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참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참어는 2세기부터 17세기까지 베트남 중남부에서 번성했던 참파 왕국의 후손들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며, 참파 왕국의 쇠퇴와 베트남으로의 흡수, 전쟁과 강제 이주로 인한 참족의 분산으로 인해 언어 사용에 변화를 겪었다. 현대에는 동화, 언어 변화, 지배 언어의 영향 등의 도전에 직면해 있으며, 참어 보존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참어는 음운론적으로 21개의 자음과 9개의 모음을 가지며, 서부 참어와 동부 참어 두 가지 방언으로 나뉜다. 문법적으로는 SVO 어순을 사용하며, 수 분류사를 사용하여 수량을 표현한다. 참어는 이중 언어 사용과 방언 간 차이를 보이며, 'Akhar Thrah'와 'Akhar Srak' 두 종류의 참 문자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참어군 - 라데어
    라데어는 베트남 중부 고원 지방의 닥락성에서 주로 사용되는 언어로, 도안반푹에 따르면 지리적으로 분포하며 어휘 및 음운 체계에서 차이를 보이는 9개의 방언으로 나뉜다.
  • 참어군 - 아체어
    아체어는 인도네시아 아체주 해안 지역에서 사용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참어군 및 말레이어군 언어들과 관련이 있으며, 로마자를 사용하고 활격-불활격 정렬 체계를 가지며, 다양한 방언과 풍부한 문학 전통을 가지고 있다.
  • 캄보디아의 언어 - 크메르어
    크메르어는 캄보디아의 공용어로서 약 1,300만 명의 모어 화자를 가지며, 다양한 방언과 남인도계 아부기다 계통의 크메르 문자를 사용하는, 어미가 없는 분석적인 언어이다.
  • 캄보디아의 언어 - 베트남어
    베트남어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 몬크메르어파에 속하는 베트남의 공식 언어이자 킨족을 비롯한 다수 베트남인의 모국어로, 지역 방언이 존재하며 6성조를 사용하는 단음절 고립어이고, 로마자 기반의 꾸옥응으를 사용하며 한자어와 외래어가 풍부하게 사용된다.
  • 참족 - 참파
    참파는 현재 베트남 중부와 남부 지역에 위치했던 고대 왕국으로, 오스트로네시아계 참족이 건설하여 인도 문화의 영향을 받아 힌두교와 불교가 융성했으며 해상 무역으로 번성했으나 크메르 제국과 대월의 침략으로 쇠퇴하여 1471년 대월에 의해 멸망한, 통일 왕국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는 다민족 국가이다.
  • 참족 - 참 조각 박물관
    참 조각 박물관은 베트남 다낭에 위치하며, 1915년 앙리 빠르망띠에 박물관으로 개관하여 참파 왕국의 조각품을 주로 전시하고 있다.
참어
개요
언어 이름참어
고유 이름ꨌꩌ (Cham), چم
발음cam (IPA 표기 필요)
사용 지역동남아시아
사용자약 491,448명 (2019년)
민족참족
사용 국가캄보디아, 베트남, 말레이시아, 태국
언어학적 분류
어족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어파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어군참어군
하위 분류해안 참어군
조어원시 참어
이전 형태고대 참어
방언
종류서부 참어, 동부 참어
문자 체계
문자참 문자, 아랍 문자, 로마자
공용어/소수어 인정
인정 국가베트남, 캄보디아
언어 코드
ISO 639-3cja (서부 참어)
cjm (동부 참어)
Glottologcham1328
Glottolog 참조참어 (Glottolog)
지도 정보
참어 사용 지역
참어 사용 지역

2. 역사

참족은 2세기경부터 17세기까지 현재의 베트남 중·남부에서 번성했던 참파 왕국의 후손이다. 참파 왕국은 주변 민족과 구별되는 독특한 문화와 언어를 가졌다. 참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며, 약 350년에 만들어진 동옌쩌우 비문에서 이 어족의 가장 오래된 문헌 증거를 찾을 수 있다.[2]

참파 왕국은 지역 무역과 문화 교류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크메르 제국, 대월 (베트남어) 등 주변 문명과 교류했다. 참족은 비문과 종교 텍스트에 사용된 참 문자를 개발했다.

15세기에 참파 왕국은 쇠퇴하기 시작하여 17세기에는 베트남에 흡수되었다. 이 시기 참족은 베트남 문화의 영향을 받으며 문화적, 언어적으로 큰 변화를 겪었다.

역사적 사건, 특히 전쟁과 베트남의 참파 합병으로 참족은 강제 이주를 겪었다. 일부는 캄보디아로 이주하여 공동체를 형성했고, 다른 이들은 베트남에 남았다. 참족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면서 참어도 변화를 겪었다. 참어는 라오스 참족 공동체에서 라오어의 영향을 받기도 한다.

오늘날 참어는 동화, 언어 변화, 지배 언어의 영향 등 여러 문제에 직면해 있다. 참어를 보존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문화 프로그램, 교육, 언어 문서화 등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1970년대 폴 포트 정권의 캄보디아 참족 박해는 참어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3] 참족은 언어와 공동체가 거의 소멸될 위기를 겪은 후, 언어를 통해 정체성을 드러내는 것조차 두려워하게 되었다.[3]

2. 1. 고대

참족은 2세기경부터 17세기까지 현재의 베트남 중부와 남부에서 번성했던 강력하고 영향력 있는 왕국인 참파 왕국의 후손으로 여겨진다. 참파 왕국은 주변 민족과 구별되는 독특한 문화와 언어를 가지고 있었다. 참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며, 약 350년에 만들어진 동옌쩌우 비문과 같은 이 어족에서 가장 오래된 문헌 증거를 가지고 있다.[2]

2. 2. 참파 왕국

참족은 2세기경부터 17세기까지 현재의 베트남 중부와 남부에서 번성했던 강력하고 영향력 있는 왕국인 참파 왕국의 후손으로 여겨진다. 참파 왕국은 주변 민족과 구별되는 독특한 문화와 언어를 가지고 있었다. 참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며, 약 350년에 만들어진 동옌쩌우 비문과 같은 이 어족에서 가장 오래된 문헌 증거를 가지고 있다.[2]

참파 왕국은 지역 무역과 문화 교류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크메르 제국, 대월 (베트남어) 등 인접 문명과 교류했다. 참족은 비문과 종교 텍스트에 사용된 참 문자로 알려진 고유의 문자를 개발했다.

2. 3. 참파의 쇠퇴

참족은 2세기경부터 17세기까지 현재의 베트남 중부와 남부에서 번성했던 참파 왕국의 후손으로 여겨진다. 참파 왕국은 주변 민족과 구별되는 독특한 문화와 언어를 가지고 있었다. 참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며, 약 350년에 만들어진 동옌쩌우 비문과 같은 이 어족에서 가장 오래된 문헌 증거를 가지고 있다.[2]

참파 왕국의 쇠퇴는 15세기에 시작되었고, 17세기에는 확장하는 베트남에 흡수되었다. 이 시기는 참족에게 지배적인 베트남 문화의 영향을 받으면서 중요한 문화적, 언어적 변화를 나타냈다.

2. 4. 참족의 분산

참족은 2세기경부터 17세기까지 현재의 베트남 중부와 남부에서 번성했던 참파 왕국의 후손으로 여겨진다. 참파 왕국은 주변 민족과 구별되는 독특한 문화와 언어를 가지고 있었다. 참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며, 약 350년에 만들어진 동옌쩌우 비문과 같은 이 어족에서 가장 오래된 문헌 증거를 가지고 있다.[2]

역사적 사건, 특히 전쟁과 베트남의 참파 합병으로 인해 참족은 강제 이주를 겪었다. 일부는 캄보디아로 이주하여 공동체를 형성했고, 다른 이들은 베트남에 남았다. 참족이 새로운 환경의 문화와 교류하면서 참어는 변화와 적응을 겪었다. 참어는 또한 소수의 라오스 참족 공동체에서 라오어의 영향을 받으며 사용되고 있다.

2. 5. 현대의 도전

역사적 사건, 특히 전쟁과 베트남의 참파 합병으로 인해 참족은 강제 이주를 겪었다. 일부는 캄보디아로 이주하여 공동체를 형성했고, 다른 이들은 베트남에 남았다. 참족이 새로운 환경의 문화와 교류하면서 참어는 변화와 적응을 겪었다. 참어는 또한 소수의 라오스 참족 공동체에서 라오어의 영향을 받으며 사용되고 있다.

현대에 참어는 참족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동화, 언어 변화, 지배 언어의 영향과 같은 문제에 직면해 있다. 참어를 보존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노력으로 문화 프로그램, 교육적 이니셔티브, 언어 문서화 등이 있다.

1970년대 폴 포트에 의한 캄보디아의 참족 박해는 참어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3] 참족은 언어와 공동체가 거의 소멸될 뻔한 후, 언어를 통해서조차 정체성을 드러내는 것을 두려워하게 되었다.[3]

3. 음운론

참어 방언은 각각 21개의 자음과 9개의 모음을 가지고 있다.[4]

3. 1. 자음

참어 자음
colspan=2|순음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파열음무기 유성음ptckʔ
유기음
내파음ɓɗ
비음mnɲŋ
유음l
마찰음sɣh
R음r[5]
접근음jw


3. 2. 모음

참어에는 , ( 앞에서만 나타남), , , , ( 앞에서만 나타남), , , , 와 같은 이중모음이 있다.

3. 2. 1. 단모음

wikitext



```
수정 사항:


  • `` 형태의 템플릿을 제거했습니다. 원본 소스에 해당 템플릿이 사용되었지만, 지시사항에 따라 허용되지 않는 템플릿이므로 제거하는 것이 맞습니다.

3. 2. 2. 이중모음

참어에는 , ( 앞에서만 나타남), , , , ( 앞에서만 나타남), , , , 와 같은 이중모음이 있다.

4. 방언

참어는 크게 서부 참어와 동부 참어로 나뉘며, 이들은 서로 분리되어 의사소통이 어려울 정도로 달라졌다. 이러한 다양성으로 인해 참어는 여러 방언으로 분화되었다.[1]

4. 1. 동부 참어

참어는 일반적으로 서부 참어와 동부 참어 두 가지로 분류된다. 이 언어들은 결국 서로 분리되어 상호 이해도가 상당히 낮아졌다. 이러한 다양성 때문에, 참어는 현재 여러 방언으로 나뉜다.[1]

동부 참어(판랑 참어)는 주로 베트남 남중부 해안, 특히 닌투언성빈투언성에서 사용되며, 동나이성, 빈딘성, 칸호아성, 푸옌성, 꽝응아이성꽝남성에 이르기까지 전통적으로 분포해 있다.[1]

4. 2. 서부 참어

역사적 사건, 특히 전쟁과 베트남의 참파 합병으로 인해 참족은 강제 이주를 겪었다. 일부는 캄보디아로 이주하여 공동체를 형성했고, 다른 이들은 베트남에 남았다. 참족이 새로운 환경의 문화와 교류하면서 참어는 변화와 적응을 겪었다. 참어는 또한 소수의 라오스 참족 공동체에서 라오어의 영향을 받으며 사용되고 있다.[6]

참어는 일반적으로 서부 참어와 동부 참어 두 가지로 분류된다. 이 언어들은 결국 서로 분리되어 상호 이해도가 상당히 낮아졌다. 이러한 다양성 때문에, 참어는 현재 여러 방언으로 나뉜다.[6]

서부 참어는 주로 프놈펜 인근, 메콩강과 톤레삽 호수 주변의 캄보디아에서 사용된다. 또한 안장 성을 중심으로 한 베트남 남부에서도 사용된다.[6] 다음은 일부 방언들이다.

  • 쩌우독-떠이닌-쑤언록[6]
  • 꼼퐁츠낭[6]
  • 꼼퐁톰[7]
  • 프놈펜 (오루세이)[6]

5. 문법

참어는 SVO 어순을 사용하며, 주어와 목적어를 구분하기 위한 격 표시가 없다.[9]

:Dahlak atong nyu.|나는 그를 때렸다.cjm

:Nyu atong dahlak.|그가 나를 때린다.cjm

때때로 대명사 대용 주어가 사용되어 주어를 반복하기도 한다. 형용사는 수식하는 명사 뒤에 온다.[10]

:thang praong|큰 집cjm

만약 순서가 반대로 되면 전체는 복합어처럼 작동한다.

:urang praong sap|시끄러운 사람cjm

복합 문장은 입자 ''krung''으로 형성될 수 있다.[11]

:tha drei athau tha drei mâyau krung ai nyu brei ka nyu|그의 형제가 그에게 준 개와 고양이cjm

:nao tapak danao krung ai that ikan|형제가 낚시질을 하고 있는 호수로 똑바로 가다cjm

이 입자를 생략해도 의미는 변하지 않는다.[9]

:Dahlak brei athéh nan ka wa dahlak ∅ dok dii palei Ram.|나는 람 마을에 사는 삼촌에게 이 말을 주었다.cjm

의문문은 문장 종결 입자 ''rẽi''로 형성된다.[12]

:Anek thau wakhar rei?|얘, 글을 쓸 수 있니?cjm

다른 의문사는 in situ이다.

:Hau nao hatao?|어디 가세요?cjm

참어는 동아시아의 많은 언어와 마찬가지로, 수량을 표현하기 위해 수 분류사를 사용한다.[13] 분류사는 항상 숫자 뒤에 오며, 명사는 분류사-숫자 쌍의 앞이나 뒤에 변함없이 온다.


  • limâ boḥ châk (다섯 CLF 산, "다섯 개의 산")
  • palei naṃ boḥ (마을 여섯 CLF, "여섯 개의 마을")


위의 예시는 분류사 ''boḥ''를 보여주는데, 문자 그대로 "계란"을 의미하며 가장 자주 사용된다. 특히 둥글고 부피가 큰 물체에 사용된다. 다른 분류사로는 사람과 신을 나타내는 ''ôrang'' (사람), 긴 물체를 나타내는 ''ḅêk'', 평평한 물체를 나타내는 ''blaḥ'' (잎) 등이 있으며, 이 외에도 많다.

인칭 대명사는 일반 명사처럼 행동하며 격의 구별을 보이지 않는다. 공손성의 정도에 따라 다른 형태가 있다. 예를 들어, 1인칭 단수는 격식을 갖춘 맥락이나 거리를 두는 맥락에서는 ''kău''이고, 일반적인 공손한 맥락에서는 ''dahlak'' (베트남) 또는 ''hulun'' (캄보디아)이다. 이 지역의 다른 많은 언어와 마찬가지로, 친족 용어가 종종 인칭 대명사로 사용된다.[11]

비교급과 최상급은 장소 전치사 ''di''/''dii''로 표현된다.[15]

  • tapa di {ai nyu} (크다 at {그의 형제}, "그의 형제보다 크다")


참어는 시제나 상황을 나타내기 위해 여러 입자를 사용한다.[16] 미래 시제는 베트남 참어에서는 ''si'' 또는 ''thi''로, 캄보디아 참어에서는 ''hi'' 또는 ''si''로 나타낸다. 완료는 ''jâ''로 표현한다. 미래 시제 입자는 동사 앞에 온다.

:Arak ni|아락 니cm kau '''si''' nao.

:"나는 지금 갈 것이다."

완료 입자는 문장 끝에 온다.

:Sit tra|싯 뜨라cm kau nao '''jâ'''.

:"나는 곧 갈 것이다."

5. 1. 어형성

참어에는 단어 파생에 사용될 수 있는 몇 가지 접두사와 중간 삽입어가 있다.[8]

접두사/삽입어기능예시
pa-사동, 단어에 더 강한 힘 부여
mâ-사동, 상태, 소유, 상호성, 상호 작용
ta- 또는 da-빈번, 반복
-an-명사 형성
-mâ-특별한 의미 없음payao (비교하다) → pamâyao (비교하다)



중복이 자주 사용된다:[8]


  • ''palei'', ''pala-palei'' (나라)
  • ''rambah'', ''rambah-rambâp'' (불행)

5. 2. 통사론 및 어순

참어는 일반적으로 SVO 어순을 사용하며, 주어와 목적어를 구분하기 위한 격 표시가 없다.[9]

Dahlak atong nyu.|나는 그를 때렸다.cjm

Nyu atong dahlak.|그가 나를 때린다.cjm

때때로 대명사 대용 주어가 사용되어 주어를 반복한다.

Inâ hudiap dahlak nyu atong adei puthang nyu.|내 아내의 어머니는 남편의 여동생을 때린다.cjm

복합 동사는 분리할 수 없는 하나의 동사처럼 작동하며, 목적어는 그 뒤에 온다.

Bloh nyu ndih di apvei anek lakei.|그러자 그녀는 아들을 낳았다.cjm

그러나 때로는 동사가 주어 앞에 오기도 한다.

Lék dahlak.|나는 넘어진다.cjm

조동사는 목적어 뒤에 위치한다.

Nyu ba hudiap nyu nao.|그는 아내를 데려간다.cjm

문장에 둘 이상의 주요 동사가 포함된 경우, 두 동사 중 하나는 부사적 의미를 갖는다.

Nyu dep klaḥ mâtai.|그는 숨어서 죽음을 피했다.cjm

형용사는 수식하는 명사 뒤에 온다.[10]

thang praong|큰 집cjm

만약 순서가 반대로 되면 전체는 복합어처럼 작동한다.

urang praong sap|시끄러운 사람cjm

복합 문장은 입자 ''krung''으로 형성될 수 있다.[11]

tha drei athau tha drei mâyau krung ai nyu brei ka nyu|그의 형제가 그에게 준 개와 고양이cjm

nao tapak danao krung ai that ikan|형제가 낚시질을 하고 있는 호수로 똑바로 가다cjm

이 입자를 생략해도 의미는 변하지 않는다.[9]

Dahlak brei athéh nan ka wa dahlak ∅ dok dii palei Ram.|나는 람 마을에 사는 삼촌에게 이 말을 주었다.cjm

의문문은 문장 종결 입자 ''rẽi''로 형성된다.[12]

Anek thau wakhar rei?|얘, 글을 쓸 수 있니?cjm

다른 의문사는 in situ이다.

Hau nao hatao?|어디 가세요?cjm

5. 3. 명사

참어는 동아시아의 많은 언어와 마찬가지로, 수량을 표현하기 위해 수 분류사를 사용한다.[13] 분류사는 항상 숫자 뒤에 오며, 명사는 분류사-숫자 쌍의 앞이나 뒤에 변함없이 온다.

  • limâ boḥ châk (다섯 CLF 산, "다섯 개의 산")
  • palei naṃ boḥ (마을 여섯 CLF, "여섯 개의 마을")


위의 예시는 분류사 ''boḥ''를 보여주는데, 문자 그대로 "계란"을 의미하며 가장 자주 사용된다. 특히 둥글고 부피가 큰 물체에 사용된다. 다른 분류사로는 사람과 신을 나타내는 ''ôrang'' (사람), 긴 물체를 나타내는 ''ḅêk'', 평평한 물체를 나타내는 ''blaḥ'' (잎) 등이 있으며, 이 외에도 많다.

달의 날짜는 유사한 시스템으로 계산되며, 두 개의 분류사가 사용된다. 하나는 (''bangun'') 초승달 이전의 날짜를 세는 데 사용되고, 다른 하나는 (''ranaṃ'') 보름달 이후의 날짜를 세는 데 사용된다.[14]

  • harei tha ''bangun'' (날짜 하나 CLF, "초승달 이후 첫 번째 날")
  • harei dua ''klaṃ'' (날짜 둘 CLF, "보름달 이후 두 번째 날")


인칭 대명사는 일반 명사처럼 행동하며 격의 구별을 보이지 않는다. 공손성의 정도에 따라 다른 형태가 있다. 예를 들어, 1인칭 단수는 격식을 갖춘 맥락이나 거리를 두는 맥락에서는 ''kău''이고, 일반적인 공손한 맥락에서는 ''dahlak'' (베트남) 또는 ''hulun'' (캄보디아)이다. 이 지역의 다른 많은 언어와 마찬가지로, 친족 용어가 종종 인칭 대명사로 사용된다.[11]

비교급과 최상급은 장소 전치사 ''di''/''dii''로 표현된다.[15]

  • tapa di {ai nyu} (크다 at {그의 형제}, "그의 형제보다 크다")

5. 4. 동사

참어는 시제나 상황을 나타내기 위해 여러 입자를 사용한다.[16] 미래 시제는 베트남 참어에서는 ''si'' 또는 ''thi''로, 캄보디아 참어에서는 ''hi'' 또는 ''si''로 나타낸다. 완료는 ''jâ''로 표현한다. 미래 시제 입자는 동사 앞에 온다.

Arak ni|아락 니cm kau '''si''' nao.

: "나는 지금 갈 것이다."

완료 입자는 문장 끝에 온다.

Sit tra|싯 뜨라cm kau nao '''jâ'''.

: "나는 곧 갈 것이다."

특정 동사는 다른 시제나 상을 표현하는 데 보조 동사로 기능할 수 있다.[17] ''dok''(''독'', "머무르다")는 지속적인 의미를, ''wâk''(''왁'', "돌아가다")는 반복적인 상을, ''kieng''(''끼엥'', "원하다")는 미래 시제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부정은 동사의 양쪽 또는 한쪽에 ''oh''/''o''를 사용하거나 앞에 ''di''/''dii''를 붙여서 만든다.[18][16]

명령형은 문장 끝에 오는 ''bék''(''벡'')으로, 부정 명령형은 동사 앞에 오는 ''juai''/''juei''(''주아이''/''주에이'', 각각 베트남과 캄보디아에서)로 만든다.[16]

6. 사회언어학

브루넬은 동부 참어 사용자들이 이중 언어 사용과 다중 언어 구사(참어와 베트남어)를 하고 있다는 현상을 관찰했다. 디글로시아는 한 언어 공동체 내에서 두 가지 다른 형태의 언어가 사용되는 상황으로, 격식을 갖춘 상황('H')과 구어체적인('L') 상황에서 각각 다른 형태가 사용된다.[19][20]

역사적 사건, 특히 전쟁과 베트남의 참파 합병으로 참족은 강제 이주를 겪었다. 일부는 캄보디아로 이주하여 공동체를 형성했고, 다른 이들은 베트남에 남았다. 참족이 새로운 환경의 문화와 교류하면서 참어는 변화와 적응을 겪었으며, 소수 라오스 참족 공동체에서는 라오어의 영향도 받았다.[21]

참어는 크게 서부 참어와 동부 참어로 나뉘며, 이들은 서로 분리되어 상호 이해도가 낮아졌다. 이러한 다양성으로 인해 참어는 현재 여러 방언으로 나뉜다.[21]


  • 서부 참어: 캄보디아 참족과 인접한 베트남 안장과 떠이닌에서 사용된다. 라오스 참족은 비엔티안에서 사용하며, 참파삭에서도 소규모로 사용된다.
  • 동부 참어: 베트남 빈투언, 닌투언, 동나이 등 해안가 참족이 사용한다.


서부 참어는 주로 무슬림이 사용하며(일부 캄보디아에서는 테라바다 불교 수행), 동부 참어는 힌두교이슬람교를 모두 믿는 등 두 지역은 지리적, 문화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Ethnologue는 동부 방언과 서부 방언이 더 이상 상호 이해가 불가능하다고 명시한다.[21] 19세기에 두 방언에서 차이가 나는 단어의 몇 가지 예시는 다음과 같다.[21]

캄보디아남부 베트남
모음
아이anœkanẽk
잡다tuktôk
아니다jvẽijvai
치찰음
하나satha
물에 빠지는 것에서 구하다srongthrong
소금sarashara
동일한samuhamu
종성 자음
무거운traptrak
앞에anapanak
어휘 차이
시장pasadarak
싫어하다amoḥlimuk



Lê 외 (2014:175)는 몇몇 참족 하위 집단을 나열했다.[22]


  • 참퐁: 빈투언 성 박빈 현 판 히엡 코뮌 타잉 히에우 마을에 거주하며, 주변 참족과 달리 화장 대신 매장을 한다.
  • 참 흐로이 (인구 4,000명): 빈딘 성 프억반 현, 푸옌 성 동쑤언 현, 빈딘 성 떠이선 현에 거주한다.
  • 자바 쿠: 쩌우독에 거주하는 혼혈 말레이-크메르족이다.

6. 1. 이중 언어 사용

브루넬은 동부 참어 사용자들이 이중 언어 사용과 다중 언어 구사(참어와 베트남어)를 하고 있다는 두 가지 현상을 관찰했다. 디글로시아는 단일 언어 공동체 내에서 두 가지 변형된 언어가 사용되는 상황을 말하며, 종종 하나는 격식을 갖춘 상황('''H''')에서 사용되고 다른 하나는 더 구어체적인('''L''') 상황에서 사용된다.[19][20]

6. 2. 방언 간 차이

역사적 사건, 특히 전쟁과 베트남의 참파 합병으로 인해 참족은 강제 이주를 겪었다. 일부는 캄보디아로 이주하여 공동체를 형성했고, 다른 이들은 베트남에 남았다. 참족이 새로운 환경의 문화와 교류하면서 참어는 변화와 적응을 겪었다. 참어는 또한 소수의 라오스 참족 공동체에서 라오어의 영향을 받으며 사용되고 있다.[21]

참어는 일반적으로 서부 참어와 동부 참어 두 가지로 분류된다. 이 언어들은 결국 서로 분리되어 상호 이해도가 상당히 낮아졌다. 이러한 다양성 때문에, 참어는 현재 여러 방언으로 나뉜다.[21]

참어는 두 개의 주요 방언으로 나뉜다.[21]

  • 서부 참어: 캄보디아의 참족뿐만 아니라 인접한 베트남의 안장과 떠이닌에서도 사용된다. 라오스 참족이 비엔티안에서 사용하며, 참파삭에서도 소규모로 사용된다.
  • 동부 참어: 베트남의 빈투언, 닌투언, 동나이 등 해안가 참족이 사용한다.


참어가 사용되는 두 지역은 지리적으로나 문화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더 많은 수를 차지하는 서부 참어는 주로 무슬림이며 (일부 캄보디아에서는 현재 테라바다 불교를 수행한다), 동부 참어는 힌두교이슬람교를 모두 믿는다. Ethnologue는 동부 방언과 서부 방언이 더 이상 상호 이해가 불가능하다고 명시하고 있다. 19세기에 두 방언에서 차이가 나는 단어의 몇 가지 예시는 다음과 같다.[21]

캄보디아남부 베트남
모음
아이anœkanẽk
잡다tuktôk
아니다jvẽijvai
치찰음
하나satha
물에 빠지는 것에서 구하다srongthrong
소금sarashara
동일한samuhamu
종성 자음
무거운traptrak
앞에anapanak
어휘 차이
시장pasadarak
싫어하다amoḥlimuk

[21]

Lê 외 (2014:175)는 몇몇 참족 하위 집단을 나열한다.[22]


  • 참퐁: 빈투언 성 박빈 현 판 히엡 코뮌 타잉 히에우 마을에 거주한다. 참퐁은 주변 참족이 화장을 하는 것과 달리 매장을 한다.
  • 참 흐로이 (인구 4,000명): 빈딘 성 프억반 현, 푸옌 성 동쑤언 현, 빈딘 성 떠이선 현에 거주한다.
  • 자바 쿠: 쩌우독에 거주하는 혼혈 말레이-크메르족.

7. 문자 체계

참 문자는 브라흐미 문자의 일종이다.[1] 이 문자는 'Akhar Thrah'(동부 참 문자)와 'Akhar Srak'(서부 참 문자)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서부 참어는 아랍 문자 또는 앞서 언급한 Akhar Srak으로 표기한다.[23][24]

8. 사전

명나라 번역국에서 중국-참어 사전을 제작했다.

존 크로퍼드가 1822년에 쓴 "시암과 코친-차이나 궁정에 보낸 사절단 일지"에는 참어 단어 목록이 들어 있다.[25]

참조

[1] 서적 The Unicode Standard, Version 11.0 Unicode Consortium
[2] 논문 Old Malay scripts (pre-Jawi) of Champa and Srivijaya Centre for Documentation on Modern Indonesia, Royal Institute of Linguistics and Anthropology
[3] 강연 Communist Mass Killings: Cambodia (1975–1979) Keene State College. Cohen Center, Keene, NH 2015-02-17
[4] 학위논문 Prosody and Intonation of Western Cham http://www.ling.hawa[...] University of Hawaiʻi at Mānoa 2011
[5] 서적 A Grammatical Sketch of Eastern Cham 2013
[6] 논문 Contact-induced change? Register in three Cham dialects https://www.research[...] University of Ottawa 2009
[7] 간행물 The phonology of Kompong Thom Cham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University of London 1991
[8] harvnb
[9] harvnb
[10] harvnb
[11] harvnb
[12] harvnb
[13] harvnb
[14] harvnb
[15] harvnb
[16] harvnb
[17] harvnb
[18] 문서
[19] 논문 Diglossia, Bilingualism, and the Revitalization of Written Eastern Cham 2008
[20] 서적 Variation in Indigenous Minority Languages John Benjamins 2009
[21] harvnb
[22] 서적 Các dân tộc ít người ở Việt Nam: các tỉnh phía nam Nhà xuất bản khoa học xã hội 2014
[23] Citation L2/19-217 Proposal to Encode Western Cham in the UCS https://www.unicode.[...] 2019
[24] 논문 The Changing Fates of the Cambodian Islamic Manuscript Tradition 2019
[25] 서적 From Ancient Cham to Modern Dialects: Two Thousand Years of Language Contact and Change: With an Appendix of Chamic Reconstructions and Loanwords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9
[26] 문서 From Ancient Cham to Modern Dialects https://www.jstor.or[...] 1999
[27] 문서 Acehnese and the Aceh-Chamic Language Family https://www.academia[...] 2005
[28] 문서 Harak Patao Cam http://www.tufs.ac.j[...]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