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처치-튜링 논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처치-튜링 논제는 "모든 유효하게 계산 가능한 함수는 튜링 기계로 계산 가능하다"는 명제이다. 이 논제는 계산 가능성을 정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튜링 기계와 동등한 계산 모델을 통해 표현될 수 있는 함수를 의미한다. 처치-튜링 논제는 수학적 정리가 아닌 정의 또는 가설로 간주되며, 다양한 계산 모델의 개발과 함께 그 지위와 의의가 논의되어 왔다. 또한, 이 논제는 물리적 처치-튜링 논제, 복잡성 이론적 처치-튜링 논제 등으로 확장되었으며, 철학적 함의와 계산 불가능한 함수, 그리고 초계산 등의 개념과도 연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앨런 튜링 - 튜링 테스트
    튜링 테스트는 앨런 튜링이 제안한 기준으로, 기계가 인간과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행동하는지 판별하며, 뢰브너 상 등을 통해 실현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고, 유진 구스트만, LaMDA, ChatGPT 등이 테스트 통과 또는 자의식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 앨런 튜링 - 이미테이션 게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군의 에니그마 암호 해독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수학자 앨런 튜링의 실화를 바탕으로, 암호 해독팀이 암호 해독 기계 "봄베"를 개발하는 과정과 전후 동성애 사실이 밝혀져 박해받는 그의 비극적인 삶을 그린 2014년 영화이다.
  • 계산 이론 - 튜링 완전
    튜링 완전은 계산 이론에서 시스템이 튜링 기계와 동등한 계산 능력을 갖춰 튜링 기계가 계산할 수 있는 모든 함수를 계산하고 범용 튜링 기계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튜링 동등이라고도 한다.
  • 계산 이론 - 디지털 물리학
    디지털 물리학은 우주를 거대한 디지털 컴퓨터로 보고 정보 이론, 통계 역학, 양자역학 등을 융합하여 우주의 작동 방식을 디지털 계산 과정으로 설명하려는 이론적 관점이다.
  • 계산 가능성 이론 - 튜링 기계
    튜링 기계는 앨런 튜링이 제시한 계산 모델로, 테이프 위에서 기계적으로 작동하며, 유한한 상태, 테이프, 헤드, 명령 표를 통해 작동하고, 계산 가능성과 알고리즘의 한계를 연구하는 데 사용된다.
  • 계산 가능성 이론 - 람다 대수
    람다 대수는 알론조 처치가 수학기초론 연구를 위해 도입한 형식 체계로, 초기 체계의 모순 수정 후 유형 없는 람다 대수와 단순 유형 람다 대수가 발표되었으며, 프로그래밍 언어와의 관계가 명확해지면서 컴퓨터 과학과 언어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함수형 프로그래밍 언어의 기반이 되었고, 튜링 완전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처치-튜링 논제

2. 역사

1930년대 논리학자들에게 중요한 문제는 다비트 힐베르트빌헬름 아커만이 제기한 결정 문제였다.[12] 이 문제는 수학적 진실과 거짓을 구별하는 기계적인 절차가 있는지 묻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알고리즘" 또는 "유효 계산 가능성"의 개념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었다.[13]

이 문제를 연구하면서, 알론조 처치와 그의 제자 스티븐 콜 클리니는 λ-정의 가능 함수 개념을 도입했고, 수론에서 자주 접하는 여러 함수들이 λ-정의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했다.[15] 처치는 "효율적으로 계산 가능한" 함수를 λ-정의 가능 함수로 정의해야 한다고 쿠르트 괴델에게 제안했지만, 괴델은 이를 "전적으로 만족스럽지 않다"고 말했다.[16] 괴델은 "효율적 계산 가능성" 개념을 공리화할 것을 제안했지만, 더 구체적인 지침은 제시하지 않았다.[26]

이후 클리니는 처치와 J. 버클리 로서의 도움을 받아 λ-계산법과 "일반" 재귀, 두 계산법이 동등하다는 증거를 제시했다(1933, 1935).[18] 처치는 자신의 방법을 수정하여 Herbrand-Gödel 재귀를 포함시켰고, 결정 문제가 풀 수 없다는 것을 증명했다.[18] 1965년경 괴델은 1934년 당시 자신의 재귀 개념이 모든 재귀를 포함한다고 확신하지 않았다고 회고했다.[19] 1963~1964년경 괴델은 튜링 기계를 선호하게 되었다.[20]

1936년 말 앨런 튜링의 논문이 발표되었고, 에밀 포스트의 논문은 튜링의 연구와 독립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21][22] 포스트는 처치의 효율적 계산 가능성을 λ-계산법 및 재귀와 "동일시"하는 것에 반대하며, 이를 "작업 가설"로 간주했다.[23][24] 그는 "효율적 계산 가능성"이라는 개념이 "정의 또는 공리"가 아니라 "귀납적 추론"에 의해 "자연 법칙"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보았다.[24]

얼마 지나지 않아 튜링의 1936-1937년 논문이 발표되었고, 그는 튜링 기계 추상 계산 모델을 도입하여 "효율적 계산 가능성"에 대한 또 다른 개념을 제시했다.[21] 튜링은 λ-계산법과 튜링 기계로 정의된 함수 클래스가 일치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27] 처치는 튜링의 분석이 설득력이 있다고 빠르게 인정했다.[28]

1939년까지 처치(1934)와 튜링(1939)은 개별적으로 자신의 "형식적 시스템"이 "효율적 계산 가능성"의 ''정의''가 되어야 한다고 제안했다.[30] J. 버클리 로서(1939)는 세 가지 개념을 정의로 공식적으로 동일시했다.[31]

1943년 스티븐 콜 클리니는 "테제 I"을 제안했다.[32] 클리니는 자신의 저서 "메타수학 입문"에서 "처치의 테제"와 "튜링의 테제"라는 용어를 공식적으로 명명했다. 그는 앨런 튜링의 논문 개념을 명확히 하는 데 도움을 주는 섹션에서 처음으로 "처치-튜링 테제"라는 용어를 사용한다.[35]

2. 1. 1930년대 초: 계산 가능성 개념의 등장

1930년대 초, 다비트 힐베르트빌헬름 아커만이 제기한 결정 문제는 수학적 참과 거짓을 판별하는 기계적 절차의 존재 여부에 대한 질문이었다.[12]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알고리즘' 또는 '유효 계산 가능성' 개념을 명확히 정의할 필요가 있었다.[13]

자크 에르브랑쿠르트 괴델은 원시 귀납적 함수를 확장한 귀납적 함수(혹은 일반 귀납적 함수)라는 개념을 제시했다.[35] 알론조 처치스티븐 클레이니람다 대수를 사용하여 정의 가능한 함수 클래스를 정했다.[15] 에밀 포스트앨런 튜링은 튜링 머신 개념을 통해 이념적 계산 기계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클래스를 정의했다.[35]

이처럼 여러 가지 계산 가능한 수론적 함수 클래스가 제시되었고, 이들은 서로 같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이전에는 비형식적으로 '실질적으로 계산 가능한 함수'라고 불리던 개념을 '계산 가능한 함수'로 정의하자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것이 바로 처치-튜링 논제이다.[35]

2. 2. 1930년대 중반 ~ 1950년대 초: 처치-튜링 명제의 정립

스티븐 클리니가 "처치의 명제"와 "튜링의 명제"라는 용어를 공식적으로 명명하면서, 여러 계산 모델의 동등성이 증명되었다.[35] 1930년대 중반, 처치와 클리니는 λ-정의 가능 함수 개념을 도입하고, 많은 함수들이 λ-정의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했다.[15] 그러나 괴델은 "효율적으로 계산 가능한" 함수를 λ-정의 가능 함수로 정의하자는 처치의 제안에 동의하지 않았다.[16] 괴델은 "효율적 계산 가능성" 개념을 공리화할 것을 제안했지만, 더 이상의 지침은 없었다.[26]

이후 λ-계산법과 "일반" 재귀를 통해 클리니는 처치와 J. 버클리 로서의 도움으로 두 계산법이 동등하다는 증거를 제시했다(1933, 1935).[18] 처치는 자신의 방법을 수정하여 Herbrand-Gödel 재귀를 포함시켰고, 결정 문제가 풀 수 없다는 것을 증명했다.[18] 1965년경 괴델은 1934년 당시 자신의 재귀 개념이 모든 재귀를 포함한다고 확신하지 않았다고 말했다.[19] 1963~1964년경 괴델은 튜링 기계를 선호하게 되었다.[20]

1936년 말 앨런 튜링의 논문이 발표되었고, 에밀 포스트의 논문은 튜링의 연구와 독립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21][22] 포스트는 처치의 효율적 계산 가능성을 λ-계산법 및 재귀와 "동일시"하는 것에 반대하며, 이를 "작업 가설"로 간주했다.[23][24]

얼마 지나지 않아 튜링의 1936-1937년 논문이 발표되었고, 그는 튜링 기계 추상 계산 모델을 도입하여 "효율적 계산 가능성"에 대한 또 다른 개념을 제시했다.[21] 튜링은 λ-계산법과 튜링 기계로 정의된 함수 클래스가 일치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27] 처치는 튜링의 분석이 설득력이 있다고 인식했다.[28]

1939년까지 처치(1934)와 튜링(1939)은 개별적으로 자신의 "형식적 시스템"이 "효율적 계산 가능성"의 ''정의''가 되어야 한다고 제안했다.[30] 로서(1939)는 세 가지 개념을 정의로 공식적으로 동일시했다.[31]

1943년 클리니는 "테제 I"을 제안했다.[32]

클리니는 "메타수학 입문"에서 "처치의 테제"와 "튜링의 테제"라는 용어를 공식적으로 명명했다.

클리니는 앨런 튜링의 논문의 개념을 명확히 하는 데 도움을 주는 섹션에서 처음으로 "처치-튜링 테제"라는 용어를 사용한다.[35]

2. 3. 1950년대 이후 ~ 현재: 처치-튜링 명제의 발전과 확장

로빈 갠디는 1980년에 튜링 기계가 수행하는 인간 계산과 달리 '기계' 계산을 분석하였다. 그는 세포 자동자, 병렬성, 결정론적 자동자에 대한 분석을 통해 네 가지 원칙을 제안했다. 특히, 네 번째 원칙인 "인과율"은 현대 물리학에 기반하여 원격 작용을 배제한다.[36][37] 이러한 원칙과 추가 제약 조건들을 통해 그는 "원칙 I-IV를 만족하는 장치에 의해 계산될 수 있는 것은 계산 가능하다"는 정리를 도출했다.[38]

1990년대 후반, 빌프리트 지그는 튜링과 갠디의 "유효한 계산 가능성" 개념을 분석하여 공리적으로 공식화하려 했다.[39] 그는 1997년과 2002년의 연구에서 ''컴퓨터''(기계적으로 계산하는 인간)의 행동에 대한 제약 조건을 제시했다. 이 제약 조건은 다음과 같다:

  • (B.1) (경계): 즉시 인식 가능한 기호 구성의 수에 고정된 경계가 있다.
  • (B.2) (경계): 가질 수 있는 내부 상태의 수에 고정된 경계가 있다.
  • (L.1) (지역성): 관찰된 기호 구성 요소만 변경할 수 있다.
  • (L.2) (지역성): 주의를 다른 구성으로 옮길 수 있지만, 새롭게 관찰된 구성은 바로 이전에 관찰된 구성에서 경계 내 거리에 있어야 한다.
  • (D) (결정론): 즉시 인식 가능한 (부분) 구성은 다음 계산 단계를 고유하게 결정한다.[40]


이 문제는 학계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41][42]

유효한 계산 가능성을 설명하기 위해 재귀, λ-대수, 튜링 기계 외에도 다양한 형식론이 제안되었다. 클리니(1952)는 쿠르트 괴델(1936)의 "S1 시스템에서 ''계산 가능한''" 함수와 에밀 포스트(1943, 1946)의 "''정규''(''정상''이라고도 불림) ''시스템''"을 추가했다.[45] 1950년대에 하오 왕과 마틴 데이비스는 단일 테이프 튜링 머신 모델을 단순화했다(포스트-튜링 머신 참조). 마빈 민스키는 모델을 2개 이상의 테이프로 확장하고, 테이프를 "상하 카운터"로 단순화했으며, 멜작과 람벡은 이를 발전시켜 카운터 머신 모델을 만들었다.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 연구자들은 카운터 머신 모델을 레지스터 머신으로 확장했다. 다른 모델로는 조합 논리, 마르코프 알고리즘, 포인터 머신 등이 있다. 이러한 모델들은 모두 튜링 완전하다고 증명되었다.

이러한 다양한 시도들이 동등한 결과를 낳았기 때문에, 처치-튜링 논제가 옳다고 일반적으로 추정된다. 괴델(1936)은 "계산 가능"이라는 개념에 "절대적인" 무언가가 있다고 관찰했다.[47]

처치-튜링 논제의 성공은 여러 변형을 낳았다. '''물리적 처치-튜링 논제'''는 "모든 물리적으로 계산 가능한 함수는 튜링-계산 가능하다"고 진술한다.[50]

처치-튜링 논제는 한 계산 모델이 다른 모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는다. '''실현 가능성 논제''' 또는 '''복잡성 이론적 처치-튜링 논제'''는 "확률적 튜링 기계는 모든 현실적인 계산 모델을 효율적으로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고 진술한다.[53] 여기서 '효율적으로'는 다항 시간 환원까지를 의미한다. '''불변성 논제'''는 '합리적인' 기계가 시간 면에서 다항식, 공간 면에서 상수 계수 오버헤드 내에서 서로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고 진술한다.[54]

만약 BQPBPP의 엄격한 상위 집합으로 밝혀진다면, 복잡성 이론적 처치-튜링 논제는 무효화될 것이다. '''양자 복잡성 이론적 처치-튜링 논제'''는 "양자 튜링 기계는 모든 현실적인 계산 모델을 효율적으로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고 진술한다.[53]

Eugene Eberbach와 Peter Wegner는 처치-튜링 논제가 너무 광범위하게 해석된다고 주장하며, 알고리즘이 계산할 수 있는 것을 정확하게 포착하지 못하는 형태의 계산(슈퍼-튜링 계산)이 있다고 주장한다.[56]

3. 처치-튜링 명제의 내용

로서는 "유효 계산 가능성"의 개념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유효한 방법'은 여기서 각 단계가 정확하게 미리 결정되어 있으며 유한한 단계 내에서 답을 확실하게 내는 방법이라는 다소 특별한 의미로 사용된다".[7] 여기서 "유효한"은 "결정적이고, 단호하며, 원하는 효과를 내는", 그리고 "결과를 생성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된다.[8][9]

"유효하게 계산 가능한"은 "직관적으로 '유효한' 모든 수단으로 생성된"을 의미하며, "유효하게 계산 가능한"은 "튜링 머신 또는 동등한 기계 장치에 의해 생성된"을 의미한다. 1938년 서수에 기초한 논리 체계에서 튜링이 제시한 "정의"는 사실상 동일하다.

We shall use the expression "calculable function" to mean a function calculable by a machine, and we let "effectively calculable" refer to the intuitive idea without particular identification with any one of these definitions|우리는 "계산 가능한 함수"라는 표현을 기계에 의해 계산 가능한 함수를 의미하는 데 사용할 것이며, "유효하게 계산 가능한"은 이러한 정의 중 어느 하나와 특별히 동일시하지 않고 직관적인 아이디어를 나타내는 데 사용할 것이다.영어[10]

이 논제는 다음과 같이 진술될 수 있다. ''모든 유효하게 계산 가능한 함수는 계산 가능한 함수이다''.[11] 처치는 "어떤 계산 절차도 튜링 머신으로 표현될 수 없다면 알고리즘으로 간주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튜링은 다음과 같이 진술했다.

...a function is said to be "effectively calculable" if its values can be found by some purely mechanical process. We may take this literally, understanding that a purely mechanical process is one which could be carried out by a machine. ...is... the identification of computability with effective calculability.|...어떤 함수는 순수한 기계적 과정에 의해 그 값을 찾을 수 있다면 유효하게 계산 가능하다"고 언급되었다. 우리는 이를 문자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으며, 순수한 기계적 과정은 기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과정이라고 이해한다. ...의 발전은... 계산 가능성과 유효 계산 가능성의 동일화로 이어진다.영어[10]

1932년 에르브랑과 1934년 괴델은 원시 귀납적 함수라고 불리는 자연수 위의 함수의 명시적 구성법을 확장하여 귀납적 함수(혹은 일반 귀납적 함수)라고 불리는 함수의 구성법을 만들었다. 1933년부터 1935년경에는 처치클레이니가 역시 함수의 구성적인 정의법인 람다 표기법을 사용하여 정의 가능한 함수의 클래스를 정했다. 또한, 1935년부터 1936년에 걸쳐 포스트튜링은 튜링 머신의 개념을 이용하여 이념적 계산 기계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의 클래스를 정했다.

이처럼 거의 동시기에 나타난 여러 가지 계산 가능한 수론적 함수의 클래스는 사실 서로 같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이로 인해, 지금까지 비형식적으로 "실질적으로 계산 가능한 함수"(effectively computable function)라고 불리던 이 클래스를 가지고 "계산 가능한 함수"로 간주하자는 주장이 나오게 되었다. 이것이 처치-튜링 논제라고 불리는 주장이다. 이 의미에서 계산 가능한 함수는 튜링 계산 가능한 함수, 또는 단순히 계산 가능 함수라고 불리게 되었다. 이 주장은 처치, 튜링 논문을 참조하여 1943년에 클레이니에 의해 제기되었다.

이 주장은 수학적 정리가 아니므로 증명되어야 할 사항은 아니다. "계산 가능하다"는 일상적인 의미를 고려하지 않고, 순수하게 형식적으로 생각한다면, 이 주장은 단순히 계산 가능 함수의 개념을 정의한 것으로도 받아들일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이것을 "계산 가능하다"는 직관적 개념에 대한 일종의 가설로 받아들일 수도 있다. 이 마지막 경우, 처치-튜링 논제는 절차에 따라 실제로 수행할 수 있는 어떠한 계산도, 여기서 제시된 귀납적 함수의 클래스를 넘어설 수 없다고 주장한다.

4. 처치-튜링 명제의 지위와 의의

처치-튜링 명제는 수학적 정리가 아니라 일종의 정의 또는 가설로 간주된다.

만약 정의로 간주된다면, 이는 계산 가능성 개념을 형식적으로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

반면 가설로 간주될 경우, 이는 실제로 수행 가능한 모든 계산이 튜링 기계의 범위를 넘을 수 없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24]

처치-튜링 명제가 널리 받아들여지게 된 배경에는 여러 가지 계산 모델의 등장이 있다. 1930년대에 자크 에르브랑쿠르트 괴델은 원시 귀납적 함수를 확장한 귀납적 함수(혹은 일반 귀납적 함수)를 제시했다.[45] 같은 시기 처치클레이니람다 표기법을 사용하여 정의 가능한 함수 클래스를 정했다.[15] 또한, 에밀 포스트앨런 튜링은 튜링 머신 개념을 통해 이념적 계산 기계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클래스를 정의했다.[21][22]

이처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정의된 계산 가능한 수론적 함수 클래스들이 사실상 동일하다는 것이 증명되면서,[27] 비형식적으로 "실질적으로 계산 가능한 함수"라고 불리던 개념을 "계산 가능한 함수"로 정의하자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게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1943년 클레이니처치와 튜링의 논문을 참조하여 이 주장을 처치-튜링 명제로 명명했다.[32]

처치-튜링 명제는 증명 가능한 수학적 정리가 아니기 때문에, 이를 계산 가능 함수 개념의 정의로 받아들이거나, "계산 가능하다"는 직관적 개념에 대한 가설로 간주할 수 있다. 만약 가설로 간주한다면, 처치-튜링 명제는 실제로 수행 가능한 모든 계산이 튜링 기계로 대표되는 귀납적 함수의 클래스를 벗어날 수 없다고 주장하는 것이 된다.

계산 가능성 이론에서는 함수의 계산 가능성을 증명할 때, 엄격하고 형식적인 증명 대신 처치-튜링 명제를 비공식적으로 적용하는 경우가 많다.[48] 예를 들어, 어떤 함수를 효과적으로 계산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을 제시하고, "처치-튜링 명제에 의해" 이 함수가 튜링 계산 가능하다고 결론 내리는 방식이다.

5. 처치-튜링 명제의 철학적 함의

B. 잭 코플랜드는 튜링 기계로 시뮬레이션할 수 없는 실제 결정론적 물리 과정이 존재하는지, 그리고 그러한 과정이 인간 두뇌 작용에 관여하는지는 열려 있는 경험적 질문이라고 말한다.[60] 처치-튜링 논제와 물리학의 관계, 그리고 초계산 가능성을 다루는 몇 가지 중요한 열린 질문도 있다. 이 논제를 물리학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여러 의미를 가질 수 있다.

# 우주는 튜링 기계와 동일하다. 따라서 비재귀적 함수를 계산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 이는 강한 처치-튜링 논제 또는 처치-튜링-도이치 원리라고 불리며, 디지털 물리학의 기초이다.

# 우주는 튜링 기계와 동일하지 않지만(즉, 물리 법칙은 튜링 계산 불가능하지만), 계산 불가능한 물리적 사건은 초컴퓨터를 구축하는 데 이용될 수 없다. 예를 들어, 물리학이 계산 가능한 실수와 반대로, 무작위 실수를 포함하는 우주는 이 범주에 속한다.

# 우주는 초컴퓨터이며, 이러한 속성을 활용하고 비재귀적 함수를 계산하기 위해 물리적 장치를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든 양자역학적 사건이 튜링 계산 가능한지는 열린 질문이지만, 양자 튜링 기계와 같은 엄격한 모델은 결정론적 튜링 기계와 동일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들이 반드시 효율적으로 동일하지는 않다.) 존 루카스와 로저 펜로즈는 인간의 마음이 일종의 양자역학적으로 향상된 "비알고리즘적" 계산의 결과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61][62]

이 세 가지 범주 외부 또는 사이에 속하는 다른 많은 기술적 가능성이 있지만, 이것들은 이 개념의 범위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

6. 계산 불가능한 함수

계산 불가능한 함수는 형식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러한 함수의 잘 알려진 예는 비지 비버 함수이다. 이 함수는 입력 ''n''을 받아 무입력 상태에서 실행될 때 ''n''개의 상태를 가진 튜링 기계가 정지하기 전에 인쇄할 수 있는 최대 기호 수를 반환한다. 비지 비버 함수에 대한 상한을 찾는 것은 정지 문제를 해결하는 것과 동일하며, 이는 튜링 기계로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로 알려져 있다. 비지 비버 함수는 튜링 기계로 계산할 수 없으므로, 처치-튜링 논제는 이 함수가 어떤 방법으로도 효과적으로 계산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몇 가지 계산 모델은 (처치-튜링) 계산 불가능한 함수의 계산을 허용한다. 이것들은 하이퍼컴퓨터로 알려져 있다.

마크 버긴은 초재귀 알고리즘과 같은 귀납적 튜링 기계가 처치-튜링 논제를 반증한다고 주장한다.[64] 그의 주장은 일반적인 알고리즘보다 더 넓은 알고리즘 정의에 의존하므로, 일부 귀납적 튜링 기계에서 얻은 계산 불가능한 함수는 계산 가능하다고 불린다. 처치-튜링 논제에 대한 이러한 해석은 위에서 논의된, 계산 가능성 이론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해석과 다르다. 초재귀 알고리즘이 실제로 처치-튜링 논제의 의미에서 알고리즘이라는 주장은 계산 가능성 연구 커뮤니티 내에서 광범위한 지지를 얻지 못했다.

참조

[1] 논문 "Turing Oracle Machines, Online Computing, and Three Displacements in Computability Theory" http://www.people.cs[...]
[2] video Turing, Church, Gödel, Computability, Complexity and Randomization: A Personal View http://videolectures[...] 2021-12-05
[3] 간행물 1936a
[4] 간행물 1936
[5] 간행물 1937a
[6] 간행물 1936
[7] 간행물 Davis 1939
[8] dictionary
[9] dictionary http://www.merriam-w[...] 2014-07-26
[10] thesis Systems of Logic Based on Ordinals https://webspace.pri[...] Princeton University 2012-06-23
[11] 간행물 1980
[12] 서적 Grundzüge der theoretischen Logik Springer, Berlin, Germany 1928
[13] 간행물 An Unsolvable Problem of Elementary Number Theory Davis 1936
[14] 뉴스 Church's Thesis after 70 Years http://www.logicmatt[...] 2007-07-11
[15] 간행물 An Unsolvable Problem of Elementary Number Theory Davis 1936a
[16] 간행물 1997
[17] 간행물 Davis 1997
[18] 간행물 Davis 1936
[19] 간행물 Gödel Davis 1934
[20] 서적 Church's Thesis After 70 Years De Gruyter 2016-02-08
[21] 간행물 1937a
[22] 간행물 Finite Combinatory Process. Formulation I. Davis 1936
[23] 간행물 Davis 1936
[24] 간행물 Davis 1936
[25] 간행물 1997
[26] 간행물 1997
[27] 간행물 Davis 1936–1937
[28] 간행물 1937
[29] 간행물 Davis 1939
[30] 간행물 Davis 1934
[31] 간행물 Davis 1939
[32] 간행물 Davis 1943
[33] 간행물 1952
[34] 간행물 1952
[35] 간행물 1952
[36] 간행물 1980
[37] 간행물 1980
[38] 간행물 1980
[39] 간행물 1998–1999
[40] 간행물 1998–1999
[41] 간행물 2006
[42] 웹사이트 Did Church and Turing Have a Thesis about Machines? http://www.turing.or[...] 2014-07-27
[43] 서적 Collected Works https://google books[...]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44] 논문 Computability and Recursion 1996-09
[45] 간행물 1952
[46] 간행물 1988
[47] 문서 Translation of Gödel (1936) by Davis in The Undecidable p. 83, differing in the use of the word 'reckonable' in the translation in Kleene (1952) p. 321
[48] 간행물 2006
[49] 간행물 2001
[50] 논문 Computationalism, the Church–Turing Thesis, and the Church–Turing Fallacy http://www.umsl.edu/[...] 2007-01
[51] 서적 Complexity Theory: A Modern Approach http://www.cs.pri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52] 웹사이트 Official Problem Description http://www.claymath.[...]
[53] 서적 An introduction to quantum computing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54] 서적 Handbook of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 Elsevier 1990
[55] conference On tape versus core: an application of space efficient perfect hash functions to the invariance of space 1984-12
[56] 간행물 2003
[57] 논문 Philosophy of mind is (in part) philosophy of computer science. https://dl.acm.org/d[...] 2011
[58] 웹사이트 The Church-Turing Thesis 2017-11-10
[59] 서적 Philosophy of Mind: Classical and Contemporary Readings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60] 서적 The Blackwell guide to the philosophy of computing and information Wiley-Blackwell 2004
[61] 서적 The Emperor's New Mind: Concerning Computers, Minds, and the Laws of Physics Oxford University Press 1990
[62] 서적 The Emperor's New Mind: Concerning Computers, Minds, and the Laws of Physics Oxford University Press 1990
[63] 서적 Classical Recursion Theory North Holland 1989
[64] 서적 Super-Recursive Algorithms Springer 2005
[65] 뉴스 로봇 발전에 기여한 3人을 기억하며 https://news.naver.c[...] 전자신문 2009-1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