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는 로마 문자의 열한 번째 글자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여러 의미로 사용된다. K는 그리스 문자 카파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손바닥을 뜻하는 셈어 문자 카프에서 가져온 것이다. 라틴어에서는 C, K, Q가 /k/ 소리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으나, C와 G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K는 "Kalendae"와 같은 몇몇 화석화된 형태로만 남게 되었다. K는 국제음성기호에서 무성 연구개 파열음을 나타내며, 영어에서는 'knight'와 같이 묵음으로 발음되기도 한다. 또한, 칼륨을 나타내는 원소 기호, 야구의 삼진 아웃, 1000을 나타내는 단위, 켈빈 온도 단위, 금의 순도를 나타내는 캐럿 등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자 낱자{{#if:{{{1 - H
H는 영어 알파벳의 여덟 번째 문자이며, 무성 성문 마찰음 /h/를 나타내며, 수소의 원소 기호이자, 인덕턴스 단위, 고기압, 음악의 음이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그 기원은 셈족 그림 문자에 있다. - 로마자 낱자{{#if:{{{1 - S
S는 활에서 유래한 라틴 문자로, 여러 단계를 거쳐 현재 형태가 되었으며, 다양한 언어에서 치찰음을 나타내고, 화학 원소, 야구 용어, 약어 등 여러 분야에서 기호로 활용되며, 역사적으로는 긴 s가 사용되기도 했다. - 로마자 낱자 - H
H는 영어 알파벳의 여덟 번째 문자이며, 무성 성문 마찰음 /h/를 나타내며, 수소의 원소 기호이자, 인덕턴스 단위, 고기압, 음악의 음이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그 기원은 셈족 그림 문자에 있다. - 로마자 낱자 - S
S는 활에서 유래한 라틴 문자로, 여러 단계를 거쳐 현재 형태가 되었으며, 다양한 언어에서 치찰음을 나타내고, 화학 원소, 야구 용어, 약어 등 여러 분야에서 기호로 활용되며, 역사적으로는 긴 s가 사용되기도 했다.
| K | |
|---|---|
| 문자 정보 | |
| 문자 | K k |
| 스크립트 | 라틴 문자 |
| 유형 | 알파벳 및 표어 문자 |
| 언어 | 라틴어 |
| 음소 | k kʰ kʼ ɡ |
| 유니코드 | U+004B, U+006B |
| 알파벳 순서 | 11 |
| 계통 1 | |
| 계통 2 | 20px |
| 계통 3 | [[File:Protokaf.svg|20px|Kaph]] |
| 계통 4 | 20px |
| 계통 6 | 𐌊 |
| 사용 기간 | ~-700 ~ 현재 |
| 파생 문자 | K Ʞ ₭ |
| 자매 문자 | К כ ך ک ك ܟ ࠊ 𐎋 ከ Կ կ Հ հ Խ խ |
| 관련 문자 | k(x) |
| 쓰기 방향 | 왼쪽에서 오른쪽 |
![]() | |
| 로마자 표기 | |
| 로마자 표기 | K k |
| 기타 정보 | |
| 다른 뜻 | 이 문서는 K에 관한 것입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K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 AZ | Kk |
| 영어 발음 | kay, 케이 |
| IPA 발음 | [keɪ] |
2. 역사
K는 손바닥을 뜻하는 그림 문자에서 유래했다. 셈조어 문자 '손바닥', 페니키아 문자 카프, 그리스 문자 카파(Κ, κ), 에트루리아 문자 K를 거쳐 로마 문자 K로 발전했다.
![]() | ![]() | ![]() | ![]() |
초기 라틴어에서는 C, K, Q가 모두 /k/와 /g/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으나, 후에 C와 G의 사용이 K와 Q를 대체하게 되었다. K는 "Kalendae"(칼렌드)와 같이 몇몇 화석화된 형태로만 남았다.[4] 고대 그리스어 단어가 라틴어로 채용되면서 카파는 C로 음역되었고, 다른 알파벳에서 온 외래어들도 C로 음역되었다. 켈트어의 영향으로 고대 영어에서도 K 대신 C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었다.

K의 모양은 세로획의 중간에서 오른쪽 위와 오른쪽 아래로 비스듬한 선이 나온 모양이다. 대문자에서는 두 개의 비스듬한 선의 총 높이가 세로획과 같지만, 소문자에서는 절반이 된다.
2. 1. 어원
K 자는 그리스 문자 Κ(카파)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손바닥을 뜻하는 셈어 카프에서 가져온 것이다.[2] 이는 다시 이집트에서 살았던 셈족 부족들이 손을 나타내는 이집트어 단어에서 손을 의미하는 상형 문자 "/ḏ/"를 나타내는 "손"를 차용하여 발전시킨 것으로 추정된다. 셈족들은 그들의 손을 뜻하는 단어가 /k/로 시작했기 때문에 이 상형 문자에 /k/의 음가를 할당한 것으로 보인다.[3]
국제음성기호에서 무성 연구개 파열음을 나타낸다.
유니코드에서 K를 나타내는 코드는 대문자가 U+004B, 소문자가 U+006B이다.[1] ASCII에서도 마찬가지로 대문자는 4B, 소문자는 6B로 표현된다.
3. 발음
여러 언어에서 k영어의 발음은 다음과 같다.언어 음소 환경 중국어 (병음) 영어 , 묵음 에스페란토 페로어 efo (eifo 제외), ifo, jfo 앞에서 독일어 고대 그리스어 로마자 표기 현대 그리스어 로마자 표기 앞을 제외하고 앞에서 아이슬란드어 , , , , , 노르웨이어 ino 또는 yno 앞을 제외하고 ino 또는 yno 앞에서 스웨덴어 esv, isv, ysv, äsv, ösv 앞에서 튀르키예어 âtr, etr, itr, ötr, ûtr, ütr 앞을 제외하고 âtr, etr, itr, ötr, ûtr, ütr 앞에서
영어에서 K는 보통 를 나타내지만, 어근의 시작 부분에서 n영어 앞에 올 때는 묵음이 된다. (예: ''knight'', ''knife'', ''knot'')
한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인 문화관광부 2000년식에서는 ㅋ한국어 및 종성의 ㄱ한국어(모음이 뒤따르지 않는 경우)에 사용된다. 맥쿤-라이샤워식에서는 어두 등의 무성으로 발음되는 초성의 ㄱ한국어에도 k를 사용한다. 초성의 ㄲ한국어는 두 방식 모두 kk로 표기한다.
4. 컴퓨터 부호
K는 세로획의 중간에서 오른쪽 위와 아래로 비스듬한 선이 나오는 모양이다. 대문자는 두 비스듬한 선의 총 높이가 세로획과 같지만, 소문자는 절반이다. 프락투르에서는 와 같다.대문자 유니코드 JIS X 0213 문자 참조 소문자 유니코드 JIS X 0213 문자 참조 비고 K U+004B 1-3-43 k U+006B 1-3-75 K U+FF2B 1-3-43 k U+FF4B 1-3-75 전각 Ⓚ U+24C0 ‐ ⓚ U+24DA 1-12-36 원형 둘러싸기 🄚 U+1F11A ‐ ⒦ U+24A6 ‐ 괄호付き 𝐊 U+1D40A ‐ 𝐤 U+1D424 ‐ 굵은 글씨
5. 용도
국제 단위계 이외에서도 천 배를 나타내는 접두어로 사용된다. 예: Y2K(Year 2000=서기 2000년)
천 엔을 나타내는 단위로도 사용된다. 예: 5k(5000엔)
컴퓨터 관련에서는 1024(=210)배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대문자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이진 접두어)
참조
[1]
서적
K
Oxford English Dictionary
1989
[2]
웹사이트
K
http://dictionary.oe[...]
1977
[3]
논문
The Accidental Invention of the Phonemic Alphabet
[4]
서적
New Comparative Grammar of Greek and Lati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10-18
[5]
웹사이트
International Morse Code
https://web.archive.[...]
2014-02-10
[6]
웹사이트
Latin Extended-D
https://www.unicode.[...]
2019-03-06
[7]
웹사이트
L2/02-141: Uralic Phonetic Alphabet characters for the UCS
https://www.unicode.[...]
2018-03-24
[8]
웹사이트
L2/09-028: Proposal to encode additional characters for the Uralic Phonetic Alphabet
https://www.unicode.[...]
2018-03-24
[9]
웹사이트
L2/12-270: Proposal for the addition of ten Latin characters to the UCS
https://www.unicode.[...]
2018-03-24
[10]
웹사이트
L2/20-115R: Unicode request for additional phonetic click letters
https://www.unicode.[...]
2022-10-12
[11]
웹사이트
L2/20-116R: Expansion of the extIPA and VoQS
https://www.unicode.[...]
2022-10-12
[12]
웹사이트
L2/21-021: Reference doc numbers for L2/20-266R "Consolidated code chart of proposed phonetic characters" and IPA etc. code point and name changes
https://www.unicode.[...]
2022-10-12
[13]
웹사이트
L2/06-027: Proposal to add Medievalist characters to the UCS
https://www.unicode.[...]
2018-03-24
[14]
웹사이트
プログレッシブ英和中辞典
http://dictionary.go[...]
[15]
웹사이트
ASCII.jpデジタル用語辞典
https://kotobank.jp/[...]
[16]
문서
낫아웃은 좌우로 뒤집은 형태를 사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