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34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434년은 명나라 선덕 9년, 조선 세종 16년, 후 레 왕조 소평 원년에 해당한다. 장영실이 세계 최초의 자동 물시계인 자격루를 제작하고, 8월 5일 자격루 가동을 시작했으며, 11월 2일에는 앙부일구를 제작했다. 유럽에서는 후스 전쟁의 리파니 전투가 벌어졌고, 얀 반 에이크가 '아르놀피니의 결혼'을 그렸다. 주요 사망 인물로는 정화, 블라디슬라프 2세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434년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기년법 | 단기 3767년 간지 갑인년 서력 기원 1434년 명나라 선덕 9년 일본 에이쿄 6년 응영 41년 류큐 쇼추 5년 |
해당 십간 | 갑 |
해당 십이지 | 인 |
주요 사건 | |
정치 | 조선에서 세종이 최만리 등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훈민정음을 창제하다. (정확한 창제일은 불명확함) 포르투갈의 엔히크 왕자가 질 이아느스를 보내 서아프리카의 보하도르 곶을 탐험하게 하다. 피렌체 공화국의 메디치 가문이 권력을 장악하다. 후금이 명나라를 공격하다. 폴란드 왕국과 독일기사단이 다우넨베르크 전투에서 전투를 벌이다. |
문화 | 얀 판 에이크가 아르놀피니의 결혼을 완성하다. 마사초가 브란카치 예배당의 프레스코 벽화 작업을 시작하다. |
과학 | 요하네스 구텐베르크가 활자 인쇄를 시작하다. |
탄생 | |
1월 1일 | 바츨라프 3세 ( 폴란드 공작) |
3월 19일 | 야코포 데 파치 (피렌체 귀족) |
4월 3일 | 샤를 드 발루아 (프랑스 귀족) |
5월 27일 | 프랑수아 드 발루아 (프랑스 왕족) |
7월 12일 | 시미즈 요시미쓰 (일본 무사) |
8월 26일 | 후루카와 시게타네 (일본 무사) |
12월 28일 | 야오수이 (중국 황족) |
날짜 불명 | 알레산드로 아킬리니 (이탈리아 해부학자) 오제 드 롱비 (프랑스 귀족) 조반니 바티스타 아드리네 (이탈리아 시인) 이세르닝겐의 크리스티안 (독일 귀족) 쿠스 후안 (스페인 귀족) 미하우 치클린스키 (폴란드 귀족) |
사망 | |
1월 17일 | 요한 1세 (키프로스 왕) |
4월 15일 | 아나스타시야 (러시아 공주) |
5월 30일 | 프로코피우스 (후스파 지도자) |
6월 1일 | 브와디스와프 2세 야기에우워 (폴란드 왕) |
6월 6일 | 니콜라스 아포스텔 (폴란드 귀족) |
7월 11일 | 요하나 (나바라 여왕) |
11월 21일 | 베르나르도 드 오리 (스페인 추기경) |
날짜 불명 | 아메리카드스 드 코스타 (포르투갈 탐험가) 알렉산더 (몰다비아 왕자) 조르주 드 라 트레모이유 (프랑스 귀족) 니콜라스 아보트 (잉글랜드 귀족) 존 그렌빌 (잉글랜드 귀족) 라몬 드 리케네 (스페인 귀족) 샤무엘 데 카리다 (프랑스 귀족) 사이카 (일본 무사) 야마나 모치토요 (일본 무사) |
2. 연호
3. 기년
4. 사건
- 조선에서는 장영실이 세계 최초의 자동 물시계인 자격루를 제작하고 가동을 시작했으며, 앙부일구도 제작했다.[1][2][3]
- 명나라에서는 가뭄, 홍수, 메뚜기 떼 발생 및 기근으로 농업과 상업이 큰 타격을 입었다.
- 포르투갈의 항해사 질 에아네스가 보하도르 곶을 처음으로 통과했다.
4. 1. 조선
장영실이 세계 최초의 자동 물시계인 자격루를 제작하였다.[1] 8월 5일에는 조선에서 자격루 가동을 시작하였다.[2] 11월 2일에는 장영실, 이천, 김조가 앙부일구를 제작했다.[3]4. 2.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 음력 1월 - 규슈 탐제 시부카와 미치나오가 쇼니 마사사다의 동생 요코야마 요리후사와 히젠국(지금의 사가현) 신자키에서 싸워 패사하였다.[7]
- 음력 2월 - 오구라구가 출가하였다. 후시미노미야 사다나리 친왕이 명덕기・사카이기를 헌상하였다. 교토에서 대화재가 발생하여 민가 1만 채 이상이 피해를 입었다.[8]
- 음력 6월 - 유황의 수출이 금지되었다. 전 권중납언 히노 요시스케가 도적에게 살해되었는데, 일설에는 아시카가 요시노리가 모살하였다는 설도 있다. 아시카가 요시노리의 명령으로 전 참의 다카쿠라 나가후지가 이오섬에 유배되었다.[9]
- 음력 8월 - 엔랴쿠지 승려들이 아시카가 모우시와 통했다는 이유로 사찰 영지가 아시카가 요시노리에 의해 몰수되었다. 겐카이가 사망하였다(46세). 후시미노미야 사다나리 친왕이 츠바키요기를 헌상하였다.[10]
- 음력 10월 - 엔랴쿠지의 승려들이 강소를 행하였다.
- 음력 11월 - 도당단전(渡唐段銭)을 다이죠인령(大乗院領) 48곳에 부과했기 때문에, 토민들이 봉기하였다. 아시카가 요시노리가 여러 다이묘에게 엔랴쿠지를 공격하게 하였다.
- 음력 12월 - 엔랴쿠지가 아시카가 요시노리에게 항복하였다.
- 명나라 중국에서 장기간의 가뭄, 홍수, 메뚜기 떼 발생 및 기근으로 전국 각지의 농업과 상업이 1448년까지 큰 타격을 입었다.
4. 3. 일본
- 음력 1월 - 규슈 탐제 시부카와 미치나오(渋川満直)가 쇼니 마사사다(少弐満貞)의 동생 요코야마 요리후사(横岳頼房)와 히젠국(肥前国) 신자키(神崎)에서 싸워 패사하였다.
- 음력 2월 - 오구라구(小倉宮)가 출가하였다. 후시미노미야 사다나리 친왕(伏見宮貞成親王)이 명덕기(明徳記)・사카이기(堺記)를 헌상하였다. 교토(京都)에서 대화재가 발생하여 민가 1만 채 이상이 피해를 입었다.
- 음력 6월 - 유황의 수출이 금지되었다. 전 권중납언(権中納言) 히노 요시스케(日野義資)가 도적에게 살해되었다(일설에는 아시카가 요시노리의 모살). 아시카가 요시노리의 명령으로 전 참의(参議) 다카쿠라 나가후지(高倉永藤)가 이오섬(硫黄島)에 유배되었다.
- 음력 8월 - 엔랴쿠지(延暦寺) 승려들이 아시카가 모우시(足利持氏)와 통했다는 이유로 사찰 영지가 아시카가 요시노리에 의해 몰수되었다. 겐카이(賢快)가 사망하였다(46세). 후시미노미야 사다나리 친왕이 츠바키요기(椿葉記)를 헌상하였다.
- 음력 10월 - 엔랴쿠지의 승려들이 강소(強訴)를 행하였다.
- 음력 11월 - 도당단전(渡唐段銭)을 다이죠인령(大乗院領) 48곳에 부과했기 때문에, 토민들이 봉기하였다. 아시카가 요시노리가 여러 다이묘(大名)에게 엔랴쿠지를 공격하게 하였다.
- 음력 12월 - 엔랴쿠지가 아시카가 요시노리(足利義教)에게 항복하였다.
'''1434년 일본 내 사망자'''
사망일 | 이름 | 직위/작위 | 출생년도 |
---|---|---|---|
1월 11일 | 스파 요시아츠 | 무장, 수호 대명, 관령, 스파씨 무에가 제7대 당주 | 1397년 |
4월 14일 | 이토 스케야스 | 무장, 히유가 이토씨 당주 | ? |
5월 29일 | 잇시키 모치노부 | 무장 | ? |
7월 15일 | 히노 요시스케 | 공가, 후지와라 북가 히노가 제22대 당주 | 1397년 |
12월 14일 | 시부카와 요시토시 | 무장, 규슈 탄다이 | 1400년 |
? | 아시나 모리마사 | 무장, 아시나씨 제9대 당주 | 1386년 |
? | 시부카와 마나오 | 무장, 규슈 탄다이 | 1390년 |
4. 4. 유럽
- 4월 14일 - 브르타뉴 낭트에 있는 낭트 대성당의 초석이 놓였다.[1]
- 5월 30일 - 후스 전쟁 - 리파니 전투: 가톨릭과 웃라키스트가 타보르파를 물리치며 후스 전쟁이 끝났다.[2]
- 6월 말 - 광부 엥겔브레크트 엥겔브레크손이 에릭 포메라니아 왕에 대항하는 엥겔브레크트 반란을 일으켜 결국 왕이 폐위되었다.
- 7월 10일~8월 9일 - 수에로 데 키뇨네스와 그의 동료들이 레온 왕국의 오르비고에서 ''파소 오노로소''를 개최했다.
- 8월 16일 - 바드스테나 회의에서 에릭 포메라니아 왕이 스웨덴 왕좌에서 폐위되었다. 하지만 그는 여전히 덴마크와 노르웨이에서 권력을 유지했다.
- 9월 - 알비치와 스트로치 가문 세력에 의해 추방된 지 1년 만에 코시모 데 메디치가 피렌체로 돌아왔다.[4]
- 10월 21일 - 이탈리아에 카타니아 대학교가 설립되었다.[5]
- 얀 반 에이크가 ''아르놀피니의 결혼''을 그렸다.[6]
- 탐험가 질 에아네스가 서사하라의 보하도르 곶을 돌아 항해함으로써 "어둠의 바다"에 대한 전설을 무너뜨렸다.
- 스웨덴에서 푸케 전쟁이 발생했다.
- 포르투갈의 항해사 질 에아네스가 보하돌 곶을 통과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다.
5. 탄생
- 1월 7일 - 바이에른 공 아돌프 (d. 1441년)
- 3월 12일 - 헤네베르크-슐라이징겐 백작 빌헬름 3세 (d. 1480년)
- 3월 19일 - 아시카가 요시카쓰, 일본 쇼군 (d. 1443년)
- 3월 25일 - 에우스토키아 스메랄다 칼라파토, 이탈리아 성녀 (d. 1485년)
- 6월 13일 - 크리스토포로 델라 로베레, 로마 가톨릭 추기경 (d. 1478년)
- 9월 18일 - 포르투갈의 엘레오노르, 신성 로마 제국 황후[7]
- 9월 23일 - 왈루아의 요란드, 사보이 공국 공작 부인 (d. 1478년)
- 12월 28일 - 안토니오 그리마니, 이탈리아 제독 (d. 1523년)
- 추정
- * 부르봉의 이사벨라, 용감한 샤를의 배우자 (d. 1465년)
- * 마테오 마리아 보이아르도, 이탈리아 시인 (d. 1494년)
- * 가노 마사노부, 일본 화가 (d. 1530년)
- * 사이온지 산엔, 무로마치 시대, 전국 시대의 공경, 가인 (d. 1495년)
- * 시시도 모토이에, 무로마치 시대, 전국 시대의 무장, 아키 국시시도 씨의 당주 (d. 1509년)
- * 호소카와 나리유키, 무로마치 시대, 전국 시대의 수호 대명 (d. 1511년)
- * 진에, 무로마치 시대, 전국 시대의 정토진종 승려 (d. 1512년)
- * 토사 미쓰노부, 무로마치 시대, 전국 시대의 토사파 화가 (d. 1525년)
- * 마가 타네모치,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d. 1456년)
- * 샤를 2세, 부르봉 공 (d. 1488년)
- * 메리 오브 길더스, 스코틀랜드 왕국 왕 제임스 2세의 왕비 (d. 1463년)
6. 사망
- 정화 - 중국 명나라 영락제 시대의 환관. 대원정을 주도한 인물.[1]
- 1월 - 부르봉 공작 장 1세 (1381년 출생)[8]
- 4월 20일 - 마조비아 공작비 알렉산드라 리투아니아 여대공
- 5월 30일 - 후스파의 장군 프로코프 대제 (1380년 출생)
- 6월 - 에티오피아 황제 암다 이야수[9]
- 6월 1일 - 폴란드 국왕 블라디슬라프 2세 야기에우워 (연령 불명)[10]
- 6월 5일 - 러시아 대공 유리 4세 (1374년 출생)
- 11월 12일 - 앙주 왕 루이 3세 (1403년 출생)
- 1월 11일 - 스파 요시아츠 (* 1397년)
- 4월 14일 - 이토 스케야스 (* 생년 미상)
- 5월 29일 - 잇시키 모치노부 (* 생년 미상)
- 6월 11일 - 베른하르트 1세 (* 1358년/1364년)
- 7월 15일 - 히노 요시스케 (* 1397년)
- 12월 14일 - 시부카와 요시토시 (* 1400년)
- 아시나 모리마사 (* 1386년)
- 시부카와 마나오 (* 1390년)
- 장 1세 (* 1381년)
- 마리 드 베리 (* 1367년)
- 무이즈우드딘 무바락샤 (* 생년 미상)
참조
[1]
서적
Medieval France: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
서적
The Czechs and the Lands of the Bohemian Crown
https://books.google[...]
Hoover Press
[3]
서적
L'Africa nella coscienza europea e l'imperialismo italiano
https://books.google[...]
Guida
[4]
서적
Contrary Commonwealth: The Theme of Exile in Medieval and Renaissance Ital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2-01-01
[5]
서적
The Universities of Italy: Fascist University Groups
https://books.google[...]
Printing works of the Istituto italiano d'arti grafiche
[6]
서적
The Arnolfini Betrothal: Medieval Marriage and the Enigma of Van Eyck's Double Portrai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7-01-01
[7]
서적
Women in World History: A Biograph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Yorkin Publications
[8]
서적
Le Correspondant: religion, philosophie, politique
https://books.google[...]
V.-A. Waille
[9]
서적
Catalogue of the Ethiopic Manuscripts in the British Museum Acquired Since the Year 1847
https://books.google[...]
British Museum
[10]
서적
East Central Europe in the Middle Ages, 1000–150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