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교환자 부분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환자 부분군은 군 G의 교환자들로 생성되는 부분군이며, G(1) 또는 [G, G]로 표기한다. 교환자 부분군은 G의 정규 부분군이며, G의 모든 자기 동형 사상에 대해 불변이다. 교환자 부분군은 G의 원소들을 곱하고 재배열하여 항등원을 만들 수 있는 원소들의 집합으로도 정의할 수 있다. 교환자 부분군의 개념은 유도열, 아벨화, 가해군, 완전군 등 군의 다양한 성질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칭군, 교대군, 선형군, 사원수군 등 다양한 군의 교환자 부분군을 예시로 들 수 있으며, 대수적 위상수학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론 - 점군
    점군은 도형의 병진 조작을 제외한 대칭 조작들의 집합으로 군론의 공리를 만족하며, 쉐인플리스 기호나 허먼-모건 기호로 표기되고, 대칭 조작에 대응하는 행렬 표현은 가약 표현과 기약 표현으로 분해될 수 있다.
  • 군론 - 파울리 행렬
    파울리 행렬은 양자역학에서 스핀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에르미트 행렬이자 유니타리 행렬로, 행렬식은 -1이고 대각합은 0이며, 리 대수의 생성원이자 파울리 벡터로 정의되어 다양한 물리학 분야에서 활용된다.
교환자 부분군

2. 정의

G교환자 부분군 G^{(1)}교환자들로 생성되는 부분군이다. 즉, 다음과 같은 꼴의 원소들로 구성된다.

:[g_1,h_1][g_2,h_2][g_3,h_3]\dots[g_n,h_n]\in G^{(1)}\subset G

:g_1,g_2,\dots,g_n,h_1,h_2,\dots,h_n\in G

여기서 [g,h]=g^{-1}h^{-1}gh는 군의 교환자이다.

[G, G] ('''도출 부분군'''이라고도 하며, G' 또는 G^{(1)}으로 표기)는 모든 교환자에 의해 생성되는 부분군이다. 교환자 부분군은 항상 정규 부분군이다.[3]

교환자 부분군은 군 G의 원소 g를 곱의 형태 g = g_1 g_2 \dots g_k로 쓸 때, 우변의 곱셈 순서를 적당히 교환하여 항등원으로 만들 수 있는 원소 g의 전체로 생성되는 부분군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2. 1. 교환자

''G''의 원소 gh에 대해, gh교환자[g,h] = g^{-1}h^{-1}gh로 정의된다. [g,h]gh가 교환할 때, 즉 gh = hg일 때에만 항등원 ''e''와 같다. 일반적으로, gh = hg[g,h]가 성립한다.

어떤 ''g''와 ''h''에 대해 [g,h] 형태를 갖는 ''G''의 원소를 교환자라고 한다. 항등원 ''e'' = [''e'',''e'']는 항상 교환자이며, ''G''가 가환군일 때에만 유일한 교환자이다.

다음은 군 ''G''의 임의의 원소 ''s'', ''g'', ''h''에 대해 참인 몇 가지 교환자 항등식이다.

  • [g,h]^{-1} = [h,g]
  • [g,h]^s = [g^s,h^s] (여기서 g^s = s^{-1}gsgs에 의한 켤레이다.)
  • 임의의 군 준동형 사상 f: G \to H 에 대해, f([g, h]) = [f(g), f(h)]


첫 번째 및 두 번째 항등식은 ''G''의 교환자 집합이 역원 및 켤레에 대해 닫혀 있음을 의미한다. 세 번째 항등식에서 ''H'' = ''G''로 놓으면, 교환자 집합은 ''G''의 모든 자기 준동형 사상에 대해 안정적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두 개 이상의 교환자의 곱은 교환자가 될 필요는 없다. 자유군에서 [''a'',''b''][''c'',''d'']가 그 예시이다. 두 교환자의 곱이 교환자가 아닌 유한군의 최소 차수는 96이며, 실제로 이 속성을 가진 두 개의 서로 동형이 아닌 군이 차수 96을 갖는다.[3]

2. 2. 교환자 부분군

G교환자 부분군 G^{(1)}은 다음과 같은 꼴의 원소들로 구성되는 부분군이다.

:[g_1,h_1][g_2,h_2][g_3,h_3]\dots[g_n,h_n]\in G^{(1)}\subset G

:g_1,g_2,\dots,g_n,h_1,h_2,\dots,h_n\in G

여기서

:[g,h]=g^{-1}h^{-1}gh

는 군의 교환자이다. 교환자 부분군은 항상 정규 부분군이다.

[G, G] ('''도출 부분군'''이라고도 하며, G' 또는 G^{(1)}으로 표기)는 모든 교환자에 의해 생성되는 부분군이다.

이 정의로부터 [G, G]의 모든 원소는

:[g_1,h_1] \cdots [g_n,h_n]

의 형태를 띄며, 여기서 n자연수이고, ''g''''i''와 ''h''''i''는 ''G''의 원소이다. 게다가, ([g_1,h_1] \cdots [g_n,h_n])^s = [g_1^s,h_1^s] \cdots [g_n^s,h_n^s]이므로, 교환자 부분군은 ''G''에서 정규 부분군이다. 임의의 준동형 ''f'': ''G'' → ''H''에 대해,

:f([g_1,h_1] \cdots [g_n,h_n]) = [f(g_1),f(h_1)] \cdots [f(g_n),f(h_n)]

이므로 f([G,G]) \subseteq [H,H]이다.

이것은 교환자 부분군을 군의 범주에 대한 함자로 볼 수 있음을 보여준다. ''G'' = ''H''로 두면 교환자 부분군이 ''G''의 모든 자기 준동형에 대해 안정적임을 보여준다. 즉, [''G'',''G'']는 ''G''의 완전 특성 부분군이며, 이는 정규성보다 훨씬 강력한 속성이다.

교환자 부분군은 곱으로 표현될 수 있는 그룹의 원소 ''g''의 집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g'' = ''g''1 ''g''2 ... ''g''''k''이며, 이를 재배열하여 항등원을 얻을 수 있다.

G의 교환자 전체가 생성하는 부분군

: [G, G] = \big\langle\left\{\, [x, y] \mid x, y \in G \,\right\}\big\rangle

G의 '''교환자 부분군'''이라고 한다. 이것을 '''도출 부분군'''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교환자 부분군을 나타내는 기호로는

: G', \quad G^{(1)}, \quad \gamma_2(G), \quad D(G)

등이 관습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교환자의 역원도 교환자이므로, 교환자 부분군 [G, G]의 임의의 원소는 유한 개의 교환자의 곱

: [x_1, y_1][x_2, y_2] \cdots [x_n, y_n]

의 형태로 쓸 수 있다. 켤레에 관해서는,

: ([x_1, y_1] \cdots [x_n, y_n])^z = [x_1^z, y_1^z] \cdots [x_n^z, y_n^z]

이 성립하므로, 교환자 부분군은 G정규 부분군이 된다. 임의의 준동형 \varphi: G \rightarrow H에 대해

: \varphi([x_1, y_1] \cdots [x_n, y_n]) = [\varphi(x_1), \varphi(y_1)] \cdots [\varphi(x_n), \varphi(y_n)]

이 성립하므로, 교환자 부분군의 준동형 사상에 의한 상은 교환자 부분군에 포함된다. 이에 따라, 교환자 부분군을 만드는 연산은 군의 범주에서의 함자로 볼 수 있다. G = H로 놓으면, 교환자 부분군은 G의 임의의 자기 준동형에 관해 보존됨을 알 수 있다. 즉, 교환자 부분군 [G, G]G의 완전 특성 부분군이며, 이것은 단순히 정규라는 것보다 매우 강한 성질이다.

교환자 부분군은, 군 G의 원소 g를 곱의 형태 g = g_1 g_2 \dots g_k로 쓸 때, 우변의 곱셈 순서를 적당히 교환하여 항등원으로 만들 수 있는 원소 g의 전체로 생성되는 부분군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3. 성질

교환자 부분군은 군의 구조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특히 군의 가해성완전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G의 교환자 부분군 G^{(1)}정규 부분군이며, 이에 대한 몫군 G^{\operatorname{ab}}=G/G^{(1)}아벨 군을 이룬다. 이를 '''아벨화'''(abelianization영어)[4]라고 한다. 군 G의 몫군 G/N이 아벨 군일 필요충분조건은 [G, G]\subseteq N이다.

범주론적으로 아벨화는 과 군 준동형의 범주 \operatorname{Grp}에서 아벨 군과 군 준동형의 범주 \operatorname{Ab}로 가는 함자이다.

:(-)^{\operatorname{ab}}\colon\operatorname{Grp}\to\operatorname{Ab}

아벨화 함자는 포함 함자 I\colon\operatorname{Ab}\to\operatorname{Grp}의 왼쪽 수반 함자이다.

:(-)^{\operatorname{ab}}\dashv I

호몰로지 대수학에서 군의 아벨화는 정수 계수의 1차 군 호몰로지와 같다.

:G^{\operatorname{ab}}=\operatorname H_1(G;\mathbb Z)

사상 \varphi: G \rightarrow G^{\operatorname{ab}}G에서 아벨 군 H로의 준동형 사상에 대해 보편적이다. 즉, 임의의 아벨 군 H와 군 준동형 사상 f: G \to H에 대해 f = F \circ \varphi를 만족하는 유일한 준동형 사상 F: G^{\operatorname{ab}}\to H가 존재한다.

3. 1. 유도열

G의 ''n''차 유도 부분군은 G^{(n+1)}=(G^{(n)})^{(1)} 와 같이 정의된다. 즉, 교환자 부분군을 ''n''번 취한 부분군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정규 부분군들의 열이 존재한다.

:G=G^{(0)}\triangleright G^{(1)}\triangleright G^{(2)}\triangleright\cdots

이를 '''유도열'''(誘導列, derived series영어)이라고 한다.

유도열은 임의의 순서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확장할 수 있다.

  • G^{(0)}=G
  • 따름 순서수 \alpha+1에 대하여,
  • :G^{(\alpha+1)}=(G^{(\alpha)})^{(1)}
  • 극한 순서수 \alpha에 대하여,
  • :G^{(\alpha)}=\bigcap_{\beta<\alpha}G^{(\beta)}


이를 '''초한 유도열'''(超限誘導列, transfinite derived series영어)이라고 한다.

유한군의 경우, 유도열은 완전군에서 끝나며, 이는 자명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무한군의 경우, 유도열이 유한 단계에서 끝나지 않을 수 있으며, 초한 귀납법을 통해 무한 순서수까지 연장하여, 결국 군의 완전 핵에서 끝나는 '''초한 유도열'''을 얻을 수 있다.

:G^{(0)} := G

:G^{(n)} := [G^{(n-1)},G^{(n-1)}] \quad n \in \mathbf{N}

G^{(2)}, G^{(3)}, \ldots은 '''두 번째 유도 부분군''', '''세 번째 유도 부분군''' 등으로 불리며, 다음의 감소하는 정규열

:\cdots \triangleleft G^{(2)} \triangleleft G^{(1)} \triangleleft G^{(0)} = G

은 '''유도열'''이라고 불린다. 이는 G_n := [G_{n-1},G]로 정의되는 '''하강 중심열'''과는 혼동해서는 안 된다.

3. 2. 아벨화

G가 주어졌을 때, 교환자 부분군 G^{(1)}은 그 정규 부분군이며, 이에 대한 몫군

:G^{\operatorname{ab}}=G/G^{(1)}

아벨 군을 이룬다. 이를 '''아벨화'''(abelianization영어)라고 한다.[4]

범주론적으로 이는 과 군 준동형의 범주 \operatorname{Grp}에서 아벨 군과 군 준동형의 범주 \operatorname{Ab}로 가는 함자를 이룬다.

:(-)^{\operatorname{ab}}\colon\operatorname{Grp}\to\operatorname{Ab}

아벨 군은 군의 일종이므로, 포함 함자

:I\colon\operatorname{Ab}\to\operatorname{Grp}

가 존재한다. 아벨화 함자는 포함 함자의 왼쪽 수반 함자이다.

:(-)^{\operatorname{ab}}\dashv I

호몰로지 대수학에서, 군의 아벨화는 정수 계수의 1차 군 호몰로지

:G^{\operatorname{ab}}=\operatorname H_1(G;\mathbb Z)

와 같다.

G가 주어졌을 때, 몫군 G/N이 아벨 군일 필요충분조건은 [G, G]\subseteq N이다.

사상 \varphi: G \rightarrow G^{\operatorname{ab}}G에서 아벨 군 H로의 준동형 사상에 대해 보편적이다. 즉, 임의의 아벨 군 H와 군 준동형 사상 f: G \to H에 대해 f = F \circ \varphi를 만족하는 유일한 준동형 사상 F: G^{\operatorname{ab}}\to H가 존재한다.

4. 관련 군의 분류

G의 n차 유도 부분군 G^{(n)}G^{(n+1)}=(G^{(n)})^{(1)}와 같이 정의되며, 교환자 부분군을 n번 취한 부분군이다. 이러한 정규 부분군들의 열을 유도열이라고 하며, 이를 확장하여 초한 유도열을 정의할 수 있다.

유도열을 사용하여 군을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아벨 군: 교환자 부분군이 자명군인 군이다.
  • 완전군: 교환자 부분군이 자기 자신과 같은 군이다.
  • 가해군: 어떤 자연수 n에 대하여 G^{(n)}=1인 군이다.
  • 준 아벨 군: 어떤 순서수 \alpha에 대하여 G^{(\alpha)}=1인 군이다.


이들 사이에는 아벨 군가해군 ⊊ 준 아벨 군 관계가 성립한다.

4. 1. 아벨군

가환군은 도출군이 자명군이 되는 군, 즉 모든 원소가 교환 가능한 군이다. 이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1]

: [''G'',''G''] = {''e''}

이는 군이 자신의 가환화와 같다는 의미이다. 가해군의 특수한 경우 (n=1)로 볼 수 있다.[1]

4. 2. 완전군

G의 도출 부분군이 자기 자신과 같을 때, 즉 G^{(1)} = G일 때 '''완전군'''이라고 부른다.[1] 완전군은 교환자 부분군이 자기 자신과 같은 군, 즉 아벨화가 자명군인 군이다.[1] 비가환 단순군, 특수 선형군 등이 완전군의 예시이다.[1]

G가 완전군이 되기 위한 필요충분 조건은 도출 부분군이 군 전체와 같아지는 것([''G'',''G''] = G)이다.[1] 이는 군의 아벨화가 자명해지는 것과 같으며,[1] 이는 아벨 군의 경우와 "반대"된다.[1]

4. 3. 가해군

어떤 자연수 n에 대하여 n차 유도 부분군이 자명군이 되는 군을 '''가해군'''이라고 한다. 이는 아벨 군을 일반화한 개념이며, 유도열의 길이가 유한한 군으로 특징지어진다. 가해군은 사회 변혁의 점진적이고 단계적인 과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n=1인 경우는 아벨 군이 되므로, 가해군은 아벨 군의 성질을 확장한 개념으로 생각할 수 있다. 임의의 자연수 n에 대하여 n차 유도 부분군이 자명군이 아닌 군은 '''비가해군'''이라고 한다.

4. 4. 준 아벨군 (Hypo-Abelian group)

어떤 순서수 \alpha에 대하여 G^{(\alpha)}=1인 군 G를 '''준 아벨 군'''(hypo-Abelian group영어)이라고 한다. 정의에 따라 아벨 군가해군 ⊊ 준 아벨 군임을 알 수 있다.

이는 가해군보다 약한 조건이며, \alpha가 유한 순서수, 즉 자연수라면 가해군이 된다.

5. 예시

몇 가지 군들의 교환자 부분군은 다음과 같다.

GG(1)
크기 8의 정이면체군 \operatorname{Dih}_4\operatorname Z(\operatorname{Dih}_4)\cong \mathbb Z/2



대수적 위상수학에서, 경로 연결 공간 X기본군 \pi_1(X)의 아벨화는 정수 계수 1차 특이 호몰로지 \operatorname H_1(X;\mathbb Z)이다. 이는 후레비치 준동형의 특수한 경우이다. 즉, 기본군의 교환자 부분군은 1차 후레비치 준동형의 이다.

5. 1. 대칭군과 교대군

대칭군 S_n의 교환자 부분군은 교대군 A_n이다.[5] 교대군 A_4의 교환자 부분군은 클라인 4원군이다.[5]


5. 2. 선형군

또는 사환 환 ''k'' 위의 일반 선형군 \operatorname{GL}_n(k)의 교환자 부분군은 n \ne 2이거나 ''k''가 유한체가 아닌 경우 특수 선형군 \operatorname{SL}_n(k)와 같다.[5]

5. 3. 사원수군

사원수군 ''Q'' = {1, −1, ''i'', −''i'', ''j'', −''j'', ''k'', −''k''}의 교환자 부분군은 [''Q'',''Q''] = {1, −1}이다.[5] 이는 비가환군의 대표적인 예시 중 하나인 사원수군의 구조를 파악하는 데 기여한다.

6. 대수적 위상수학과의 관련성

대수적 위상수학에서, 경로 연결 공간 X기본군 \pi_1(X)의 아벨화는 정수 계수 1차 특이 호몰로지 \operatorname H_1(X;\mathbb Z)이다. 이는 후레비치 준동형의 특수한 경우이다. 즉, 기본군의 교환자 부분군은 1차 후레비치 준동형의 이다.

7. 외부 자기 동형군과의 관계

도출 부분군은 특성 부분군이므로, ''G''의 모든 자기 동형 사상은 아벨화의 자기 동형 사상을 유도한다. 아벨화는 아벨 군이므로, 내부 자기 동형 사상은 자명하게 작용하며, 따라서 준동형 사상 \operatorname{Out}(G) \to \operatorname{Aut}(G^{\mbox{ab}})을 얻는다.

참조

[1] 서적
[2] 서적
[3] 논문
[4] 서적
[5] 서적 Matrix groups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6] 간행물 The Ore conjectur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