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최소 정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대·최소 정리는 콤팩트 집합을 정의역으로 하고 실수선을 공역으로 하는 연속 함수는 유계이며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는다는 정리이다. 이 정리는 닫힌 구간에 정의된 실숫값 연속 함수에도 적용된다. 최대 최소 정리는 귀류법과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를 이용하여 증명할 수 있으며, 비표준 해석학을 통해서도 증명할 수 있다. 이 정리는 거리 공간과 위상 공간으로 일반화될 수 있으며, 상반연속 함수와 하반연속 함수에도 적용된다. 함수의 정의역이 닫힌 구간이 아니거나, 함수가 불연속인 경우에는 최대 최소 정리가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적분학 정리 - 연쇄 법칙
연쇄 법칙은 둘 이상의 미분 가능한 함수 합성의 미분법을 제공하며, z의 y에 대한 순간적인 변화율과 y의 x에 대한 순간적인 변화율을 곱하여 z의 x에 대한 순간적인 변화율을 계산하는 직관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실변수 함수, 다변수 함수 등 다양한 경우에 적용된다. - 미적분학 정리 -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는 미분과 적분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미적분학의 핵심 정리로서, 제1 기본 정리와 제2 기본 정리로 구성되며, 17세기에 발전되어 르베그 적분 등으로 일반화된다. - 연속 함수 - 바이어슈트라스 함수
바이어슈트라스 함수는 특정 조건의 상수 와 를 사용하여 와 같은 무한 급수 형태로 정의되며 모든 점에서 연속이지만 어느 곳에서도 미분 불가능한 자기 유사성을 지닌 최초로 연구된 프랙탈 중 하나이다. - 연속 함수 - 하이네-칸토어 정리
하이네-칸토어 정리는 콤팩트 균등 공간에서 균등 공간으로 가는 연속 함수는 균등 연속 함수라는 정리이며, 이는 정의역이 완전 유계 공간이 아니거나 완비 균등 공간이 아닌 경우에는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 - 실해석학 정리 -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는 미분과 적분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미적분학의 핵심 정리로서, 제1 기본 정리와 제2 기본 정리로 구성되며, 17세기에 발전되어 르베그 적분 등으로 일반화된다. - 실해석학 정리 -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는 유클리드 공간에서 유계인 수열이 수렴하는 부분 수열을 가진다는 정리로, 실해석학에서 중요하며 경제학의 균형 개념 증명에도 활용된다.
최대 최소 정리 | |
---|---|
개요 | |
종류 | 해석학 정리 |
분야 | 실해석학 |
내용 | |
관련 정리 | 중간값 정리 평균값 정리 |
2. 정의
콤팩트 공간 에서 정의되고 실수선 을 공역으로 갖는 연속 함수 는 유계 함수이며,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는다.[2] 즉, 다음이 성립한다.
위를 만족시키는 가 존재하여, 임의의 에 대하여, 가 성립한다.
위상 공간론에서, 연속 함수는 콤팩트성을 보존하며, 실수선의 부분 집합이 콤팩트이기 위한 필요충분 조건은 유계 폐구간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극값 정리의 일반화가 유도된다.
; 정리: 공집합이 아닌 콤팩트 공간에서 정의된 실숫값 연속 함수는 위로 유계이며, 그 상한을 달성한다.
좀 더 일반적으로, 이 사실은 상반연속 함수에 대해서 성립한다.
2. 1. 닫힌구간에서의 최대 최소 정리
최대·최소 정리에 따르면, 닫힌구간에 정의된 실숫값 연속 함수 는 유계 함수이며,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는다.3. 증명
최대 최소 정리의 증명은 귀류법,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 실수의 데데킨트 완비성 등을 사용하여 증명할 수 있다.
최댓값 정리의 증명에서는 그 중간 단계로 유계성 정리를 먼저 증명한다. 증명은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밟아 진행한다.
# 유계성 정리를 증명한다.
# 상이 의 상한에 수렴하는 수열을 얻는다.
# 얻어진 수열의 부분 수열로, 의 정의역에 속하는 점으로 수렴하는 것이 있음을 보인다.
# 연속성을 이용하여, 얻어진 부분 수열의 상이 의 상한으로 수렴함을 보인다.
의 상한(upper bound)과 최댓값에 대한 증명을 살펴본다. 이 결과를 함수 에 적용하면 하한의 존재와 의 최솟값에 대한 결과가 도출된다. 또한 증명의 모든 과정은 실수(real numbers)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에 유의한다.[3]
3. 1. 유계성 정리
귀류법을 사용하여, 함수 가 최댓값을 가지지 않는다고 가정하고, 유계성 정리를 증명한다. 가 연속 함수이므로, 임의의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근방 을 취할 수 있다.:
그렇다면, 는 의 덮개이며, 가 콤팩트 공간이므로 유한 부분 덮개 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임의의 에 대하여,
:
이며, 이는 상한의 정의와 모순이다. 따라서, 의 상한은 무한대가 아니며, 또한 는 최댓값을 갖는다.
최대 최소 정리의 증명에서 의 상한(upper bound)과 최댓값에 대한 증명을 살펴본다. 이 결과를 함수 에 적용하면 하한의 존재와 의 최솟값에 대한 결과가 도출된다. 또한 증명의 모든 과정은 실수(real numbers)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에 유의한다.
먼저 극값 정리의 증명 단계인 유계성을 증명한다. 극값 정리 증명에 포함된 기본적인 단계는 다음과 같다.
# 유계성 정리를 증명한다.
# 상(Image (mathematics))(image)가 의 상한(supremum)에 수렴하는 수열을 찾는다.
# 부분 수열(subsequence)이 함수의 정의 구역(domain of a function) 내의 한 점으로 수렴함을 보인다.
# 연속성을 사용하여 부분 수열의 상이 상한에 수렴함을 보인다.
'''유계 정리'''
만약 가 에서 연속이면, 에서 유계이다.
함수 가 구간 에서 위로 유계가 아니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모든 자연수 에 대해, 을 만족하는 가 존재한다. 이것은 수열 을 정의한다. 가 유계이므로,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에 의해 의 수렴하는 부분 수열 이 존재한다. 그 극한을 라고 하자. 는 닫혀있으므로, 를 포함한다. 가 에서 연속이므로, 가 실수 로 수렴한다는 것을 안다 ( 가 에서 수열 연속이므로). 하지만 모든 에 대해 이므로, 는 로 발산하며, 이는 모순이다. 따라서, 는 에서 위로 유계이다.
'''다른 증명'''
구간 에서 가 에서 유계인 점 들의 집합 를 고려하자. 는 그러한 점 중 하나인데, 는 값에 의해 에서 유계이기 때문이다. 만약 가 다른 점이라면, 와 사이의 모든 점들도 에 속한다. 즉, 는 로 왼쪽 끝이 닫힌 구간이다.
이제 는 에서 오른쪽으로 연속이므로, 에 있는 모든 에 대해 을 만족하는 가 존재한다. 따라서 는 구간 에서 과 로 유계이므로, 이러한 모든 점들은 에 속한다.
지금까지, 가 로 왼쪽 끝이 닫히고 길이가 0이 아닌 구간임을 알고 있다.
다음으로, 는 로 위로 유계이다. 따라서 집합 는 에서 상한을 갖는다; 이를 라고 하자. 의 길이가 0이 아니므로, 임을 추론할 수 있다.
만약
4. 역사
최대 최소 정리는 19세기 베르나르트 볼차노가 처음 증명했고, 이후 카를 바이어슈트라스가 재발견했다.[1] 볼차노는 1830년대 '함수론'에서 이 정리를 증명했지만, 그의 연구는 1930년에야 출판되었다. 볼차노의 증명은 닫힌 구간에서 연속 함수가 유계이며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는다는 것을 보였고, 이는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의 핵심 내용이다. 바이어슈트라스는 1860년에 이 정리를 독자적으로 재발견하여 이 정리는 그의 이름을 따서 불리기도 한다.
4. 1. 베르나르트 볼차노의 초기 연구
베르나르트 볼차노는 1830년대에 '함수론'이라는 연구에서 최대 최소 정리를 증명했지만, 이 연구는 1930년까지 출판되지 않았다.[1] 볼차노의 증명은 닫힌 구간에서 연속 함수가 유계임을 보이고, 그 함수가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는다는 것을 보이는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이 두 증명은 모두 오늘날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로 알려진 내용을 포함한다.4. 2. 카를 바이어슈트라스의 재발견
카를 바이어슈트라스는 1860년대에 베르나르트 볼차노의 증명을 재발견했다. 볼차노의 증명은 폐구간에서 연속 함수가 유계이면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는다는 것을 보인 것이다. 이 증명은 오늘날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로 알려져 있다.5. 일반화
실수선을 임의의 위상 공간으로 바꿀 때, 유계 폐구간에 대응하는 것은 콤팩트 공간이다. 위상 공간론에서, 연속 함수가 콤팩트성을 보존하는 것과 실수선의 부분 집합이 콤팩트이기 위한 필요충분 조건이 그것이 유계 폐구간이 되는 것임은 이미 알려져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극값 정리(최대 최소 정리)의 일반화가 유도된다.
; 정리: 공집합이 아닌 콤팩트 공간에서 정의된 실숫값 연속 함수는 위로 유계이며, 그 상한을 달성한다.
좀 더 일반적으로, 이 사실은 상반연속 함수에 대해서도 성립한다.
5. 1. 거리 공간과 콤팩트 집합
수직선(연속 함수의 개념 또한 마찬가지로 일반화될 수 있다. 위상 공간
만약
특히, 만약
만약
5. 2. 위상 공간과 연속 함수
위상 공간'''정리'''
:
특히, 만약
'''정리'''
:만약
좀 더 일반적으로, 이는 위쪽 반연속 함수에도 적용된다. (콤팩트 공간#함수와 콤팩트 공간 참조).
실수선을 임의의 위상 공간으로 바꿀 때, 유계 폐구간에 대응하는 것은 콤팩트 공간이다. 위상 공간론에서, 연속 함수가 콤팩트성을 보존하는 것, 그리고 실수선의 부분 집합이 콤팩트이기 위한 필요충분 조건이 그것이 유계 폐구간이 되는 것임은 이미 알려져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극값 정리의 일반화가 유도된다.
'''정리'''
:공집합이 아닌 콤팩트 공간에서 정의된 실숫값 연속 함수는 위로 유계이며, 그 상한을 달성한다.
좀 더 일반적으로, 이 사실은 상반연속 함수에 대해서 성립한다.
5. 3. 반연속 함수
함수 ''f''의 연속성이 반연속성으로 약화되면, 경계 정리와 최대 최소 정리의 해당 절반이 성립하며, 확장된 실수선에서 -∞ 또는 +∞ 값을 허용할 수 있다.함수
:
'''정리'''
: 함수
'''증명'''
:
이 결과를 -''f''에 적용하면 하반연속 함수의 하한에 대한 유사한 결과를 증명한다.
함수
:
'''정리'''
: 함수
실수 값 함수는 상반연속과 하반연속을 모두 가지면, 일반적인 의미에서 연속이다. 따라서 이 두 정리는 경계 정리와 최대 최소 정리를 함축한다.
6. 적용되지 않는 예시
함수의 정의역이 닫힌구간이 아니거나, 함수가 불연속인 경우 최대·최소 정리가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1]
- 정의역이 닫힌구간이 아닌 경우: 열린 구간이나 반열린 구간에서는 최댓값 또는 최솟값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 함수가 불연속인 경우: 함수가 불연속이면 닫힌구간에서도 최댓값 또는 최솟값을 갖지 않을 수 있다.
6. 1. 정의역이 닫힌구간이 아닌 경우
열린 구간이나 반열린 구간에서는 최댓값 또는 최솟값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은 그 예시들이다.[1]함수 | 정의역 | 설명 |
---|---|---|
위로 유계가 아니다. | ||
유계이지만, 최소 상한 | ||
위로 유계가 아니다. | ||
유계이지만, 최소 상한 |
마지막 두 예시에서
6. 2. 함수가 불연속인 경우
최대 최소 정리에 따르면, 함수가 불연속이면 닫힌구간에서도 최댓값 또는 최솟값을 갖지 않을 수 있다. 다음은 그 예시이다.[1]- 정의역이 (0, 1]인 함수
f(x) = \frac{1}{x} 는 위로 유계가 아니다. - 정의역이 (0, 1]인 함수
f(x) = 1 - x 는 유계이지만, 상한 값 1을 갖는 점x 가 존재하지 않는다.
위의 예시에서
참조
[1]
논문
Bolzano and Uniform Continuity
[2]
서적
Principles of Mathematical Analysis
https://archive.org/[...]
McGraw Hill
[3]
서적
Elementary Calculus : An Infinitesimal Approach
https://www.math.wis[...]
Prindle, Weber & Schmid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