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표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표표는 유한군 G의 기약 표현을 통해 정의되는 정사각 행렬이다. 이 행렬은 기약 지표들을 켤레류의 대표 원소에 대응시켜 구성되며, 군의 구조와 성질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지표표는 기약 지표의 수와 켤레류의 수가 같다는 사실을 기반으로 하며, 첫 번째 행은 자명한 표현에 해당한다. 직교 관계를 비롯한 여러 성질을 통해 군의 위수, 정규 부분군, 단순성 등을 분석하는 데 활용된다. 또한, 가약 표현을 기약 표현으로 분해하거나 물 분자와 같은 분자의 진동 모드를 계산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지표표는 일반적으로 군을 동형까지 결정하지 않지만, 외부 자기 동형 사상과 같은 추가적인 정보를 통해 군의 특성을 더 깊이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지표표 | |
---|---|
개요 | |
유형 | 수학적 표 |
분야 | 군론, 표현론 |
목적 | 군의 기약 표현 분석 |
응용 분야 | 물리학, 화학 |
구조 | |
행 | 기약 표현 |
열 | 켤레류 (Conjugacy class) |
항목 | 문자 (character) |
정보 | |
관련 개념 | 프로베니우스 상호성 (Frobenius reciprocity), 지표 이론 (Character theory) |
2. 정의
유한군 ''G''의 복소수체 '''C''' 상의 기약 표현 ''X'': ''G'' → GL''n''('''C''')에 대해, 사상 χ = Tr ''X'': ''G'' → '''C'''를 차수 ''n''의 기약 지표라고 한다. 여기서 Tr은 대각합을 의미한다. 기약 지표의 수와 켤레류의 수는 같다. 군 ''G''의 기약 지표 χ1, ..., χ''k''와 켤레류의 완전 대표계 ''g''1, ..., ''g''''k''에 대해 정사각 행렬 ''T'' = [ χ''i''(''g''''j'') ]1 ≤ ''i'', ''j'' ≤ ''k''를 지표표라고 한다. 지표는 유형 함수이므로 지표표는 모순 없이 결정되지만, 행과 열에 대한 교환을 제외하고는 정해지지 않는다.
Character theory|지표 이론영어에서, 군의 지표는 다음과 같은 중요한 성질들을 갖는다.
3. 성질
군은 유한군을 의미한다. 군 ''G''의 기약 지표가 이루는 집합을 Irr(''G'')라고 한다. 군 ''G''의 원 ''g''에 대해 ''g''''G''는 켤레류, C''G''(''g'')는 중앙화군을 나타낸다.
::
::
:: 여기서 |''G''|는 군 ''G''의 위수이다.
:: Irr(''G''/''N'') ↔ { χ ∈ Irr(''G'') | ''N'' ≤ kerχ }
4. 기약 표현으로의 분해
자명하지 않은 가약 표현(reducible representation)의 표현 행렬 '''R'''은 닮음 변환을 통해 블록 행렬 '''R'''''i'' ≠ 0으로 분해할 수 있다.
:
더 이상 블록 행렬로 분해할 수 없을 때, 각 블록 행렬은 기약 표현의 표현 행렬이 된다.
닮음 변환을 해도 지표는 변하지 않는다. 또한 가약 표현의 표현 행렬의 지표는 각 블록 행렬의 지표를 합한 것과 같다. 따라서 어떤 가약 표현이 주어졌을 때, 지표표만을 사용하여 기약 표현으로 분해할 수 있다. 여기서 가약 표현에 나타나는 기약 표현의 중복도 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여기서 는 기약 표현의 지표, 는 가약 표현의 지표, |''G''|는 군 ''G''의 위수이다. 이 식은 지표표의 직교 관계로부터 바로 유도되며, '''간약 공식''' 등으로 불린다[9].
5. 지표표 계산
지표표 계산은 특정 분자가 속한 점군과 관련된 대칭 조작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분자의 진동 모드 등을 파악하는 데 사용된다.[7]
가약 표현(Γred)의 문자를 결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임의의 대칭 연산에 대한 Γ''red''의 문자 = 이 연산 동안 이동하지 않은 원자 수 × 각 세 축을 따라 이동하지 않은 원자당 기여''
각 대칭 조작에 대해 이동하지 않은 원자당 기여는 다음 표와 같다.
연산 | 이동하지 않은 원자당 기여 |
---|---|
E | 3 |
C2 | |
C3 | 0 |
C4 | 1 |
C6 | 2 |
σxy/yz/zx | 1 |
i | |
S3 | |
S4 | |
S6 | 0 |
Γred를 기약 표현으로 분해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 ''h'' = 군의 차수
- ''X''xi = 특정 클래스에 대한 Γreducible의 문자
- ''X''xr = 특정 클래스에 대한 가약 표현의 문자
- ''n''x = 클래스 내의 연산 수
5. 1. 물 분자의 진동 모드 계산
물 분자(H₂O영어)는 ''C''2v 점군에 속하며, 이 점군의 지표표는 다음과 같다.[7]E | C2 | σv | σv' | |||
---|---|---|---|---|---|---|
A1 | 1 | 1 | 1 | 1 | z | x2, y2, z2 |
A2 | 1 | 1 | -1 | -1 | Rz | xy |
B1 | 1 | -1 | 1 | -1 | Ry, x | xz |
B2 | 1 | -1 | -1 | 1 | Rx, y | yz |
여기서 첫 번째 행은 대칭 조작, 첫 번째 열은 멀리켄 기호, 다섯 번째와 여섯 번째 열은 축 변수의 함수를 나타낸다.
- ''x'', ''y'', ''z''는 병진 운동 및 IR 활성 띠와 관련이 있다.
- ''R''x, ''R''y, ''R''z는 각 축에 대한 회전과 관련이 있다.
- 2차 함수(''x''2+''y''2, ''x''2-''y''2, ''x''2, ''y''2,''z''2, ''xy'', ''yz'',''zx'')는 라만 활성 띠와 관련이 있다.
가약 표현 Γred의 문자를 결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임의의 대칭 연산에 대한 Γ''red''의 문자 = 이 연산 동안 이동하지 않은 원자 수 × 각 세 축을 따라 이동하지 않은 원자당 기여''
각 대칭 조작에 대해 이동하지 않은 원자당 기여는 다음 표와 같다.
연산 | 이동하지 않은 원자당 기여 |
---|---|
E | 3 |
C2 | |
C3 | 0 |
C4 | 1 |
C6 | 2 |
σxy/yz/zx | 1 |
i | |
S3 | |
S4 | |
S6 | 0 |
이를 이용하여 물 분자에 대한 Γred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C2v | E | C2 | σv(xz) | σv(yz)' |
---|---|---|---|---|
이동하지 않은 원자 수 | 3 | 1 | 3 | 1 |
이동하지 않은 원자당 기여 | 3 | |||
1 | 1 | |||
Γred | 9 | |||
3 | 1 |
물 분자(C2v 점군)에 대한 지표표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E | C2 | σv(xz) | σv(yz)' | |
---|---|---|---|---|
A1 | 1 | 1 | 1 | 1 |
A2 | 1 | 1 | ||
B1 | 1 | |||
1 | ||||
B2 | 1 | |||
1 | ||||
Γred | 9 | |||
3 | 1 |
Γred를 기약 표현으로 분해하면 다음과 같다.
:
여기서,
- ''h'' = 군의 차수
- ''X''xi = 특정 클래스에 대한 Γreducible의 문자
- ''X''xr = 특정 클래스에 대한 가약 표현의 문자
- ''n''x = 클래스 내의 연산 수
위 식을 이용해 계산하면,
Γirreducible = 3''A''1 + ''A''2 + 3''B''1 + 2''B''2
를 얻는다.
여기서 병진 운동(translational motion)과 회전 운동(rotational motion)에 해당하는 부분을 제거하면 진동 모드 Γvibrational을 구할 수 있다.
Γtranslational = ''A''1 + ''B''1 + ''B''2
Γrotational = ''A''2 + ''B''1 + ''B''2
Γvibrational = Γirreducible - Γtranslational - Γrotational
= (3''A''1 + ''A''2 + 3''B''1 + 2''B''2) - (''A''1 + ''B''1 + ''B''2) - (''A''2 + ''B''1 + ''B''2)
= 2''A''1 + ''B''1
따라서 물 분자는 총 3개의 진동 모드를 가지며, 2개의 대칭 진동 모드(2''A''1)와 1개의 반대칭 진동 모드(1''B''1)를 갖는다.
각 진동 모드가 적외선(IR) 활성인지 또는 라만(Raman) 활성인지 판별하는 규칙은 다음과 같다.
- 어떤 기약 표현에 ''x'', ''y'' 또는 ''z''가 있다면, 해당 모드는 IR 활성이다.
- 어떤 기약 표현에 ''x''2+''y''2, ''x''2-''y''2, ''x''2, ''y''2, ''z''2, ''xy'', ''yz'' 또는 ''xz''와 같은 이차 함수가 있다면, 해당 모드는 라만 활성이다.
- 만약 어떤 기약 표현에 ''x'', ''y'', ''z''와 이차 함수가 모두 없다면, 해당 모드는 IR 활성도 라만 활성도 아니다.
물 분자의 진동 모드 Γvibrational은 ''x'', ''y'' 또는 ''z''와 이차 함수를 모두 포함하므로, IR 활성 진동 모드와 라만 활성 진동 모드를 모두 갖는다.
6. 구체적인 예시
유한군의 기약 복소수 문자는 '''문자표'''를 형성하며, 이는 군 ''G''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간결하게 담고 있다. 문자표의 각 행은 기약 문자로 표시되고, 해당 행의 항목은 ''G''의 각 켤레류의 대표에 대한 해당 문자의 값이다. (문자는 클래스 함수이기 때문) 열은 ''G''의 켤레류(대표자)로 표시된다.
일반적으로 첫 번째 행은 ''G''가 1차원 벡터 공간에서 모든 에 대해 로 수행하는 자명한 표현의 문자로 표시한다. 따라서 첫 번째 행의 각 항목은 1이다. 첫 번째 열은 항등원으로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항목은 기약 문자의 항등원에서의 값, 즉 기약 문자의 차수이다. 차수가 1인 문자를 선형 문자라고 한다.
다음은 세 개의 원소와 생성자 ''u''를 가진 순환군 ''C''3 = ''''의 문자표이다.
(1) | (u) | (u2) | |
1 | 1 | 1 | 1 |
χ1 | 1 | ω | ω2 |
χ2 | 1 | ω2 | ω |
여기서 ω는 원시 3제곱 단위근이다. 일반 순환군에 대한 문자표는 (스칼라 배수) DFT 행렬이다.
문자표의 첫 번째 행은 항상 1로 구성되며, 이는 항목 1을 포함하는 1×1 행렬로 구성된 1차원 표현인 자명한 표현에 해당한다. 또한, 문자표는 항상 정사각 행렬이다.
그룹 ''G''의 특정 속성은 지표표에서 추론할 수 있다.
- ''G''의 차수는 첫 번째 열의 항목(기약 지표의 차수) 제곱의 합으로 주어진다.
- ''G''의 모든 정규 부분군 및 ''G''가 단순군인지 여부는 지표표에서 확인할 수 있다.
- ''G''의 기약 표현의 수는 ''G''가 갖는 켤레류의 수와 같다.
- ''G''의 교환자 부분군은 ''G''의 선형 지표의 커널의 교집합이다.
- ''G''가 유한하면, ''G''가 아벨 군인 것은 각 켤레류의 크기가 1인 경우와 동치이며, 이는 ''G''의 지표표가 인 경우와 동치이며, 각 기약 지표가 선형인 경우와 동치이다.
일반적으로 지표표는 그룹을 동형까지 결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원수군과 차수가 8인 이산면체군은 동일한 지표표를 갖는다.[1]
6. 1. 3차 대칭군 ''S''3의 지표표
3차 대칭군 ''G'' := ''S''3의 기약 표현은 동치인 것을 제외하면 다음으로 정해지는 준동형 사상 ''X''1, ''X''2, ''X''3의 3가지이다.- ''X''1 : ''G'' → GL1('''C''')
- (1, 2)(3) ↦ \[1], (1, 2, 3) ↦ \[1]
- ''X''2 : ''G'' → GL1('''C''')
- (1, 2)(3) ↦ \[-1], (1, 2, 3) ↦ \[1]
- ''X''3 : ''G'' → GL2('''C''')
- (1, 2)(3) ↦ , (1, 2, 3) ↦
따라서 χ''j'' = Tr ''X''''j''라고 하면 ''G''의 지표표는 다음과 같다.
g | 1 | (1, 2) | (1, 2, 3) |
---|---|---|---|
|gG| | 1 | 3 | 2 |
|CG(g)| | 6 | 2 | 3 |
χ1 | 1 | 1 | 1 |
χ2 | 1 | -1 | 1 |
χ3 | 2 | 0 | -1 |
6. 2. 위수 8의 비가환군의 지표표
이각형군 ''D''8 = r, s|r4 = s2 = e, rs = r-1영어와 Quaternion_group|사원수군영어 ''Q''8은 서로 동형이 아닌 두 군이지만, 지표표는 같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지표표만으로 군의 동형류를 결정할 수 없다.[1]g | e | r2 | r | s | rs |
---|---|---|---|---|---|
|gG| | 1 | 1 | 2 | 2 | 2 |
|CG(g)| | 8 | 8 | 4 | 4 | 4 |
χ1 | 1 | 1 | 1 | 1 | 1 |
χ2 | 1 | 1 | 1 | -1 | -1 |
χ3 | 1 | 1 | -1 | 1 | -1 |
χ4 | 1 | 1 | -1 | -1 | 1 |
χ5 | 2 | -2 | 0 | 0 | 0 |
7. 외부 자기 동형 사상
외부 자기 동형 사상 군은 열(켤레류)을 순열함으로써 특성표에 작용하며, 이에 따라 행도 순열하여 표에 또 다른 대칭성을 부여한다. 예를 들어, 아벨 군은 의 외부 자기 동형 사상을 가지며, 이는 기본 아벨 2-군을 제외하고는 자명하지 않다. 아벨 군이 정확히 켤레 작용(내부 자기 동형 사상)이 자명하게 작용하는 군이기 때문에 외부 자기 동형 사상이다. 위에서 의 예에서 이 매핑은 를 보내고, 이에 따라 과 를 전환한다(와 의 값을 전환). 이 특정 자기 동형 사상 (아벨 군에서 음수)은 복소수 켤레와 일치한다.
형식적으로, 가 ''G''의 자기 동형 사상이고 이 표현이면, 는 표현이다. 만약 가 내부 자기 동형 사상 (어떤 원소 ''a''에 의한 켤레)이면, 표현에 자명하게 작용하는데, 이는 표현이 클래스 함수이기 때문이다(켤레는 값을 변경하지 않는다). 따라서 외부 자기 동형 사상의 주어진 클래스에 대해, 자기 동형 사상 군 의 작용이 몫 으로 내려가기 때문에, 특성에 작용한다.
이 관계는 양방향으로 사용될 수 있다. 외부 자기 동형 사상이 주어지면, 새로운 표현을 생성할 수 있고(표현이 외부 자기 동형 사상에 의해 상호 교환되는 켤레 클래스에서 같지 않은 경우), 반대로 특성표를 기반으로 가능한 외부 자기 동형 사상을 제한할 수 있다.
참조
[1]
서적
Quantum Chemistry
[2]
서적
Physical Chemistry: A Molecular Approach
[3]
서적
The chemical bond
[4]
서적
Physical Chemistry
W.H. Freeman
2006
[5]
서적
Molecular Symmetry and Spectroscopy
NRC Research Press, Ottawa
1998
[6]
서적
Inorganic Chemistry
Pearson, Prentice Hall
1998
[7]
논문
A local mode potential function for the water molecule
https://doi.org/10.1[...]
1984-06-10
[8]
서적
Group Theory for Chemists
https://books.google[...]
Macmillan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1991-06-06
[9]
서적
演習で理解する 分子の対称と群論入門
丸善出版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