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B는 로마 문자의 두 번째 글자이며, 집을 뜻하는 그림 문자에서 유래했다. 그리스 문자 베타(Β)를 거쳐 페니키아 문자 벳(bēt)에서 로마 문자로 이어졌으며, 이집트 상형 문자, 셈조어 문자, 페니키아 문자, 그리스 문자, 에트루리아 문자를 거쳐 로마 문자로 정착되었다. 현대에는 대부분의 언어에서 유성 양순 파열음 /b/를 나타내며, 16진법에서는 11을, 과학에서는 붕소, 바닥 쿼크, 바이트 등을 나타내는 기호로 사용된다. 또한 음악에서는 음이름, 컴퓨터 부호, 연필 경도, 건물 층수, 야구 볼 카운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자 낱자{{#if:{{{1 - H
H는 영어 알파벳의 여덟 번째 문자이며, 무성 성문 마찰음 /h/를 나타내며, 수소의 원소 기호이자, 인덕턴스 단위, 고기압, 음악의 음이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그 기원은 셈족 그림 문자에 있다. - 로마자 낱자{{#if:{{{1 - S
S는 활에서 유래한 라틴 문자로, 여러 단계를 거쳐 현재 형태가 되었으며, 다양한 언어에서 치찰음을 나타내고, 화학 원소, 야구 용어, 약어 등 여러 분야에서 기호로 활용되며, 역사적으로는 긴 s가 사용되기도 했다. - 로마자 낱자 - H
H는 영어 알파벳의 여덟 번째 문자이며, 무성 성문 마찰음 /h/를 나타내며, 수소의 원소 기호이자, 인덕턴스 단위, 고기압, 음악의 음이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그 기원은 셈족 그림 문자에 있다. - 로마자 낱자 - S
S는 활에서 유래한 라틴 문자로, 여러 단계를 거쳐 현재 형태가 되었으며, 다양한 언어에서 치찰음을 나타내고, 화학 원소, 야구 용어, 약어 등 여러 분야에서 기호로 활용되며, 역사적으로는 긴 s가 사용되기도 했다.
| B | |
|---|---|
| 유니코드 | U+0042, U+0062 |
| 알파벳 순서 | 2 |
| 숫자 | 2 |
| 기원 | |
| 상형 문자 | |
| 원시 셈 문자 | 20px |
| 페니키아 문자 | [[File:Phoenician beth.svg|20px|Bet]] |
| 그리스 문자 | [[File:Greek Beta 16.svg|20px]] |
| 로마 문자 | [[File:RomanB-01.png|12px|B]] |
| 언셜체 | [[File:UncialB-01.png|12px|B]] [[File:Half-uncial b.png|10px|b]] |
| 음성학 | |
| 관련 문자 | ♭ ␢ ฿ |
| 유사 문자 | Б В Բ բ (בּ ב ب ܒ) |
| 연관 문자 | bv bh bp bm bf |
| 문자 방향 | 왼쪽에서 오른쪽 |
| 기타 | |
| 사용 언어 | 라틴어 |
| 사용 알파벳 | 라틴 문자 |
| 다른 뜻 | B (동음이의) |
2. 역사
B는 집을 뜻하는 그림 문자에서 유래했다.



로마 문자 B는 그리스 대문자 베타 (Βgrc)에서 유래했는데, 에트루리아 문자와 쿠마이 문자를 거쳐 페니키아 문자 bēt (𐤁phn)를 각색한 것이다.[3] 이집트의 상형 문자에서 자음 /b/는 발과 종아리의 그림이었다 (
비잔틴 시대까지 그리스 문자 Βgrc는 /v/로 발음되었고,[3] 따라서 현대 그리스어에서는 ''víta''(여전히 βήταel로 표기됨)로 알려져 있다. 키릴 문자 베 Вru는 같은 소리를 나타내므로, 슬라브어의 /b/를 나타내기 위해 베 Бru로 알려진 수정된 형태가 개발되었다.[3] 현대 그리스어는 유성 양순 파열음을 나타내는 문자가 없으며 다른 언어의 이러한 소리를 이중모음/자음군 μπel(''mp'')를 사용하여 음역한다.
고대 영어는 원래 룬으로 쓰여졌는데, 그에 해당하는 문자는 "자작나무"를 의미하는 베오르크 ᛒang이다. 베오르크는 적어도 2세기 엘더 푸타르크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이것은 이제 고이탈리아 문자 𐌁itc에서 직접 또는 라틴 문자 을 통해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
반언체 와 반언체 는 그레고리오 선교부와 아일랜드 선교부에 의해 도입되었고 점차 섬 문자의 로 발전했다. 이러한 고대 영어 라틴 문자는 이전의 룬을 대체했고, 11세기 초 카누트 대왕 치하에서 그 사용이 완전히 금지되었다. 노르망디 정복은 카롤링 반언체 형태를 널리 보급했고, 이후 블랙레터 로 발전했다. 1300년경에는 대문자와 소문자 B가 별도의 의미를 갖게 되면서 대문자와 소문자의 구별이 점점 더 중요해졌다. 15세기 인쇄술의 발명 이후, 신성 로마 제국(독일)과 스칸디나비아는 블랙레터(특히 프라크투어)의 형태를 계속 사용한 반면, 영국은 결국 로마 비문과 카롤링 텍스트의 조합으로 르네상스 이탈리아에서 개발된 휴머니스트와 안티콰 필체를 채택했다. 17세기에 현재의 영어 손글씨 B 형태가 개발되었다.
2. 1. 이집트 상형문자
B는 집을 뜻하는 그림 문자에서 왔다.[3][4][5]| 이집트 Pr | 페니키아 bēt | 그리스 베타 | 에트루리아 B | 라틴 B |
|---|---|---|---|---|
로마의 B는 그리스 대문자 베타 (Β)에서 유래했는데, 에트루리아와 쿠마이 변종을 거쳤다. 그리스 문자는 페니키아 문자 bēt를 각색한 것이다. 이집트의 상형 문자에서 자음 /b/는 발과 종아리의 그림이었다. 그러나 "집"을 의미하는 벳(페니키아어)은 원시 시나이 글자의 변형된 형태였으며, "집"을 의미하는 별개의 상형 문자 Pr에서 각색되었다. 히브리 문자 벳은 페니키아 문자의 별개의 발전이다.
비잔틴 시대까지 그리스 문자 (Β)는 /v/로 발음되었고, 따라서 현대 그리스어에서는 ''víta''(여전히 βήταel로 표기됨)로 알려져 있다. 키릴 문자 베 (В)는 같은 소리를 나타내므로, 슬라브어의 /b/를 나타내기 위해 베 (Б)로 알려진 수정된 형태가 개발되었다. 현대 그리스어는 유성 양순 파열음을 나타내는 문자가 없으며 다른 언어의 이러한 소리를 이중모음/자음군 (μπ, ''mp'')를 사용하여 음역한다.
2. 2. 셈조어 문자
B는 집을 뜻하는 그림 문자에서 왔다.| B]] | |||||
| 이집트 상형문자 집 | 셈조어 문자 집 | 페니키아 문자 베트 | 그리스 문자 베타 | 에트루리아 문자 B | 로마 문자 B |
로마의 B는 그리스 대문자 베타에서 유래했는데, 그것은 에트루리아와 쿠마이 변종을 거쳤다. 그리스 문자는 페니키아 문자 bēt를 각색한 것이다.[3] 이집트의 상형 문자에서 자음 /b/는 발과 종아리의 그림이었다.[4] 그러나 "집"을 의미하는 벳(페니키아어)은 원시 시나이 글자의 변형된 형태였으며, "집"을 의미하는 별개의 상형 문자 Pr에서 각색되었다.[5] 히브리 문자 벳은 페니키아 문자의 별개의 발전이다.[3]
비잔틴 시대까지 그리스 문자 Β는 /v/로 발음되었고,[3] 따라서 현대 그리스어에서는 ''víta''(여전히 βήτα로 표기됨)로 알려져 있다. 키릴 문자 베 (В)는 같은 소리를 나타내므로, 슬라브어의 /b/를 나타내기 위해 베 (Б)로 알려진 수정된 형태가 개발되었다.[3]
고대 영어는 원래 룬으로 쓰여졌는데, 그에 해당하는 문자는 "자작나무"를 의미하는 베오르크이다. 베오르크는 적어도 2세기 엘더 푸타르크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이것은 이제 고이탈리아 문자에서 직접 또는 라틴 문자을 통해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
반언체와 반언체는 그레고리오 선교부와 아일랜드 선교부에 의해 도입되었고 점차 섬 문자로 발전했다. 이러한 고대 영어 라틴 문자는 이전의 룬을 대체했고, 11세기 초 카누트 대왕 치하에서 그 사용이 완전히 금지되었다. 노르망디 정복은 카롤링 반언체 형태를 널리 보급했고, 이후 블랙레터로 발전했다. 1300년경에는 대문자와 소문자 B가 별도의 의미를 갖게 되면서 대문자와 소문자의 구별이 점점 더 중요해졌다. 15세기 인쇄술의 발명 이후, 신성 로마 제국(독일)과 스칸디나비아는 블랙레터(특히 프라크투어)의 형태를 계속 사용한 반면, 영국은 결국 로마 비문과 카롤링 텍스트의 조합으로 르네상스 이탈리아에서 개발된 휴머니스트와 안티콰 필체를 채택했다. 17세기에 현재의 영어 손글씨 B 형태가 개발되었다.
2. 3. 페니키아 문자
B는 집을 뜻하는 그림 문자에서 왔다.| 이집트 상형문자 집 | 셈조어 문자 집 | 페니키아 문자 베트 | 그리스 문자 베타 | 에트루리아 문자 B | 로마 문자 B |
페니키아 문자 베트(Bet)는 B의 직접적인 조상이다. 로마의 B는 그리스 대문자 베타 (Βgrc)에서 유래했는데, 페니키아 문자 bēt (𐤁phn)를 각색한 것이다.[3] 이집트의 상형 문자에서 자음 /b/는 발과 종아리의 그림이었다 ([4]). 그러나 "집"을 의미하는 벳(페니키아어)은 원시 시나이 글자 (20px)의 변형된 형태였으며, "집"을 의미하는 별개의 상형 문자 Pr ()에서 각색되었다.[5] 히브리 문자 벳 (בhe)은 페니키아 문자의 별개의 발전이다.[3]
2. 4. 그리스 문자
B는 집을 뜻하는 그림 문자에서 왔다.로마의 B는 그리스 대문자 베타 (Β)에서 유래했는데,[3] 페니키아 문자 bēt (𐤁)를 각색한 것이다.[3] 이집트의 상형 문자에서 자음 /b/는 발과 종아리의 그림이었다.[4] 그러나 "집"을 의미하는 벳(페니키아어)은 원시 시나이 글자의 변형된 형태였으며, "집"을 의미하는 별개의 상형 문자 Pr에서 각색되었다.[5] 히브리 문자 벳 (ב)은 페니키아 문자의 별개의 발전이다.[3]
비잔틴 시대까지 그리스 문자 Β는 /v/로 발음되었고,[3] 따라서 현대 그리스어에서는 ''víta''(여전히 βήταel로 표기됨)로 알려져 있다.
2. 5. 에트루리아 문자
B는 집을 뜻하는 그림 문자에서 유래했다.[3][4][5] 에트루리아 문자를 거쳐 로마 문자로 이어졌다.| 이집트 Pr | 페니키아 bēt | 그리스 베타 | 에트루리아 B | 라틴 B |
|---|---|---|---|---|
| |64px|이집트 상형 문자 집]] | |45px|페니키아어 벳]] | |30px|에트루리아어 B]] | |x30px|라틴어 B]] |
로마의 B는 그리스 대문자 베타에서 유래했는데, 에트루리아 문자를 거쳤다.
2. 6. 로마 문자
B는 집을 뜻하는 그림 문자에서 왔다.로마의 B는 그리스 대문자 베타 (그리스어:Β)에서 유래했는데, 그것은 에트루리아와 쿠마이 변종을 거쳤다. 그리스 문자는 페니키아 문자 bēt (𐤁)를 각색한 것이다.[3] 이집트의 상형 문자에서 자음 /b/는 발과 종아리의 그림이었다 ( ),[4] 그러나 "집"을 의미하는 벳(페니키아어)은 원시 시나이 글자 ( 20px )의 변형된 형태였으며, "집"을 의미하는 별개의 상형 문자 Pr ()에서 각색되었다.[5]
비잔틴 시대까지 그리스 문자 Β는 /v/로 발음되었고,[3] 따라서 현대 그리스어에서는 ''víta''(여전히 βήτα로 표기됨)로 알려져 있다. 키릴 문자 베 (В)는 같은 소리를 나타내므로, 슬라브어의 /b/를 나타내기 위해 베 (Б)로 알려진 수정된 형태가 개발되었다.[3]
고대 영어는 원래 룬으로 쓰여졌는데, 그에 해당하는 문자는 "자작나무"를 의미하는 베오르크 (ᛒ)이다. 반언체와 반언체는 그레고리오 선교부와 아일랜드 선교부에 의해 도입되었고 점차 섬 문자의 b로 발전했다. 이러한 고대 영어 라틴 문자는 이전의 룬을 대체했고, 11세기 초 카누트 대왕 치하에서 그 사용이 완전히 금지되었다. 노르망디 정복은 카롤링 반언체 형태를 널리 보급했고, 이후 블랙레터 b로 발전했다. 1300년경에는 대문자와 소문자 B가 별도의 의미를 갖게 되면서 대문자와 소문자의 구별이 점점 더 중요해졌다. 15세기 인쇄술의 발명 이후, 신성 로마 제국(독일)과 스칸디나비아는 블랙레터(특히 프라크투어)의 형태를 계속 사용한 반면, 영국은 결국 로마 비문과 카롤링 텍스트의 조합으로 르네상스 이탈리아에서 개발된 휴머니스트와 안티콰 필체를 채택했다. 17세기에 현재의 영어 손글씨 B 형태가 개발되었다.
3. 발음
대부분의 언어에서 B는 유성 양순 파열음(음소) (/b/)를 나타낸다. 국제 음성 기호에서 [b]는 유성 양순 파열음 음소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 표기 | 음소 |
|---|---|
| (병음) | |
| 영어 | |
| 프랑스어 | , |
| 독일어 | , |
| 포르투갈어 | |
| 스페인어 | |
| 튀르키예어 |
몇몇 언어에서는 /b/가 약음 음소를 나타낼때도 있는데, 반드시 유성음일 필요는 없고, 강음 /p/와 대조된다.
- 독일어에서는 어말이나 무성 자음 앞에서 무성화된다.[10]
- 프랑스어에서는 어말의 b를 묵음으로 처리한다.[10] 영어에서도 어말 mb처럼 b가 묵음이 되는 경우가 있다(bomb 등).[10]
- 스페인어의 음소 (b 또는 v로 표기)는 어두에서는 이지만, 어두 이외에서는 약화되어 유성 양순 마찰음 로 발음된다.[10]
- 중국어 및 그 방언의 병음에서는 무기 무성 양순 파열음 을 나타낸다.[10]
- 중국 남부 방언에서는 광동성 교육부식 광동어 로마자처럼 음절 머리에서는 무기 무성 양순 파열음 을 나타내지만, 음절 끝에서는 양순 내파음 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10]
- 말레이어에서는 음절 머리에서는 유성 양순 파열음 을 나타내지만, 음절 끝의 실제 발음은 양순 내파음 이다.[10]
- 베트남어에서는 입파음 또는 성문 폐쇄음과 유성 양순 파열음을 동시에 발음하는 을 나타낸다.[10]
- 좡어에서는 위의 베트남어와 같은 발음은 mb로 표기하고, b는 중국어와 마찬가지로 무기 무성 양순 파열음 을 나타낸다.[10]
- 일본어 로마자 표기에서는 훈령식, 헤본식 모두 'バ'행(ハ행 탁음)의 자음에 사용된다.
- 한국어 로마자 표기인 문화관광부 2000년식에서는 유성음, 무성음에 관계없이 초성의 ㅂ에 사용된다. 맥큔-라이샤워식에서는 유성으로 발음되는 ㅂ에 사용된다.[10]
3. 1. 한국어
한글 'ㅂ'은 어두 또는 무성음 사이에서는 무성 양순 파열음([p])으로, 유성음 사이에서는 유성 양순 파열음([b])으로 소리난다.[10] 이는 한국어 로마자 표기인 문화관광부 2000년식에서 유성음, 무성음에 관계없이 초성의 'ㅂ'에 사용되는 방식과 관련이 있다. 맥큔-라이샤워식에서는 유성으로 발음되는 ㅂ에 사용된다.[10]3. 2. 영어
영어에서 'b'는 ''bib''과 같이 주로 유성 양순 파열음/유성 양순 파열음영어 /b/를 나타낸다.[3] 'b'는 때때로 묵음이 되는데, 특히 'mb'로 끝나는 단어(예: ''lamb''(양), ''bomb''(폭탄))에서 그러하다. 이 단어들 중 일부는 원래 /b/ 음을 가지고 있었던 반면, 어떤 단어들은 유추에 의해 'b'가 추가되었다.[3] ''debt''(빚), ''doubt''(의심), ''subtle''(미묘한) 및 관련 단어의 'b'는 16세기에 어원적 철자로 추가되었는데, 이는 이 단어들을 라틴어 원어(''debitum'', ''dubito'', ''subtilis'')와 더 유사하게 만들기 위한 것이었다.[3]/b/는 그림의 법칙의 영향을 받는 음소 중 하나이기 때문에, 영어와 다른 게르만어에서 'b'를 가지는 단어는 다른 인도유럽어족 언어에서 'bh', 'p', 'f' 또는 'φ'로 나타나는 동족어를 가질 수 있다.[3] 영어에서 b는 (V, K, J, X, Q, Z 다음으로) 일곱 번째로 사용 빈도가 낮은 문자이며, 단어에서 약 1.5%의 빈도를 가진다.[3]
3. 3. 독일어
많은 언어에서 b는 무성 양순 파열음 /p/, 유성 양순 파열음 /b/ 또는 유성 양순 내파음 /ɓ/을 표기하는데 쓰인다.[10] 독일어에서는 어말이나 무성 자음 앞에서 'b'가 무성화되어 /p/로 발음된다.[10]3. 4. 프랑스어
프랑스어에서는 어말의 'b'가 대부분 묵음으로 처리된다. 영어에서도 어말 mb처럼 b가 묵음이 되는 경우가 있다(bomb 등).3. 5. 스페인어
스페인어의 음소 (b 또는 v로 표기)는 어두에서는 이지만, 어두 이외에서는 약화되어 유성 양순 마찰음 로 발음된다.3. 6. 중국어
중국어 병음에서 'b'는 유기음 와 대조되는 무기 무성 양순 파열음 를 나타낸다.[10] 중국 남부 방언에서는 광동성 교육부식 광동어 로마자처럼 음절 머리에서는 무기 무성 양순 파열음 을 나타내지만, 음절 끝에서는 양순 내파음 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좡어에서도 b는 중국어와 마찬가지로 무기 무성 양순 파열음 을 나타낸다.3. 7. 베트남어
베트남어에서 'b'는 흡입음 또는 성문 폐쇄음과 유성 양순 파열음을 동시에 발음하는 를 나타낸다.[10]4. 다른 용도
- 16진법에서 11을 표현할 때 B로 표기한다. 예 : B(12) = 11(10), BA(16) = 186(10), BA(20) = 230(10).
- b는 국제음성기호에서 유성 양순 파열음을 나타낸다.
- B는 붕소를 나타내는 원소 기호이다.
- B는 연필의 흑연 등급이다.
- 16진수에서 B는 10진수(10진법)로 11에 해당하는 숫자입니다.
- B는 음표입니다. 영어권 국가에서는 C를 기준으로 한 온음계의 12번째 음인 Si를 나타냅니다. 중앙 유럽과 스칸디나비아에서는 "B"가 B♭을 나타내며, 온음계의 12번째 음은 "H"로 표기됩니다. 'b'의 고대 형태인 ''b quadratum''(정사각형 b, )과 ''b rotundum''(둥근 b, )은 악보에서 각각 ''자연음''과 ''♭''의 기호로 사용됩니다.
- 축약된(2급) 영어 점자에서는 가 단독으로 사용될 때 "but"을 의미합니다.
- 컴퓨터 과학에서 B는 정보 저장 단위인 바이트의 기호입니다.
- 공학에서 B는 레벨 단위인 벨의 기호입니다.
- 화학에서 B는 붕소라는 화학 원소의 기호입니다.
- 체스 기보 등에서 비스숍을 나타내며, 장기에서도 같은 움직임을 하는 각행을 나타낸다.
- B급. 대부분의 경우 A급 다음 등급을 의미한다. 비유적으로는 그다지 좋지 않은 것 또는 호불호가 갈리는 것을 가리킬 때 사용되기도 한다.
- 연필 심의 경도를 나타내는 기호. '''B'''lack의 머리글자. HB(Hard Black)보다 연하고, 더 연해짐에 따라 2B, 3B…가 되며, 가장 연한 것은 10B이다.
- 일본산업규격(JIS) 등에서 규정된 종이의 크기. B판.
- 철도의 역 번호에서의 노선 기호.
- * JR쿠시로선 (a'''B'''ashiri)
- *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블루 라인 ('''B'''lue)
- * JR호사이선
- * 긴테쓰 교토 선·가시하라 선
- * 란덴 기타노 선
- * JR인미 선
- * JR카베 선 ('''B'''lue)
- * JR도쿠시마 선(요시노가와 블루 라인) ('''B'''lue)
- * 쿠마모토 시전 B 노선 ('''B''')
- 애무를 가리키는 은어. A는 키스, C는 성행위.
- PC/AT 호환기에서 두 번째 플로피 디스크 장치에 할당된 드라이브 번호. B:
- 미합중국에서 건전지의 종류를 나타내는 기호 중 하나. 전압은 45V 등.
- 군용 항공기의 형식에서 폭격기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은 기호. '''B'''omber의 약자. B-29, B-52, B-2 등.
- 민간 항공기의 등록 번호(레지스터)에서 국적 표시로 하이픈 이하 숫자 4자리는 중화인민공화국, 5자리는 중화민국, 라틴 문자 3자리는 홍콩, 마카오를 나타낸다.
- 항공기 제작사 보잉의 약칭. B747, B767 등. 에어버스 여객기의 명칭에 있는 A(예: A300)와는 달리, 공식적인 모델 번호나 형식 명칭은 아니다.
- 구 국철(현 JR)의 기관차에서 구동축이 2축인 형식에 붙는 기호. B20, EB10 등이 있었다.
- 문자 서체의 웨이트(선의 굵기)에서, 보통보다 굵은 서체를 나타낸다. 볼드(bold).
- 건물의 층 표기에서 지하 ('''b'''asement)의 약자. 층상은 1F, 2F와 같이 숫자 뒤에 붙이는 데 반해, 지하는 B1, B2와 같이 앞에 붙인다. 단, 영어에서는 first basement, second basement, …와 같이 숫자를 앞에 붙여 말한다. 지하 1층밖에 없는 경우, 간단히 B로 하기도 한다.
- 미합중국의 여성 가수 비욘세의 애칭.
- 야구의 텔레비전 중계 화면이나 구장 내 전광판에서 볼 카운트의 약칭 ('''B'''all) →볼 (판정)
- 일본 프로 야구 팀 오릭스 버펄로스의 약칭 ('''B'''uffaloes).
- * 전신인 "한큐 브레이브스"→"오릭스 브레이브스"의 약칭도 같았다 ('''B'''raves)가, "오릭스 블루웨이브"로 개칭 후에는 BW, 구단 통합에 의해 "오릭스 버펄로스"로 개칭 후에는 2018년까지 Bs였다.
- 스포츠 세계에서는 후위(백('''B'''ack))를 나타내는 기호.
- 백스트레치 ('''B'''ackstretch) - 육상 경기장·경마장·경륜장 등에서 결승선이 있는 쪽과 반대쪽(반대편)의 약자. BS라고도 한다.
-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레이팅 기구의 레이팅 표시에서 12세 이상 대상을 나타낸다(2006년 3월 이후).
- 메르세데스-벤츠 B클래스.
- "브라보" 포네틱 코드의 두 번째 코드.
- 로마 지하철B선
- 일본의 철도에서는 보통차에 해당하는 침대차로서 B침대를 의미한다.
- 유럽의 철도에서는 이등차를 의미하는 기호로서 객차의 형식에 붙는다.
- 나미비아에서는 국도를 나타내는 기호로서 한 자릿수의 숫자 앞에 붙는다.
- 미쓰비시 UFJ 은행에서 구 도쿄 미쓰비시 지점을 의미한다. B점이라고도 한다. 영문 명칭이 ''Bank of Tokyo-Mitsubishi''이기 때문에 머리글자 B를 따서 이렇게 부른다.
- 수도고속 만간선의 노선 번호 "Bayshore Route"의 머리글자
- 인터넷에서 "OK"나 "GOOD"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b"가 엄지를 세운 포즈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 [폭, 너비]를 [breadth]의 머리글자 B, b의 기호로 나타낸다.
- 타너 단계에서의 지표 중 하나, Breasts (유방).
4. 1. 수학
16진법에서 B는 10진수의 11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BA(16) = 186(10)이다. B는 집합, 행렬 등을 나타내는 문자로 A 다음에 사용되며, 보렐 부분군을 나타내는 기호로 사용된다. 연필 심의 경도를 나타내는 기호로, 'Black'의 머리글자를 따서 HB보다 연한 정도를 나타낸다. 더 연해짐에 따라 2B, 3B 등으로 표기된다. 일본산업규격에서는 B판 종이 크기를 규정하고 있다.건물 층수를 표기할 때 B는 지하(basement)를 의미하며, B1, B2와 같이 층수를 나타낸다. 야구 중계나 구장 전광판에서 B는 볼(Ball)의 약칭으로 사용된다.
4. 2. 과학
B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기호이다.- 화학: 붕소를 나타내는 원소 기호이다.
- 물리학:
- 소립자 중 하나인 바닥 쿼크의 약호이다.
- B 중간자를 나타내는 기호이다.
- 반응 단면적의 단위인 바른을 나타내는 기호(소문자)이다.
- 과거 압력의 단위 ''바''를 나타내는 기호(소문자)였으나, 현재는 파스칼(Pa)을 사용한다.
- 컴퓨터 과학:
- 정보 처리 단위인 바이트를 가리키는 기호이다.
- 비트를 가리키는 기호로, 바이트와 구별하기 위해 소문자 b로 표기되는 경우가 많다.
- '''수학''': 16진법에서 10진법의 11을 B로 표기한다.
- '''음악''': 영어권 국가에서는 C를 기준으로 한 온음계의 12번째 음인 Si를 나타낸다.
- '''ABO식 혈액형''': B형
- '''초음파 검사''': B 모드
- '''쾨펜의 기후 구분''': 건조 지역(아열대)를 나타내는 B
- '''전자기학''': 자속 밀도를 나타낸다.
- '''야구''': 볼 카운트의 약칭 ('''B'''all)
4. 3. 음악
B는 음이름 중 하나이다. 영어권 국가에서는 C를 기준으로 한 온음계의 12번째 음인 Si를 나타낸다. 독일을 포함한 중앙 유럽과 스칸디나비아에서는 "B"가 B♭을 나타내며, 온음계의 12번째 음은 "H"로 표기된다. ♭''의 기호는 소문자 b에서 유래되었다.4. 4. 기타
B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기호이다.- B급은 대부분의 경우 A급 다음 등급을 의미한다. 비유적으로는 그다지 좋지 않은 것 또는 호불호가 갈리는 것을 가리킬 때 사용되기도 한다.
- 연필 심의 경도를 나타내는 기호로, '''B'''lack의 머리글자이다. HB(Hard Black)보다 연하고, 더 연해짐에 따라 2B, 3B…가 되며, 가장 연한 것은 10B이다.
- 일본산업규격(JIS) 등에서 규정된 종이의 크기인 B판이 있다.
- 군용 항공기의 형식에서 폭격기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은 기호로, '''B'''omber의 약자이다. B-29, B-52, B-2 등이 있다.
- 건물의 층 표기에서 지하 ('''b'''asement)의 약자이다. 층수는 1F, 2F와 같이 숫자 뒤에 붙이는 데 반해, 지하는 B1, B2와 같이 앞에 붙인다.
- 야구의 텔레비전 중계 화면이나 구장 내 전광판에서 볼 카운트의 약칭 ('''B'''all)으로 사용된다.
- 로마 지하철B선이 있다.
5. 컴퓨터 부호
B와 b에 대해 ASCII, EBCDIC, 유니코드 값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크게 두 가지 형태가 사용된다.
# 세로선 오른쪽에 반원을 세로로 두 개 이어붙인 형태로, 대문자에 사용된다.
# 세로선 아래쪽에 오른쪽으로 원 또는 반원 하나를 붙인 형태로, 소문자에 사용된다.
프락투르에서는 와 같다.

대문자는 숫자 8과 혼동될 수 있으므로, 라틴 알파벳 B는 왼쪽에 돌출부를 넣는 경우가 있다. 라틴 알파벳을 표시할 수 있는 디지털 기기에서는 14세그먼트 디스플레이에서 중앙에 세로선을 넣어 8과 구분한다.
소문자는 숫자 6과 혼동될 수 있으므로, 필기체로 𝒷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자릿수의 밑이 십을 초과하는 경우, 십일을 한 글자로 표기할 때는 대문자 B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와 같이 구분한다.
6. 관련 문자
- 베트
- Β, β: 그리스 문자 베타 (Beta)로 B는 이 문자에서 유래되었다.
- Ⲃ ⲃ: 콥트 문자 Bēta. 그리스 문자 베타에서 유래되었다.
- В в: 키릴 문자 문자 베 (Ve). 베타에서 유래되었다.
- Б б: 키릴 문자 베 (Be). 베타에서 유래되었다.
- ʙ: 소문자 B, 여러 문자의 로마자 표기에서 소문자 B로 사용됨.
- 𐌁: 이탈리아 고대 문자 B. 그리스 문자 베타에서 유래되었다.
- ᛒ: 룬 문자 베르카난 (Berkanan). 이탈리아 고대 문자 B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 𐌱: 고트 문자 bercna. 그리스 문자 베타에서 유래되었다.
- IPA 관련 기호: ɓ ʙ β 𐞄[6] 𐞅[6]
- B에 구분 기호가 있는 문자: Ƀ ƀ Ḃ ḃ Ḅ ḅ Ḇ ḇ Ɓ ɓ ᵬ[7] ᶀ[8]
- Ꞗ ꞗ: 장식이 있는 B
- ᴃ ᴯ B b: 가로 막대가 있는 B와 다양한 변형 문자는 우랄어족 음성 기호에서 사용된다.[9]
- Ƃ ƃ: 윗 가로 막대가 있는 B
- ␢ : 공백 기호
- ฿ : 태국 바트
- ₿ : 비트코인
- ♭: 음악의 ♭ 기호는 여전히 소문자 b와 매우 유사하다.
참조
[1]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2nd ed.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Merriam-Webster's 3r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Unabridged
[3]
백과사전
B
[4]
서적
Illustrated Hieroglyphics Handbook
English translation by Sterling Publishing (2002)
[5]
웹사이트
How the Alphabet Was Born from Hieroglyphs
https://www.baslibra[...]
Biblical Archaeology Society
2015-08-11
[6]
웹사이트
L2/20-252R: Unicode request for IPA modifier-letters (a), pulmonic
https://www.unicode.[...]
2020-11-08
[7]
웹사이트
L2/03-174R2: Proposal to Encode Phonetic Symbols with Middle Tilde in the UCS
https://www.unicode.[...]
2018-03-24
[8]
웹사이트
L2/04-132 Proposal to add additional phonetic characters to the UCS
https://www.unicode.[...]
2018-03-24
[9]
웹사이트
L2/02-141: Uralic Phonetic Alphabet characters for the UCS
https://www.unicode.[...]
2018-03-24
[10]
서적
基礎マレーシア語
大学書林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