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에서 달까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구에서 달까지》(De la Terre à la Lune)는 쥘 베른의 소설로, 대포를 이용하여 달까지 여행하려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작품은 19세기 말 과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달 탐사를 시도하며, 과학적 정확성과 한계를 동시에 보여준다. 소설은 미국 남북 전쟁 이후 볼티모어 건 클럽 회원들의 달 탐사 계획을 중심으로, 임피 바비케인, 니콜 대위, 미셸 아르당 등 등장인물들의 모험을 그린다. 이 작품은 이후 풍자적인 요소와 과학 기술의 양면성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영화, 오페라, 만화 등 다양한 대중문화 콘텐츠에 영향을 미쳤다. 한국어 번역본으로는 1883년 구로이와 루이코의 번안본을 시작으로 여러 판본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5년 소설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는 루이스 캐럴이 1865년에 발표한 소설로, 앨리스라는 소녀가 토끼 굴을 통해 환상의 세계에서 모험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넌센스 문학의 대표작으로서 언어유희와 패러디, 수학, 논리, 철학적 요소를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어 문화적 아이콘이 되었다. - 플로리다주를 배경으로 한 소설 - 레드 드래곤
토마스 해리스의 소설 《레드 드래곤》은 FBI 프로파일러 윌 그레이엄이 '이빨 요정'이라 불리는 연쇄살인범 프랜시스 돌라하이드의 범행을 막기 위해 은퇴 후 복귀하여 한니발 렉터의 도움을 받는 이야기로,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제작되었다. - 플로리다주를 배경으로 한 소설 - 아탈라 (소설)
아탈라는 프랑수아-르네 드 샤토브리앙의 소설로, 북아메리카를 배경으로 기독교, 자연, 원주민의 삶을 다루며, 샤크타스, 르네, 아탈라 등의 인물을 통해 기독교 선교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달을 배경으로 한 소설 - 파머 엘드리치의 세 개의 성흔
《파머 엘드리치의 세 개의 성흔》은 필립 K. 딕이 1965년에 발표한 과학 소설로, 환경 오염과 인구 과잉으로 고통받는 미래 사회를 배경으로 환각제를 통해 현실 도피를 꾀하는 인간 군상과 기업가의 음모를 그리고 있다. - 달을 배경으로 한 소설 - 달은 무자비한 밤의 여왕
로버트 A. 하인라인의 과학 소설 《달은 무자비한 밤의 여왕》은 2075년 달을 배경으로, 자아를 가진 슈퍼컴퓨터 "마이크"와 달 거주민 "루니"들이 지구 연방에 맞서 독립을 쟁취하는 과정을 그린 작품으로, 기술 발전의 영향, 자유와 책임, 이상적인 사회 시스템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지구에서 달까지 - [서적]에 관한 문서 | |
---|---|
서지 정보 | |
제목 | 지구에서 달까지 |
원제 | De la Terre à la lune, trajet direct en 97 heures 20 minutes (드 라 테르 아 라 륀, 트라제 디렉트 엉 콰트르-뱅-디스-세트 외르 뱅 미뉘트) |
저자 | 쥘 베른 |
삽화가 | 에밀-앙투안 바야르 및 알퐁스-마리 드 뇌빌 |
국가 | 프랑스 |
언어 | 프랑스어 |
시리즈 | 기상천외한 모험 #4 볼티모어 포 클럽 #1 |
장르 | 과학 소설 |
출판사 | 피에르-쥘 에첼 |
출판일 | 1865년 |
영어 출판일 | 1867년 |
미디어 유형 | 인쇄물 (하드 커버) |
이전 작품 | 지구 속 여행 |
후속 작품 | 없음 |
번역가 | |
영어 (익명) | 1867년 |
영어 (J. K. 호이트) | 1869년 |
영어 (루이 메르시에 & 엘레노어 엘리자베스 킹) | 1873년 |
영어 (에드워드 로스) | 1874년 |
영어 (토마스 H. 링크레이터) | 1877년 |
영어 (I. O. 에반스) | 1959년 |
영어 (로웰 베어) | 1967년 |
영어 (재클린 & 로버트 볼딕) | 1970년 |
영어 (해럴드 세일럼슨) | 1970년 |
영어 (월터 제임스 밀러) | 1996년 |
영어 (프레데릭 폴 월터) | 2010년 |
영화화 작품 | |
영화화 작품 | 해당 사항 없음 |
삽화 | |
![]() |
2. 역사적 배경
쥘 베른의 소설은 달 여행을 다룬 최초의 문학 작품은 아니었다. 베른은 소설에서 대포에 대한 요구 사항을 계산하려 했고, 당시 이 주제에 대한 경험적 데이터가 부족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수치 중 일부는 놀랍도록 정확했다.[1] 그러나 비로켓 우주 발사를 위한 우주 총 버전은 유인 우주 여행에 실용적이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1]
소설 속 프랑스인 등장인물 미셸 아르당은 실존 인물인 사진작가 펠릭스 나다르에게서 영감을 받았다.
1889년 베르느는 이 소설의 두 번째 속편인 ''북극의 구매''를 썼다. 이 소설에서는 건 클럽 회원들이 콜럼비아드를 사용하여 지구의 기울기를 변경하여 북극 지역의 광물 자원을 개발할 수 있도록 계획한다.
2. 1. 달 탐사 관련 초기 문학 작품
쥘 베른의 소설 이전에 달 탐사를 다룬 문학 작품으로는 루키아노스의 ''진실한 이야기''(2세기), 프랜시스 고드윈의 ''달 속의 남자''(1638), 시라노 드 베르주라크의 ''달나라 국가와 제국의 희극적 역사''(1657), 존 윌킨스의 ''달나라 세계의 발견'' (1638), 마리-안 로베르의 ''Voyages de Milord Céton dans les sept planètes, ou Le nouveau Mentor'' (1756년 파리 출판) 등이 있다.2. 2. 과학적 정확성과 한계
베르느는 대포를 발사하여 달 탐사를 한다는 아이디어를 제시하면서, 당시 과학 지식을 바탕으로 대포의 크기, 발사체의 속도 등을 계산하려 시도했다. 그의 계산은 일부 정확했음에도 불구하고, 비로켓 우주 발사를 위한 우주 총 버전은 안전한 유인 우주 여행에는 실용적이지 않다는 것이 밝혀졌다.[1] 승객이 생존할 수 있는 한계 내에서 가속도를 제한하면서 탈출 속도에 도달하려면 훨씬 더 긴 포신이 필요했을 것이다.[1]천체역학적인 이론면에는 대체로 오류가 없지만, 270m 정도의 거리 내에서 제2우주 속도 근처까지 가속할 경우, 포탄에 걸리는 가속도의 평균값은 약 2만G가 되며, 인체는 절대로 견딜 수 없다. 작품에서 언급되는 "대 쇼크 자세"나 완충재도 이 정도의 큰 가속도에는 무의미하다.
또한 포신 내의 공기가 일순간에 포구에서 배출되지 않기 때문에 포탄은 전방의 공기와 후방의 화약 가스에 끼여 찌그러진다는 문제가 있다. 그것이 해결된다 하더라도, 대기권을 빠져나가기 전에 포탄은 공력 가열로 녹아버린다.
무중력 상태가 달과 지구의 중력 균형점(라그랑주 점 참조)에서만 실현된다는 묘사도 옳지 않다. 추진력을 발휘하지 않고 우주 비행하는(자유 낙하하는) 포탄의 내부는 항상 무중력이 된다.
3. 등장인물
- '''임피 바비케인'''(Impey Barbicane): 볼티모어 건 클럽의 회장으로, 달 여행 계획을 입안한 인물이다.[7]
- '''니콜 대위'''(Capitaine Nicholl): 야금 기술자이자 바비케인의 경쟁자이다. 처음에는 달 탐사 계획을 방해하는 인물로 등장한다.[7]
- '''미셸 아르당'''(Michel Ardan): 프랑스인으로, 포탄 안에 직접 들어가 달로 가는 것을 제안하여 포탄 설계를 변경하게 만든 인물이다.[7] 아르당(Ardan)이라는 이름은 베르느의 친구 나다르(Nadar)의 이름을 변형한 것이다.
- '''J. T. 매스턴'''(J. T. Maston): 건 클럽의 서기로, 수학에 능통하며 전쟁 중 부상으로 한쪽 팔에 의수를 착용하고 있다.[7]
3. 1. 임피 바비케인 (Impey Barbicane)
'''임피 바비케인'''(Impey Barbicane)은 볼티모어 건 클럽의 회장으로, 북군 출신의 화기 개발자이자 뛰어난 기술자였다. 꼼꼼한 성격을 지녔으며, 달 여행 계획을 입안했다.[7]
그의 군사적 배경과 기술 만능주의적 사고는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볼 수 있다.
3. 2. 니콜 대위 (Captain Nicholl)
야금 기술자이자 바비케인의 경쟁자이다.[7] 달 탐사 계획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회의적이며, 바비케인과 일련의 내기를 건다. 그의 비판적 시각은 계획의 문제점을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전쟁 중에는 장갑판을 개발했으며, 바비케인에 필적하는 기술자이다.[7]3. 3. 미셸 아르당 (Michel Ardan)
프랑스인 모험가 미셸 아르당은 발사체를 타고 달로 여행할 계획을 세운다. 아르당(Ardan)이라는 이름은 베르느의 친구 나다르(Nadar)의 이름을 바꿔 만든 것이다.[7] 그는 바비칸과 니콜에게 자신과 함께 발사체를 타고 여행할 것을 제안했고, 그의 제안은 받아들여졌다.3. 4. J. T. 매스턴 (J. T. Maston)
볼티모어 건 클럽의 서기이자 수학에 능통한 인물이다. 전쟁 중 부상으로 한쪽 팔을 잃고 의수를 착용하고 있다.[7]4. 줄거리
미국 남북 전쟁 직후, 볼티모어 건 클럽 회장 임피 바비칸은 달에 발사체를 쏠 수 있는 대포 제작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회원들의 지지를 얻는다. 이후 발사 장소, 대포와 발사체의 크기 및 재료, 사용할 화약 종류를 결정하기 위한 회의가 열린다.
바비칸의 숙적 갑옷 설계자 니콜 대위는 이 계획을 비난하며 내기를 걸어온다. 대포 건설 자금은 미국에서 400만달러를 기부받는 등 여러 국가에서 모금되어 약 550만달러가 모인다.
플로리다 주 탬파 스톤 언덕이 대포 건설 장소로 선정되어, 깊이 약 274.32m, 너비 약 18.29m의 구멍을 파는 콜럼비아드 대포 건설이 시작된다. 한편, 프랑스 모험가 미셸 아르당이 발사체를 타고 달로 여행할 계획을 세우고, 바비칸, 니콜과 함께 발사체에 탑승한다.
발사체는 성공적으로 발사되었지만, 세 우주 비행사의 운명은 불확실하게 남겨진다. 이들의 이야기는 속편인 ''달나라 탐험''에서 이어진다.
4. 1. 지구에서 달까지
미국 남북 전쟁이 끝난 직후, 볼티모어 건 클럽은 회장 임피 바비케인의 제안으로 달에 포탄을 발사하는 계획을 세운다. 바비케인은 계산을 통해 달까지 발사체를 보낼 수 있는 대포를 만들 수 있다고 확신했다. 건 클럽 회원들의 지지를 얻은 후, 발사 장소, 대포와 발사체의 크기 및 재료, 사용할 화약의 종류를 결정하기 위한 회의가 열린다.바비케인의 오랜 숙적인 필라델피아 출신 갑옷 설계자 니콜 대위는 이 계획이 터무니없다고 비난하며 바비케인과 내기를 한다.
거대한 대포 건설 자금 마련을 위해 미국과 유럽 여러 국가에서 모금이 진행된다. 미국은 400만 달러를 기부했고, 영국은 처음에는 아무것도 제공하지 않았지만, 결국 약 550만 달러가 모금되어 프로젝트의 재정적 기반이 마련된다.
플로리다 주 탬파의 스톤 언덕이 대포 건설 장소로 선정된다. 건 클럽은 그곳으로 이동하여 콜럼비아드포[10] 건설을 시작한다.

프랑스 모험가 미셸 아르당은 발사체를 타고 달로 여행할 계획을 세우고, 바비케인에게 전보를 보내 포탄을 유인 발사체로 변경하고 자신을 탑승시켜 달라고 요청한다. 아르당은 바비케인과 니콜에게 함께 발사체를 타고 여행할 것을 제안하고, 이 제안은 받아들여진다.
결국 세 사람이 탑승한 발사체는 성공적으로 발사되지만, 이들의 운명은 불확실하게 남겨진다. 이후 이야기는 ''달나라 탐험''에서 이어진다.[7]
4. 2. 달나라 탐험
발사 후, 세 사람은 우주 공간에서 다양한 경험을 한다. 처음에 작은 천체와 근접 조우하는 사건이 있었지만, 비행은 대체로 순조롭게 진행되었다.[11] 이들은 불필요한 물건을 우주 공간에 버리고, 산소 중독을 겪기도 하며, 지구와 달의 중력이 균형을 이루는 지점에서 무중력 상태를 경험하기도 한다.
하지만 여정 후반부에, 그들은 자신들이 원래 계획했던 궤도에서 벗어나고 있음을 깨닫는다. 이는 지구 근처에서 만났던 작은 천체의 중력 때문이었다. 바비케인과 니콜은 포탄의 궤도가 포물선이 될지 쌍곡선이 될지를 두고 논쟁을 벌였지만, 결국 포탄은 달 주위를 도는 타원 궤도에 진입하게 되었다.
근지점에서 달 표면에 50km 이내로 접근한 그들은 소형 망원경으로 달 표면을 자세히 관찰했다. 그 결과, 달은 생명체가 살기 어려운, 기본적으로 죽음의 세계라는 결론을 내린다. 세 사람은 달 표면에 착륙하려던 원래 계획을 포기하고, 대신 역분사 로켓을 사용하여 지구로 돌아오는 궤도로 변경하기로 결심한다. 로켓 점화는 성공적이었고, 포탄은 지구 귀환 궤도에 진입한다.
며칠 후, 미국의 군함 서스케하나호가 북태평양에서 포탄이 바다에 착수하는 것을 발견하고 구조대가 출동한다. 미국으로 돌아온 그들은 영웅으로 환영받았다.
5. 풍자 요소
이 소설은 과학적 상상력뿐만 아니라, 당대 사회에 대한 풍자적 요소를 담고 있다.
6.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
쥘 베른의 소설 《지구에서 달까지》는 과학 소설뿐만 아니라 영화, 애니메이션, 만화, 놀이기구 등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 큰 영향을 미쳤다. 1880년 ''더 팔 몰 가제트''(The Pall Mall Gazette)는 베르느의 '콜럼비아드'를 '우주선'으로 묘사했는데, 이는 역사상 이 용어가 기록된 최초의 사용이었다.[1]
1995년 BBC는 스페이스 마운틴 제작에 관한 44분짜리 다큐멘터리 ''Shoot for the Moon''을 제작하여 팀 델라니와 그의 팀이 이 책을 현실로 만드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또한, 대포 클럽 회장인 임피 바비케인을 흡혈귀로 등장시킨 작품으로, 『오토메이트』의 『코드 리얼라이즈』가 있다. 2022년에는 이 소설을 원작으로 한 낭독극이 스즈키 카츠히데 연출로 『Sound Fantasy 낭독극 "달세계 여행"』으로 상연되었다.[15]
6. 1. 문학
H. G. 웰스의 1901년 소설 ''달나라 첫 인간''은 주인공 베드포드 씨가 동료 케이버 교수를 언급하며 베르느의 소설을 간접적으로 언급한다.[1] 베르느는 이후 웰스가 '케이버라이트'라는 가상의 물질을 사용한 것을 비판하며, 자신은 실제 물질인 면화 화약을 사용했다고 지적했다.한누 라야니에미의 2010년 소설 ''더 퀀텀 시프'' 3부작에서 주인공은 군사 무기를 전문으로 하는 "건 클럽 조쿠"와 동맹을 맺고, ''더 코잘 앤젤''(2014)에서 핵 추진 우주 총을 사용해 탈출한 후 "베르느 총알"을 그들에게 판매한다.[4][5]
6. 2. 영화 및 오페라
이 소설은 1875년 자크 오펜바흐의 오페라 달나라 여행에 느슨하게 영감을 주었다.[1] 1902년 조르주 멜리에스는 이 소설과 H. G. 웰스의 ''달나라 첫 인간''을 바탕으로 최초의 SF 영화 달 세계 여행을 제작했다.[14] 1958년에는 이 이야기를 각색한 영화 지구에서 달까지가 개봉되었고, 1967년에는 벌 아이브스와 테리 토마스가 출연하는 영국 코미디 영화 쥘 베른의 달나라 로켓의 기초가 되었다. 1961년 체코슬로바키아 영화 멋진 폰 뮌하우젠 남작은 베르느 소설의 등장인물과 줄거리 요소를 뮌하우젠 남작과 시라노 드 베르주라크의 이야기와 결합했다.2008년에 제작된 일본 애니메이션 'Rocket! 우리를 달에 데려가 줘 신·달세계 여행'은 본 2부작 및 『80일간의 세계 일주』를 모티브로 한 어린이 대상 작품으로, 사이언스 채널에서 방영되었다.[15]
6. 3. 기타
1953년 3월, 길버튼 컴퍼니는 ''클래식 일러스트레이티드'' 시리즈 105호로 《지구에서 달까지》를 만화로 각색하여 출판했다. 작가는 익명이었으나, 베르느의 ''지구에서 달까지''를 속편인 ''달 주위''와 결합했다. 길버튼의 미술 감독 알렉스 A. 블룸이 표지 그림과 44페이지의 내부 삽화를 모두 제공했다. 이 책은 1953년에서 1971년 사이에 12번 인쇄되었다.[2]아폴로 11호 승무원들은 1969년 7월 23일 달에서 지구로 귀환하는 여정 중 TV 방송에서 쥘 베른의 책을 언급했다.[3] 미션 사령관인 우주 비행사 닐 암스트롱은 "100년 전, 쥘 베른은 달로 가는 항해에 대한 책을 썼습니다. 그의 우주선 콜럼비아(Columbia)호는 플로리다에서 출발하여 달 여행을 마치고 태평양에 착륙했습니다. 오늘날의 콜럼비아가 지구와 같은 태평양과의 재회를 완료하면서 승무원들의 생각을 여러분과 공유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라고 말했다.
일본 애니메이션 ''우주 형제''(2012–2014)의 에피소드 39-51("Small World" by 후지 패브릭) 오프닝은 이 이야기의 패러디였으며, 초기 영어 번역본의 표지로 끝났다.[6]
1995년 디즈니랜드 파리의 롤러코스터 스페이스 마운틴의 첫 번째 버전인 ''스페이스 마운틴: 드 라 테르 아 라 룬''(Space Mountain: De la Terre à la Lune)은 이 소설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어트랙션의 외관은 베르느 시대의 레트로-미래주의 영향을 받아, 리벳과 보일러 판 효과를 내고, 기차가 지나갈 때 쾅 소리와 함께 연기를 내뿜는 "콜럼비아드"를 사용하여, 탑승자들에게 우주로 발사되는 듯한 느낌을 준다.
7. 한국어 번역
쥘 베른의 소설은 한국에서도 여러 차례 번역, 출간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What year was the word spaceship first used in? | How Things Fly
https://howthingsfly[...]
[2]
서적
Classics Illustrated: A Cultural History
McFarland
2011
[3]
간행물
JSC
http://www.jsc.nasa.[...]
NASA
2015-02-11
[4]
뉴스
Interview: Hannu Rajaniemi: SciFiNow sits down with a rising star of science fiction.
https://www.scifinow[...]
[5]
뉴스
"Once a physicist: Hannu Rajaniemi; Hannu Rajaniemi is an Edinburgh-based science-fiction writer whose first novel, ''The Quantum Thief'', is published by Gollancz in paperback this month"
https://www.iop.org/[...]
[6]
웹사이트
Uchuu Kyoudai (Space Brothers) Opening 4 – Small World by Fujifabric
https://www.youtube.[...]
[7]
문서
アンリ・ド・モントーによる挿絵
[8]
citation
McDermot, Murtagh
https://www.daviddar[...]
[9]
citation
A Trip to the Moon
http://www.authorama[...]
[10]
문서
この二部作の軸となるガジェットである大砲は、ふつうコロンビヤード砲と呼ばれている。ただし作中でも指摘されているように、この超巨大砲は厳密にはコロンビヤード砲ではなく、幾種類かの砲の特徴を併せ持っている。
[11]
문서
[[エミール・バヤール]]による挿絵
[12]
문서
[[ウォルター・M・ミラー・ジュニア]]とは別人
[13]
문서
創元版『地軸変更計画』の、牧眞司による巻末解説
[14]
문서
長谷見一雄「ジュワフスキとポーランドSF」 - 『週刊朝日百科(通巻1248号) 世界の文学(19) ヨーロッパ III』(1999年)
[15]
웹사이트
[[塚田僚一]]([[A.B.C-Z]])主演 Sound Fantasy朗読劇『月世界旅行』開幕
https://spice.eplus.[...]
2022-02-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