의 터미널과 오미샬 유류 터미널—리예카 항구의 일부—에 연결한다. JANAF 시스템에는 자그레브의 연료 취급 터미널로 연결되는 석유 파생물 파이프라인도 포함되어 있다.[43] 자그레브에서 동쪽으로 약 50km 떨어진 곳에 지하 저장 시설이 있어, 이 지역은 크로아티아 천연 가스 공급 시스템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44]

8. 문화

중앙 크로아티아는 대규모 전쟁 피해를 거의 입지 않아 중세 도시, 구릉 요새, 영주의 저택, 성, 궁전, 교회를 포함한 수많은 문화 유산 유적을 보존하고 있다. 중세 크로아티아 왕국은 아드리아 해 해안에 더 가까운 남쪽에 위치했기 때문에, 이 지역에는 초기 중세 시대 및 고중세 시대의 기념물은 거의 남아 있지 않다. 그러나 선사 시대 및 고대의 유적이 있는 고고학 유적지가 있으며, 가장 중요한 선사 시대 유적지는 ''네안데르탈인'' 유적지인 크라피나에서 발견된 곳이다.

이 지역에는 크로아티아에 보존되거나 복원된 180여 개의 성 및 영주의 저택이 대부분 위치해 있다. 가장 잘 보존된 건물들은 오스만 제국 정복의 위협이 사라진 17세기와 18세기에 지어졌다. 가장 많은 수의 보존된 성과 영주의 저택은 흐르바츠코 자고리에에 위치해 있으며, 여기에는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아름다운 성인 트라코슈찬 성이 포함된다.

트라코슈찬 성 (크라피나 북쪽에 위치)
이 성은 14세기에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그 이후로 상당 부분 확장되고 재건되었다. 또 다른 예로는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잘 보존된 중세 성인 벨리키 타보르 성이 있는데, 15세기 후반에 완공되었다.

이 지역의 도시 중에서는 바라주딘자그레브가 문화적으로 특히 두드러진다. 바라주딘은 크로아티아에서 바로크 문화와 유산의 가장 중요한 중심지로 여겨지며, 자그레브는 크로아티아 전체에서 가장 큰 문화 중심지이다. 자그레브에는 수십 개의 갤러리, 박물관, 극장이 있으며, 1093년에 설립되어 여러 차례 재건된 자그레브 대성당과 같은 수많은 랜드마크가 위치해 있다. 자그레브 대성당은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이다. 자그레브는 과학 연구 및 교육의 가장 중요한 중심지이기도 하다. 1669년부터 지속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자그레브 대학교는 크로아티아와 남동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고등 교육 기관이며, 크로아티아 최고의 과학 연구소인 루제르 보스코비치 연구소와 크로아티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가 위치해 있다.

참조

[1] 서적 Eastern Europe: An Introduction to the People, Lands,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ABC-CLIO
[2] 간행물 Zemljopisno, povijesno, upravno i pravno određenje istočne Hrvatske – korijeni suvremenog regionalizma http://hrcak.srce.hr[...] University of Rijeka 2012-03-12
[3] 간행물 Hidrogeografske značajke Središnje Hrvatske https://hrcak.srce.h[...] Hrvatsko geografsko društvo (Croatian Geographical Society)
[4] 백과사전 Gorska Hrvatska https://proleksis.lz[...] 2015-09-17
[5] 간행물 Contributions for Supplement and Modification in Regionalization of the Republic of Croatia https://hrcak.srce.h[...]
[6] 백과사전 Hrvatska: Zagrebačka ili središnja hrvatska makroregija http://www.enciklope[...] Leksikografski zavod Miroslav Krleža 2019-06-29
[7] 간행물 Nacionalna klasifikacija statističkih regija 2021. (HR_NUTS 2021.) https://narodne-novi[...] 2021-08-10
[8] 웹사이트 2010 – Statistical Yearbook of the Republic of Croatia http://www.dzs.hr/Hr[...] Croatian Bureau of Statistics 2011-10-07
[9] 웹사이트 Census 2011 First Results http://www.dzs.hr/En[...] Croatian Bureau of Statistics 2011-08-05
[10] 웹사이트 Drugo, trece i cetvrto nacionalno izvješće Republike Hrvatske prema Okvirnoj konvenciji Ujedinjenih naroda o promjeni klime (UNFCCC) http://klima.mzopu.h[...]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Spatial Planning (Croatia) 2012-03-02
[11] 서적 Encyclopedia of Caves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12-03-03
[12] 간행물 Evolution of the northern and western Dinarides: a tectonostratigraphic approach http://www.stephan-m[...] Copernicus Publications 2012-03-03
[13] 웹사이트 Raširenost krša u Hrvatskoj http://www.geografij[...] Croatian Geographic Society 2011-10-18
[14] 서적 Recent Landform Evolution: The Carpatho-Balkan-Dinaric Reg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2-03-02
[15] 서적 The Nature Guide to the Hortobagy and Tisza River Floodplain, Hungary https://books.google[...] Crossbill Guides Foundation 2012-03-02
[16] 웹사이트 Geološki vodič kroz park prirode Papuk http://www.papukgeop[...] Papuk Geopark 2012-03-02
[17] 간행물 Geographical and Meteorological Data http://www.dzs.hr/Hr[...] Croatian Bureau of Statistics 2012-01-28
[18] 웹사이트 The best national parks of Europe http://www.bbc.com/t[...] BBC 2011-10-11
[19] 뉴스 Postojna više nije najdulja jama u Dinaridima: Rekord drži hrvatska Kita Gaćešina http://www.index.hr/[...] 2012-03-03
[20] 웹사이트 Wetlands and Water http://www.wfd-croat[...] Water Framework Directive implementation project in Croatia 2012-03-02
[21] 간행물 Zalihe pitkih voda u Republici Hrvatskoj http://hrcak.srce.hr[...] University of Zagreb 2012-03-02
[22] 웹사이트 Projekt – Hrvatske rijeke http://www.biom.hr/w[...] Association for Biological Research – BIOM 2012-04-03
[23] 웹사이트 Plitvice Lakes National Park https://whc.unesco.o[...] UNESCO 2012-04-03
[24] 웹사이트 Razvoj turizma na području značajnog krajobraza Slunjčica http://www.slunj.hr/[...] City of Slunj 2012-04-11
[25] 웹사이트 Projekt – Hrvatske rijeke http://www.biom.hr/w[...] Association for Biological Research – BIOM 2012-04-03
[26] 웹사이트 Geologija – Krš http://www.wfd-croat[...] Project for Implementation of the Water Framework Directive 2012-04-03
[27] 서적 Biodiversity of Croatia http://www.dzzp.hr/d[...] State Institute for Nature Protection, Ministry of Culture (Croatia) 2011-10-13
[28] 웹사이트 Popis stanovništva 2001. http://www.dzs.hr/Hr[...] Croatian Bureau of Statistics 2012-03-12
[29] 웹사이트 Gross domestic product for Republic of Croatia, NUTS 2013 - 2nd level and countries, 2018 https://www.dzs.hr/H[...] 2021-07-19
[30] 웹사이트 Gross domestic product - Review by countries 2000-2018 https://www.dzs.hr/H[...] 2021-07-19
[31] 웹사이트 Struktura gospodarstva Grada Zagreba i Zagrebačke županije http://www.zg.hgk.hr[...] Croatian Chamber of Economy 2012-06-26
[32] 웹사이트 Top 1500 hrvatskih kompanija 2020. https://novac.jutarn[...] Jutranji list and Fina 2021-08-13
[33] 웹사이트 Gross domestic product for Republic of Croatia, NUTS 2013 - 2nd level and countries, 2018 https://www.dzs.hr/H[...] 2021-07-19
[34] 웹사이트 Gross domestic product - Review by countries 2000-2018 https://www.dzs.hr/H[...] 2021-07-19
[35] 웹사이트 Osnovna analiza stanja za područje Gorskog kotara – 2009. http://www.pins-skra[...] Lokalna razvojna agencija Pins Skrad 2012-04-03
[36] 논문 Modernizacija (i/ili europeizacija) hrvatske periferije – primjeri Istre, Like i Gorskog Kotara http://hrcak.srce.hr[...] Croatian Sociological Association 2004-12-31
[37] 뉴스 Lika, Karlovac i Gorski kotar: Gastronomska ponuda http://www.jutarnji.[...] 2011-05-12
[38] 웹사이트 Transport : launch of the Italy-Turkey pan-European Corridor through Albania, Bulgaria, Former Yugoslav Republic of Macedonia and Greece http://europa.eu/rap[...] European Union 2002-09-09
[39] 웹사이트 Domaće zračne luke ipak u plusu http://www.poslovni.[...] Poslovni dnevnik 2009-10-06
[40] 웹사이트 Potpisan Ugovor o koncesiji za izgradnju i upravljanje Zračnom lukom Zagreb http://www.vlada.hr/[...] Government of Croatia 2012-04-11
[41] 웹사이트 O nama http://www.luckaupra[...] Sisak Port Authority null
[42] 웹사이트 Čelik iz Siska ide riječnim putem u Rumunjsku http://www.tportal.h[...] t-portal.hr 2011-06-01
[43] 웹사이트 The JANAF system http://www.janaf.hr/[...] Jadranski naftovod null
[44] 논문 Jedino domaće podzemno skladište plina grije nas i ove zime http://www.ina.hr/de[...] INA (company) null
[45] 뉴스 Strategija bespuća http://arhiv.slobodn[...] 2003-09-18
[46] 논문 Prometno i strateško značenje prijevoja Vratnik u antici http://hrcak.srce.hr[...] Museum of the city of Senj and Senj Museum Society 2010-12
[47] 논문 Kartografski izvori za rekonstrukciju i praćenje razvoja prometnih komunikacija http://hrcak.srce.hr[...] Društvo za hrvatsku ekonomsku povijest i ekohistoriju 2005-07
[48] 뉴스 Odluka o razvrstavanju javnih cesta u autoceste http://narodne-novin[...] 2007-07-25
[49] 뉴스 Sjeverna i Središnja Hrvatska – Prostor bogate povijesti, nalazišta, kulture i tradicije http://www.jutarnji.[...] 2010-08-14
[50] 뉴스 Pregled dvoraca: Baština naših davnih predaka http://www.jutarnji.[...] 2011-05-12
[51] 웹사이트 Varaždin http://croatia.hr/hr[...] Croatian National Tourist Board null
[52] 웹사이트 Grad Zagreb http://croatia.hr/hr[...] Croatian National Tourist Board null
[53] 웹사이트 Katedrala Marijina Uznesenja [The Cathedral of the Assumption of the Blessed Virgin Mary] http://www.inyourpoc[...] In Your Pocket City Guides null
[54] 논문 Razbijene zastarjele predrasude http://www.matica.hr[...] Matica hrvatska 2012-01-12
[55] 웹사이트 University of Zagreb 1699 – 2005 http://www.unizg.hr/[...] University of Zagreb null
[56] 웹사이트 About the RBI http://www.irb.hr/en[...] Ruđer Bošković Institute null
[57] 웹사이트 The Founding of the Academy http://info.hazu.hr/[...] Croatian Academy of Sciences and Arts null
[58] 논문 Nešto kulturoloških razmišljanja o regionalizmu u Hrvatskoj i Europi http://hrcak.srce.hr[...] Social Sciences Institute Ivo Pilar 1992-09
[59] 논문 Osmanska osvajanja u Slavoniji 1552. u svjetlu osmanskih arhivskih izvora http://hrcak.srce.hr[...] Croatian History Institute 2009-07
[60] 서적 Eastern Europe: An Introduction to the People, Lands,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ABC-CLIO null
[61] 논문 Hrvatsko-ugarska nagodba u zrcalu tiska http://hrcak.srce.hr[...] University of Rijeka 2007-12
[62] 논문 Političko-teritorijalna podjela i opseg civilne Hrvatske u godinama sjedinjenja s vojnom Hrvatskom 1871–1886 http://hrcak.srce.hr[...] University of Zagreb, Faculty of Political Sciences 2002-01
[63] 간행물 Trianon, Treaty of http://www.encyclope[...] null
[64] 서적 Encyclopedia of World War I https://books.google[...] ABC-CLIO null
[65] 논문 Parlamentarni izbori u Brodskom kotaru 1923. godine http://hrcak.srce.hr[...] Croatian Institute of History – Slavonia, Syrmium and Baranya history branch null
[66] 논문 Prilog za povijest uprave: Komisija za razgraničenje pri Predsjedništvu Vlade Narodne Republike Hrvatske 1945.-1946 http://hrcak.srce.hr[...] Croatian State Archives null
[67] 논문 Izvješće o djelovanju "Specijalne jedinice milicije Krajine" iz Dvora na području Banovine u lipnju i srpnju 1991. (II. dio) http://www.hrvatski-[...] Ministry of Defence (Croatia) null
[68] 뉴스 Yugoslav Factions Agree to U.N. Plan to Halt Civil War https://www.nytimes.[...] 1992-01-03
[69]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Croat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null
[70] 웹사이트 Oluja: 16 godina od hrvatskog rušenja Velike http://www.index.hr/[...] Index.hr 2011-08-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