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44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444년은 여러 국가에서 연호가 사용되었으며, 주요 사건과 인물의 출생 및 사망이 기록된 해이다. 조선에서는 세종 26년으로, 공법인 연분9등법과 전분6등법이 시행되었고, 잉글랜드와 프랑스 간에는 투르 조약이 체결되어 백년 전쟁의 휴전이 이루어졌다. 또한, 오스만 제국은 카라만 왕조와 평화를 맺고, 바르나 전투에서 폴란드의 브와디스와프 3세가 전사하면서 헝가리-폴란드 연합이 종식되었다. 주요 인물로는 조선의 영순군, 일본의 이세 사다무네, 갈레아초 마리아 스포르차 등이 태어났으며, 레오나르도 브루니, 브와디스와프 3세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444년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연도 | 1444년 |
사건 | |
정치 | 알바니아의 레자 연맹이 무라트 2세에 대항하여 설립됨. |
문화 | 베른에서 종교 개혁을 단행함. |
경제 | 스웨덴에서 엔겔브렉트 반란이 발발함. |
기타 | 고아즈 공작 존이 프랑스의 경찰관이 됨. |
탄생 | |
1월 26일 | 레오나르도 데 토레 |
2월 17일 | 루돌프 3세 |
3월 2일 | 산드로 보티첼리 |
5월 16일 | 가브리엘레 벤투리 |
7월 12일 | 파라치니 아르디니 |
9월 14일 | 아드리안 폰테 |
9월 29일 | 에베르트 1세 |
날짜 불명 | 도메니코 기를란다이오 카탈리나 드 에세베스 |
사망 | |
2월 8일 | 브란단 |
3월 9일 | 레오나르도 브루니 |
4월 26일 | 로베르트 드 마시 |
5월 20일 | 성 베르나르디노 |
6월 15일 | 카스탈리온 |
9월 2일 | 탈리니 |
10월 12일 | 존 마이어 |
10월 18일 | 야곱의 4세 |
11월 23일 | 존 보포트 |
12월 7일 | 토마스 레오나르드 |
날짜 불명 | 조반니 토르셀리 파울로 캄파노 기욤 3세 드 멜론 |
2. 연호
3. 기년
4. 사건
4. 1. 동아시아
- 2월 23일일본어 (가키쓰 4년 2월 5일일본어) - 가키쓰에서 분안으로 개원하였다.
- 4월 30일일본어 (분안 원년 4월 13일일본어) - 분안의 엿기름 소동으로 무로마치 막부의 군사가 기타노텐만구를 불태웠다.
4. 2. 유럽
- 5월 22일 - 잉글랜드와 프랑스 사이에 투르 조약이 체결되어 백년 전쟁이 5년간 휴전되었다.[1]
- 6월 15일 - 코시모 데 메디치가 피렌체 산 마르코에 공공 도서관을 설립했다.[1]
- 8월 15일 - 튀르크계 오스만 제국과 헝가리 사이에 세게드 조약이 체결되었다.
- 3월 2일 – 알바니아 여러 공국들의 동맹인 레제 동맹이 레제에서 성립되었고, 스칸데르베그가 알바니아 저항군의 지휘관으로 선포되었다.
- 6월 29일 – 토르비올 전투: 스칸데르베그가 오스만 군대를 패퇴시켰다.
- 8월 26일 – 구 취리히 전쟁 – 생자크 안 데르 비르 전투: 잉글랜드와의 휴전으로 군대가 놀고 있던 문제아들을 해결하기 위해 프랑스의 샤를 7세는 아들(도핀 루이)을 대규모 군대와 함께 스위스로 보내 신성 로마 제국의 프리드리히 3세의 주장을 지원했다. 수적으로 압도적으로 불리했던 스위스군은 이 전투에서 궤멸되었지만, 프랑스군에게 큰 피해를 입혀 프랑스군은 철수했다.
- 8월 – 카라만 왕조와 평화를 맺은 후, 오스만 술탄 무라드 2세는 아들 메흐메트 2세에게 퇴위했다.
- 11월 10일 - 바르나 전투: 폴란드의 블라디스와프 3세와 헝가리의 십자군은 술탄 무라드 2세 지휘하의 튀르크군에게 패배했다. 블라디스와프가 사망하면서 야기에우워 왕조의 헝가리-폴란드 연합이 종식되었다.
-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라이올로고스는 모레아 데스포타트의 통치자로서 아테네 공국(당시 피렌체의 지배하에 있었음)을 침략하여 조공을 바치게 하고 테베를 비잔티움 제국에 반환하도록 강요한다.
- 이집트 술탄의 군대는 로도스 기사단으로부터 로도스를 함락시키지 못한다.
- 포르투갈 탐험가들이 세네갈 강과 감비아 강 어귀에 도착한다.
- 아프리카 노예 판매를 위한 최초의 유럽 노예 시장인 메르카도 데 에스크라보스가 포르투갈 라구스에서 문을 연다.
- 런던의 구 성 바울 대성당에서 큰 화재가 발생한다.
- 이구비네 비석이 이탈리아 구비오에서 발견된다.
4. 3. 오스만 제국
- 8월 - 카라만 왕조와 평화를 맺은 후, 오스만 제국의 술탄 무라드 2세는 아들 메흐메트 2세에게 양위하였다.[2]
- 11월 10일 - 바르나 전투: 폴란드의 블라디스와프 3세와 헝가리의 십자군이 술탄 무라드 2세가 지휘하는 튀르크군에게 패배하였다. 이 전투에서 블라디스와프 3세가 사망하면서 야기에우워 왕조의 헝가리-폴란드 연합이 종식되었다.[2]
4. 4. 기타 지역
- 5월 22일 – 영국과 프랑스 사이에 투르 조약이 체결되어 백년 전쟁에서 5년간 휴전이 이루어졌다.[1]
- 6월 15일 – 코시모 데 메디치가 피렌체에 로렌치아 도서관을 설립했다.[1]
- 8월 15일 – 오스만 제국과 헝가리 왕국 사이에 세게드 조약이 체결되었다.
- 8월 – 오스만 제국의 무라트 2세가 12살 된 아들 메흐메트 2세에게 양위했다.
- 11월 10일 - 바르나 전투: 폴란드의 브와디스와프 3세가 무라드 2세 술탄의 오스만 제국과 전투를 벌이다 사망했다.
- 이집트 술탄의 군대는 로도스 기사단으로부터 로도스를 빼앗는 데 실패했다.
- 포르투갈 탐험가들은 세네갈과 감비아 강 어귀에 도달했다.
- 아프리카 노예시장 개설 -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 시장이 포르투갈 라구스에 열렸다.[7][8][9][10]
- 런던의 올드 세인트 폴 대성당에서 심각한 화재가 발생했다.
- 3월 2일 – 알바니아 여러 공국들의 동맹인 레제 동맹이 레제에서 성립되었고, 스칸데르베그가 알바니아 저항군의 지휘관으로 선포되었다.
- 6월 29일 – 토르비올 전투: 스칸데르베그가 오스만 군대를 패퇴시켰다.
- 8월 6일 – 란사로테 드 프레이타스가 이끄는 카라벨(caravel) 함대가 포르투갈 알가르베에 노예 235명을 상륙시켰다.[2]
- 8월 26일 – 구 취리히 전쟁 – 생자크 안 데르 비르 전투: 프랑스의 샤를 7세는 아들(도핀 루이)을 대규모 군대와 함께 스위스로 보내 신성 로마 제국의 프리드리히 3세의 주장을 지원했다. 스위스군은 이 전투에서 궤멸되었지만, 프랑스군에게 큰 피해를 입혀 프랑스군은 철수했다.
-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는 모레아 데스포타트의 통치자로서 아테네 공국을 침략하여 조공을 바치게 하고 테베를 비잔티움 제국에 반환하도록 강요했다.
- 이구비네 비석이 이탈리아 구비오에서 발견되었다.
- 몰다비아의 스테판 2세는 그의 이복형제이자 야노시 후냐디의 매제인 페트루 3세를 공동 통치자로 삼는다.
- 2월 23일 - 일본에서 분안으로 연호가 변경되었다.
- 4월 30일 - 분안의 엿기름 소동으로 무로마치 막부의 군사가 기타노 텐만구를 불태웠다.
5. 탄생
- 1월 24일 - 갈레아초 마리아 스포르차, 밀라노 공작[3]
- 2월 29일 - 세라피욘 노브고로트 1세, 모스크바 대공국의 정교회 대주교
- 3월 15일 - 프란체스코 곤자가, 가톨릭 추기경
- 4월 22일 - 요크의 엘리자베스, 서퍽 공작 부인
- 5월 29일 - 폰메라니아-슈테틴의 오토 3세, 폰메라니아-슈테틴 공작
- 6월 14일 - 닐라칸타 소마야지, 인도의 천문학자이자 수학자
- 6월 25일 - 페데리코 1세 곤자가, 만토바 후작, 콘도티에레
- 6월 28일 - 샤를로트, 키프로스 여왕
- 10월 18일 - 존 모브레이, 잉글랜드의 귀족, 노퍽 공
- 술탄 쿨리 쿠투브 울 뮬크, 쿠투브 샤히 왕국의 창시자
- 가스통 드 푸아, 나바라 왕국의 왕족, 비아나 공
5. 1. 동아시아
- 5월 21일 (문안 원년 5월 4일) - 이세 사다무네(伊勢貞宗), 무로마치 시대, 전국 시대의 무장 (+ 1509년)
- 오토모 마사치카(大友政親), 무로마치 시대, 전국 시대의 전국 다이묘 (+ 1496년)
- 가모우 사다히데(蒲生貞秀), 무로마치 시대, 전국 시대의 무장, 가인 (+ 1514년)
- 코노에 마사이에(近衛政家), 무로마치 시대, 전국 시대의 공경, 후지와라 북가섭가코노에가의 제13대 당주 (+ 1505년)
- 나와 요시오키(名和義興),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나와 씨의 제18대 당주 (+ 1460년)
- 닛신(日真), 무로마치 시대의 닛렌 종의 승려 (+ 1528년)
- 마치 히로미츠(町広光), 무로마치 시대, 전국 시대의 공경 (+ 1504년)
- 모리 토요모토(毛利豊元),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 1476년)
5. 2. 유럽
- 1월 24일 - 갈레아초 마리아 스포르차, 밀라노 공작 (1476년 사망)
- 3월 15일 - 프란체스코 곤자가, 가톨릭 추기경 (1483년 사망)
- 4월 22일 - 요크의 엘리자베스, 서퍽 공작 부인 (1503년 사망)
- 6월 28일 - 샤를로트, 키프로스 여왕 (1487년 사망)
- 10월 18일 - 존 드 모브레이, 잉글랜드의 귀족, 노퍽 공 (1476년 사망)
- 날짜 미상 - 도나토 브라만테, 르네상스기 이탈리아의 건축가 (1514년 사망)[3]
5. 3. 기타 지역
- 1월 24일 - 갈레아초 마리아 스포르차, 밀라노 공 ([3]1476년 사망)
- 5월 21일 (문안 원년 5월 4일) - 이세 사다무네, 무로마치 시대, 전국 시대의 무장 (1509년 사망)
- 6월 25일 - 페데리코 1세 곤자가, 만토바 후작, 콘도티에레 (1484년 사망)
- 10월 18일 - 존 모브레이, 잉글랜드의 귀족, 노퍽 공 (1476년 사망)
- 오토모 마사치카, 무로마치 시대, 전국 시대의 전국 다이묘 (1496년 사망)
- 가스통 드 푸아, 나바라 왕국의 왕족, 비아나 공 (1470년 사망)
- 가모우 사다히데, 무로마치 시대, 전국 시대의 무장, 가인 (1514년 사망)
- 코노에 마사이에, 무로마치 시대, 전국 시대의 공경, 후지와라 북가섭가코노에가의 제13대 당주 (1505년 사망)
- 술탄 쿨리 쿠투브 울 뮬크, 쿠투브 샤히 왕국의 창시자 (1543년 사망)
- 나와 요시오키,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나와 씨의 제18대 당주 (1460년 사망)
- 닛신, 무로마치 시대의 닛렌 종의 승려 (1528년 사망)
- 도나토 브라만테, 르네상스기 이탈리아의 건축가 ([3]1514년 사망)
- 마치 히로미츠, 무로마치 시대, 전국 시대의 공경 (1504년 사망)
- 모리 토요모토,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1476년 사망)
6. 사망
다음은 1444년에 사망한 인물 목록이다.
- 1월 8일 - 빌헬름 2세, 헨네베르크-슐라이징겐 백작 (1415년 출생)
- 2월 14일 - 앙리에트, 몽벨리아르 백작 부인, 뷔르템베르크의 섭정 (1387년 출생)
- 3월 9일 - 레오나르도 브루니, 이탈리아 인문주의자 (1374년 출생)
- 3월 27일 - 기쿠치 가네토모, 일본 남북조 시대 및 무로마치 시대 무장, 기쿠치씨 제18대 당주 (1383년 출생)
- 4월 26일 - 로베르 캉팽, 플랑드르 화가 (1378년 출생)
- 5월 20일 - 성 베르나르디노 데이 시에나, 이탈리아 프란치스코회 선교사 (1380년 출생)
- 5월 27일 - 존 보퍼트, 잉글랜드의 군 지도자 (1404년 출생)[4]
- 6월 26일 - 이토 스케타테, 무로마치 시대 무장, 히유가 국의 이토씨 당주 (1385년 출생)
- 8월 15일 - 아시나 모리히사, 무로마치 시대 무장, 아시나씨 제10대 당주 (생년 미상)
- 10월 15일 - 니콜로 피치니노, 이탈리아 용병 (1386년 출생)[5]
- 11월 10일 - 브와디스와프 3세, 폴란드와 헝가리, 크로아티아의 국왕 (전투 중 사망) (1424년 출생)[6]
- 11월 25일 - 마르탱 구주, 프랑스 재상
- 상충왕, 류큐 왕국의 제일상씨 왕통 제3대 국왕 (1391년 출생)
- 날짜 미상 - 피에르 파올로 베르제리오, 이탈리아 인문주의자, 정치가, 교회법 학자
6. 1. 동아시아
- 3월 27일 - 기쿠치 가네토모, 남북조 시대 및 무로마치 시대 무장, 기쿠치씨 제18대 당주(* 1383년)
- 6월 26일 - 이토 스케타테, 무로마치 시대 무장, 히유가 국(日向)의 이토씨 당주(* 1385년)
- 8월 15일 - 아시나 모리히사, 무로마치 시대 무장, 아시나씨 제10대 당주(생년 미상)
- 상충왕, 류큐 왕국의 제일상씨 왕통 제3대 국왕(* 1391년)
6. 2. 유럽
- 1월 8일 – 빌헬름 2세 (헨네베르크-슐라이징겐 백작) (1415년 출생)
- 2월 14일 – 앙리에트 (몽벨리아르 백작 부인), 뷔르템베르크의 섭정 (1387년 출생)
- 3월 9일 – 레오나르도 브루니, 이탈리아 인문주의자 (1374년 출생)
- 4월 26일 – 로베르 캉팽, 플랑드르 화가 (1378년 출생)
- 5월 20일 – 성 베르나르디노 데이 시에나, 이탈리아 프란치스코회 선교사 (1380년 출생)
- 5월 27일 – 존 보퍼트, 잉글랜드의 군 지도자 (1404년 출생)[4]
- 10월 15일 – 니콜로 피치니노, 이탈리아 용병 (1386년 출생)[5]
- 11월 10일 – 폴란드의 블라디스와프 3세 (전투 중 사망) (1424년 출생)[6]
- 11월 25일 – 마르탱 구주, 프랑스 재상
- 날짜 미상 – 피에르 파올로 베르제리오 (장로), 이탈리아 인문주의자, 정치가, 교회법 학자
참조
[1]
웹사이트
Foundation of the Library of the Dominican Convent of San Marco, the First "Public" Library in Renaissance Europe
https://www.historyo[...]
2023-01-18
[2]
서적
The Slave Trade: The Story of the Atlantic Slave Trade: 1440 - 1870
https://archive.org/[...]
Simon and Schuster
[3]
서적
Introduction to a Catalogue of the Early Italian Prints in the British Museum
https://books.google[...]
Chiswick Press
[4]
서적
Shakespeare's Holinshed: The Chronicle and the Historical Plays Compared
https://books.google[...]
Chatto and Windus
[5]
서적
Europe (c.1400-1458)
https://books.google[...]
CUA Press
2013-11-01
[6]
서적
A Concise History of Polan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09-20
[7]
서적
스페인,포르투칼사
대한교과서
1988-04-15
[8]
Youtube
[지식향연TV] 대항해시대 열리다' 6부 - 엔히크의 빛과 어둠, 노예시장
https://www.youtube.[...]
[9]
서적
A Long and Uncertain Journey: The 27,000 Mile Voyage of Vasco Da Gama
http://books.google.[...]
Mikaya Press
[10]
서적
History of Portugal
Columbia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