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발칸반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칸반도는 불가리아와 세르비아의 발칸산맥에서 유래된 명칭으로, 튀르키예어로 '산'을 의미한다. 19세기 이후 반도 전체를 지칭하는 이름으로 사용되었으며, 고대 그리스 시대에는 '헤무스'로 불렸다. 14세기 초 아랍 지도에서 처음 '발칸'으로 언급되었고, 18세기 말 영국 여행가 존 베이컨 소리 모릿에 의해 영어 문학에 소개되었다. 19세기 말 세르비아 지리학자 요반 치비치가 이 용어를 남슬라브 지역 전체에 대한 세르비아 민족주의를 확증하는 데 사용하면서 널리 알려졌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의 화약고'라는 별칭을 얻었으며, 유고슬라비아의 분열로 '발칸화'라는 용어가 생겨나 부정적 의미를 내포하게 되면서 '동남유럽'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도나우강, 사바강, 쿠파강 이남 지역을 발칸반도로 보며, 지리적으로는 아드리아해, 이오니아해, 에게해, 마르마라해, 흑해로 둘러싸여 있다. 발칸반도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세력의 지배를 받았고, 현재는 여러 국가가 위치해 있으며, 1990년대 유고슬라비아 전쟁 이후 민주적 자유시장 경제 체제로의 이행을 겪었다. 발칸반도에는 다양한 언어와 종교가 존재하며, 각 국가의 민족 구성은 다양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바니아의 지리 - 블로러만
    블로러 만은 아드리아 해와 이오니아 해가 만나는 카라부룬 반도의 만으로, 다양한 생물종의 서식지이며 역사적으로 일리리아 해안 경계, 그리스 식민 도시, 로마 시대 상륙 지점, 냉전 시대 소련 해군 기지로 활용된 전략적 요충지이다.
발칸반도
지도
일반 정보
위치동남유럽
최고봉무살라산 (불가리아)
높이2925m
면적666,700km2
데모님발칸
정의 및 경계
국가아래 참조
지리
산맥리라산맥(불가리아)

2. 명칭

발칸반도라는 명칭은 불가리아세르비아에 걸쳐 있는 발칸산맥에서 유래했다. '발칸'은 튀르키예어로 '산'을 뜻하며,[270] 오스만 제국 지배 이후 산맥의 이름으로 사용되었다. 19세기 이후 반도 전체를 지칭하는 이름으로 확대되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중세 시대까지 발칸 산맥은 현지 트라키아인의 이름인 ‘헤무스(Haemus)’로 불렸다.[13]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트라키아의 왕 헤무스는 제우스의 벌을 받아 산으로 변했다고 한다.[15] D. 데체프는 헤무스가 트라키아어 단어 '*saimon*'(산등성이)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하며,[16] "헤무스"(아이모스/Αἵμοςgrc)가 '피'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haima''(하이마/αἷμαgrc)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는데, 이는 제우스와 티폰의 싸움에서 티폰의 피가 산에 떨어져 붙여진 이름이라는 신화와 관련 있다.[17]

14세기 초 아랍 지도에서 헤무스 산맥을 '발칸'으로 언급한 것이 최초의 기록이다.[18] 서구에서는 1490년 이탈리아 인문주의자 필리포 부오나코르시가 교황에게 보낸 편지에서 처음 사용되었고,[19] 오스만 제국에서는 1565년 문서에서 처음 언급되었다.[20] 오스만 제국에서 루멜리아의 '코자-발칸', '차탈-발칸'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산이라는 일반적인 의미로 사용되었지만, 특히 헤무스 산맥에 적용되었다.[21][22]

18세기 말, 영국 여행가 존 베이컨 소리 모릿이 이 용어를 영어 문학에 소개했고, 다른 저자들도 아드리아해흑해 사이의 넓은 지역에 적용하기 시작했다. 1808년 독일 지리학자 아우구스트 추네가 '발칸'이라는 개념을 만들었으나,[24] 그는 이 지역을 동남유럽의 주요 중앙 산맥으로 잘못 간주했다.[43][44][6] 19세기 중반까지 발칸반도라는 용어는 지리학 문헌에서 흔히 사용되지 않았고, 카를 리터 등은 발칸 산맥 남쪽 지역만이 반도로 간주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1878년 베를린 조약 이후 새로운 용어에 대한 정치적 필요성이 생겨났고, 점차 '발칸'이라는 용어가 다시 사용되기 시작했다.[6][44]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세르비아 지리학자 요반 치비치가 이 용어를 받아들이면서 남슬라브 지역 전체에 대한 세르비아 민족주의를 확증하려는 정치적 이유로 사용되었다.[43]

1918년 요반 치비치의 견해를 주로 따른 발칸반도의 정의.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의 화약고'라는 별칭을 얻었고, 구유고슬라비아의 분열로 '발칸화'라는 용어를 낳았다. 이처럼 발칸이라는 용어는 부정적 의미를 함축하게 되어, '동남유럽'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기도 한다.

2. 1. 역사적 명칭과 의미

발칸반도라는 명칭은 불가리아세르비아에 걸쳐 있는 발칸산맥에서 유래했다. '발칸'은 튀르키예어로 '산'을 뜻하며,[270] 오스만 제국 지배 이후 산맥의 이름으로 사용되었다. 19세기 이후 반도 전체를 지칭하는 이름으로 확대되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중세 시대까지 발칸 산맥은 현지 트라키아인의 이름인 ‘헤무스(Haemus)’로 불렸다.[13]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트라키아의 왕 헤무스는 제우스의 벌을 받아 산으로 변했다고 한다.[15] D. 데체프는 헤무스가 트라키아어 단어 '*saimon*'(산등성이)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하며,[16] "헤무스"(Αἵμοςgrc)가 '피'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haima''(αἷμαgrc)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는데, 이는 제우스와 티폰의 싸움에서 티폰의 피가 산에 떨어져 붙여진 이름이라는 신화와 관련 있다.[17]

14세기 초 아랍 지도에서 헤무스 산맥을 '발칸'으로 언급한 것이 최초의 기록이다.[18] 서구에서는 1490년 이탈리아 인문주의자 필리포 부오나코르시가 교황에게 보낸 편지에서 처음 사용되었고,[19] 오스만 제국에서는 1565년 문서에서 처음 언급되었다.[20] 오스만 제국에서 루멜리아의 '코자-발칸', '차탈-발칸'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산이라는 일반적인 의미로 사용되었지만, 특히 헤무스 산맥에 적용되었다.[21][22]

18세기 말, 영국 여행가 존 베이컨 소리 모릿이 이 용어를 영어 문학에 소개했고, 다른 저자들도 아드리아해와 흑해 사이의 넓은 지역에 적용하기 시작했다. 1808년 독일 지리학자 아우구스트 추네가 '발칸'이라는 개념을 만들었으나,[24] 그는 이 지역을 동남유럽의 주요 중앙 산맥으로 잘못 간주했다.[43][44][6] 19세기 중반까지 발칸반도라는 용어는 지리학 문헌에서 흔히 사용되지 않았고, 카를 리터 등은 발칸 산맥 남쪽 지역만이 반도로 간주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1878년 베를린 조약 이후 새로운 용어에 대한 정치적 필요성이 생겨났고, 점차 '발칸'이라는 용어가 다시 사용되기 시작했다.[6][44]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세르비아 지리학자 요반 치비치가 이 용어를 받아들이면서 남슬라브 지역 전체에 대한 세르비아 민족주의를 확증하려는 정치적 이유로 사용되었다.[43]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의 화약고'라는 별칭을 얻었고, 구유고슬라비아의 분열로 '발칸화'라는 용어를 낳았다. 이처럼 발칸이라는 용어는 부정적 의미를 함축하게 되어, '동남유럽'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기도 한다.

3. 범위

일반적으로 발칸반도는 도나우강, 사바강, 쿠파강을 경계로 하여 그 이남의 지역을 말한다.[271][272]이에 따르면 발칸반도는 그리스, 몬테네그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마케도니아, 불가리아, 알바니아, 코소보를 전부 포함하고 세르비아크로아티아의 대부분을 포괄한다. 튀르키예, 루마니아, 슬로베니아, 이탈리아의 일부도 여기에 속한다. 터키의 동트라키아 지방, 루마니아의 북도브루자 지방, 슬로베니아의 프리모르스카 지방, 이탈리아의 트리에스테과 고리치아가 발칸반도에 속하는 영역이다. 영토의 작은 부분만이 발칸반도에 속하기 때문에, 보통 루마니아, 슬로베니아, 이탈리아는 발칸 국가에서 제외된다.[273]

도나우 강-사바 강-쿠파 강 선으로 정의된 발칸 반도 지도


발칸반도는 서쪽으로는 아드리아해, 남쪽으로는 지중해(이오니아해에게해 포함)와 마르마라해, 동쪽으로는 흑해에 접해 있다. 북쪽 경계는 일반적으로 다뉴브 강, 사바 강, 쿠파 강으로 여겨진다.[30][31][32] 발칸반도의 총면적은 약 470,000 km2이다. 이 반도는 일반적으로 동남유럽으로 알려진 지역에 포함된다.

그러나 유럽 대륙과 발칸반도를 구분하는 경계는 명확하지 않다. 정치적으로는 루마니아와 슬로베니아까지 포괄하여 발칸반도라고 지칭하기도 한다.[274] 이때 발칸반도의 범위는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헝가리, 우크라이나의 이남이 된다. 매우 드물게 이탈리아의 트리에스테와 우크라이나의 오데사를 잇는 직선의 이남으로 발칸반도를 정의하기도 한다.[275]

이탈리아는 현재 트리에스테 주변의 작은 지역을 점유하고 있는데, 이 지역은 일부 오래된 정의에 따르면 발칸반도의 일부로 간주된다. 그러나 이탈리아 지리학자들은 발칸반도의 서쪽 경계를 쿠파 강으로 한정하기 때문에 트리에스테와 이스트리아 지역을 일반적으로 발칸반도의 일부로 간주하지 않는다.[33]

발칸 반도의 경계는 여러 가지 상반되는 정의로 인해 논란의 여지가 있다. 이 지역의 구성 요소에 대한 보편적인 합의는 없다. 대부분의 정의에 따르면 이 용어는 알바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불가리아, 그리스, 코소보, 몬테네그로, 북마케도니아, 유럽 터키, 루마니아 해안, 세르비아의 대부분과 크로아티아의 상당 부분을 완전히 포함한다. 때로는 루마니아 전체와 슬로베니아 남부 지역도 포함하기도 한다. 이탈리아의 트리에스테 주는 일부 정의에 따르면 반도에 속하지만 일반적으로 발칸 반도에서 제외된다.

“발칸”이라는 단어가 내포하는 역사적·정치적 의미 때문에,[180] 특히 발칸 서부에서 벌어진 1990년대 유고슬라비아 분쟁 때문에 “'''동남유럽'''”이라는 용어가 점점 더 선호되고 있다.[209][181]

도나우 강-사바 강을 경계로 했을 때 각국의 자국 영토 총면적 대비 발칸반도의 비율은 다음과 같다. 불가리아그리스가 발칸반도 영토의 거의 절반을 차지한다.

전 영토가 발칸반도 안에 있음:

대부분 또는 일부만 발칸반도 안에 있음:

  • #REDIRECT (본토 남부): 24,013 km2 (46%)[190][191]
  • #REDIRECT (그리스의 지리): 110,496 km2 (83%)
  • 이탈리아(트리에스테 및 몬팔코네): 200 km2 (0.1%)
  • (도브로자 주요 지역): 11,000 km2 (5%)
  • 세르비아() 51,000 km2 (65%)
  • #REDIRECT (남동부): 5,000 km2 (25%)
  • 튀르키예유럽 지역): 22,764 km2 (3%)


발칸반도라는 용어는 유럽 남동부의 다민족 및 정치 지역으로서 지리적 의미와 정의보다는 지정학적 의미와 정의를 가지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44]

4. 지리

발칸반도는 남유럽을 이루는 세 반도 중 하나로서 아드리아해, 이오니아해, 에게해, 마르마라해, 흑해로 둘러싸여 있다.[47][48] 반도의 대부분은 산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디나르알프스산맥은 발칸 반도의 7개 국(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코소보, 알바니아)을 지난다. 불가리아 중부와 세르비아 동부에 걸친 발칸산맥은 '발칸반도'라는 이름의 어원이 된 산맥이다. 발칸산맥 남쪽으로는 그리스에 인접한 로도피산맥이 있고, 북쪽으로는 루마니아를 가로지르는 트란실바니아알프스산맥이 있다. 발칸반도에서 루마니아를 제외하는 관점에서는 트란실바니아알프스산맥은 발칸반도에 포함되지 않는다. 산맥들은 주로 북서쪽에서 남동쪽을 향해 사선으로 뻗어 있다.[49]

발칸 산맥(Stara Planina)의 파노라마. 최고봉은 해발 2,376미터의 보테프봉(Botev Peak)이다.


발칸에서 가장 높은 산, 리라 산맥(Rila) 방향을 바라보고 있다. 해발 2,925미터에 달한다.


세르비아의 골루바츠 요새(Golubac Fortress). 발칸의 도나우 강 전선을 지킨다.


발칸반도 최대의 호수인 슈코더르호는 알바니아몬테네그로 사이에 있으며, 람사르 협약이 지정한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이자 유럽 최대의 조류 보호 구역이다.

발칸반도의 아드리아해와 에게해 연안은 지중해성 기후를, 흑해 연안은 습윤 아열대 기후와 해양성 기후를, 내륙은 습윤 대륙성 기후를 보인다. 반도의 북부와 산악 지대에서는 겨울이 춥고 눈이 많이 내리며 여름은 덥고 건조하다. 남부 지역은 겨울이 온화하다. [211]

수 세기 동안 삼림이 벌채되어 관목으로 대체되었다. 남부와 해안 지역에는 상록 식물이 있다. 내륙에는 중앙유럽의 전형적인 숲(참나무와 너도밤나무), 그리고 산악 지대에는 가문비나무, 전나무, 소나무가 있다. 산악 지대의 수목 한계선은 1,800~2,300m 높이에 있다. 이 지역은 풍부한 곤충과 파충류를 포함한 많은 고유종의 서식지를 제공하며, 이들은 다양한 맹금류와 희귀한 독수리의 먹이가 된다.

토양은 일반적으로 척박하지만, 평야 지역에서는 천연 초지, 비옥한 토양, 따뜻한 여름으로 인해 경작이 가능하다. 다른 지역에서는 산악 지형, 더운 여름, 척박한 토양으로 인해 경작이 대부분 성공적이지 않지만, 올리브와 포도와 같은 특정 작물은 번성한다.

에너지 자원은 부족하지만, 코소보에는 상당한 매장량의 석탄, 납, 아연, 크롬, 은이 매장되어 있다.[50] 불가리아, 세르비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도 석탄 매장량이 존재한다. 갈탄 매장량은 그리스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다. 그리스, 세르비아, 알바니아에는 석유 매장량이 적다. 천연가스 매장량은 부족하다. 1,000개가 넘는 댐에서 수력 발전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끊임없이 부는 보라 풍도 발전에 이용되고 있다.

금속 광석은 다른 원자재보다 흔하다. 철광석은 드물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상당량의 구리, 아연, 주석, 크로마이트, 망간, 마그네사이트, 보크사이트가 있다. 일부 금속은 수출된다.

5. 역사

발칸반도는 유럽과 아시아의 교차점으로 그 지정학적 중요성으로 인해 역사적으로 다양한 세력의 지배를 받았다. 오늘날 유럽의 화약고라 불리는 발칸반도의 복잡한 민족, 문화, 영토 문제는 발칸반도의 역사에서 기인한다.



아폴로니아 유적. 알바니아, 피에르 근교.


로마 시대 궁전 펠릭스 로물리아나 유적. UNESCO, 세르비아.


== 고대 ==

발칸 지역은 유럽에서 신석기 시대 농경 문화가 처음 도착한 지역으로,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해 왔다. 기원전 7천년경 신석기 시대에 근동에서 유럽으로 농업이 전파되는 통로였으며,[51][52][212][213] 곡물 재배와 가축 사육은 비옥한 초승달 지대에서 아나톨리아를 거쳐 발칸 반도에 도착하여 중앙 유럽으로 퍼져나갔다. 이 지역에서는 스타체보 문화와 빈차 문화라는 두 가지 초기 문화 복합체가 발전했다. 발칸 반도는 최초의 고도 문명이 발전한 곳이기도 하다. 빈차 문화는 수메르인과 미노아인보다 앞서 원시 문자의 일종인 구유럽 문자/Old European script영어를 발전시켰는데, 대부분의 기호는 기원전 4500년에서 4000년 사이에 만들어졌으며, 터르터리아 점토판에 있는 기호는 기원전 53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53][214]

발칸 반도의 정체성은 지리적 위치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역사적으로 이 지역은 여러 문화의 교차로였고, 로마 제국의 라틴어권과 그리스어권 사이의 접점이었다.[54][215] 또한, 다수의 이교도 불가르인과 슬라브인이 유입된 곳이었으며, 정교회와 가톨릭이 만나는 지역이자 이슬람교와 기독교가 만나는 지점이기도 했다.

고전 시대 이전과 고전 시대에 이 지역에는 그리스인, 일리리아인, 파이오니아인, 트라키아인, 다키아인 등의 고대 집단이 거주했다. 아케메네스 왕조(페르시아 제국)는 기원전 512년부터 마케도니아, 트라키아(오늘날 불가리아 동부의 일부), 그리고 루마니아의 흑해 연안 지역 등 발칸 반도의 일부를 지배했다.[57][216] 기원전 479년 그리스-페르시아 전쟁에서 페르시아가 패배한 후, 페르시아는 유럽 영토를 모두 포기했고, 이 지역은 다시 독립을 되찾았다. 필리포스 2세 통치 시대에 마케도니아는 발칸 반도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로 부상했다.[58] 기원전 2세기에 로마 제국은 이 지역을 정복하여 로마 문화와 라틴어를 전파했지만, 상당 부분은 여전히 고전 그리스의 영향력 아래 남아 있었다. 지레체크선 남쪽의 넓은 지역에는 로마 제국의 후예인 로망스어를 사용하는 블라흐인(아루마니아인)이 거주해 왔다.[60][61][218][219] 구발칸어 중에서 살아남은 언어는 알바니아어그리스어뿐이다.[55][56]

지레체크선


푸라 원형극장(Pula Arena). 네 개의 측면 탑과 세 가지 로마 건축 양식이 완벽하게 보존된 유일한 로마 원형극장


갈레리우스 황제가 298년에 건설한 펠릭스 로물리아나 궁전(Felix Romuliana Imperial Palace) 유적. 유네스코 세계유산


6세기에 불가르인과 남슬라브족은 이 지역에 도착하여 이미 로마화와 헬레니즘화를 통해 동화된 발칸 반도 북부와 중부의 기존 주민들을 동화하고 대체하기 시작했다.[62][220] 슬라브족의 정착 이전에 서쪽 발칸 반도의 일부 지역에는 원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살았으며, 니쉬(Niš), 슈팁(Štip)과 같은 도시들이 그 예이다. 나이소스(Naissos) > 니쉬(Nish)와 아스티보스(Astibos) > 슈팁(Shtip)과 같은 지명의 발전 과정은 알바니아어의 음운 규칙을 따르며 슬라브어로 들어왔다는 것을 증명하는데, 이는 슬라브족이 발칸 반도에 침입하기 전에 원알바니아어가 사용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65][66][67][68]

== 중세와 근대 ==

중세 초기, 비잔티움 제국은 군사적, 문화적으로 발칸반도 지역의 지배적인 국가였다. 9세기 후반, 키릴과 메토디우스가 동방 정교회를 전파하면서 비잔티움의 문화적 영향력이 두드러졌다. 불가리아인과 세르비아인이 먼저 받아들였고, 루마니아인은 다소 늦게 합류했다. 반면 알바니아인은 산악 정착촌에 고립되어 영향을 덜 받았다.[69]

제1 불가리아 제국의 등장과 비잔티움-불가리아 전쟁은 10세기 말까지 발칸 반도에 대한 비잔티움의 지배력을 약화시켰다. 12세기 후반 불가리아인들이 부흥하여 제2 불가리아 제국을 형성하면서 비잔티움은 더욱 힘을 잃었다.[70] 14세기 전반에는 스테판 두샨이 세르비아 제국을 건설하여 발칸 반도 대부분을 정복했다. 세르비아 제국과 비잔티움 제국은 오스만의 등장까지 이 지역의 지배적인 세력이었다.[71]

오스만의 확장은 14세기 후반에 시작되었으며, 비잔티움 제국은 여러 차례 패배한 후 지배력을 상실했다. 1362년 오스만 투르크는 아드리아노폴리스(현재 터키 에디르네)를 정복했고, 1389년 코소보 전투 이후 세르비아, 1396년 불가리아,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1463년 보스니아, 1482년 헤르체고비나, 1499년 몬테네그로가 함락되었다. 정교회 주민들 사이의 분열과 당시 유럽의 동방과 서방 기독교인 사이의 불화는 오스만인의 정복을 용이하게 했다.[72]

스칸데르베그의 지도 아래 알바니아인들은 게릴라전을 사용하여 1443년부터 1468년까지 오스만인들에게 저항했다. 알부레나 전투와 크루야 제1차 공성전은 스칸데르베그에게 유럽 전역에서 명성을 안겨주었다. 오스만인들은 결국 16세기 초 발칸 반도 전역을 정복하고 중앙 유럽에 도달했다.[73] 몬테네그로라구사(현재 크로아티아 두브로브니크)는 자치권을 유지하거나 사실상과 법적으로 독립을 유지했다.[74][75]

16세기 말까지 오스만 제국은 이 지역의 지배 세력이 되었다. 발칸 반도의 많은 사람들은 오스만 제국의 맹공격이나 후퇴 시대에 가장 위대한 민족 영웅을 두고 있다.[76] 그리스인에게는 콘스탄티누스 11세 팔레올로고스와 콜로코트로니스, 세르비아인에게는 밀로시 오빌리치, 차르 라자르와 카라조르제, 알바니아인에게는 조르제 카스트리오티 스칸데르베그, 마케도니아인에게는 니콜라 카레프[77]고체 델체프, 불가리아인에게는 바실 레프스키, 게오르기 사바 라코프스키와 흐리스토 보테프, 크로아티아인에게는 니콜라 슈비치 즈린스키가 있다.

지난 수 세기 동안 발칸 반도 안팎에서 벌어진 잦은 유럽에서의 오스만 전쟁과 주요 경제 발전에서 오스만의 상대적 고립으로 인해 발칸 반도는 유럽에서 가장 낙후된 지역이었다. 할릴 이날칙에 따르면, 발칸 반도의 인구는 16세기 후반 최고 800만 명에서 18세기 중반에는 300만 명으로 감소했다.[78]

850년 발칸반도


6세기에 콘스탄티노폴리스(현재 터키 이스탄불)에 동방 정교회 대성당으로 건립된 아야 소피아. 이후 모스크, 박물관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모스크이자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14세기에 전략적으로 중요한 다뉴브 강의 철문 협곡을 내려다보는 위치에 건설된 골루바츠 요새. 중세 시대 침략군에 저항하기 위해 건설된 많은 발칸 요새 중 하나였다.


1796년 이후 발칸의 정치적 경계선 변천


== 18세기와 19세기 ==

18세기 말 발칸반도는 오스만 제국, 오스트리아 제국, 베네치아 공화국 세 세력에 의해 분할되어 있었다. 오스만 제국이 발칸반도 대부분을 지배했고, 오스트리아는 슬로베니아를, 베네치아 공화국은 달마티아 내부까지 영역을 확보했다. 이외에 몬테네그로, 라구사 공화국 같은 작은 나라와 오스만 제국의 속령인 왈라키아 공국, 몰다비아 공국이 있었다.

나폴레옹의 정복 활동은 발칸반도 정세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베네치아 공화국(1797년)과 라구사 공화국(1808년)이 멸망하고, 오스트리아 제국도 발칸반도 영토를 잃었다. 빈 체제에서 오스트리아는 상실했던 영토를 되찾고 크로아티아, 슬라보니아, 시르미아 등을 획득했다.

오스만 제국은 세르비아 자치(1817년), 그리스 독립(1821년) 등으로 발칸 지역 영향력을 상실해갔다. 왈라키아 공국몰다비아 공국은 1861년 루마니아 공국으로 통합되었다. 오스트리아는 이탈리아 통일 전쟁과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 패배 후 발칸반도로 관심을 돌렸고, 러시아 제국범슬라브주의에 따라 발칸반도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자 했다.

1877년 러시아-튀르크 전쟁에서 러시아가 승리(산스테파노 조약)하면서 루마니아 왕국, 세르비아, 몬테네그로가 독립하고 불가리아가 자치권을 얻었다.

러시아의 영향력 확대를 경계한 유럽 열강들은 1878년 베를린 회의를 열어 산스테파노 조약을 개정했다. 오스만 제국은 마케도니아트라키아 지방을 돌려받았고,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영국은 키프로스의 관할권을 얻었다.

이후에도 오스만 제국의 쇠퇴는 계속되어 1881년 그리스에게 테살리아를 양도했다.

지난 수세기 동안, 발칸 지역에서는 이 빈번하게 벌어졌고, 오스만 제국이 유럽의 상업적 발전에서 상대적으로 고립되면서, 발칸 국가들은 유럽에서 발전이 더딘 지역이 되었다.[222] 발칸의 민족 국가 대부분은 19세기부터 20세기 초에 오스만 제국이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부터 독립하여 등장했다. 그리스는 1821년,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는 1878년, 루마니아는 1881년, 불가리아는 1908년, 알바니아는 1912년에 독립하였다.

== 20세기 초 ==

1908년 불가리아는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완전 독립하여 불가리아 왕국이 된다. 한편 같은 해 오스만 제국에서는 청년 튀르크당이 혁명을 일으켜 압뒬하미트 2세가 퇴위하고 미드하트 헌법이 부활한다. 청년 튀르크당은 오스만 제국의 서구화, 근대화를 추진하는데, 이 과정에서 튀르크 민족주의가 확산되면서 발칸반도의 다른 민족들의 반발이 심해진다.[276]

이런 상황에서 는 오스만 제국이 지배하던 리비아를 얻기 위해 1911년 이탈리아-튀르크 전쟁을 일으킨다. 오스만 제국이 이 전쟁에서 대패함으로써 오스만 제국의 허약함이 드러났고, 이는 그리스 왕국, 세르비아 왕국, 몬테네그로 왕국, 불가리아 왕국 등 발칸 국가들이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선전포고하게 하는 계기가 된다. 1912년 그리스,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불가리아는 발칸 동맹을 결성하고 러시아의 지원을 받아 오스만 제국에 제1차 발칸 전쟁을 일으킨다. 오스만 제국의 영토였던 알바니아도 독립을 위해 발칸 동맹군 편에서 참전하였다. 이탈리아-튀르크 전쟁 때문에 오스만 제국의 주력군이 아프리카에 있었던 까닭에, 두 달만에 오스만 제국은 대패한다.[276] 발칸 전쟁에서 패배한 오스만 제국은 수도 이스탄불을 제외한 발칸반도의 모든 영토를 상실했으며, 알바니아도 독립국이 된다. 오스만 제국이 할양한 남은 영토는 세르비아, 불가리아, 그리스 등이 나누어 가지게 되는데, 영토 분배 과정에서 발칸 동맹 국가 간 불화가 생기게 되면서 제2차 발칸 전쟁이 일어난다.[276]

제 1차 발칸 전쟁의 결과 세르비아는 마케도니아의 일부를, 그리스는 크레타섬을, 불가리아는 남루멜리아와 동트라키아, 그리고 마케도니아의 남은 일부를 차지한다. 불가리아의 지나친 팽창에 불만을 품은 세르비아는 그리스, 몬테네그로, 루마니아와 함께 동맹을 맺어 불가리아에 맞섰다. 1913년 불가리아가 선전포고를 함으로써 발발한 제2차 발칸 전쟁은 불가리아에 대항하여 알바니아를 제외한 발칸 반도의 모든 국가가 싸우는 양상이 되었다. 여기에 오스만 제국이 영토 회복을 위해 불가리아에 선전포고를 하고, 결국 불가리아는 항복을 하게 된다.[276]

불가리아는 부쿠레슈티 조약을 맺어 제 1차 발칸 전쟁으로 얻었던 모든 영토를 할양해야 했으며, 세르비아와 그리스, 루마니아는 영토를 확장한다. 오스만 제국도 조약을 통해 잃었던 영토를 일부 회복한다.[276]

== 제1차 세계 대전 ==

발칸반도는 제1차 세계 대전의 직접적인 도화선이 되었다.[79]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1908년에 보스니아를 병합하고 발칸반도로 진출을 계속하고 있었다. 발칸 전쟁을 거쳐 세르비아가 신흥 강국으로 성장, 러시아의 지원을 받으며 발칸반도 내 슬라브 민족을 통일하여 강력한 국가를 수립하려는 범슬라브주의는 다민족 국가인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게는 큰 위협이었다.[225]

1914년 보스니아의 수도 사라예보에서 사라예보 사건이 발생하자, 세르비아 침략의 구실을 찾고 있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세르비아에 선전포고를 했고, 여러 조약과 동맹 관계에 따라 제1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었다.[79][225] 세르비아와 적대 관계였던 불가리아는 동맹국으로 참전했다.[225]

thumb


제1차 세계 대전의 중심에 있었던 발칸반도는 전후 큰 변화를 겪었다. 동맹국이 패배하면서 발칸반도의 정치적 지도는 완전히 새로 그려졌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오스만 제국이 해체되면서 신생 국가들이 생겨났고, 세르비아는 이들 국가 중 상당수를 흡수하여 유고슬라비아 왕국을 수립, 범슬라브주의를 실현했다.

그리스는 세브르 조약으로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영토를 할양받았다. 오스만 제국은 이스탄불 주변을 제외한 발칸반도의 모든 영토를 상실하고, 아나톨리아의 일부 지역까지 그리스에게 내어 주었다. 그리스는 대그리스주의를 실현하여 동로마 제국을 재건하고자 1919년 그리스-터키 전쟁을 일으켰다.

그러나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가 이끄는 오스만 제국군에게 패전함으로써 대그리스주의는 몰락하고, 오스만 제국은 1923년 터키 공화국이 된 후 로잔 조약을 맺음으로써 세브르 조약을 폐기했다. 터키는 여기서 오늘날 발칸반도에서 가지고 있는 영토를 확보한다. 그리스와 터키의 불편한 관계는 여기서 비롯되어 키프로스 분쟁으로 이어진다. 이탈리아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부터 이스트라반도를 확보했다.

1912년부터 1913년까지 발칸 제1차 전쟁에서 불가리아, 세르비아, 그리스, 몬테네그로 등이 발칸 동맹을 맺고 오스만 제국에 맞서 싸웠다. 그 결과 오스만 제국의 유럽 영토 대부분이 함락되어 동맹국들 사이에 분할되었고, 독립적인 알바니아 국가가 탄생했다.[224] 발칸 제2차 전쟁에서 불가리아는 전 동맹국들을 공격했지만, 세르비아와 그리스, 루마니아, 오스만 제국에게 패배했다. 오스만 제국은 동트라키아를 탈환하여 오늘날 터키의 일부로 남아 있는 새로운 서부 국경을 확립했다.[224]

두 차례의 전쟁 사이에, 1934년 2월 9일 아테네에서 그리스, 루마니아, 터키, 유고슬라비아 간의 조약으로 발칸 협정이 체결되었다.[80]

== 제2차 세계 대전 ==

1939년 무솔리니의 이탈리아가 알바니아를 병합했다.[81] 1940년 11월 루마니아 왕국은 추축국에 가입하고 1941년 4월에 불가리아 왕국도 추축국에 가입하면서 유고슬라비아와 그리스를 제외한 발칸반도의 모든 국가가 추축국의 일원이 되었다.[81]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초 추축국이 승전하자, 유고슬라비아 왕국은 1941년 추축국의 삼국 동맹 조약에 가입했다. 그러나 국민들의 반발로 3일만에 탈퇴하였고, 이는 추축국에게 침략 구실을 주어 1941년 4월 추축국의 점령으로 멸망한다.[82]

그리스는 추축국의 침략을 받아 저항하였으나 그리스 공방전크레타 전투의 결과 추축국에 완전히 점령되었다.[83] 이로써 발칸반도 전 지역이 추축국의 지배 하에 놓인다. 유고슬라비아와 그리스의 영토는 나치 독일, 이탈리아, 불가리아에 의해 분할되고 유고슬라비아의 일부는 크로아티아 독립국이라는 추축국의 괴뢰국가가 된다. 나치 독일의 점령 기간 동안 유고슬라비아에서는 대규모의 인종 청소가 일어나기도 하였다.[83]

1944년 노르망디 상륙 작전 이후 추축국의 패색이 짙어지고, 같은 해 말 소련은 루마니아와 불가리아를 침공한다.[84][85] 소련 침공 직전 불가리아는 중립국으로 전환하지만, 소련에 점령당해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이 수립된다. 루마니아도 연합국으로 전환한다. 소련군이 유고슬라비아로 진격하자 독일군은 점차 후퇴하게 되고, 티토가 이끄는 유고슬라비아 공산당 게릴라도 가세해 나치 독일을 완전히 몰아낸다.[84][85]

제2차 세계대전의 결과 추축국이 패배하게 됨으로써 발칸반도의 대부분의 국가는 소련군의 점령 하에 들어갔고, 불가리아, 루마니아, 알바니아 등은 소련의 위성국이 된다. 유고슬라비아도 티토의 지도 아래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이 되었으나, 다른 공산주의 국가와 달리 소련과 독립적인 티토주의를 펼치게 된다.

== 냉전 ==

냉전 기간 동안 발칸반도의 대부분 국가는 공산주의 정부의 통치를 받았다. 그리스는 냉전의 첫 번째 격전지가 되었으며, 트루먼 독트린은 1944년부터 1949년까지 계속된 그리스 내전에 대한 미국의 대응이었다.[86] 그리스 공산당이 주도하고 이웃 국가(알바니아, 불가리아, 유고슬라비아) 출신 공산주의 자원봉사자들의 지원을 받은 이 내전은 비공산주의 그리스 정부에 대한 대규모 미국의 지원으로 이어졌다.[86] 이러한 지원을 받은 그리스는 파르티잔들을 물리치고 궁극적으로 터키와 함께 이 지역에서 두 국가뿐인 비공산주의 국가로 남았다.[86]

그러나 공산주의 정부 하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유고슬라비아는 1948년에, 알바니아는 1961년에 소련과 불화했다.[86] 마샬 조십 브로즈 티토가 이끈 유고슬라비아는 처음에는 불가리아와의 합병을 지지했지만 나중에 거부하고 서방과의 관계를 더욱 긴밀히 추구했으며, 나중에는 인도와 이집트와 함께 비동맹 운동을 주도하기도 했다.[86] 반면 알바니아는 공산주의 중국으로 기울어졌고, 나중에는 고립주의적 입장을 취했다.[86]

1953년 2월 28일, 그리스, 터키, 유고슬라비아는 앙카라에서 우호 협력 협정에 서명하여 1953년 발칸 조약을 체결했다.[86] 이 조약의 목표는 발칸반도에서의 소련 확장을 저지하고 세 나라의 공동 군사 참모부를 설립하는 것이었다.[86] 조약이 체결될 당시 터키와 그리스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의 회원국이었지만 유고슬라비아는 비동맹 공산주의 국가였다.[86] 이 조약을 통해 유고슬라비아는 간접적으로 NATO와 연관될 수 있었다.[86] 비록 이 조약은 20년간 유효할 계획이었지만 1970년에 해체되었다.[86]

비공산주의 국가인 그리스와 터키는 NATO의 일원이었으며 동맹의 남동부를 구성하고 있다.[86]

== 냉전 이후 정세와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붕괴 ==

1990년대, 발칸반도의 옛 동구권 국가들은 민주적 자유시장 경제 체제로의 이행을 평화적으로 이루어냈다. 하지만 비동맹국이었던 유고슬라비아에서는 유고슬라비아 전쟁이 발발했다.[87] 슬로베니아크로아티아가 자유 선거를 치르고 국민투표를 통해 독립을 선택하자, 세르비아는 연방 해체를 위헌으로 선포했고,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은 현상 유지를 위해 실패한 시도를 했다.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는 1991년 6월 25일 독립을 선포했고, 이는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과 슬로베니아의 10일 전쟁을 초래했다. 유고슬라비아군은 1991년 슬로베니아에서 철수했지만 크로아티아의 전쟁은 1995년 말까지 계속되었다. 이후 마케도니아, 그리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뒤를 이었으며, 보스니아 전쟁이 전투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았다. 이 전쟁들은 유엔의 개입과 나토의 지상군 및 공군의 개입을 초래했고, 1995년 나토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폭격을 통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세르비아군과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즉,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을 공격했다.

유고슬라비아 영토였던 지역의 국가들, 2008년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마케도니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등 여섯 개 국가가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주권을 획득했다. 2008년 유엔 관리 하에 코소보는 독립을 선포했지만(세르비아 공식 정책에 따르면 코소보는 여전히 세르비아의 자치 지역임), 2010년 7월 국제사법재판소는 독립 선언이 합법적이라고 판결했다.[87] 전쟁이 끝난 후 세르비아에서는 혁명이 일어났고, 세르비아 공산당 지도자였던 슬로보단 밀로셰비치는 축출되어 국제형사재판소에 유고슬라비아 전쟁 당시 국제인도법 위반 혐의로 기소되었다. 밀로셰비치는 판결이 나오기 전인 2006년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2001년 알바니아인들의 봉기가 마케도니아에서 발생하여, 알바니아계가 주로 거주하는 지역에 자치권을 부여해야 했다.

유고슬라비아 해체와 함께, 옛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국가 명칭을 두고 그리스와 새로운 국가 사이에 마케도니아 명칭 분쟁 문제가 발생했다. 2018년 6월 프레스파 협정

5. 1. 고대

발칸 지역은 유럽에서 신석기 시대 농경 문화가 처음 도착한 지역으로,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해 왔다. 기원전 7천년경 신석기 시대에 근동에서 유럽으로 농업이 전파되는 통로였으며,[51][52][212][213] 곡물 재배와 가축 사육은 비옥한 초승달 지대에서 아나톨리아를 거쳐 발칸 반도에 도착하여 중앙 유럽으로 퍼져나갔다. 이 지역에서는 스타체보 문화와 빈차 문화라는 두 가지 초기 문화 복합체가 발전했다. 발칸 반도는 최초의 고도 문명이 발전한 곳이기도 하다. 빈차 문화는 수메르인과 미노아인보다 앞서 원시 문자의 일종인 구유럽 문자/Old European script영어를 발전시켰는데, 대부분의 기호는 기원전 4500년에서 4000년 사이에 만들어졌으며, 터르터리아 점토판에 있는 기호는 기원전 53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53][214]

발칸 반도의 정체성은 지리적 위치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역사적으로 이 지역은 여러 문화의 교차로였고, 로마 제국의 라틴어권과 그리스어권 사이의 접점이었다.[54][215] 또한, 다수의 이교도 불가르인과 슬라브인이 유입된 곳이었으며, 정교회와 가톨릭이 만나는 지역이자 이슬람교와 기독교가 만나는 지점이기도 했다.

고전 시대 이전과 고전 시대에 이 지역에는 그리스인, 일리리아인, 파이오니아인, 트라키아인, 다키아인 등의 고대 집단이 거주했다. 아케메네스 왕조(페르시아 제국)는 기원전 512년부터 마케도니아, 트라키아(오늘날 불가리아 동부의 일부), 그리고 루마니아의 흑해 연안 지역 등 발칸 반도의 일부를 지배했다.[57][216] 기원전 479년 그리스-페르시아 전쟁에서 페르시아가 패배한 후, 페르시아는 유럽 영토를 모두 포기했고, 이 지역은 다시 독립을 되찾았다. 필리포스 2세 통치 시대에 마케도니아는 발칸 반도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로 부상했다.[58] 기원전 2세기에 로마 제국은 이 지역을 정복하여 로마 문화와 라틴어를 전파했지만, 상당 부분은 여전히 고전 그리스의 영향력 아래 남아 있었다. 지레체크선 남쪽의 넓은 지역에는 로마 제국의 후예인 로망스어를 사용하는 블라흐인(아루마니아인)이 거주해 왔다.[60][61][218][219] 구발칸어 중에서 살아남은 언어는 알바니아어그리스어뿐이다.[55][56]

6세기에 불가르인과 남슬라브족은 이 지역에 도착하여 이미 로마화와 헬레니즘화를 통해 동화된 발칸 반도 북부와 중부의 기존 주민들을 동화하고 대체하기 시작했다.[62][220] 슬라브족의 정착 이전에 서쪽 발칸 반도의 일부 지역에는 원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살았으며, 니쉬(Niš), 슈팁(Štip)과 같은 도시들이 그 예이다. 나이소스(Naissos) > 니쉬(Nish)와 아스티보스(Astibos) > 슈팁(Shtip)과 같은 지명의 발전 과정은 알바니아어의 음운 규칙을 따르며 슬라브어로 들어왔다는 것을 증명하는데, 이는 슬라브족이 발칸 반도에 침입하기 전에 원알바니아어가 사용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65][66][67][68]

5. 2. 중세와 근대

중세 초기, 비잔티움 제국은 군사적, 문화적으로 발칸반도 지역의 지배적인 국가였다. 9세기 후반, 키릴과 메토디우스가 동방 정교회를 전파하면서 비잔티움의 문화적 영향력이 두드러졌다. 불가리아인과 세르비아인이 먼저 받아들였고, 루마니아인은 다소 늦게 합류했다. 반면 알바니아인은 산악 정착촌에 고립되어 영향을 덜 받았다.[69]

제1 불가리아 제국의 등장과 비잔티움-불가리아 전쟁은 10세기 말까지 발칸 반도에 대한 비잔티움의 지배력을 약화시켰다. 12세기 후반 불가리아인들이 부흥하여 제2 불가리아 제국을 형성하면서 비잔티움은 더욱 힘을 잃었다.[70] 14세기 전반에는 스테판 두샨이 세르비아 제국을 건설하여 발칸 반도 대부분을 정복했다. 세르비아 제국과 비잔티움 제국은 오스만의 등장까지 이 지역의 지배적인 세력이었다.[71]

오스만의 확장은 14세기 후반에 시작되었으며, 비잔티움 제국은 여러 차례 패배한 후 지배력을 상실했다. 1362년 오스만 투르크는 아드리아노폴리스(현재 터키 에디르네)를 정복했고, 1389년 코소보 전투 이후 세르비아, 1396년 불가리아,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1463년 보스니아, 1482년 헤르체고비나, 1499년 몬테네그로가 함락되었다. 정교회 주민들 사이의 분열과 당시 유럽의 동방과 서방 기독교인 사이의 불화는 오스만인의 정복을 용이하게 했다.[72]

스칸데르베그의 지도 아래 알바니아인들은 게릴라전을 사용하여 1443년부터 1468년까지 오스만인들에게 저항했다. 알부레나 전투와 크루야 제1차 공성전은 스칸데르베그에게 유럽 전역에서 명성을 안겨주었다. 오스만인들은 결국 16세기 초 발칸 반도 전역을 정복하고 중앙 유럽에 도달했다.[73] 몬테네그로라구사(현재 크로아티아 두브로브니크)는 자치권을 유지하거나 사실상과 법적으로 독립을 유지했다.[74][75]

16세기 말까지 오스만 제국은 이 지역의 지배 세력이 되었다. 발칸 반도의 많은 사람들은 오스만 제국의 맹공격이나 후퇴 시대에 가장 위대한 민족 영웅을 두고 있다.[76] 그리스인에게는 콘스탄티누스 11세 팔레올로고스와 콜로코트로니스, 세르비아인에게는 밀로시 오빌리치, 차르 라자르와 카라조르제, 알바니아인에게는 조르제 카스트리오티 스칸데르베그, 마케도니아인에게는 니콜라 카레프[77]고체 델체프, 불가리아인에게는 바실 레프스키, 게오르기 사바 라코프스키와 흐리스토 보테프, 크로아티아인에게는 니콜라 슈비치 즈린스키가 있다.

지난 수 세기 동안 발칸 반도 안팎에서 벌어진 잦은 유럽에서의 오스만 전쟁과 주요 경제 발전에서 오스만의 상대적 고립으로 인해 발칸 반도는 유럽에서 가장 낙후된 지역이었다. 할릴 이날칙에 따르면, 발칸 반도의 인구는 16세기 후반 최고 800만 명에서 18세기 중반에는 300만 명으로 감소했다.[78]

5. 3. 18세기와 19세기

18세기 말 발칸반도는 오스만 제국, 오스트리아 제국, 베네치아 공화국 세 세력에 의해 분할되어 있었다. 오스만 제국이 발칸반도 대부분을 지배했고, 오스트리아는 슬로베니아를, 베네치아 공화국은 달마티아 내부까지 영역을 확보했다. 이외에 몬테네그로, 라구사 공화국 같은 작은 나라와 오스만 제국의 속령인 왈라키아 공국, 몰다비아 공국이 있었다.

나폴레옹의 정복 활동은 발칸반도 정세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베네치아 공화국(1797년)과 라구사 공화국(1808년)이 멸망하고, 오스트리아 제국도 발칸반도 영토를 잃었다. 빈 체제에서 오스트리아는 상실했던 영토를 되찾고 크로아티아, 슬라보니아, 시르미아 등을 획득했다.

오스만 제국은 세르비아 자치(1817년), 그리스 독립(1821년) 등으로 발칸 지역 영향력을 상실해갔다. 왈라키아 공국몰다비아 공국은 1861년 루마니아 공국으로 통합되었다. 오스트리아는 이탈리아 통일 전쟁과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 패배 후 발칸반도로 관심을 돌렸고, 러시아 제국범슬라브주의에 따라 발칸반도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자 했다.

1877년 러시아-튀르크 전쟁에서 러시아가 승리(산스테파노 조약)하면서 루마니아 왕국, 세르비아, 몬테네그로가 독립하고 불가리아가 자치권을 얻었다.

러시아의 영향력 확대를 경계한 유럽 열강들은 1878년 베를린 회의를 열어 산스테파노 조약을 개정했다. 오스만 제국은 마케도니아트라키아 지방을 돌려받았고,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영국은 키프로스의 관할권을 얻었다.

이후에도 오스만 제국의 쇠퇴는 계속되어 1881년 그리스에게 테살리아를 양도했다.

지난 수세기 동안, 발칸 지역에서는 이 빈번하게 벌어졌고, 오스만 제국이 유럽의 상업적 발전에서 상대적으로 고립되면서, 발칸 국가들은 유럽에서 발전이 더딘 지역이 되었다.[222] 발칸의 민족 국가 대부분은 19세기부터 20세기 초에 오스만 제국이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부터 독립하여 등장했다. 그리스는 1821년,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는 1878년, 루마니아는 1881년, 불가리아는 1908년, 알바니아는 1912년에 독립하였다.

5. 4. 20세기 초

1908년 불가리아는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완전 독립하여 불가리아 왕국이 된다. 한편 같은 해 오스만 제국에서는 청년 튀르크당이 혁명을 일으켜 압뒬하미트 2세가 퇴위하고 미드하트 헌법이 부활한다. 청년 튀르크당은 오스만 제국의 서구화, 근대화를 추진하는데, 이 과정에서 튀르크 민족주의가 확산되면서 발칸반도의 다른 민족들의 반발이 심해진다.[276]

이런 상황에서 는 오스만 제국이 지배하던 리비아를 얻기 위해 1911년 이탈리아-튀르크 전쟁을 일으킨다. 오스만 제국이 이 전쟁에서 대패함으로써 오스만 제국의 허약함이 드러났고, 이는 그리스 왕국, 세르비아 왕국, 몬테네그로 왕국, 불가리아 왕국 등 발칸 국가들이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선전포고하게 하는 계기가 된다. 1912년 그리스,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불가리아는 발칸 동맹을 결성하고 러시아의 지원을 받아 오스만 제국에 제1차 발칸 전쟁을 일으킨다. 오스만 제국의 영토였던 알바니아도 독립을 위해 발칸 동맹군 편에서 참전하였다. 이탈리아-튀르크 전쟁 때문에 오스만 제국의 주력군이 아프리카에 있었던 까닭에, 두 달만에 오스만 제국은 대패한다.[276] 발칸 전쟁에서 패배한 오스만 제국은 수도 이스탄불을 제외한 발칸반도의 모든 영토를 상실했으며, 알바니아도 독립국이 된다. 오스만 제국이 할양한 남은 영토는 세르비아, 불가리아, 그리스 등이 나누어 가지게 되는데, 영토 분배 과정에서 발칸 동맹 국가 간 불화가 생기게 되면서 제2차 발칸 전쟁이 일어난다.[276]

제 1차 발칸 전쟁의 결과 세르비아는 마케도니아의 일부를, 그리스는 크레타섬을, 불가리아는 남루멜리아와 동트라키아, 그리고 마케도니아의 남은 일부를 차지한다. 불가리아의 지나친 팽창에 불만을 품은 세르비아는 그리스, 몬테네그로, 루마니아와 함께 동맹을 맺어 불가리아에 맞섰다. 1913년 불가리아가 선전포고를 함으로써 발발한 제2차 발칸 전쟁은 불가리아에 대항하여 알바니아를 제외한 발칸 반도의 모든 국가가 싸우는 양상이 되었다. 여기에 오스만 제국이 영토 회복을 위해 불가리아에 선전포고를 하고, 결국 불가리아는 항복을 하게 된다.[276]

불가리아는 부쿠레슈티 조약을 맺어 제 1차 발칸 전쟁으로 얻었던 모든 영토를 할양해야 했으며, 세르비아와 그리스, 루마니아는 영토를 확장한다. 오스만 제국도 조약을 통해 잃었던 영토를 일부 회복한다.[276]

5. 5. 제1차 세계 대전

발칸반도는 제1차 세계 대전의 직접적인 도화선이 되었다.[79]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1908년에 보스니아를 병합하고 발칸반도로 진출을 계속하고 있었다. 발칸 전쟁을 거쳐 세르비아가 신흥 강국으로 성장, 러시아의 지원을 받으며 발칸반도 내 슬라브 민족을 통일하여 강력한 국가를 수립하려는 범슬라브주의는 다민족 국가인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게는 큰 위협이었다.[225]

1914년 보스니아의 수도 사라예보에서 사라예보 사건이 발생하자, 세르비아 침략의 구실을 찾고 있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세르비아에 선전포고를 했고, 여러 조약과 동맹 관계에 따라 제1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었다.[79][225] 세르비아와 적대 관계였던 불가리아는 동맹국으로 참전했다.[225]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군인들이 세르비아 민간인을 처형하는 모습의 사진이 1914년에 촬영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세르비아는 전쟁 전 인구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약 85만 명의 인구를 잃었다.[223]

제1차 세계 대전의 중심에 있었던 발칸반도는 전후 큰 변화를 겪었다. 동맹국이 패배하면서 발칸반도의 정치적 지도는 완전히 새로 그려졌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오스만 제국이 해체되면서 신생 국가들이 생겨났고, 세르비아는 이들 국가 중 상당수를 흡수하여 유고슬라비아 왕국을 수립, 범슬라브주의를 실현했다.

그리스는 세브르 조약으로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영토를 할양받았다. 오스만 제국은 이스탄불 주변을 제외한 발칸반도의 모든 영토를 상실하고, 아나톨리아의 일부 지역까지 그리스에게 내어 주었다. 그리스는 대그리스주의를 실현하여 동로마 제국을 재건하고자 1919년 그리스-터키 전쟁을 일으켰다.

그러나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가 이끄는 오스만 제국군에게 패전함으로써 대그리스주의는 몰락하고, 오스만 제국은 1923년 터키 공화국이 된 후 로잔 조약을 맺음으로써 세브르 조약을 폐기했다. 터키는 여기서 오늘날 발칸반도에서 가지고 있는 영토를 확보한다. 그리스와 터키의 불편한 관계는 여기서 비롯되어 키프로스 분쟁으로 이어진다. 이탈리아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부터 이스트라반도를 확보했다.

1912년부터 1913년까지 발칸 제1차 전쟁에서 불가리아, 세르비아, 그리스, 몬테네그로 등이 발칸 동맹을 맺고 오스만 제국에 맞서 싸웠다. 그 결과 오스만 제국의 유럽 영토 대부분이 함락되어 동맹국들 사이에 분할되었고, 독립적인 알바니아 국가가 탄생했다.[224] 발칸 제2차 전쟁에서 불가리아는 전 동맹국들을 공격했지만, 세르비아와 그리스, 루마니아, 오스만 제국에게 패배했다. 오스만 제국은 동트라키아를 탈환하여 오늘날 터키의 일부로 남아 있는 새로운 서부 국경을 확립했다.[224]

두 차례의 전쟁 사이에, 1934년 2월 9일 아테네에서 그리스, 루마니아, 터키, 유고슬라비아 간의 조약으로 발칸 협정이 체결되었다.[80]

5. 6. 제2차 세계 대전

1939년 무솔리니의 이탈리아가 알바니아를 병합했다.[81] 1940년 11월 루마니아 왕국은 추축국에 가입하고 1941년 4월에 불가리아 왕국도 추축국에 가입하면서 유고슬라비아와 그리스를 제외한 발칸반도의 모든 국가가 추축국의 일원이 되었다.[81]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초 추축국이 승전하자, 유고슬라비아 왕국은 1941년 추축국의 삼국 동맹 조약에 가입했다. 그러나 국민들의 반발로 3일만에 탈퇴하였고, 이는 추축국에게 침략 구실을 주어 1941년 4월 추축국의 점령으로 멸망한다.[82]

그리스는 추축국의 침략을 받아 저항하였으나 그리스 공방전크레타 전투의 결과 추축국에 완전히 점령되었다.[83] 이로써 발칸반도 전 지역이 추축국의 지배 하에 놓인다. 유고슬라비아와 그리스의 영토는 나치 독일, 이탈리아, 불가리아에 의해 분할되고 유고슬라비아의 일부는 크로아티아 독립국이라는 추축국의 괴뢰국가가 된다. 나치 독일의 점령 기간 동안 유고슬라비아에서는 대규모의 인종 청소가 일어나기도 하였다.[83]

1944년 노르망디 상륙 작전 이후 추축국의 패색이 짙어지고, 같은 해 말 소련은 루마니아와 불가리아를 침공한다.[84][85] 소련 침공 직전 불가리아는 중립국으로 전환하지만, 소련에 점령당해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이 수립된다. 루마니아도 연합국으로 전환한다. 소련군이 유고슬라비아로 진격하자 독일군은 점차 후퇴하게 되고, 티토가 이끄는 유고슬라비아 공산당 게릴라도 가세해 나치 독일을 완전히 몰아낸다.[84][85]

제2차 세계대전의 결과 추축국이 패배하게 됨으로써 발칸반도의 대부분의 국가는 소련군의 점령 하에 들어갔고, 불가리아, 루마니아, 알바니아 등은 소련의 위성국이 된다. 유고슬라비아도 티토의 지도 아래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이 되었으나, 다른 공산주의 국가와 달리 소련과 독립적인 티토주의를 펼치게 된다.

5. 7. 냉전

냉전 기간 동안 발칸반도의 대부분 국가는 공산주의 정부의 통치를 받았다. 그리스는 냉전의 첫 번째 격전지가 되었으며, 트루먼 독트린은 1944년부터 1949년까지 계속된 그리스 내전에 대한 미국의 대응이었다.[86] 그리스 공산당이 주도하고 이웃 국가(알바니아, 불가리아, 유고슬라비아) 출신 공산주의 자원봉사자들의 지원을 받은 이 내전은 비공산주의 그리스 정부에 대한 대규모 미국의 지원으로 이어졌다.[86] 이러한 지원을 받은 그리스는 파르티잔들을 물리치고 궁극적으로 터키와 함께 이 지역에서 두 국가뿐인 비공산주의 국가로 남았다.[86]

그러나 공산주의 정부 하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유고슬라비아는 1948년에, 알바니아는 1961년에 소련과 불화했다.[86] 마샬 조십 브로즈 티토가 이끈 유고슬라비아는 처음에는 불가리아와의 합병을 지지했지만 나중에 거부하고 서방과의 관계를 더욱 긴밀히 추구했으며, 나중에는 인도와 이집트와 함께 비동맹 운동을 주도하기도 했다.[86] 반면 알바니아는 공산주의 중국으로 기울어졌고, 나중에는 고립주의적 입장을 취했다.[86]

1953년 2월 28일, 그리스, 터키, 유고슬라비아는 앙카라에서 우호 협력 협정에 서명하여 1953년 발칸 조약을 체결했다.[86] 이 조약의 목표는 발칸반도에서의 소련 확장을 저지하고 세 나라의 공동 군사 참모부를 설립하는 것이었다.[86] 조약이 체결될 당시 터키와 그리스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의 회원국이었지만 유고슬라비아는 비동맹 공산주의 국가였다.[86] 이 조약을 통해 유고슬라비아는 간접적으로 NATO와 연관될 수 있었다.[86] 비록 이 조약은 20년간 유효할 계획이었지만 1970년에 해체되었다.[86]

비공산주의 국가인 그리스와 터키는 NATO의 일원이었으며 동맹의 남동부를 구성하고 있다.[86]

5. 8. 냉전 이후 정세와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붕괴



1990년대, 발칸반도의 옛 동구권 국가들은 민주적 자유시장 경제 체제로의 이행을 평화적으로 이루어냈다. 하지만 비동맹국이었던 유고슬라비아에서는 유고슬라비아 전쟁이 발발했다.[87] 슬로베니아크로아티아가 자유 선거를 치르고 국민투표를 통해 독립을 선택하자, 세르비아는 연방 해체를 위헌으로 선포했고,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은 현상 유지를 위해 실패한 시도를 했다.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는 1991년 6월 25일 독립을 선포했고, 이는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과 슬로베니아의 10일 전쟁을 초래했다. 유고슬라비아군은 1991년 슬로베니아에서 철수했지만 크로아티아의 전쟁은 1995년 말까지 계속되었다. 이후 마케도니아, 그리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뒤를 이었으며, 보스니아 전쟁이 전투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았다. 이 전쟁들은 유엔의 개입과 나토의 지상군 및 공군의 개입을 초래했고, 1995년 나토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폭격을 통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세르비아군과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즉,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을 공격했다.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마케도니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등 여섯 개 국가가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주권을 획득했다. 2008년 유엔 관리 하에 코소보는 독립을 선포했지만(세르비아 공식 정책에 따르면 코소보는 여전히 세르비아의 자치 지역임), 2010년 7월 국제사법재판소는 독립 선언이 합법적이라고 판결했다.[87] 전쟁이 끝난 후 세르비아에서는 혁명이 일어났고, 세르비아 공산당 지도자였던 슬로보단 밀로셰비치는 축출되어 국제형사재판소에 유고슬라비아 전쟁 당시 국제인도법 위반 혐의로 기소되었다. 밀로셰비치는 판결이 나오기 전인 2006년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2001년 알바니아인들의 봉기가 마케도니아에서 발생하여, 알바니아계가 주로 거주하는 지역에 자치권을 부여해야 했다.

유고슬라비아 해체와 함께, 옛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국가 명칭을 두고 그리스와 새로운 국가 사이에 마케도니아 명칭 분쟁 문제가 발생했다. 2018년 6월 프레스파 협정으로 해결되어, 2019년 국가 이름이 북마케도니아로 변경되었다.

발칸 국가들은 서유럽과 남서아시아(소아시아와 중동) 사이의 직접적인 육상 루트를 통제한다. 2000년 이후 모든 발칸 국가들은 EU와 미국에 우호적이다.[88]

그리스는 1981년부터 유럽 연합 회원국이며, 슬로베니아는 2004년, 불가리아와 루마니아는 2007년, 크로아티아는 2013년에 회원국이 되었다. 2005년 유럽 연합은 터키와 북마케도니아를 EU 가입 후보국으로 받아들여 가입 협상을 시작하기로 결정했다. 2012년 몬테네그로는 EU와 가입 협상을 시작했다. 2014년 알바니아는 EU 가입을 위한 공식 후보국이 되었다. 2015년 세르비아는 EU와 가입 협상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기존 EU 회원국들의 코소보 독립 국가 인정 여부를 둘러싼 문제로 이 과정이 지연되었다.[89]

그리스와 터키는 1952년부터 NATO 회원국이다. 2004년 3월 불가리아, 루마니아, 슬로베니아가 NATO 회원국이 되었다. 2009년 4월 기준[90] 알바니아와 크로아티아가 NATO 회원국이 되었고, 몬테네그로는 2017년 6월에 가입했다.[91] 가장 최근에 NATO에 가입한 회원국은 2020년 3월 27일 북마케도니아이다.

거의 모든 다른 국가들은 장래 어느 시점에 EU 또는 NATO, 또는 양쪽 모두에 가입하기를 희망한다.[92]

6. 현대 정세

'서발칸'은 1990년대 초부터 알바니아와 슬로베니아를 제외한 전 유고슬라비아 영토를 가리키는 정치적 신조어이다.[40] 유럽 연합 기구는 일반적으로 유럽 연합 회원국이 아닌 국가를 포함하는 발칸 지역을 가리키는 데 '서발칸'이라는 용어를 사용해 왔다.[40]

서발칸 국가 – 알바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코소보, 몬테네그로, 북마케도니아, 그리고 세르비아. 크로아티아(노란색)는 2013년 EU에 가입함


이들 국가는 모두 향후 유럽 연합 확장의 일원이 되고 민주주의와 이행 점수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그때까지는 EU 가입 대기 프로그램인 중앙유럽자유무역협정과 긴밀히 연결될 것이다.[40] 서발칸의 일부로 간주되는 크로아티아는 2013년 7월 EU에 가입했다.[41]

현재 발칸 국가들은 모두 공화제 국가이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전까지는 모두 군주국이었다. 대부분의 공화국은 의원내각제를 채택하고 있지만, 루마니아와 보스니아는 준대통령제이다. 모든 국가가 자유시장경제이며, 크로아티아, 루마니아, 그리스, 슬로베니아는 인간개발지수(HDI)가 매우 높음(Very High)으로 분류된다. 과거 계획경제를 채택했던 구 동구권 국가들과 터키는 매년 완만하게 경제 성장을 이루었지만, 2008년 금융 위기(리먼 쇼크)는 각국의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미쳐 실업률 급증, 임금 인하, 사회경제 시스템 혼란이 발생했다.[242] 구 사회주의 국가가 아닌, 가장 경제적으로 부유한 국가 중 하나였던 그리스도 이를 계기로 심각한 경제·재정 위기에 빠져 EU와 국제통화기금(IMF)의 구제금융을 받아야 했다.[242]

1990년대 발칸 국가들에서 공산주의 체제에 의한 계획경제가 종식된 후, 그동안 표면화되지 않았거나(혹은 은폐되었던) 빈곤 문제가 폭발했다.[240] 체제 전환으로 인한 국가 기구의 문제가 이에 박차를 가했다.[240] 불가리아루마니아 등에서는 평균수명이 짧아지고, 빈곤선 이하의 경제 수준으로 생활하는 사람들의 수가 급증했다.[241] 21세기에 들어서는 일반적으로 발칸 국가들은 경제 성장을 지속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다소 완화되고 평균 수명도 늘어나고 있다.[241]

|thumb|본드스틸 기지 항공 사진. 미국 육군의 주요 기지이며 코소보의 KFOR(코소보군) 지휘하에 있다.

냉전 동안 발칸 국가들은 두 개의 블록으로 나뉘어 경쟁했다. 그리스와 터키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 가입했고, 불가리아루마니아는 바르샤바 조약 기구에 가입했다. 한편 유고슬라비아는 제3세계를 주장하며 비동맹 운동의 창설 회원국이었다. 유고슬라비아 붕괴 후에도 세르비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비동맹 운동에서 옵서버 지위를 유지했다.

남동유럽 협력 프로세스 지도
|thumb|upright=1.25|남동유럽 협력 프로세스(SEECP)(Southeast European Cooperation Process) 가맹국
남동유럽 안정화 협정 가맹국
|thumb|upright=1.25|남동유럽 안정화 협정
남동유럽 협력 이니셔티브 가맹국
|right|thumb|upright=1.25|남동유럽 협력 이니셔티브(SECI)(South East European Cooperation Initiative)
흑해 경제 협력 기구 가맹국
|right|thumb|upright=1.25|흑해 경제 협력 기구(BSEC)(Organization of the Black Sea Economic Cooperation)



발칸반도에는 알바니아인, 루마니아인, 불가리아인, 보스니아인, 크로아티아인, 고르인, 그리스인, 마케도니아인, 몬테네그로인, 세르비아인, 슬로베니아인, 루마니아인, 튀르크인이 거주하며, 로마인이나 아슈케나짐과 같은 다른 민족 집단들이 현재 특정 국가에서 소수 민족으로 존재하고 있다.[193]

국가인구 (2018)[246]인구밀도/km2 (2018)[247]평균수명 (2018)[248]
2,870,32410078.34세
3,502,5506977.2세
7,050,0346479.9세
4,105,4937376.2세
10,768,1938280.1세
*1,798,50616577.7세
622,3594576.4세
2,075,3018176.2세
19,523,6218276.3세
7,001,4449076.5세
2,066,88010278.2세
10,201,115[249]10171.1세


7. 언어

발칸반도는 남슬라브어군, 그리스어, 알바니아어, 튀르키예어, 동부 로망스어군 등 다양한 언어가 사용되는 지역이다.[126][256] 로마니어는 발칸 국가들 전역에 거주하는 많은 로마족이 사용하는 언어이다.[126][256] 역사적으로 트라키아인, 일리리아인, 로마인, 켈트인, 그리고 다양한 게르만 부족 등 고유 언어를 가진 민족들이 거주했다.[126][256] 튀르키예어(터키어, 가가우즈어 등)와 헝가리어를 제외하고, 과거와 현재의 언급된 모든 언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한다.[126][256]

발칸반도 민족 지도 (1880년)


발칸의 민족 구성 지도 (1912)


발칸의 민족 구성 지도 (1847)


국가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126]언어 소수 집단[126]
98% 알바니아어2% 기타
53% 보스니아어31% 세르비아어(공용어), 15% 크로아티아어(공용어), 2% 기타
86% 불가리아어8% 터키어, 4% 로마니어, 1% 기타, 1% 불명
96% 크로아티아어1% 세르비아어, 3% 기타
99% 그리스어1% 기타
94% 알바니아어2% 보스니아어, 2% 세르비아어(공용어), 1% 터키어, 1% 기타
43% 세르비아어37% 몬테네그로어(공용어), 5% 알바니아어, 5% 보스니아어, 5% 기타, 4% 불명
67% 마케도니아어25% 알바니아어(공용어), 4% 터키어, 2% 로마니어, 1% 세르비아어, 2% 기타
85% 루마니아어6% 헝가리어, 1% 로마니어
88% 세르비아어3% 헝가리어, 2% 보스니아어, 1% 로마니어, 3% 기타, 2% 불명
91% 슬로베니아어5% 세르보-크로아티아어, 4% 기타
85% 터키어[127]12% 쿠르드어, 3% 기타 및 불명[127]


8. 종교

발칸반도는 역사적으로 동로마 제국(동방 정교회), 오스만 제국(이슬람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로마 가톨릭교회) 등 종교적으로 다양한 국가의 활동 영역이 되었기 때문에 종교 구성이 복잡하다.[120] 정교회(Eastern Orthodox Church), 이슬람교(Islam), 로마 가톨릭교회(Roman Catholic)가 만나는 지역으로, 발칸반도와 발칸 지역 모두에서 정교회가 가장 큰 종교이며, 정교회는 동유럽과 동남유럽의 역사와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각 정교회 국가는 자체적인 국가 교회를 가지고 있다. 발칸 지역 인구의 일부는 비종교인으로 자신을 정의한다.[120]

종교별 분포 지도


이슬람교는 발칸 지역에서 중요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무슬림 인구가 전체 인구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알바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코소보와 같은 국가에서는 이슬람교가 가장 큰 종교이며, 불가리아, 북마케도니아, 몬테네그로에서도 상당한 소수 민족을 형성하고 있다.[121] 루마니아, 세르비아, 그리스에도 소규모 무슬림 인구가 있다.[121]

알바니아의 대략적인 종교 분포


동방정교회가 주요 종교인 지역(괄호 안은 국가 교회)[122][251]그 지역의 소수파 종교[122][251]
불가리아: 59% (불가리아 정교회)이슬람교(8%) 및 무응답 (27%)
그리스: 81–90% (그리스 정교회)이슬람교(2%), 가톨릭, 기타·무응답
몬테네그로: 72% (세르비아 정교회)이슬람교(19%), 가톨릭(3%), 기타·무응답(5%)
북마케도니아: 64% (마케도니아 정교회)이슬람교(33%), 가톨릭
루마니아: 81% (루마니아 정교회)프로테스탄트(6%), 가톨릭(5%), 기타·무응답(8%)
세르비아: 84% (세르비아 정교회)가톨릭(5%), 이슬람교(3%), 프로테스탄트(1%), 기타·무응답(6%)
가톨릭이 주요 종교인 지역[122][251]그 지역의 소수파 종교[122][251]
가톨릭(86%)크로아티아의 정교회(4%), 이슬람교(1%), 기타·무응답(7%)
가톨릭(57%)이슬람교(2%), 정교회(2%), 기타·무응답(36%)
이슬람교가 주요 종교인 지역[122][251]그 지역의 소수파 종교[122][251]
알바니아(58%)가톨릭(10%), 알바니아의 정교회(7%), 기타·무응답(24%)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51%)정교회(31%), 가톨릭(15%), 기타·무응답(4%)
코소보(95%)가톨릭(2%), 정교회(2%), 기타·무응답(1%)
터키(90–99%)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정교회), 터키의 무종교(5%–10%)



발칸 지역의 유대인 공동체는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공동체 중 일부이며 고대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123] 이들 공동체는 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세파르디 유대인(Sephardi Jews)이었다. 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에서는 유대인 공동체가 주로 아슈케나지 유대인(Ashkenazi Jews)이었다.[252]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소규모이지만 긴밀한 유대인 공동체는 90%가 세파르디 유대인(Sephardic)이며, 노인들 사이에서는 여전히 주데오-스페인어(Judeo-Spanish, 라디노어)가 사용된다.[123] 사라예보의 세파르디 유대인 묘지에는 독특한 모양의 묘비가 있으며 고대 라디노어로 새겨져 있다.[123][254] 세파르디 유대인들은 테살로니키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1900년에는 약 8만 명, 즉 인구의 절반 이상이 유대인이었다.[124][255] 발칸 지역의 유대인 공동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엄청난 고통을 겪었고, 대다수가 홀로코스트(The Holocaust) 동안 살해되었다. 보리스 3세(Boris III of Bulgaria)가 나치 강제 수용소 대신 강제 노동 수용소로 보낸 불가리아 유대인(Bulgarian Jews)들이 예외였다.[125] 소수의 생존자들은 거의 모두 (당시 새로 설립된) 이스라엘 국가와 다른 곳으로 이주했다. 오늘날 발칸 국가 중 유의미한 규모의 유대인 소수 민족을 가진 국가는 거의 없다.

9. 같이 보기

참조

[1] LPD Balkan
[2] book Geopolitics, Geography and Strateg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11-10
[3] encyclopedia Balkans https://www.britanni[...] 2017-12-13
[4] book Encyclopedia of Race, Ethnicity,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Sage
[5] book Over the Alps: History of Children and Youth Literature in Europe Faradid Publisher
[6] book Entangled Histories of the Balkans – Volume Four: Concepts, Approaches, and (Self-) Representations https://books.google[...] Brill
[7] book Balkan Sprachbund Morpho-Syntactic Feature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8] book The Balkans: A Post-Communist History https://archive.org/[...] Routledge
[9] journal European Balkan(s), Turkic bal(yk) and the Problem of Their Original Meanings https://www.academia[...] Jagiellonian University
[10] encyclopedia Balkan http://encarta.msn.c[...] Microsoft Corporation 2008-03-31
[11] encyclopedia balkan http://www.tdkterim.[...] Türk Dil Kurumu
[12] book Dictionnaire Turc-Français Mihran
[13] web Bulgaria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14] book Balkan Studies https://books.google[...] 1986
[15] book Metamorphoses
[16] book Balkan Studi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2015-06-20
[17] book Gods and Heroes of the Greeks: The Library of Apollodorus https://archive.org/[...] Univ of Massachusetts Press 2014-09-12
[18] book Проиcхождение географического названия Балкан – Sixieme Congres international d'etudes du Sud-Est Europeen https://books.google[...] Ed.de l'Académie bulgare des Sciences
[19] book Imagining the Balkans Oxford University Press
[20] book Imagining the Balkan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Inc.
[21] reference Encyclopaedia of Islam, Second Edition Brill Online Reference Works
[22] journal Balkan – Brill Reference http://referencework[...] 2012-04-24
[23] web Balkhan Mountains http://land.worldcit[...] Land.WorldCityDB.com 2008-03-31
[24] web Some Thoughts About The Balkans http://geography.abo[...] About, Inc. 2000-11-22
[25] book Imagining the Balkans Oxford University Press
[26] book Illyrische Halbinsel https://books.google[...]
[27] journal History against Geography: Should We Always Think of the Balkans As Part of Europe? http://www.iwm.at/pu[...] 2018-01-05
[28] web Balkanize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com
[29] book A history of Ea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30] book Southeast-Europe: State Borders, Cross-border Relations, Spatial Structures https://books.google[...] Hungarian Academy of Sciences 2015-06-08
[31] book Balkans Into Southeastern Europe, 1914–2014: A Century of War and Transition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5-06-08
[32] book Redefining Cultural Identities: Southeastern Europe http://www.cultureli[...] National and University Library in Zagreb 2015-06-08
[33] book L'Enciclopedia Geografica – Vol. I – Italia Istituto Geografico De Agostini
[34] book Imagining the Balkans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35] journal 'Western Balkans' as the New Balkans: Regional Names as Tools for Stigmatisation and Exclusion https://www.tandfonl[...] 2016-08-08
[36] 웹사이트 The Balkans: Past and Present of Cultural Pluralism https://www.iemed.or[...] 2024-11-01
[37] 웹사이트 Colonialism in the Balkans https://www.kakanien[...] 2001
[38] 저널 Hungary and the Balkans in the 20th Century — From the Hungarian Perspective http://cejsh.icm.edu[...] 2015
[39] 웹사이트 Balkans https://www.britanni[...] 2024-08-22
[40] 웹사이트 Perspectives on the Region https://web.archive.[...] 2013-07-19
[41] 웹사이트 Fact Sheets on the European Union:The Western Balkans http://www.europarl.[...] European Parliament 2016-12-01
[42] 서적 Géographie des Balkans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43] 잡지 Hrvatska nije na "zapadnom Balkanu" https://web.archive.[...] Matica hrvatska 2015-10-29
[44] 저널 Hrvatska kao zapadni Balkan – geografska stvarnost ili nametnuti identitet? 2011
[45] 뉴스 Predsjednica objasnila zašto izbjegava izraz 'zapadni Balkan' https://www.vecernji[...] 2018-09-27
[46] 저널 The Spectre of Balkan 1999-12-01
[47] 웹사이트 Macedonia-Thrace https://www.peakbagg[...]
[48] 웹사이트 Mount Olympus | mountain, Greece https://www.britanni[...] 2024-02-20
[49] 웹사이트 Balkans – Definition, Map, Countries, & Facts https://www.britanni[...] 2020-11-10
[50] 뉴스 Regions and territories: Kosovo http://news.bbc.co.u[...] 2009-11-20
[51] 서적 In the Shadow of Olympus: The Emergence of Macedon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52] 서적 The Early Neolithic in Greece: The First Farming Communities in Europ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3] 서적 Geschichte der Schrift C.H. Beck
[54] 서적 Croatia: A History https://archive.org/[...]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55] 서적 The Cambridge Handbook of Language Contact: Volume 1: Population Movement and Language Chang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6] 저널 The genetic history of the Southern Arc: A bridge between West Asia and Europe 2022-08-26
[57] 서적 A Companion to Ancient Macedonia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58] 서적 Ancient Macedon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59] 저널 The Romans and the Greek Language
[60] 서적 Istoria aromânilor Editura Tritonic
[61] 서적 Aromânii. Comerț, industrie, arte, expansiune, civilizație Editura Cartea Armână
[62] 서적 Twenty Years of Balkan Tangle https://books.google[...]
[63] 서적 Chapter 5 Migrations—Real and Imagined: Croats, Serbs, and Bulgars (600–800) https://brill.com/di[...] Brill 2019-06-25
[64] 저널 The Ethnography of the Yugo-Slavs http://www.jstor.org[...] American Geographical Society, Wiley
[65] 서적 Der altalbanische Text Mbsuame e krështerë (Dottrina cristiana) des Lekë Matrënga von 1592 : eine Einführung in die albanische Sprachwissenschaft https://www.worldcat[...] J.H. Röll 2006
[66] 서적 (reference needed)
[67] 서적 Ancient Languages of the Balkans Mouton
[68] 논문 Slavic-Albanian Language Contact, Convergence, and Coexistence The Ohio State University
[69] 웹사이트 Roman Empire, Geography, Culture https://www.britanni[...] 1998-08-05
[70] 웹사이트 The Byzantine-Bulgarian Wars https://courses.lume[...]
[71] 웹사이트 Medieval, Orthodox, Balkan https://www.britanni[...] 1999-07-26
[72] 웹사이트 Ottoman Empire, Southeastern Europe, Conflict https://www.britanni[...] 1998-08-05
[73] 서적 East Central Europe in the Middle Ages, 1000-150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74] 서적 A short history of Yugoslavia from earliest times to 1966
[75] 서적 Chapter 6. In business with Ragusa https://books.opened[...]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18-11-06
[76] 학술지 The 1912–13 Balkan War and the Siege of Edirne 2004-07
[77] 문서 Considered a Bulgarian in Bulgaria
[78] 서적 An economic and social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9] 서적 Encyclopedia of World War I
[80] 웹사이트 Balkan Entente Europe [1934] https://www.britanni[...]
[81] 서적 Europe in Flames
[82] 서적 Russia's life-saver
[83] 서적 Inside Hitler's Greece: The Experience of Occupation
[84] 서적 Hermann Goring: Hitler's Second-In-Command
[85] 서적 The encyclopedia of codenames of World War II#Marita
[86] 웹사이트 Balkan Pact of 1953 https://www.tarihiol[...]
[87] 뉴스 Kosovo independence declaration deemed legal https://www.reuters.[...] 2010-07-22
[88] 웹사이트 UNODC South Eastern Europe https://www.unodc.or[...]
[89] 웹사이트 Serbia must accept Kosovo independence to join EU – Gabriel https://www.deutschl[...] 2018-02-16
[90] 웹사이트 Ceremony marks the accession of Albania to NATO http://www.nato.int/[...]
[91] 웹사이트 Darmanović: Montenegro becomes EU member in 2022 – European Western Balkans https://europeanwest[...] 2017-04-20
[92] 웹사이트 The Western Balkans – Fact Sheets on the European Union https://www.europarl[...]
[93] 웹사이트 Tourism https://www.trade.go[...] 2022-08-06
[94] 웹사이트 Moody's completes periodic review of three Serbian cities https://seenews.com/[...] 2021-11-03
[95] 웹사이트 For a Sustainable Tourism Industry https://www.mfa.gr/u[...] 2023-11-23
[96] 웹사이트 FACT SHEET: Developing Sustainable Tourism (Turizam) in Bosnia and Herzegovina https://www.usaid.go[...] 2023-03-10
[97] 웹사이트 OECD Tourism Trends and Policies 2022 https://www.oecd-ili[...]
[98] 웹사이트 Report for Selected Countries and Subjects https://www.imf.org/[...]
[99] 웹사이트 GDP per capita (current US$) https://data.worldba[...]
[100] 웹사이트 Unemployment, total (% of total labor force) (modeled ILO estimate) https://data.worldba[...]
[101] 서적 The impact of the EIB's intermediated lending to businesses in the Western Balkans https://www.eib.org/[...] European Investment Bank 2023-12-18
[102] 웹사이트 The Western Balkans in Transition https://ec.europa.eu[...] European Commission 2009-05
[103] 웹사이트 Economic Growth in the Western Balkans To Accelerate in 2024, Albeit Slowly and Unevenly https://www.worldban[...] 2023-10-19
[104] 웹사이트 Western Balkans Regular Economic Report – No. 22: Beyond the Crises https://documents1.w[...] World Bank 2022-Fall
[105] 웹사이트 Population on 1 January https://ec.europa.eu[...]
[106] 문서 Without Kosovo and Metohija
[107]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19 https://www.imf.org/[...]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19-12-21
[108] 웹사이트 Gini coefficient of equivalised disposable income – EU-SILC survey https://ec.europa.eu[...] Eurostat 2019-12-21
[109] 웹사이트 Gini index - Albania https://data.worldba[...] World Bank Open Data 2019-12-21
[110] 웹사이트 GINI index (World Bank estimate) – Bosnia and Herzegovina https://data.worldba[...] World Bank Open Data 2019-12-21
[111] 웹사이트 GINI index (World Bank estimate) – Kosovo https://data.worldba[...] World Bank Open Data 2019-12-21
[112]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Index (HDI) http://hdr.undp.org/[...] HDRO (Human Development Report Office)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19-12-11
[113] 웹사이트 Inequality-adjusted HDI (IHDI) http://hdr.undp.org/[...] UNDP 2020-05-22
[114] 문서 As Kosovo*
[115] 백과사전 Balkans https://www.britanni[...] 2019-08-21
[116] 웹사이트 Eurostat – Tables, Graphs and Maps Interface (TGM) table https://ec.europa.eu[...]
[117] 웹사이트 Countries by Population Density 2019 http://statisticstim[...]
[118] 웹사이트 Country Comparison: Life Expectancy at Birth https://web.archive.[...] 2016-01-20
[119] 웹사이트 Turkey's Population https://www.citypopu[...] 2020-12-10
[120] 서적 Taming Balkan Nationalism Oxford University Press
[121] 서적 Europe's Balkan Muslims: A New History https://books.google[...] Hurst Publishers 2017
[122] 웹사이트 Field Listing: Religions https://web.archive.[...] CIA 2019-02-23
[123] 웹사이트 European Jewish Congress – Bosnia-Herzegovina https://web.archive.[...] 2008-07-15
[124] 뉴스 Thessaloniki's Jews: 'We can't let this be forgotten; if it's forgotten, it will die' https://www.theguard[...] 2020-07-30
[125] 웹사이트 Bulgaria https://encyclopedia[...] 2023-07-13
[126] 웹사이트 Field Listings: Languages https://web.archive.[...] CIA 2020-11-30
[127] 웹사이트 Türkiye'nin yüzde 85'i 'anadilim Türkçe' diyor http://www.milliyet.[...] Milliyet.com.tr 2021-06-25
[128] 웹사이트 World Bank Open Data https://data.worldba[...] 2023-06-17
[129] 웹사이트 Urbanization in Kosovo: Building inclusive & sustainable cities https://unhabitat.or[...] 2023-06-17
[130] 웹사이트 Istanbul Population https://www.citypopu[...] 2020-12-01
[131] 웹사이트 Greece: Regions and Agglomerations http://www.citypopul[...] 2015-11-09
[132] 웹사이트 Romania: Counties and Major Cities http://www.citypopul[...] 2015-11-09
[133] 웹사이트 Bulgaria: Major Cities http://www.citypopul[...] 2015-11-09
[134] 간행물 Statistical Officeof the Republic of Serbia http://pod2.stat.gov[...]
[135] 웹사이트 Croatia: Counties and Major Cities https://www.citypopu[...] 2023-11-07
[136] 웹사이트 Tekirdağ Population https://www.citypopu[...] 2020-11-30
[137] 웹사이트 Albania: Prefectures and Major Cities – Population Statistics in Maps and Charts https://citypopulati[...]
[138] 웹사이트 Osebna izkaznica – RRA LUR http://www.rralur.si[...] 2020-02-24
[139] 웹사이트 Macedonia http://www.citypopul[...] 2015-11-09
[140] 웹사이트 Edirne Population https://www.citypopu[...] 2020-11-30
[141] 웹사이트 Kırklareli Population https://www.citypopu[...] 2020-12-01
[142] 웹사이트 Serbia: Regions, Districts and Major Cities http://www.citypopul[...] 2015-11-09
[143] 서적 The Balkans Since the Second World War https://books.google[...] Routledge
[144] 웹사이트 Western Balkans Summit http://www.bmeia.gv.[...] 2015-08-11
[145] 웹사이트 Western Balkans – Trade – European Commission http://ec.europa.eu/[...]
[146] 서적 Southeast-Europe: state borders, cross-border relations, spatial structures Centre for Regional Studies 2014-10-18
[147] 웹사이트 European Economic and Social Committee – Western Balkans http://www.eesc.euro[...] 2014-09-12
[148] 웹사이트 Austrian Foreign Ministry – The Western Balkans – A Priority of Austrian Foreign Policy http://www.bmeia.gv.[...]
[149] 웹사이트 WBIF – Western Balkans Investment Framework – Stakeholders http://www.wbif.eu/S[...] 2014-09-12
[150] 웹사이트 European Commission – Trade – Countries and regions – Western Balkans http://ec.europa.eu/[...] 2014-09-12
[151] 웹사이트 Western Balkans: Enhancing the European Perspective http://ec.europa.eu/[...] Communication from the Commission to the European Parliament and the Council 2008-03-05
[152] 서적 Endgame in the Balkans: Regime Change, European Style https://archive.org/[...] Brookings Institution
[153] 웹사이트 European Union External Action – EU relations with the Western Balkans http://eeas.europa.e[...] 2014-09-12
[154] 웹사이트 Federal Ministry of Education and Research of Germany – Western Balkan Countries http://www.internati[...] 2014-09-12
[155] 서적 Geopolitics, Geography and Strategy https://books.google[...] 2014-01-14
[156] 뉴스 Balkans https://www.britanni[...] 2017-12-13
[157] 서적 Encyclopedia of Race, Ethnicity,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SAGE
[158] 서적 Entangled Histories of the Balkans - Volume Four: Concepts, Approaches, and (Self-)Representations BRILL
[159] 문서 柴 1998
[160] 서적 Balkan Sprachbund Morpho-Syntactic Feature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61] 문서 マゾワー 2017
[162] 서적 The Balkans: A Post-Communist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163] 백과사전 Balkan http://encarta.msn.c[...] Microsoft Corporation 2008-03-31
[164] 백과사전 balkan http://www.tdkterim.[...] Türk Dil Kurumu
[165] 서적 s.v. http://www.oed.com/v[...] Oxford English Dictionary
[166] 간행물 Current Trends in Altaic Linguistics; European Balkan(s), Turkic bal(yk) and the Problem of Their Original Meanings Jagiellonian University
[167] 서적 Bulgaria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2019-03-05
[168] 서적 Balkan Studi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2015-06-20
[169] 서적 Gods and Heroes of the Greeks: The Library of Apollodorus https://books.google[...] 2014-09-12
[170] 서적 Проиcхождение географического названия Балкан – Sixieme Congres international d'etudes du Sud-Est Europeen https://books.google[...] Ed.de l'Académie bulgare des Sciences
[171] 서적 Imagining the Balkans Oxford University Press US
[172] 서적 Imagining the Balkan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Inc.
[173] 백과사전 Encyclopaedia of Islam, Second Edition Brill Online Reference Works
[174] 백과사전 Balkan – Brill Reference http://referencework[...] 2012-04-24
[175] 웹사이트 Balkhan Mountains http://land.worldcit[...] Land.WorldCityDB.com 2008-03-31
[176] 웹사이트 Some Thoughts About The Balkans. http://geography.abo[...] About, Inc. 2000-11-22
[177] 서적 Entangled Histories of the Balkans - Volume Four: Concepts, Approaches, and (Self-)Representations BRILL
[178] 서적 Imagining the Balkans Oxford University Press
[179] 학술지 History against Geography: Should We Always Think of the Balkans As Part of Europe? http://www.iwm.at/pu[...] 2018-01-05
[180] 웹사이트 Balkanize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com 2019-03-07
[181] 서적 A history of Ea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82] 문서 柴 1998
[183] 서적 Southeast-Europe: State Borders, Cross-border Relations, Spatial Structures https://books.google[...] Hungarian Academy of Sciences 2015-06-08
[184] 서적 Balkans Into Southeastern Europe, 1914–2014: A Century of War and Transition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5-06-08
[185] 서적 Redefining Cultural Identities: Southeastern Europe http://www.cultureli[...] National and University Library in Zagreb 2015-06-08
[186] 서적 L'Enciclopedia Geografica – Vol.I – Italia Istituto Geografico De Agostini
[187] 서적 Природна география на България Bulvest 2000
[188] 웹사이트 Country comparison: Area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11-12-04
[189] 웹사이트 Field listing: Area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19-03-05
[190] 웹사이트 Proleksis encyclopedia http://proleksis.lzm[...] 2018-07-22
[191] 간행물 On the north border and confine of the Balkan Peninsula Geographical horizon
[192] 서적 The Law of the Sea https://books.google[...] 1997-01-01
[193] 백과사전 Balkans Encyclopædia Britannica 2015-05-03
[194] 백과사전 초기 버전의 『브리태니커 국제 대백과사전』
[195] 문서 柴 2016
[196] 서적 Endgame in the Balkans: Regime Change, European Style https://books.google[...] Brookings Institution
[197] 웹사이트 European Union External Action – EU relations with the Western Balkans http://eeas.europa.e[...] 2014-09-12
[198] 웹사이트 Federal Ministry of Education and Research of Germany – Western Balkan Countries http://www.internati[...] 2014-09-12
[199] 웹사이트 Western Balkans Summit http://www.bmeia.gv.[...] 2015-08-11
[200] 웹사이트 Western Balkans – Trade – European Commission http://ec.europa.eu/[...] 2019-03-07
[201] 서적 Southeast-Europe: state borders, cross-border relations, spatial structures Centre for Regional Studies
[202] 웹사이트 European Economic and Social Committee – Western Balkans http://www.eesc.euro[...] 2014-09-12
[203] 웹사이트 WBIF – Western Balkans Investment Framework – Stakeholders http://www.wbif.eu/S[...] 2014-09-12
[204] 웹사이트 European Commission – Trade – Countries and regions – Western Balkans http://ec.europa.eu/[...] 2014-09-12
[205] 웹사이트 Western Balkans: Enhancing the European Perspective http://ec.europa.eu/[...] Communication from the Commission to the European Parliament and the Council 2008-03-05
[206] 웹사이트 Perspectives on the Region http://transatlantic[...] 2013-07-19
[207] 웹사이트 Fact Sheets on the European Union:The Western Balkans http://www.europarl.[...] European Parliament 2016-12
[208] 잡지 Hrvatska nije na „zapadnom Balkanu“ http://www.matica.hr[...] Matica hrvatska 2015-10-29
[209] 학술지 Hrvatska kao zapadni Balkan - geografska stvarnost ili nametnuti identitet? https://hrcak.srce.h[...] 2011
[210] 뉴스 Predsjednica objasnila zašto izbjegava izraz 'zapadni Balkan' https://www.vecernji[...] 2018-09-27
[211] 뉴스 Regions and territories: Kosovo http://news.bbc.co.u[...] BBC News 2009-11-20
[212] 서적 In the Shadow of Olympus: The Emergence of Macedon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13] 서적 The Early Neolithic in Greece: The First Farming Communities in Europ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4] 서적 Geschichte der Schrift C.H. Beck
[215] 서적 Croatia: A History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16] 서적 A Companion to Ancient Macedonia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1-07-07
[217] 웹사이트 JSTOR https://www.jstor.or[...] 2019-03-07
[218] 서적 Istoria aromânilor Editura Tritonic
[219] 서적 Aromânii. Comerț, industrie, arte, expansiune, civilizație Editura Cartea Armână
[220] 서적 Twenty Years of Balkan Tangle https://books.google[...]
[221] 문서 ブルガリアではブルガリア人と見做されている。
[222] 서적 An economic and social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3] 간행물 The Balkan Wars and World War I https://archive.org/[...]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ies
[224] 문서 木村 1998
[225] 서적 Encyclopedia of World War I
[226] 서적 Europe in Flames
[227] 서적 Russia's life-saver
[228] 서적 Inside Hitler's Greece:The Experience of Occupation
[229] 서적 Hermann Goring: Hitler's Second-In-Command
[230] 서적 The encyclopedia of codenames of World War II#Marita
[231] 뉴스 Kosovo independence declaration deemed legal https://www.reuters.[...] 2010-07-22
[232] 문서 木村 2016
[233] 웹사이트 マケドニア国名変更で合意、四半世紀の対立解消へ https://www.nikkei.c[...] 2018-06-13
[234] 웹사이트 「北マケドニア」改名発効 https://www.nikkei.c[...] 2019-02-13
[235] 웹사이트 欧州連合(EU) https://www.mofa.go.[...]
[236] 웹사이트 Darmanović: Montenegro becomes EU member in 2022 - European Western Balkans https://europeanwest[...] 2017-04-20
[237] 웹사이트 北マケドニアがNATO加盟 30カ国体制に https://mainichi.jp/[...]
[238] 문서 カッタルッツァ、サンテス、フーシェ 2017
[239] 웹사이트 Report for Selected Countries and Subjects http://www.imf.org/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40] 문서 カッタルッツァ、サンテス、フーシェ 2017
[241] 문서 カッタルッツァ、サンテス、フーシェ 2017
[242] 문서 カッタルッツァ、サンテス、フーシェ 2017
[243] 웹사이트 Population on 1 January https://ec.europa.eu[...] Eurostat
[244] 문서 Without Kosovo and Metohija
[245] 문서 GINI index
[246] 웹사이트 Eurostat – Tables, Graphs and Maps Interface (TGM) table http://epp.eurostat.[...] 2019-03-05
[247] 웹사이트 List of Countries by Population Density http://statisticstim[...] 2019-03-05
[248] 웹사이트 Country Comparison: Life Expectancy at Birth https://www.cia.gov/[...] 2016-01-20
[249] 웹사이트 Turkish Statistical Institute. Registered population as of 2012 http://tuikapp.tuik.[...] 2019-03-05
[250] 서적 Taming Balkan Nationalism Oxford University Press
[251] 웹사이트 FIELD LISTING :: RELIGIONS https://www.cia.gov/[...] CIA 2019-03-05
[252] 문서 村田 2016
[253] 문서 村田 2016
[254] 웹사이트 European Jewish Congress – Bosnia-Herzegovina https://web.archive.[...] 2008-07-15
[255] 웹사이트 Greece https://www.jewishvi[...]
[256] 웹사이트 FIELD LISTING :: LANGUAGES https://www.cia.gov/[...] CIA 2019-03-05
[257] 웹사이트 Data: Urban population (% of total) http://data.worldban[...] The World Bank 2019-03-06
[258] 웹사이트 ROMANIA: Counties and Major Cities http://www.citypopul[...] 2015-11-09
[259] 웹사이트 BULGARIA: Major Cities http://www.citypopul[...] 2015-11-09
[260] 웹사이트 Statistical Officeof the Republic of Serbia http://pod2.stat.gov[...]
[261] 웹사이트 CROATIA: Counties and Major Cities http://www.citypopul[...] 2015-11-09
[262] 웹사이트 GREECE: Regions and Agglomerations http://www.citypopul[...] 2015-11-09
[263] 웹사이트 MACEDONIA http://www.citypopul[...] 2015-11-09
[264] 웹사이트 Albania: Prefectures and Major Cities - Population Statistics in Maps and Charts https://citypopulati[...] 2019-03-07
[265] 웹사이트 SLOVENIA: Major Cities http://www.citypopul[...] 2015-11-09
[266] 웹사이트 SERBIA: Regions, Districts and Major Cities http://www.citypopul[...] 2015-11-09
[267] 웹사이트 Çorlu (Tekirdağ, Turkey) – Population Statistics and Location in Maps and Charts http://www.citypopul[...] 2016-01-21
[268] 서적 The Balkans Since the Second World War https://books.google[...] 2014-07-15
[269] 서적 반 룬의 지리학 도서출판 아이필드
[270] 웹인용 터키어로 balkan은 Sarp ve ormanlık sıradağ으로 풀이된다 http://www.tdkterim.[...] 2011-08-24
[271] 웹사이트 The Definition of Balkan Peninsula, The Balkan Geopolitical Knot and the Serbian Question http://www.rastko.rs[...]
[272] 웹사이트 한국브리태니커 백과사전 http://preview.brita[...] 2012-12-04
[273] 문서 이들 국가의 발칸 반도 영토는 경계가 모호한 발칸 반도 북부에 속하기 때문에 튀르키예와 달리 발칸 국가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많다
[274] 백과사전 발칸 반도
[275] 웹사이트 발칸 반도를 트리에스테-오데사 선 이남으로 정의한 덴마크어 사전 http://runeberg.org/[...]
[276] 서적 가로세로 세계사 1 발칸반도-강인한 민족들의 땅 김영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