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진주 소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주 소씨는 신라 상대등 소알천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진주를 본관으로 하며, 고려 시대 소계령이 헌종의 비 회순왕후의 아버지로 진산부원군에 봉해졌다. 조선 시대에는 소세량, 소세양, 소동도 등 많은 인물을 배출했으며, 문과 급제자 12명, 무과 급제자 16명, 생원·진사 51명을 기록했다. 2015년에는 약 5만 명으로, 전라북도에 가장 많은 인구가 분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주 소씨 - 소지섭
    소지섭은 1995년 모델로 데뷔하여 1997년 드라마 《모델》로 배우 데뷔 후, 《발리에서 생긴 일》, 《미안하다, 사랑한다》 등의 드라마와 영화 《영화는 영화다》, 《군함도》 등 다양한 작품 활동을 펼치며 2018년 MBC 연기대상에서 대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진주 소씨 - 소선규
    소선규는 일제강점기 고등 교육을 받고 해방 후 동대문구청장과 서울특별시 부시장을 지낸 정치인으로, 제2대, 3대, 6대 국회의원과 참의원을 역임하며 민주국민당, 자유민주당 등 여러 정당에서 활동했고 상공위원장, 민주당 정책위원회 의장 등을 지냈으며, 한일협정에 긍정적인 입장을 취하다 정계를 은퇴 후 사망했다.
진주 소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국가한국
지역진주시
창시자소경(蘇慶)
연결된 인물회순왕후
알천
소유진
소지섭
소주연
진주 소씨
한자 표기晉州 蘇氏
관향경상남도 진주시
시조소알천(蘇閼川)
중시조소희철(蘇希哲)
집성촌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경기도 수원시
주요 인물소세량
소세양
소영복
소동도
소두산
소진형
소완규
소선규
소진섭
소병훈
소병철
소준열
소지섭
소주연
소정환
인구 (2015년)50,357명
비고진주 소씨 대종회
가문 정보
가명진주 소씨
진양 소씨
국적조선
가조소알천
소경
저명한 인물소선규
소지섭
소주연
홈페이지진주소씨대종회

2. 역사

소알천(蘇閼川)은 577년(신라 진지왕 2년)에 태어나 686년(신문왕 6년)까지 110세의 장수를 누렸다. 소벌도리의 후손으로, 상대등을 역임하며 654년 진덕여왕 사후 왕위에 추대되기도 하였으나 김춘추에게 양보하였다. 이후 소벌도리는 문열왕으로 추봉되었다.

소알천과 관련된 설화에 따르면, 부인과 며느리가 소벌도리의 현몽을 받고 진주로 이주하여 진주 소씨가 시작되었다고 한다. 이후 소알천의 후손들은 9대에 걸쳐 9명의 장군을 배출하며 가문을 번성시켰다.

소알천의 3세손 소복서로부터 11세손 소격달에 이르기까지 9대에 걸쳐 중흥을 이루었다.

소경의 15세손 소계령은 고려 때 형부원외랑, 신호위상장군(上將軍), 이부상서 등을 지냈고, 그의 딸은 헌종의 비 회순왕후가 되어 진산부원군(晋山府院君)에 봉해졌다.

1935년 간행된 《진주소씨족보》나 《씨족원류》에는 시조가 고려 말기의 '''소희철'''(蘇希哲)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1951년 발견된 〈부소보(扶蘇譜)〉와 1975년 발견된 〈소치선가승(蘇致善家乘)〉 등의 자료와 고증을 통해 상대등공 소경(蘇慶)을 시조로 바로잡게 되었다.[6]

2. 1. 시조 및 기원

소알천(蘇閼川)은 577년(신라 진지왕 2년) 경주 사량부(沙梁部)에서 태어나 686년(신문왕 6년) 진주 구시동(현 상대동)에서 110세로 사망하였다. 알천은 사로국 돌산고허촌(突山 高墟村)의 촌장 소벌도리(蘇伐都利)의 25세손이자[4], 아달라이사금의 14세손이다.

알천상대등으로 재임 중 654년 진덕여왕이 사망하자 화백회의 의장으로서 왕위에 추대되었으나 사양하고, 김춘추를 신라 왕으로 추대하였다. 이 공으로 소벌도리는 문열왕(文烈王)으로 추봉되었다.

알천의 부인 영아부인 박씨(玲阿夫人 朴氏)와 며느리 이우부인 석씨는 같은 꿈을 꾸었는데, 소벌도리가 꿈에 나타나 도사곡에 구시목이 있는 곳(현재 진주시 상대동)으로 이사하면 후손을 얻고 9명의 장군(九將軍)을 얻을 것이라고 하였다. 이 꿈대로 660년 진주 구시동으로 이사하여 진주 소씨가 시작되었고, 이듬해 손자 소복서(蘇福瑞)를 얻었다. 알천은 소경(蘇慶)으로 개명하였고, 아들 소이벌(蘇利伐)도 늙어서 아들을 얻은 기쁨으로 소노흔(蘇老欣)으로 개명하였다. 이후 9대에 걸쳐 9명의 장군을 배출하였다고 한다.

알천의 3세손 소복서(蘇福瑞)로부터 11세손 소격달(蘇格達)에 이르기까지 9대에 걸쳐 중흥을 이루었다.

소경의 15세손 소계령은 고려 때 형부원외랑, 신호위상장군(上將軍), 이부상서 등을 지냈고, 그의 딸은 헌종의 비 회순왕후가 되어 진산부원군(晋山府院君)에 봉해졌다.

1935년 간행된 《진주소씨족보》나 《씨족원류》에 따르면, 시조는 고려 말기의 '''소희철'''(蘇希哲)이다. 그러나 1951년 발견된 〈부소보(扶蘇譜)〉와 1975년 발견된 〈소치선가승(蘇致善家乘)〉 등의 자료와 고증을 통해 상대등공 소경(蘇慶)을 시조로 바로잡게 되었다.[6]

2. 2. 고려시대

소경의 15세손 소계령은 고려조에서 형부원외랑, 신호위상장군(上將軍), 이부상서 등을 지냈고, 그의 딸은 헌종의 비가 되어 회순왕후로 책봉됨으로써 진산부원군(晋山府院君)에 봉해졌다.[5]

1935년 간행된 《진주소씨족보》나 《씨족원류》에 따르면, 고려 말기 상호군(上護軍) '''소희철'''이 시조이다. 소희철의 후손 소세량(蘇世良)은 문과에 급제하여 대사성(大司成)을 지냈고, 그의 동생 소세양도 문과 출신으로 찬성(贊成)과 대제학(大提學)에 이르렀으며 문정(文靖)이라는 시호를 받았다.[5]

진주소씨는 〈경자보〉를 수간할 때까지 문공공(文恭公) 소희철을 시조로 삼아왔으나, 1951년 발견된 양곡공(陽谷公) 후손 소창엽(蘇昌燁)이 소장한 세계 〈부소보(扶蘇譜)〉와 1975년 발견된 소종만(蘇鐘萬) 소장의 〈소치선가승(蘇致善家乘)〉에 따라 문헌과 분묘 소재 등의 고증을 거쳐 상대등공 소경을 시조로 바로잡게 되었음이 〈신유보〉에 나타나 있다.[6]

2. 3. 조선시대

진주 소씨는 고려 말 상호군(上護軍) '''소희철'''(蘇希哲)을 시조로 하였으나, 1951년과 1975년에 발견된 자료들을 통해 신라 상대등(上大等) 소경(蘇慶)을 시조로 바로잡았다.[6] 소희철의 후손 소세량(蘇世良)은 문과에 급제하여 대사성(大司成)을 지냈고, 그의 아우 소세양(蘇世讓)은 찬성(贊成)과 대제학(大提學)을 지내고 문정(文靖)이라는 시호를 받았다.[5]

2. 4. 현대

진주 소씨는 〈경자보〉를 수간할 때까지 문공공(文恭公) 소희철(蘇希哲)을 시조로 삼아왔으나, 1951년 발견된 양곡공(陽谷公) 후손 소창엽(蘇昌燁)이 소장하고 있는 세계 〈부소보(扶蘇譜)〉와 1975년 발견된 소종만(蘇鐘萬) 소장인 〈소치선가승(蘇致善家乘)〉에 따라 문헌사적, 분묘 소재 등의 고증을 거쳐 오늘날과 같이 상대등공 소경(蘇慶)을 시조로 바로잡게 되었음이 〈신유보〉에 나타나 있다.[6]

1935년 간행된 《진주소씨족보》나 《씨족원류》에 따르면, 시조는 고려 말기의 '''소희철'''(蘇希哲)이다. 소희철은 상호군(上護軍)이었으며, 소희철의 후손 소세량(蘇世良)은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대사성(大司成)이었다. 소세량의 아우 소세양(蘇世讓)도 문과 출신으로 벼슬이 찬성(贊成)과 대제학(大提學)에 이르렀고 문정(文靖)이란 시호를 받았다.[5]

3. 본관

진주(晋州)는 경상남도 서부에 위치한 지명이다. 본래 백제의 거열성(居烈城)이었다. 663년(문무왕 3) 신라에 편입되어 거타주(居陀州)가 설치되었으며, 685년(신문왕 5)에 청주(菁州)를 설치하였다가, 757년(경덕왕 16)에 강주도독부(康州都督府)로 개칭되었다가 혜공왕 때 청주(菁州)로 개칭되었다. 고려 건국 후 940년(태조 23)에 다시 강주로 환원되었고, 983년(성종 2)에 12목의 하나인 진주목으로 개편하였다. 995년(성종 14)에는 정해군(定海軍)이라 하고 절도사(節度使)를 두어 산남도(山南道)에 속하게 하였다. 1012년에 안무사(按撫使)로 고쳤다가, 1018년(현종 9)에 진주목으로 복구되었다. 1392년(태조 1) 조선 건국 후 현비(顯妃) 강씨(康氏)의 내향(內鄕)이므로 진양대도호부(晉陽大都護府)로 승격하였다. 그러나 1402년(태종 2)에 진주목으로 환원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경상도 진주목의 토성(土姓)으로 (鄭), (河), (姜), 소(蘇) 4성이 기록되어 있다.[9]

1896년 경상남도 진주군으로 개편되었다. 1939년 진주읍이 시로 승격하면서 나머지 지역이 진양군으로 개칭되었으며, 1995년 진양군이 진주시에 통합되었다.

4. 인물

진주 소씨는 조선시대에 소세량, 소세양, 소동도 등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다.

4. 1. 조선


  • 소세량(1476년 ~ 1528년): 1496년(연산군 2) 생원시에 합격하고, 1507년(중종 2)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예문관검열을 거쳐 1516년 용담현령을 역임하였다. 홍문관수찬, 사헌부 장령, 홍문관 응교·직제학 등을 거쳐 1522년 사간·좌부승지·동부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1524년 대사간에 승진되었다가 부모 봉양을 위하여 남원부사를 자원하였다.[7]

  • 소세양(1486년 ∼ 1562년): 1504년(연산군 10) 진사시에 합격하고, 1509년(중종 4)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정언을 거쳐 수찬에 재직 시 단종의 어머니 현덕왕후의 복위를 건의, 현릉에 이장하게 하였다. 1514년 사가독서를 했고, 직제학을 거쳐 사성이 되었다. 1521년 영접사 이행의 종사관으로 명나라 사신을 맞았고, 그 뒤 왕자사부 등을 지냈다. 이어 전라도 관찰사로 나갔으나, 1530년 왜구에 대한 방비를 소홀히 했다 하여 파직되었다. 이듬해 형조판서 등으로 기용되어, 1533년 지중추부사에 올라 진하사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1537년 형조·호조·병조·이조판서를 거쳐 우찬성이 되었다. 이듬해 성주사고가 불타자 왕명에 따라 춘추관의 실록을 등사·봉안하였다. 1545년(인종 1) 윤임 일파의 탄핵으로 사직하였다. 명종 즉위 후 을사사화로 윤임 등이 몰락하자 재기용되어 좌찬성을 지내다가 사직하고 익산에 은퇴하였다. 문명이 높고 율시에 뛰어났으며, 글씨는 송설체를 잘 썼다. 익산 화암서원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정이다. 저서로는 『양곡집』이 있으며, 글씨는 양주에 「임참찬권비」와 「소세량부인묘갈」이 있다.[8]

  • 소동도(1592년 ∼ 1671년): 전라도 익산시 출신. 첨사 세공의 증손, 진사 건의 손자, 찰방 만선의 아들이다. 1617년(광해군 9) 생원시에 합격했다. 인조반정으로 서인이 집권하자 1635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성균관에 보직된 뒤 1646년 사헌부지평이 되었고, 이듬해 평안도 은산부사를 지내고 정주목사로 선정을 베풀었다. 이어 암행어사로서 민정과 수령의 치적을 상세히 조사하여 보고하였다. 1650년(효종 1) 의주부윤이 되어 호란 후 피폐하여진 민생을 구제하고 국방과 영선사업에 힘썼다. 뒤에 경주부윤을 거쳐 1659년 황해도관찰사가 되어 수령전최에 공정을 기하였다. 화암서원에 제향되었다.

4. 2. 현대

진주 소씨는 조선시대에 많은 인물을 배출했지만, 현대에는 뚜렷한 인물을 찾기 어렵다. 제공된 원본 자료에는 현대 인물에 대한 정보가 충분하지 않다.

5. 과거 급제자

진주 소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2명, 무과 급제자 16명, 생원·진사 51명을 배출하였다.[10]

5. 1. 문과

문과 급제자
소광진(蘇光震), 소대항(蘇大恒), 소동도(蘇東道), 소두산(蘇斗山), 소봉(蘇逢), 소사식(蘇斯軾), 소사원(蘇泗源), 소세량(蘇世良), 소세양(蘇世讓), 소우석(蘇禹錫), 소혜(蘇徯), 소호인(蘇好仁)

[10]

5. 2. 무과

성명한자
소계성蘇啓盛
소계희蘇繼禧
소근술蘇謹述
소무신蘇武臣
소부蘇溥
소산준蘇山濬
소섭蘇涉
소예민蘇禮民
소익량蘇益亮
소잇심蘇㗡心
소종붕蘇從鵬
소창蘇鋹
소후열蘇後烈
소흡蘇潝
소희익蘇希益



진주 소씨는 조선시대에 무과 급제자 16명을 배출하였다.[10]

5. 3. 생원시

진주 소씨는 조선시대 생원시 합격자 26명을 배출하였다.[10]

합격자
소개(蘇凱)
소대진(蘇大晉)
소동도(蘇東道)
소면규(蘇冕圭)
소명국(蘇鳴國)
소봉(蘇逢)
소봉선(蘇奉善)
소사원(蘇泗源)
소산복(蘇山福)
소성문(蘇聖門)
소세검(蘇世儉)
소세량(蘇世良)
소수규(蘇洙規)
소수중(蘇洙中)
소엽(蘇曄)
소운핵(蘇雲翮)
소이망(蘇爾望)
소정진(蘇貞震)
소지안
소진문(蘇振門)
소진황(蘇鎭璜)
소현도(蘇顯道)
소형우(蘇亨宇)
소후석(蘇厚錫)
소후유(蘇后由)
소희철(蘇希轍)


5. 4. 진사시

조선시대 진사시 급제자[10]
소건소계흥소광진소동명소두산
소두열소두원소명곡소명국소선
소세양소순소언산소여유소영복
소욱소자파소종선소진천소태영
소학규소형진소휘만소휘식소흥우


5. 5. 음관

진주 소씨는 조선시대 음관으로 소정규를 배출하였다.[10]

6. 항렬자

진주 소씨 항렬표
41세42세43세44세45세46세47세48세49세50세51세52세53세54세55세56세57세58세59세60세61세62세63세64세65세66세67세68세
口술(述)휘(輝)口규(奎)진(鎭)口영(永)병(秉)口섭(燮)재(在)口호(鎬)순(淳)口수(秀)경(炅)口균(均)종(鍾)口홍(洪)근(根)口희(熙)기(基)口용(鎔)해(海)口상(相)형(炯)口재(載)현(鉉)口락(洛)동(東)口환(煥)경(坰)


7. 집성촌

지역
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 주천리
전라북도 남원시 덕과면 만도리
전라북도 남원시 산동면 부절리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 송산리
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 어량리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동고도리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서고도리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발산리
경기도 안성시 원곡면 외가천리

[3]

8. 인구

연도가구인구비고
1985년9,196가구38,872명
2000년11,521가구37,184명
2015년50,357명진주 48,836명 + 진양 1,521명



2000년 지역별 인구 분포는 다음과 같다.[11]

지역인구
서울8,896명
부산1,570명
대구1,790명
인천1,450명
광주1,027명
대전1,184명
울산385명
경기6,730명
강원295명
충북488명
충남1,165명
전북8,125명
전남1,976명
경북845명
경남1,131명
제주127명



서울을 제외하고, 전라북도 지역이 단연 가장 인구가 많다.[11]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에서 익산을 본관으로 하는 인구는 1,043명으로 조사되었다.

참조

[1] 박물관 효월드 족보 박물관 - 소(蘇) https://www.djjunggu[...] 한국성씨연구소
[2]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1
[3] 웹사이트 소씨(蘇氏) 본관(本貫) 진주(晋州)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7
[4] 문서 경주 최씨에서는 이를 부정하고 있다.
[5] 한국학중앙연구원
[6] 박물관 효월드 족보 박물관 - 소(蘇) http://www.djjunggu.[...] 한국성씨연구소 2014-07-14
[7]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소세량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
[8]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소세양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
[9] 세종실록 세종실록 150권, 지리지 경상도 진주목 http://sillok.histor[...]
[10] 한국학중앙연구원
[11] 뉴스 정복규의 성씨순례 - 진주소씨(晋州蘇氏) http://www.sjbnews.c[...] 새전북일보 2014-07-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