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코어 알파벳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체코어 알파벳은 13세기부터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사용되었으며, 15세기에 얀 후스에 의해 발음 구별 기호가 도입되면서 표기법이 발전했다. 체코어 알파벳은 기본 라틴 문자에 다양한 발음 구별 기호가 추가된 형태로, 장모음을 나타내는 차르카(´)와 크루제크(˚), 연자음을 표시하는 하체크(ˇ) 등의 기호를 활용하여 체코어의 음성 체계를 반영한다. 이 외에도, 체코어 알파벳은 42개의 문자와 ch와 같은 이중 자음을 포함하며, 외래어에 사용되는 Q, W, X를 제외한 나머지 문자들이 고유한 발음을 가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코어 - Strč prst skrz krk
- 체코어 - 체코슬로바키아어
체코슬로바키아어는 서슬라브어군에 속하며 체코와 슬로바키아에서 사용되었고, 체코슬로바키아 해체 이후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로 분리되었다.
체코어 알파벳 |
---|
2. 역사
체코어의 라틴 문자 표기는 13세기경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초기에는 하나의 문자를 여러 방식으로 읽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14세기경부터 발음 구별 기호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15세기 종교 개혁가 얀 후스가 체코어 표기법을 발전시켰다. 16세기에는 종교 단체인 Unity of the Brethren|체코 형제단영어이 표기법을 개선하여 현대 체코어 표기법의 기반을 마련했다.[1]
2. 1. 얀 후스와 체코어 표기법 개혁
13세기경부터 라틴 문자를 사용한 체코어 표기가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처음에는 하나의 문자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읽었지만, 이해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14세기경부터 부호가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15세기에 종교 개혁을 주도한 얀 후스가 이를 발전시켰다.[1] 16세기에는 종교 단체 Unity of the Brethren|체코 형제단영어이 이를 개선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1] 얀 후스는 체코어의 정확한 표기를 위해 발음 구별 기호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했으며, 그의 개혁은 체코어의 문어적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3. 문자와 발음
체코어 알파벳은 기본 라틴 문자에 발음 구별 기호가 추가된 형태이다. 체코어에는 발음 구별 기호가 붙은 15개의 문자들이 사용된다. 이 문자들은 모음의 장음과 자음의 구개음화를 나타낸다.
모음의 경우, Á, É, Í, Ó, Ú, Ů, Ý는 장음을 나타낸다. Ů와 Ú는 동일한 장음을 표시하지만, Ú는 단어의 첫머리에, Ů는 단어의 중간이나 끝에 사용된다.
자음의 경우, Č, Ď, Ň, Ř, Š, Ť, Ž는 구개음화된 연자음을 나타낸다.
Ch는 하나의 문자로 취급되며, 사전에서 H 다음에 위치한다.
대문자 | 소문자 | 문자 이름 | 발음 (IPA) |
---|---|---|---|
A | a | á | |
Á | á | 긴 아 | |
B | b | 베 | |
C | c | 체 | |
Č | č | 체 | |
D | d | 데 | |
Ď | ď | 데 | |
E | e | 에 | |
É | é | 긴 에 | |
Ě | ě | ijecs, é s háčkemcs | |
F | f | 에프 | |
G | g | 게 | |
H | h | 하 | |
Ch | ch | 카 | |
I | i | ícs, měkké ícs | |
Í | í | 긴 이 | |
J | j | 제 | |
K | k | 카 | |
L | l | 엘 | |
M | m | 엠 | |
N | n | 엔 | |
Ň | ň | 에냐 | |
O | o | 오 | |
Ó | ó | 긴 오 | |
P | p | 페 | |
Q | q | 크베 | |
R | r | 에르 | |
Ř | ř | 에르 | |
S | s | 에스 | |
Š | š | 에슈 | |
T | t | 테 | |
Ť | ť | 쩨 | |
U | u | 우 | |
Ú | ú | 긴 우 | |
Ů | ů | 고리 달린 우 | |
V | v | 베 | |
W | w | 이중 베 | |
X | x | 익스 | |
Y | y | ypsiloncs, tvrdé ýcs | |
Ý | ý | 긴 웁실론 | |
Z | z | 제트 | |
Ž | ž | 제트 |
3. 1. 문자 목록
다음과 같이 발음 구분 기호가 붙은 15개의 문자들이 사용된다.대문자 | Á | Č | Ď | É | Ě | Í | Ň | Ó | Ř | Š | Ť | Ú | Ů | Ý | Ž |
---|---|---|---|---|---|---|---|---|---|---|---|---|---|---|---|
소문자 | á | č | ď | é | ě | í | ň | ó | ř | š | ť | ú | ů | ý | ž |
이들 중 모음들은 장음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ů와 ú는 동일한 장음을 표시하나 어두에는 ú만 사용하고 어두가 아닐 경우에는 ů를 사용한다.
대문자 | Á | É | Í | Ó | Ú | Ů | Ý |
---|---|---|---|---|---|---|---|
소문자 | á | é | í | ó | ú | ů | ý |
자음들은 구개음화된 연자음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대문자 | Č | Ď | Ň | Ř | Š | Ť | Ž |
---|---|---|---|---|---|---|---|
소문자 | č | ď | ň | ř | š | ť | ž |
이들 외에 ch 연쇄는 하나의 문자로 취급하며 사전에서 h 다음에 위치한다.
대문자 | 소문자 | 문자 이름 | 발음 (IPA) |
---|---|---|---|
A | a | á | |
Á | á | 긴 아 | |
B | b | 베 | |
C | c | 체 | |
Č | č | 체 | |
D | d | 데 | |
Ď | ď | 데 | |
E | e | 에 | |
É | é | 긴 에 | |
Ě | ě | ijecs, é s háčkemcs | , |
F | f | 에프 | |
G | g | 게 | |
H | h | 하 | |
Ch | ch | 카 | |
I | i | ícs, měkké ícs | |
Í | í | 긴 이 | |
J | j | 제 | |
K | k | 카 | |
L | l | 엘 | |
M | m | 엠 | |
N | n | 엔 | |
Ň | ň | 에냐 | |
O | o | 오 | |
Ó | ó | 긴 오 | |
P | p | 페 | |
Q | q | 크베 | |
R | r | 에르 | |
Ř | ř | 에르 | |
S | s | 에스 | |
Š | š | 에슈 | |
T | t | 테 | |
Ť | ť | 쩨 | |
U | u | 우 | |
Ú | ú | 긴 우 | |
Ů | ů | 고리 달린 우 | |
V | v | 베 | |
W | w | 이중 베 | |
X | x | 익스 | , |
Y | y | ypsiloncs, tvrdé ýcs | |
Ý | ý | 긴 웁실론 | |
Z | z | 제트 | |
Ž | ž | 제트 |
3. 2. 모음
Ú와 Ů는 소리가 같으며, Ú는 단어의 첫머리에, Ů는 단어의 중간이나 끝에 온다.[1] I와 Y는 소리가 같다.[2] Ě는 앞의 자음 t, d, n을 연음화(구개음화)한다.[1]장음을 나타내는 모음은 다음과 같다.
대문자 | Á | É | Í | Ó | Ú | Ů | Ý |
---|---|---|---|---|---|---|---|
소문자 | á | é | í | ó | ú | ů | ý |
- ůcs는 원래 이중 모음 uocs였으나 장모음으로 변화한 것으로, úcs보다 자주 나온다.
- I가 t, d, n 뒤에 오면 구개음화되어 ť, ď, ňcs과 같이 발음된다. 이는 장모음 ícs에서도 마찬가지이다.[2]
- ěcs는 i와 같이 t, d, n을 구개음화하며, tě, dě, něcs는 각각 ťe, ďe, ňecs와 같이 발음된다. 또한 měcs는 mňecs와 같이 발음된다. 그 외의 경우, ěcs는 jecs와 동일하게 발음된다(항상 단모음).[1]
3. 3. 자음
- '''Q''', '''W''', '''X''' 세 문자는 외래어에만 사용된다.[1]
- '''H'''는 유성 성문 마찰음(
)이다.[1] - '''Ch'''는 무성 연구개 마찰음(
)이다. 알파벳의 독립된 문자로 H 뒤에 놓인다.[1] - '''Ř'''는 혀를 굴리는 r을 발음하면서 손가락으로 양쪽 턱을 누르는 듯한 발음(치경 전동 마찰음)이다. 무성음도 유성음도 있다. 일본인에게는 어렵다. 세계에서 가장 어려운 발음이라는 평판도 있다.[1]
- 자음은 무성(p, f, t, s, k 등)과 유성(b, v, d, z, g 등)이 존재하지만, 유성 자음과 무성 자음이 나란히 오는 경우, 뒤의 자음에 동화되어 앞의 자음이 유성화 또는 무성화된다. 단, 뒤에 v가 있는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1]
- ř는 그 앞에 무성 자음이 오더라도, 그 뒤에 무성 자음이 오더라도 무성화된다.[1]
- 어말에 있는 유성 자음은 무성화된다.[1]
4. 발음 구별 기호
체코어는 여러가지 발음 구별 기호를 사용하여 소리를 구별한다. 하체크(ˇ)는 자음과 모음 e 위에 붙으며, 소문자 d와 t에 붙는 하체크는 아포스트로피와 비슷하다. 차르카(´)와 크루제크(˚)는 장모음을 나타낸다.
4. 1. 하체크 (ˇ)
하체크(ˇ)는 자음 및 모음 e 위에 붙는다. 소문자 d, t에 붙는 하체크는 아포스트로피와 같은 모양이 된다.Č č , Ď ď , Ě ě , Ň ň , Ř ř , Š š , Ť ť , Ž žcs
4. 2. 차르카 (´)
차르카 (´)는 장모음을 나타낸다.Á á, É é, Í í, Ó ó, Ú ú, Ý ýcs
4. 3. 크루제크 (˚)
Ů ůcs에 붙어있는 크루제크 (˚)도 마찬가지로 장모음을 나타낸다.참조
[1]
서적
1975
[2]
서적
197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