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SC제일은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C제일은행은 1929년 조선저축은행으로 설립되어, 한국저축은행, 제일은행을 거쳐 2005년 스탠다드차타드 은행에 인수된 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1990년대에는 5대 시중은행 중 하나였으나, IMF 구제금융 사태를 겪으며 해외 매각되었다. 현재는 개인 및 기업 금융, 신용카드, 전자금융, 외환 등의 업무를 취급하며, 삼성카드 및 현대카드와 제휴하여 카드를 발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9년 설립된 기업 - 워너 뮤직 그룹
    워너 뮤직 그룹은 세계 3대 메이저 음반사 중 하나로, 다양한 레이블을 통해 여러 장르의 음악을 제작 및 유통하며 디지털 음악 시장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글로벌 음악 기업이다.
  • 1929년 설립된 기업 - 무학 (기업)
    무학은 대한민국 주류 제조 기업으로, '화이트' 소주 출시 후 '좋은데이'로 젊은 층에게 인기를 얻었으며 소주 외에도 전통주와 와인 제품을 생산한다.
  • 대한민국의 카드사 - 우정사업본부
    우정사업본부는 대한민국의 우편, 우체국예금, 우체국보험 등 우정 사업을 관장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중앙행정기관으로, 우편 및 금융 서비스 제공, 조직 형태와 명칭의 시대별 변천, 그리고 다양한 이슈들을 겪어왔다.
  • 대한민국의 카드사 - 부산은행
    부산은행은 1967년 설립되어 1972년 주식 시장에 상장된 대한민국의 지방 은행으로, 2011년 BS금융지주(현 BNK금융지주) 출범 이후 본점을 문현동으로 이전했으며, 롯데그룹과의 협력을 통해 ATM 수수료 혜택을 제공하고 부산, 서울 등에서 영업하며 해외 지점도 운영한다.
  • 대한민국의 은행 - 카카오뱅크
    카카오뱅크는 2017년 출범한 대한민국 인터넷 전문 은행으로, 카카오프렌즈 캐릭터를 활용한 금융 상품과 수수료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리눅스 기반 시스템과 간편한 모바일 앱을 통해 사용자 편의성을 높였다.
  • 대한민국의 은행 - 부산은행
    부산은행은 1967년 설립되어 1972년 주식 시장에 상장된 대한민국의 지방 은행으로, 2011년 BS금융지주(현 BNK금융지주) 출범 이후 본점을 문현동으로 이전했으며, 롯데그룹과의 협력을 통해 ATM 수수료 혜택을 제공하고 부산, 서울 등에서 영업하며 해외 지점도 운영한다.
SC제일은행 - [회사]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회사명주식회사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
영문 회사명Standard Chartered Bank Korea Limited
설립일1929년 7월
이전 회사조선저축은행 (1929년 ~ 1950년)
한국저축은행 (1950년 ~ 1958년)
제일은행 (1958년 ~ 2005년)
한국스탠다드차타드제일은행 (2005년 ~ 2012년)
본점 소재지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
산업금융업
기업 유형주식회사
모기업영국 스탠다드차타드 은행
웹사이트www.standardchartered.co.kr
경영진
은행장박종복
재무 정보 (2015년 기준)
자본금1,313,043,000,000원
순이익-285,751,000,000원
자산 총액56,431,732,000,000원
영업 이익-413,819,000,000원
직원 정보
직원 수4,196명 (2015년)
주주 정보
주주Standard Chartered NEA Limited: 100%

2. 역사

일제강점기 당시 SC제일은행의 전신인 조선저축은행


1996년 제일은행 명동지점


SC제일은행은 1929년 일제강점기에 '''조선저축은행'''으로 설립되어, 1958년 '''제일은행'''으로, 2005년 '''SC제일은행'''으로, 2012년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으로 상호를 변경했다가 2016년 다시 '''SC제일은행'''으로 브랜드명을 환원하였다. (법인명은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 유지)

한국에서는 시중은행으로 분류되며(은행 코드 23), 일본 금융청 분류에서는 외국은행(통일금융기관코드 0436)이었다.

2. 1. 설립 초기 (1929년 ~ 1958년)

1929년 일제강점기에 '''조선저축은행'''으로 설립되었다.[4] 1950년 '''조선저축은행'''에서 '''한국저축은행'''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4] 1954년 한국식산은행이 한국산업은행으로 개편되는 과정에서 포함되지 못한 점포를 인수하였다.[4] 1958년 '''한국저축은행'''에서 '''제일은행'''(第一銀行, Korea First Bank)으로 상호를 변경하였으며[4], 한국에서 처음으로 정기적금과 여행자수표를 개발하였다.

2. 2. 제일은행 시대 (1958년 ~ 2005년)

1958년 '''한국저축은행'''에서 '''제일은행'''(第一銀行, Korea First Bank)으로 변경되었다.[3] 1981년에는 제일씨티리스를 인수하였고, 1987년에는 본점을 서울특별시 중구 충무로1가에서 종로구 공평동(종로1가)으로 이전하였다. 1994년에는 상업증권 및 상업상호신용금고를 인수하였다. 1990년대에는 조흥은행, 한국상업은행, 한일은행, 서울은행과 함께 대한민국 5대 시중은행 중 하나로 성장하였다.[1]

1997년 아시아 외환 위기 당시 주요 거래처였던 기아자동차, 대우, 한보철강의 잇따른 경영 위기로 연쇄 파산 위기를 맞았다.[2] 1998년 IMF 구제금융사건 당시 공적 자금이 투입된 이후 해외 매각이 추진되었으며, 1999년 미국사모펀드인 뉴브리지캐피탈과 합작 계약을 체결하였다. 이 과정에서 한국 최초로 외국인 CEO 윌프리드 Y. 호리에가 취임하였다.

2005년 뉴브리지캐피탈이 영국스탠다드차타드 은행에 제일은행의 주식을 매각하면서 헐값 매각 논란이 제기되기도 하였다.[3]

일본에서는 1972년 오사카 지점을 개설했지만 IMF 외환 위기 때 폐쇄되었다. 이후 1988년 도쿄 지점을 열어 영업했으나 2005년스탠다드차타드 은행 도쿄 지점에 영업을 양도하고 폐점했다.

2. 3. SC제일은행 시대 (2005년 ~ 현재)

2005년 뉴브리지캐피탈이 영국스탠다드차타드 은행에 제일은행 주식을 매각하면서 헐값 매각 논란이 제기되었다.[3] 같은 해, '''제일은행'''에서 '''SC제일은행'''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2007년 펀드사무수탁회사 에이브레인을 인수했다. 2008년 한국스탠다드차타드증권을 설립하고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서울지점을 합병했다. 2009년 한국스탠다드차타드금융지주를 설립했다.

2012년 1월 '''SC제일은행'''에서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2014년 9월 한국SC은행이 SC펀드서비스를 통합했고, 2014년 12월 박종복 은행장이 취임하였다. 2015년 1월 SC스탠다드저축은행을 일본 J트러스트에 매각하여 JT저축은행이 되었고, 2015년 3월 SC스탠다드캐피탈을 일본 J트러스트에 매각하여 A캐피탈이 되었다. 2015년 12월 한국스탠다드차타드금융지주와 흡수 합병되었다.

2016년 2월 삼성카드와 제휴 계약을 맺어 은행-카드사 간 융합을 이루었고, 2016년 4월 브랜드명을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에서 '''SC제일은행'''으로 환원하였다. (법인명은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으로 유지) 2022년 4월 현대카드와 제휴 계약을 맺고, 2022년 10월 4일 제휴 현대카드를 출시했다. 2022년 11월 1일 SC제일은행 BC카드 취급이 중단되었다. 2024년 12월 27일 우정사업본부와 업무 협약을 맺었다.[4]

3. 영업점 및 업무

SC제일은행은 국내외에 지점을 운영하고 있으며, 다양한 금융 업무를 제공한다.

SC제일은행의 국내 지점망은 다음과 같이 분포해 있다.


  • 수도권: 여주, 양평, 파주, 하남, 안성, 가평, 연천, 동두천, 양주, 강화, 옹진은 제외. 단, 화성시우정읍 석천리 기아자동차 공장 내에 위치하여 일반인 출입은 불가능하며, 일반인이 방문할 때는 화성병점지점이나 평택지점을 이용해야 한다.
  • 강원: 원주, 춘천, 강릉
  • 충청/호남권: 대전, 청주, 충주, 세종, 천안, 홍성, 익산, 군산, 전주, 광주, 목포, 여수, 순천
  • 영남/제주권: 대구, 포항, 상주, 구미, 거제, 김해, 창원, 울산, 부산, 제주

3. 1. 영업점 현황

구분개점
국내 지점 및 출장소 (2023년 12월 말)159개
국외 지점 (2020년 12월 말)776개 (60여 국가, 종업원 6만여 명)


3. 2. 주요 업무

SC제일은행은 개인금융, 기업금융, 신용카드, 전자금융, 신탁, 외환 업무를 취급한다.[5]

영업시간은 매주 평일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4시 30분까지이다.[5]

SC제일은행은 자체적으로 카드 업무를 하지 않고, 삼성카드현대카드와 제휴하여 카드를 취급한다. 비씨카드 제휴 업무도 지속했으나, 삼성카드와 제휴한 후에는 상품을 조금씩 줄여왔다. 2022년 4월에는 현대카드와 파트너십 계약을 맺었고, 동년 10월 4일에 SC제일은행 제휴 현대 신용/체크카드를 출시했다. 현대카드와 제휴 계약을 체결할 즈음에 2022년 11월 1일부터 비씨카드 취급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취급 외환은 다음과 같다.

지역통화
아시아円|엔일본어 (일본 엔), 人民币|런민비중국어 (런민비), บาท|밧th (태국 밧), dollar|달러영어 (싱가포르 달러), Rupiah|루피아id (인도네시아 루피아), dollar|달러영어 (홍콩 달러), Ringgit|링깃ms (말레이시아 링깃)
오세아니아dollar|달러영어 (오스트레일리아 달러), dollar|달러영어 (뉴질랜드 달러)
북아메리카dollar|달러영어 (미국 달러), dollar|달러영어 (캐나다 달러)
유럽Euro|유로영어 (유로), Pound|파운드영어 (영국 파운드), Krona|크로나sv (스웨덴 크로나), Krone|크로네no (노르웨이 크로네), Krone|크로네da (덴마크 크로네), Franken|프랑de (스위스 프랑)
중동/아프리카دينار كويتي|디나르ar (쿠웨이트 디나르), ريال سعودي|리얄ar (사우디아라비아 리얄), درهم إماراتي|디르함ar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دينار أردني|디나르ar (요르단 디나르), دينار بحريني|디나르ar (바레인 디나르)


3. 3. 카드 업무

SC제일은행은 자체적으로 카드 업무를 하지 않고, 삼성카드현대카드를 통해 제휴 카드를 취급한다.[6]

은행신용카드협회의 창립 주주사로 참여하여 비씨카드의 지분을 보유했었으나, 2009년 8월 31일에 모두 매각했다.[6] 지분 매각 후에도 비씨카드 제휴 업무를 지속했으나, 삼성카드와 제휴한 후에는 상품을 조금씩 줄여왔다. 2017년 2월 20일에는 비씨카드의 공통 상품 중 하나인 부자되세요 더 마일리지 체크카드(마스터카드/은련), 두드림플러스 V2 체크카드, 리워드W 신용/체크카드, 플러스마일 신용카드 등을 출시하기도 했다.

2022년 4월에는 현대카드와 파트너십 계약을 맺었고, 동년 10월 4일에 SC제일은행 제휴 현대 신용/체크카드를 출시했다. SC제일은행 제휴형 현대 체크카드(X, M)는 비자카드가 장착되며, 연회비를 받지 않는다. 또한 비교통형과 후불교통형 모두 비접촉 결제가 장착된다.

현대카드와 제휴계약을 체결할 즈음에 2022년 11월 1일부터 비씨카드 취급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비씨카드의 신규/추가발급/갱신발급이 모두 종료되어 더 이상 비씨카드를 취급하지 않는다.

3. 4. 취급 외환

SC제일은행에서 취급하는 외환은 다음과 같다.

통화지폐 종류
1,000, 5,000, 10,000
런민비1, 5, 10, 20, 50, 100
20, 50, 100, 500, 1,000
달러2, 5, 10, 20, 50, 100, 1,000, 10,000
루피아100, 500, 1,000, 2,000, 5,000, 10,000, 20,000, 50,000, 100,000
달러10, 20, 50, 100, 500, 1,000
링깃1, 2, 5, 10, 50, 100
달러5, 10, 20, 50, 100
달러5, 10, 20, 50, 100
달러1, 2, 5, 10, 20, 50, 100
달러5, 10, 20, 50, 100
유로5, 10, 20, 50, 100, 200, 500
파운드5, 10, 20, 50
크로나20, 50, 100, 500, 1,000
크로네50, 100, 200, 500, 1,000
크로네50, 100, 200, 500, 1,000
프랑10, 20, 50, 100, 500, 1,000
디나르1/4, 1/2, 1, 5, 10, 20
리얄1, 5, 10, 50, 100, 200, 500
디르함5, 10, 20, 50, 100, 200, 500
디나르1/2, 1, 5, 10, 20, 50
디나르1/2, 5, 10, 20


참조

[1] 웹사이트 Profit vs. public obligations https://koreajoongan[...] 2023-02-21
[2] 웹사이트 '조상제한서'의 몰락…반세기 '은행 不死' 신화 무너지다 https://www.hankyung[...] 2019-03-08
[3] 웹사이트 Unknown Title https://encykorea.ak[...] 2023-11-00
[4] 뉴스 SC제일은행 고객도 우체국서 금융업무 본다 https://n.news.naver[...] 이데일리
[5] 일반텍스트
[6] 뉴스 SC제일은행, 비씨카드 지분 매각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7] 일반텍스트
[8] 일반텍스트
[9] 일반텍스트
[10] 일반텍스트
[11] 일반텍스트
[12] 일반텍스트
[13] 일반텍스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