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지방경찰 (독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독일 주 경찰(Landespolizei)은 1871년 독일 통일 이후 각 주에서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경찰 조직으로, 나치 시대에는 질서경찰에 통합되었다가 2차 세계 대전 이후 연합국의 지침에 따라 분권화되어 재편되었다. 동독은 인민경찰을 운영했으나, 통일 후 서독 체제로 통합되었다. 주 경찰은 각 주 내무부의 지휘를 받으며, 조직 구조와 기능은 주마다 다르다. 2005년부터는 유럽의 다른 경찰들과 마찬가지로 파란색 제복을 사용하고 있으며, 각 주별로 제복 유형과 전환 시기가 다르다. 주 경찰은 다양한 부서와 훈련 과정을 통해 전문성을 강화하고 있으며, 모든 경찰관은 근무 중 권총을 휴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법집행 - 증거확보체포구금부대
    증거확보체포구금부대(BFE)는 범죄 현장에서 증거 수집, 용의자 체포 및 구금을 수행하는 경찰 부대로, 지휘부, 기술 지원팀, 증거 확보팀, 체포팀, 구금시설 등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특수 장비와 무기를 사용하며 집단 시위 진압, 고위험 체포 영장 집행 지원, 대규모 행사 범죄 증거 확보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한다.
  • 독일 경찰 - 위기지역보호임무부대
    위기지역보호임무부대(PSA)는 위험 지역에서 외교 시설, 외교관, 자국민을 보호하는 임무를 수행하며, 대한민국은 아이티 지진, 이집트 혁명, 예멘, 리비아 등에서 대사관 경비 및 교민 안전 확보 임무를 수행했고, 독일 외무부 ASIK, 필리핀 국가 경찰청 PSA 등 유사 임무 수행 조직이 존재한다.
  • 독일 경찰 - 보호경찰
  • 독일 - 나치 독일
    나치 독일은 아돌프 히틀러의 나치당이 통치한 1933년부터 1945년까지의 독일을 가리키며, 극단적인 민족주의와 전체주의를 바탕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을 일으키고 홀로코스트를 포함한 대량 학살과 인권 유린을 자행했다.
  • 독일 - 프로이센
    프로이센은 중세 시대 발트족에서 유래하여 튜턴 기사단, 프로이센 공국, 왕국 시대를 거치며 군사 강국으로 성장했고, 독일 통일을 주도하여 독일 제국을 건설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패배로 해체되었다.
지방경찰 (독일)
지도
기본 정보
명칭Landespolizei (란데스폴리차이)
약칭LaPo (라포)
의미주 경찰
개요
소속독일 각 연방주
관할각 주의 관할 지역
역할주 내부의 경찰 업무 수행
연방 경찰의 지원
구성수사 경찰
기동 경찰
교통 경찰
기타 특수 부대
조직 구조
주 경찰청각 주마다 독립적인 경찰청 운영
주 경찰 본부각 주 경찰청 산하에 여러 경찰 본부 존재
경찰서각 경찰 본부 산하에 여러 경찰서 존재
임무
주요 업무범죄 예방 및 진압
교통 단속
공공질서 유지
재난 발생 시 구조 활동
기타 경찰 업무
수사권모든 종류의 범죄 수사
권한 및 책임
법적 근거각 주의 경찰법에 근거
독립성주 정부의 감독을 받지만, 수사 및 운영의 독립성 보장
기타
국제 협력유럽연합 경찰 협력 체제 참여
기타 국제 경찰 협력
교육 훈련각 주 경찰 자체 교육 시설에서 신임 경찰 및 경력 경찰 교육

2. 역사

오늘날 독일 주경찰(Landespolizei)의 기원은 19세기 후반 오토 폰 비스마르크 아래 독일이 단일 국가로 통합되면서 시작되었다. 새로운 법률과 규정이 증가하고 도시 생활 통제가 복잡해짐에 따라, 각 도시들도 자체 경찰력을 갖추게 되었다.[2][3]

나치 독일 시대에는 모든 주 및 도시 경찰이 1936년부터 1945년까지 존속했던 질서경찰(Ordnungspolizei)에 흡수되었다.[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은 난민, 실향민, 기아, 빈곤 등으로 큰 어려움을 겪었다. 무장 갱단의 공격, 강도, 약탈, 암시장 거래가 만연했고, 군사경찰만으로는 이러한 치안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웠다. 이에 서방 연합국들은 서독 지역에 민간 경찰 부대 창설을 허용했는데, 이들은 무장이 강화되고 군사적으로 조직된 소규모 경찰 부대를 포함했다. 각 부대는 해당 국가의 경찰 구조와 전통을 반영했다.

서방 3개 지역은 경찰의 분권화, 비무장화, 민주화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냉전 긴장이 고조되면서 일부 제한이 완화되었다. 뮌헨 올림픽 테러에서의 인질 구출 실패,[5] 조직 범죄와 테러의 증가는 중앙 집중적인 경찰 기능의 필요성을 보여주었고, 1970년대 서독 주 경찰은 큰 개혁을 겪었다. 대표적인 예로, 1975년 뮌헨 시 경찰이 바이에른 주 경찰의 일부인 뮌헨 경찰 본부(Polizeipräsidium München)로 통합된 것처럼, 시 경찰이 주경찰(Landespolizei)에 흡수되었다.[6]

동독은 독일 인민경찰(Volkspolizei)이라는 통합된 국가 경찰력을 창설했으나, 1990년 독일 재통일 이후 서독 경찰 체계에 따라 재편되었다.

2. 1. 19세기: 기원과 발전

오늘날의 독일 주경찰(독일어: Landespolizei)의 기원은 1871년 오토 폰 비스마르크 아래 독일이 단일 국가로 통합된 19세기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새로운 법률과 규정이 증가하면서 도시 생활 통제가 더욱 복잡해짐에 따라 다양한 도시들도 자체 경찰력을 유지했다.[2][3]

주 경찰의 역사는 19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당시 독일 내 개별 왕국들은 다양한 경찰력을 유지하고 있었다. 그중 큰 조직으로는 후에 게슈타포(Gestapo)가 된 프로이센 비밀 경찰(Preußische Geheimpolizei)과 바이에른 주 경찰(Bayerische Landespolizei)이 있었다. 독일이 오토 폰 비스마르크 통치하에 하나의 국가가 되었을 때, 각 국가와 다른 주 단위의 경찰 조직은 주 경찰 또는 마을/도시 단위의 도시 경찰이 되었다.

2. 2. 나치 시대: 중앙 집권화

나치 독일 시대에는 모든 주 및 도시 경찰이 1936년부터 1945년까지 존재했던 질서경찰(Ordnungspolizei)에 흡수되었다.[4]

2. 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분권화와 재편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대규모 난민과 실향민, 기아와 빈곤이 독일의 일상생활을 특징지었다. 무장 갱단의 공격, 강도, 약탈, 암시장 거래가 흔했고, 군사경찰은 이러한 심각한 치안 문제에 대처할 수 없었다. 따라서 서방 연합국들은 각각 서독에서 무장이 강화되고 군사적으로 조직된 소규모 경찰 부대를 포함하여 민간 경찰 부대의 창설을 신속하게 허용했으며, 그 조건은 각국의 경찰 구조와 전통을 반영했다.[4]

서방 3개 지역 모두 경찰의 분권화, 비무장화, 민주화에 중점을 두었다. 냉전 긴장이 고조됨에 따라 일부 제한이 해제되었다. 또한 뮌헨 올림픽 테러의 실패한 인질 구출 시도,[5] 조직 범죄와 테러(적군파, 혁명적 세포)의 증가는 특정 경찰 기능이 지역적 방향보다 중앙적 방향을 필요로 함을 증명했으며, 따라서 서독 주 경찰은 1970년대에 상당한 개혁을 거쳤다.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뮌헨 시 경찰이 1975년 바이에른 주 경찰의 일부인 뮌헨 경찰 본부(Polizeipräsidium München)가 된 것처럼 시 경찰이 주경찰(Landespolizei)의 일부가 되었다는 것이다.[6] 주경찰(Landespolizei)은 서독의 연방 주 경찰이 되었다.

동독은 인민경찰(Volkspolizei)이라는 통합된 국가 경찰력을 창설했지만, 1990년 독일 재통일 후 서독 경찰 체계에 따라 재편되었다.

2. 4. 독일 통일 이후

나치 독일 시대에는 모든 주 및 도시 경찰이 1936년부터 1945년까지 존재했던 질서경찰(Ordnungspolizei)에 흡수되었다.[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대규모 난민과 실향민, 기아와 빈곤이 독일의 일상생활을 특징지었다. 무장 갱단의 공격, 강도, 약탈, 암시장 거래가 흔했고, 군사경찰은 이러한 심각한 치안 문제에 대처할 수 없었다. 따라서 서방 연합국들은 각각 서독에서 무장이 강화되고 군사적으로 조직된 소규모 경찰 부대를 포함하여 민간 경찰 부대의 창설을 신속하게 허용했으며, 그 조건은 각국의 경찰 구조와 전통을 반영했다.

서방 3개 지역 모두 경찰의 분권화, 비무장화, 민주화에 중점을 두었다. 냉전 긴장이 고조됨에 따라 일부 제한이 해제되었다. 또한 뮌헨 올림픽 테러의 실패한 인질 구출 시도,[5] 조직 범죄와 테러(적군파, 혁명적 세포)의 증가는 특정 경찰 기능이 지역적 방향보다 중앙적 방향을 필요로 함을 증명했으며, 따라서 서독 주 경찰은 1970년대에 상당한 개혁을 거쳤다.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뮌헨 시 경찰이 1975년 바이에른 주 경찰의 일부인 뮌헨 경찰 본부(Polizeipräsidium München)가 된 것처럼 시 경찰이 주경찰(Landespolizei)의 일부가 되었다는 것이다.[6] 주경찰(Landespolizei)은 서독의 연방 주 경찰이 되었다.

동독은 인민경찰(Volkspolizei)이라는 통합된 국가 경찰력을 창설했지만, 1990년 독일 재통일 후 서독 경찰 체계에 따라 재편되었다.

3. 조직

독일 연방공화국의 각 주 경찰은 각 주 내무부 장관의 지휘를 받는다. 이들 경찰의 내부 구조는 주마다 다소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내무부 직속 기관으로 지역 경찰 본부(''Präsidium'')를 두고 있다.[24] 각 주 경찰 조직은 주 법에 따라 규정되므로, 조직의 명칭과 기능은 주마다 다르다.[22]


  • '''도시 주의 예 (베를린 주 경찰)'''[22]: 주 경찰청장(Polizeipräsident|폴리차이프레지덴트de) 아래 6개의 지방 본부(Direktionen|디렉치오넨de)와 주 형사청, 행정 통제 본부(Direktion Einsatz|디렉치온 아인자츠de), 중앙 지원부(Zentrale Serviceeinheit|첸트랄레 제르비체아인하이트de)가 설치되어 있다.
  • '''광역주의 예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경찰)'''[22]: 주 내무부 아래 47개의 군 경찰(Kreispolizeibehörde|크라이스폴리차이베회르데de), 주 교육·훈련·인사청, 주 형사청, 주 경찰 행정 통제청이 있다. 군 경찰에는 군에 속하지 않는 대규모 도시에 설치된 18개의 경찰 본부(Polizeipräsidien|폴리차이프레지디엔de)도 포함된다.

3. 1. 구조

독일 연방공화국의 모든 주 경찰은 각 주(州, ''Land'') 내무부 장관의 지휘를 받는다. 주 경찰의 내부 구조는 주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내무부 직속 기관으로 지역 경찰 본부(''Präsidium'')가 있다. 지역 경찰 본부는 광범위한 지역이나 대도시에서 작전을 지휘하고 행정 및 감독 기능을 수행하며, 고속도로 순찰대, 기마 경찰대, 경찰견 부대와 같은 특수 부대를 직접 통제하기도 한다.

지역 본부 아래에는 20만 명에서 60만 명의 주민이 거주하는 지역을 담당하는 여러 지구 경찰 본부(''Direktionen'')가 있다. 각 지구 경찰 본부 아래에는 24시간 근무하는 여러 지역 경찰서(''Inspektion'') 또는 파출소(''Revier'')가 있어 일상적인 치안 유지를 담당하고 지역 주민의 접촉 창구 역할을 한다. 이보다 하위 단계에는 1~2명의 경찰관이 근무하는 소규모 경찰 사무소인 ''Polizeiposten''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근무 시간에만 운영된다.

독일은 연방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기본법에 특별히 규정되지 않는 한 권한은 기본적으로 각 주에 속한다. 기본법 제70조 제1항에 따라 범죄 수사 및 방범 등 일반 경찰 활동은 원칙적으로 주 경찰의 권한이다.[24]

모든 주 경찰 조직은 주 내무부 장관의 지휘를 받지만, 각 주 법에 따라 규정되므로 조직의 명칭과 기능은 주마다 다르다.[22]

  • 도시 주의 예 (베를린 주 경찰)[22]
  • 주 경찰청장 (Polizeipräsidentde) 밑에 6개의 지방 본부와 주 형사청, 행정 통제 본부 및 중앙 지원부가 설치되어 있다.[22]
  • 지방 본부 (Direktionende) - 내부 부서로 범죄 대책 등을 담당하는 한편, 담당 지역을 더 세분화하는 형태로 6~8개의 경찰서를 통제한다.[22]
  • 행정 통제 본부 (Direktion Einsatzde) - 기동대와 교통센터, 수상 경찰 등 지방 본부의 관할을 넘어 발생하는 사건을 담당한다.[22]
  • 중앙 지원부 (Zentrale Serviceeinheitde) - 관리·병참 업무를 관할하며, 주 경찰학교도 여기에 소속된다.[22]
  • 광역주의 예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경찰)[22]
  • 주 내무부 밑에 47개의 군 경찰, 주 교육·훈련·인사청, 주 형사청, 주 경찰 행정 통제청이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22]
  • 군 경찰 (Kreispolizeibehördede)에는 군에 속하지 않는 대규모 도시에 설치된 18개의 경찰 본부 (Polizeipräsidiende)도 포함된다. 14개의 경찰 본부에는 기동대가 설치되는 등 중대한 범죄나 특수한 사건에 대해서는 대규모이고 능력이 높은 군 경찰이 본래의 관할 범위를 넘어 출동하게 된다.[22]

3. 2. 관할

독일은 연방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기본법에 특별히 규정되지 않는 한 권한은 기본적으로 각 주(州, ''Land'')에 속한다. 경찰에 대해서도 기본법 제70조 제1항에 따라 범죄 수사 및 방범 등 일반 경찰 활동은 원칙적으로 주 경찰의 권한이다.[24]

모든 주 경찰 조직은 주 내무부 장관의 지휘를 받는다. 그러나 주 경찰은 각 주 법에 따라 규정되어 있으므로 조직의 명칭과 기능은 주마다 다르다.[22]

대부분의 경우 내무부의 직속 기관으로 지역 경찰 본부(''Präsidium'')가 있다. 이 본부는 광범위한 지역 또는 대도시에서 작전을 지휘하고 행정 및 감독 기능을 수행한다. 지역 본부 아래에는 20만 명에서 60만 명의 주민이 거주하는 지역을 담당하는 여러 지구 경찰 본부(''Direktionen'')가 있다. 각 ''Direktion'' 아래에는 24시간 근무하는 여러 지역 경찰서(''Inspektion'') 또는 파출소(''Revier'')가 있으며, 일상적인 치안 유지를 담당하고 지역 주민의 접촉 창구 역할을 한다. 이보다 하위 단계에는 ''Polizeiposten''이 있는데, 이는 1~2명의 경찰관이 근무하는 소규모 경찰 사무소이며, 일반적으로 근무 시간에만 운영된다.

뮌헨 시 경찰의 휘장


주 경찰은 제복 소매에 주 휘장을 부착하고, 때로는 오른쪽 가슴 주머니 위에 금속으로 된 도시 휘장을 달아 어느 경찰서에서 근무하는지 표시한다. 경찰관은 주 내 어디든 전출될 수 있다.[7]

; 도시 주의 예 (베를린 주 경찰)[22]

: 주 경찰청장 (Polizeipräsident|폴리차이프레지덴트de) 밑에 6개의 지방 본부와 주 형사청, 행정 통제 본부 및 중앙 지원부가 설치되어 있다.

:* 지방 본부 (Direktionen|디렉치오넨de) - 내부 부서로 범죄 대책과 등을 담당하는 한편, 담당 지역을 더 세분화하는 형태로 6~8개의 경찰서를 통제한다.

:* 행정 통제 본부 (Direktion Einsatz|디렉치온 아인자츠de) - 기동대와 교통센터, 수상 경찰 등 지방 본부의 관할을 넘어 발생하는 사건을 담당한다.

:* 중앙 지원부 (Zentrale Serviceeinheit|첸트랄레 제르비체아인하이트de) - 관리·병참 업무를 관할한다. 또한 주 경찰학교도 여기에 소속된다.

; 광역주의 예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경찰)[22]

: 주 내무부 밑에 47개의 군 경찰, 주 교육·훈련·인사청, 주 형사청, 주 경찰 행정 통제청이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 군 경찰 (Kreispolizeibehörde|크라이스폴리차이베회르데de)에는 군에 속하지 않는 대규모 도시에 설치된 18개의 경찰 본부 (Polizeipräsidien|폴리차이프레지디엔de)도 포함된다. 14개의 경찰 본부에는 기동대가 설치되는 등 중대한 범죄나 특수한 사건에 대해서는 대규모이고 능력이 높은 군 경찰이 본래의 관할 범위를 넘어 출동하게 된다.

3. 3. 각 주별 경찰

독일은 연방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기본법에 특별히 규정되지 않는 한 권한은 기본적으로 각 주에 속한다. 경찰에 대해서도 기본법 제70조 제1항에 따라 범죄 수사 및 방범 등 일반 경찰 활동은 원칙적으로 주 경찰의 권한이다.[24]

모든 주 경찰 조직은 주 내무부 장관의 지휘를 받는다. 그러나 주 경찰은 각 주 법에 따라 규정되어 있으므로 조직의 명칭과 기능은 주마다 다르다.[22]

주 경찰의 경찰관은 제복 소매에 주장(州章) 패치를 달고, 오른쪽 가슴 주머니에 시장(市章)을 나타내는 배지를 부착하는 경우도 있다. 임용된 경찰관은 각 주 내에서 활동하지만, 다른 주 경찰과 인력을 "교환"하는 인사도 이루어진다.

각 주별 경찰은 다음과 같다:

; 도시 주의 예 (베를린 주 경찰)[22]

주 경찰청장 (Polizeipräsidentde) 밑에 6개의 지방 본부와 주 형사청, 행정 통제 본부 및 중앙 지원부가 설치되어 있다.[22]

  • 지방 본부 (Direktionende) - 내부 부서로 범죄 대책과 등을 담당하는 한편, 담당 지역을 더 세분화하는 형태로 6~8개의 경찰서를 통제한다.[22]
  • 행정 통제 본부 (Direktion Einsatzde) - 기동대와 교통센터, 수상 경찰 등 지방 본부의 관할을 넘어 발생하는 사건을 담당한다.[22]
  • 중앙 지원부 (Zentrale Serviceeinheitde) - 관리·병참 업무를 관할한다. 또한 주 경찰학교도 여기에 소속된다.[22]


; 광역주의 예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경찰)[22]

주 내무부 밑에 47개의 군 경찰, 주 교육·훈련·인사청, 주 형사청, 주 경찰 행정 통제청이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22]

군 경찰 (Kreispolizeibehördede)에는 군에 속하지 않는 대규모 도시에 설치된 18개의 경찰 본부 (Polizeipräsidiende)도 포함된다. 14개의 경찰 본부에는 기동대가 설치되는 등 중대한 범죄나 특수한 사건에 대해서는 대규모이고 능력이 높은 군 경찰이 본래의 관할 범위를 넘어 출동하게 된다.[22]

4. 부서


  • '''기동경찰대''' (''Schutzpolizei'', "Schupo"): 거리 순찰 및 응급 호출 대응 등을 담당하는 제복 경찰관들이다.
  • '''기동대''' (''Bereitschaftspolizei'', BePo): 자연재해, 스포츠 행사, 교통 통제 또는 시위 등의 경우 Schupo에 추가 인력을 제공하는 LaPo 또는 연방경찰의 제복 부대이다. 1950년 준군사 경찰로 설립되었으며, 현재 주요 임무는 진압 및 인파 통제이다. 일부 주에서는 경찰학교가 여전히 BePo에 속해 있으며, 경찰관으로 자격을 취득한 후에는 경찰서의 치안 업무에 종사하기 전에 1~2년간 BePo에서 근무해야 한다.
  • '''교통경찰''' (''Verkehrspolizei''): 독일의 교통경찰이다.
  • '''고속도로 순찰대''' (''Autobahnpolizei''): 독일의 고속도로 순찰대이다. 일부 주에서는 Autobahnpolizei가 Verkehrspolizei 부서의 하위 부서이다.
  • '''수상경찰''' (''Wasserschutzpolizei'', WSP): 강, 호수 및 항구 순찰을 담당하는 수상경찰이다. 실질적인 이유로 한 주의 WSP가 다른 주의 지역을 담당할 수 있다(예: 함부르크의 WSP는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 니더작센주,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및 함부르크주의 엘베강을 담당한다).
  • '''경비경찰''' (''Wachpolizei'', "Wapo"): 건물, 대사관 또는 피의자를 보호하는 경찰관이다.
  • '''형사경찰''' (''Kriminalpolizei'', Kripo): 대부분의 수사를 담당하는 형사 부서이다. 예를 들어, 차량 절도 사건의 경우 Schupo가 출동하여 차량을 확보하고 차주에게 통보하는 등의 조치를 취한 후 Kripo에 수사를 넘긴다.
  • '''주범죄수사국''' (''Landeskriminalamt'', LKA): 범죄 예방 및 수사를 목표로 하는 경찰 작전을 감독하고 여러 ''프레지디움''(Präsidium)에 걸친 수사를 조정한다. 헌법 위반 범죄, 조직 범죄, 청소년 갱단 또는 정치적 동기 범죄와 같이 LKA가 독점적으로 담당하는 범죄도 있다.


LKA에 소속된 부서:

  • '''특수기동대''' (''Spezialeinsatzkommando'', SEK): 독일 주 경찰의 특수기동대.
  • '''기동부대''' (''Mobiles Einsatzkommando'', MEK): LKA의 사복 부대로, 특수 감시 및 체포 임무를 수행한다.
  • '''경호대''' (''Personenschutzkommando''): 정치인 및 VIP를 보호하는 사복 경호 부대.

5. 훈련

각 주와 연방경찰은 자체적으로 경찰 훈련을 실시하며, 이 훈련은 독일 경찰의 높은 전문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훈련은 경찰 업무의 모든 측면을 다루며, 조기 전문화를 지양하고 경찰관들이 폭넓은 시야를 갖도록 돕는다. 또한, 직종 변경과 승진 기회를 용이하게 하는 "제복 경찰의 경력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대부분의 경찰관은 학교 졸업 후 바로 채용되어 경찰학교에서 2년 반 동안 수업과 현장 훈련을 받는다. 이후 일반 경찰관으로 임용되며, 어깨 견장에 연녹색 별(감색 제복의 경우 연청색 별)을 달아 순경 계급을 나타낸다. 순경으로 근무 후, 실적이나 경험에 따라 상급 경찰학교나 경찰대학에서 추가 교육을 받고 상위 계급으로 승진할 수 있다. 아비투어(Abitur) 자격으로 채용된 고등학교 졸업생은 처음부터 경부 과정을 이수할 수도 있다.

경찰 관리직에 합격한 소수의 인원은 주 또는 연방경찰대학과 뮌스터-히르트루프에 있는 경찰지휘아카데미(PFA)에서 교육을 받는다. 관리직은 금별 하나의 경찰참사관(Polizeirat)으로 시작하여 최고 직급인 금별 4개의 주경찰 총감까지 승진할 수 있다. PFA는 2007년 독일경찰전문대학(Deutsche Hochschule für Polizei)으로 개편되었으며, 석사 과정을 통해 소령급 계급으로 승진하기 위한 훈련을 제공한다. 또한, PFA는 상급 경찰 직원을 위한 전문적인 직업 훈련 과정을 제공한다.

5. 1. 과정

각 주(Länder)와 연방경찰은 자체 인원에 대한 기본 경찰 교육을 실시한다. 이 교육의 기간과 충실성은 독일 경찰의 높은 전문성에 크게 기여한다. 경찰 업무의 모든 측면을 가르치는 데는 시간이 걸리지만, 조기 전문화를 피하고, 경찰관들이 폭넓게 생각하고, 경력 분야 변경을 용이하게 하며, 승진 기회를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균일한 경력 구조"를 지원한다.

독일 경찰관이 되는 데 독일 시민권은 필요하지 않다. 대도시의 경찰서는 특히 언어 및 문화적 장벽을 줄이기 위해 소수 민족 출신 경찰관을 적극적으로 모집한다. 그러나 소수 민족은 여전히 경찰관 수의 1% 미만을 차지한다.

주 경찰은 제2차 세계 대전 후 부대가 재편성된 이후로 여성 구성원을 두고 있다. 초기에는 여성 경찰관은 청소년과 여성 관련 사건에만 배정되었지만, 1970년대 중반에는 순찰 경찰관이 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경찰학교 입학생의 40~50%가 여성이기 때문에 순찰 근무 여성의 비율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부분의 경찰 신입들은 학교를 졸업한 직후 바로 채용되어 경찰서와 기동경찰대(Bereitschaftspolizei)에서 약 2년 반 동안 강의식 수업과 현장 실습을 병행하는 경찰학교에 다닌다. 이들은 정규 경찰관으로 자격을 얻고 어깨 끈에 연한 파란색 별을 달아 경찰 최초 계급을 나타낸다.

순찰 경찰관으로 근무한 후, 뛰어난 실적이나 풍부한 경험을 가진 사람은 상급 경찰학교나 공공행정 대학에서 2~3년 동안 교육을 받아, 경찰감(Polizeikommissar)(은별 하나)으로 시작하여 일급경찰총감(Erster Polizeihauptkommissar)(은별 다섯 개)까지 승진하는 상급 계급의 자격을 얻을 수 있다. 아비투어(Abitur) 고등학교 졸업장을 가진 직접 입학 지원자도 이러한 과정을 이수할 수 있다. 헤센과 같이 일부 주에서는 급여와 승진 기회를 개선하기 위해 모든 경찰관을 상급 계급으로 교육시킨다.

경찰의 간부 계급에 합격하는 소수의 지원자는 주 경찰학교에서 1년, 그리고 뮌스터-힐트룹에 있는 독일 경찰대학교(Deutsche Hochschule der Polizei – DHPol)에서 1년 동안 수학하여 경찰행정 석사 학위를 취득한다. 대학 학위가 있는 직접 입학 지원자는 DHPol에서 6개월만 수학한다. 간부 계급은 경찰참사관(Polizeirat)(금별 하나)으로 시작하여 주 경찰(금월계관 1~3개 별) 또는 연방경찰청장(금월계관 4개 별)으로 이어진다. 주와 연방 내무부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DHPol은 고위 경찰 간부를 위한 전문 직업 교육 과정도 제공한다.[1]

5. 2. 다양성

독일 경찰관이 되는 데 독일 시민권은 필요하지 않다. 대도시의 경찰서는 특히 언어 및 문화적 장벽을 줄이기 위해 소수 민족 출신 경찰관을 적극적으로 모집한다. 그러나 소수 민족은 여전히 경찰관 수의 1% 미만을 차지한다.

주(Land) 경찰은 제2차 세계 대전 후 부대가 재편성된 이후로 여성 구성원을 두고 있다. 초기에는 여성 경찰관은 청소년과 여성 관련 사건에만 배정되었지만, 1970년대 중반부터는 순찰 경찰관도 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경찰학교 입학생의 40~50%가 여성이기 때문에 순찰 근무 여성의 비율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6. 무장 (Sidearm)

독일의 모든 주 경찰(Landespolizei) 경찰관은 근무 중 권총을 휴대하며, 주마다 휴대하는 권총이 다르다.[9]

6. 1. 과거 사용 총기

2차 세계 대전 이후 주 경찰(Landespolizei) 경찰관들은 P38/P1과 PP(K) 권총을 휴대했다. 1970년대 경찰 개혁 당시, 경찰은 권총 표준화에 합의했고,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새로운 요구 사항이 적용되었다.[9]

요구 사항
최소 500J의 총구 에너지를 가진 9x19mm 파라벨럼탄 사용
최소 8발의 탄창 용량
최소 10,000발의 수명
1kg을 넘지 않는 무게
180mm 길이 × 130mm 높이 × 34mm 너비의 크기
완전한 양손잡이 사용 가능
장전된 상태에서 안전하게 휴대 가능(홀스터 및 주머니)
빠르게 뽑아서 즉시 발사 가능



이러한 요구사항에 따라, 여러 총기가 채택되었다.


  • P5: P38/P1 설계를 발전시킨 모델로, 바덴뷔르템베르크와 라인란트팔츠 경찰이 채택했다.[10]
  • P7: 바이에른주 경찰[11]과 니더작센주 경찰이 채택했다.
  • P9S: 표준화 협정 이전에 사르란트주 경찰이 채택하여 계속 사용했다.[12]
  • P6: SIG 사우어 P220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대부분의 주 경찰이 채택했다.


독일 통일 이후에는 투링겐주 경찰이 자금 부족으로 마카로프 권총을 계속 사용했고, 작센주 경찰은 P7, 작센안할트주와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는 P6, 브란덴부르크주는 SIG 사우어 P228을 채택했다.

6. 2. 현재 사용 총기

모든 주 경찰(Landespolizei) 경찰관은 근무 중 권총을 휴대하며, 각 주마다 휴대하는 권총이 다르다.[9] 다음은 다양한 주 경찰이 사용하는 총기와 퇴역한 총기 목록이다.[9]

1970년대 경찰 개혁 당시 권총 표준화에 합의하여 9x19mm 파라벨럼탄을 사용하고, 8발 이상의 탄창 용량, 1kg 미만의 무게, 특정 크기 등의 요구 사항을 정했다.[9]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권총들이 채택되었다.

  • P5: P38/P1을 발전시킨 모델로, 바덴뷔르템베르크와 라인란트팔츠에서 채택.[10]
  • P7: 바이에른주 경찰[11]과 니더작센주 경찰에서 채택.
  • P9S: 사르란트주 경찰에서 표준화 협정 이전부터 사용.[12]
  • P6: P220을 소형화한 모델로, 대부분의 주 경찰에서 채택.


독일 통일 이후, 투링겐주 경찰은 마카로프 권총을, 작센주 경찰은 P7을, 작센안할트주와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는 P6을, 브란덴부르크주는 P228을 채택했다.

통일 이후 새롭게 채택된 권총은 다음과 같다.

권총채택 주 경찰
SIG 사우어 P22616개 주 경찰 특수 임무 부대 및 여러 주 경찰 (현재 교체 중)
발터 P99Q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경찰, 브레멘, 함부르크, 슐레스비히홀슈타인[13], 라인란트팔츠주[14]
헤클러&코흐 USP (P10)투링겐주 경찰, 작센주 경찰[15]
헤클러&코흐 P30헤센주 경찰[16]
글록 462019년 작센안할트주 경찰 (P6 대체)[17]
HK P2000바덴뷔르템베르크주 경찰, 함부르크 수상 경찰, 니더작센주 경찰 (이후 교체됨)
헤클러&코흐 VP9작센주 경찰,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 경찰, 니더작센주 경찰, 브란덴부르크주 경찰, 바이에른주 경찰[18], 베를린 경찰[19][20][21], 사르란트주 경찰[12]


7. 제복 (Appearance)

1945년부터 독일 각 주(Länder)의 경찰은 다양한 제복을 착용했으나, 1970년대 중반 하인츠 외스터가르트(Heinz Oestergaard)가 디자인한 통일된 제복을 도입했다. 이 제복은 이끼색 튜닉, 갈색 베이지색 바지, 대나무색 셔츠 등으로 구성되었다. 2005년부터는 유럽 대부분의 경찰이 채택한 파란색 제복으로 전환되었으며, 현재는 6가지 유형의 주 경찰 제복이 사용되고 있다.[1]

함부르크 유니폼 유형


작센 유니폼 유형


헤세 유니폼 유형


각 주별 경찰 제복 유형, 도입 및 전환 완료 년도, 파란색 순찰차 전환 년도는 다음과 같다.

주 경찰경찰 제복 유형도입 년도전환 완료 년도파란색 순찰차 전환 년도
바덴뷔르템베르크주 경찰바덴뷔르템베르크주201020112008
바이에른주 경찰바이에른주: 오스트리아 연방 경찰 제복 수정 버전201620182016
베를린주 경찰브란덴부르크주201020132010
브란덴부르크주 경찰브란덴부르크주200820102005
브레멘주 경찰함부르크200620102006
함부르크주 경찰함부르크200520052002
헤센주 경찰헤센주200820082005
니더작센주 경찰함부르크200620082004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 경찰함부르크200920112009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경찰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200720122007
라인란트팔츠주 경찰헤센주200820122006
자를란트주 경찰헤센주201520162015
작센주 경찰브란덴부르크주200920122008
작센안할트주 경찰브란덴부르크주와 헤센주 제복 유형 혼합200920122006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경찰함부르크200620082005
튀링겐주 경찰, 단계적 폐지헤센주 제복 유형, 단계적 폐지200920112006
튀링겐주 경찰함부르크 제복 유형 (2020년부터 새로운 유형)2020진행 중2006


7. 1. 녹색 제복 (1945-2005)

1945년부터 1976년까지 각 주(Länder)들은 다양한 계급장과 계급을 사용했다. 제복 색상 또한 녹색에서 파란색까지 다양한 색조로 변화했다. 예를 들어, 함부르크 시 경찰 부사관들은 영국식 역V자형 계급장을 단 파란색 제복을 착용했고,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경찰은 제3제국 스타일의 계급장이 달린 녹색 제복을 착용했다. 바이에른은 주 경찰(Landespolizei)과 시 경찰(Gemeinde/Stadt) 부대를 유지했고, 특징적으로 자체 국경경찰을 운영했다. 이 기간 동안 주 경찰(녹색)과 시 경찰(파란색)은 서로 구별되는 두 가지 제복을 착용했다. 마지막 시 경찰 부대는 뮌헨이었으며, 1975년에 주 경찰에 최종적으로 통합되었다. 이러한 조직은 미군 점령 지역의 다른 주들에서도 흔했다.

1970년대 중반부터 모든 서독 주(Länder)와 서베를린 경찰은 하인츠 외스터가르트(Heinz Oestergaard)가 디자인한 동일한 제복을 착용했다. 표준 제복은 이끼색(moss-green) 튜닉, 파카, 풀오버, 코트, 모자(visor cap)와 넥타이, 갈색 베이지색 바지, 풀오버, 카디건, 그리고 대나무색(bamboo-yellow) 셔츠(긴팔과 짧은팔)로 구성되었다. 신발, 부츠, 홀스터, 가죽 재킷 및 기타 가죽 장비는 검은색이었고, 가죽 장갑은 올리브 드랍색이었다. 교통경찰(Verkehrspolizei)은 흰색 상단의 모자를 착용했다. 교통경찰은 교통 근무 및 의전 행사(흰색 홀스터 및 가죽 장비 포함) 중에 흰색 장갑, 튜닉 및 코트를 착용했다. 일부 주에서는 모든 경찰관이 일반적으로 흰색 상단의 모자를 착용했다. 수상경찰(Wasserschutzpolizei)은 약간 다른 디자인의 제복을 착용했다. 어두운 남색 또는 감청색 재킷을 입었고, 셔츠는 흰색이었으며, 모자는 흰색 상단을 가지고 있었다. 연방경계경찰(BGS)은 숲속 녹색(forest green) 제복과 대나무색 셔츠를 착용했다. 독일 통일 후, 인민경찰은 주 경찰(Landespolizei)로 해체되었고 표준 제복으로 바뀌었다. 전환 기간 동안 그들은 여전히 낡은 제복을 착용했지만, 서구 스타일의 소매와 모자 휘장을 달았다.

차량 표시도 굵은 글씨로 "Polizei"라는 글귀가 있는 흰색과 녹색의 도장으로 재설계되었다.

헤세 주 경찰의 역사적인 녹색 유니폼 재킷


7. 2. 파란색 제복 (2005-현재)

2005년 이후 독일의 모든 주 경찰 (독일어: Landespolizei)과 연방 경찰 (독일어: Bundespolizei)은 유럽 대부분의 경찰이 채택한 공통적인 파란색 디자인에 맞추기 위해 파란색 제복으로 전환했다. 제복과 함께 경찰 차량과 다양한 장비도 주요 색상이 파란색으로 변경되었다. 16개 주가 있지만, 많은 주들이 경찰 제복 디자인과 조달을 공동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현재는 6가지 유형의 주 경찰 제복만 사용되고 있다.

모자 휘장, 패치 및 계급은 이전과 동일하지만 색상만 파란색으로 변경되었다. 차량 도색도 은색/파란색 또는 흰색/파란색 디자인으로 변경되었다.

주 경찰경찰 제복 유형도입 년도전환 완료 년도파란색 순찰차 전환 년도
바덴뷔르템베르크주 경찰바덴뷔르템베르크주201020112008
바이에른주 경찰바이에른주: 오스트리아 연방 경찰 제복 수정 버전201620182016
베를린주 경찰브란덴부르크주201020132010
브란덴부르크주 경찰브란덴부르크주200820102005
브레멘주 경찰함부르크200620102006
함부르크주 경찰함부르크200520052002
헤센주 경찰헤센주200820082005
니더작센주 경찰함부르크200620082004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 경찰함부르크200920112009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경찰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200720122007
라인란트팔츠주 경찰헤센주200820122006
자를란트주 경찰헤센주201520162015
작센주 경찰브란덴부르크주200920122008
작센안할트주 경찰브란덴부르크주와 헤센주 제복 유형 혼합200920122006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경찰함부르크200620082005
튀링겐주 경찰, 단계적 폐지헤센주 제복 유형, 단계적 폐지200920112006
튀링겐주 경찰함부르크 제복 유형 (2020년부터 새로운 유형)2020진행 중2006


참조

[1] 웹사이트 OSCE entry http://polis.osce.or[...] OSCE 2019-05-05
[2] 웹사이트 Deutsche Einigungskriege (Wars of German Unification) http://m.schuelerlex[...] Bibliographisches Institut & F. A. Brockhaus AG 2015-04-09
[3] 법률 § 10 II 17, ALR ('Allgemeines Landesrecht für die preußischen Staaten', General state laws for the Prussian states) 1794
[4] 웹사이트 Lexikon der Wehrmacht - Die Schützenkompanie eines Infanterieregiments in der Infanteriedivision von 1939 http://www.lexikon-d[...]
[5] 서적 Demokratischer Staat und transnationaler Terrorismus. Drei Wege zur Unnachgiebigkeit in Westeuropa 1972–1975. Oldenbourg
[6] 법률 Vierte Verordnung zur Verstaatlichung der Gemeindepolizeien https://www.verkuend[...] 1975-05-13
[7] 웹사이트 § 15, Beamtenstatusgesetz (Civil Servants Status Act) of Germany http://dejure.org/ge[...] 2015-04-09
[8] 웹사이트 Job rotation service of the Gewerkschaft der Polizei (Police Union) of Germany http://www.gdp.de/gd[...] 2015-04-09
[9] 서적 Encyklopedia najnowszej broni palnej Bellona 2001
[10] 서적 Handfeuerwaffen des 20. und 21. Jahrhunderts Neuer Kaiser Verlag
[11] 웹사이트 P7 observation while in Munich - Page 2 https://www.hkpro.co[...] 2019-05-05
[12] 웹사이트 Heckler-Koch https://www.heckler-[...] 2024-04-29
[13] 웹사이트 Neue Pistolen: James Bonds Dienstwaffe für Polizisten im Norden {{!}} shz.de https://www.shz.de/r[...] 2021-12-31
[14] 웹사이트 Carl Walther Sportwaffen GmbH http://www.carl-walt[...]
[15] 웹사이트 P5 Initials - Page 2 - WaltherForums https://www.waltherf[...] 2019-05-05
[16] 웹사이트 Super-Pistole: Hessens Polizisten bekommen HK P30 https://www.bild.de/[...] 2019-05-05
[17] 웹사이트 Glock 46: Das sind die neuen Pistolen der Polizei in Sachsen-Anhalt https://www.mdr.de/s[...]
[18] 웹사이트 SFP 9: Das ist die neue Feuerwaffe der bayerischen Polizei https://www.merkur.d[...] 2018-01-12
[19] 웹사이트 Mecklenburg-Vorpommern: Polizei bekommt 5700 neue Pistolen - svz.de https://www.svz.de/r[...] 2019-05-05
[20] 웹사이트 Sachsens Polizei kriegt neue Waffen https://www.tag24.de[...] 2019-05-05
[21] 웹사이트 Niedersachsens Polizei bekommt für 7,5 Millionen Euro neue Pistolen https://www.hna.de/l[...] 2016-02-01
[22] 서적 警察の進路―21世紀の警察を考える 東京法令出版
[23] 서적 主要諸外国における国と地方の財政役割の状況 https://www.mof.go.j[...] 財務総合政策研究所
[24] 학술지 ドイツの国際テロリズム対策法制の新たな展開 http://www.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25] 문서 Einsatzhundertschaften
[26] 웹사이트 OSCE entry http://polis.osce.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