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르나르트 볼차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르나르트 볼차노는 프라하에서 태어난 철학자, 수학자, 신학자로, 볼차노 정리로 유명하며,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를 발견했다. 그는 프라하 대학교에서 종교학 교수로 재직하며 군국주의 비판과 사회 개혁을 주장하다가 해직되었으며, 이후 저술 활동에 전념했다. 그의 주요 저서로는 《지식학》, 《무한의 역설》 등이 있으며, 논리학, 수학, 사회 사상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계 체코인 - 칼 퍼디낸드 코리
    칼 퍼디낸드 코리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출신의 미국 생화학자이며, 아내 거티 코리와 함께 탄수화물 대사 연구를 통해 코리 회로를 정의하고 글리코겐 인산화효소를 발견하여 1947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 체코의 논리학자 - 쿠르트 괴델
    오스트리아 태생의 논리학자, 수학자, 철학자인 쿠르트 괴델은 20세기 논리학에 큰 영향을 미친 불완전성 정리로 수학기초론에 전환점을 제시했으며, 빈 대학교와 프린스턴 고등연구소에서 활동하다 말년에는 영양실조로 사망했다.
베르나르트 볼차노
기본 정보
베르나르트 볼차노
존칭 접두사신부
본명베르나르두스 플라키두스 요한 네포무크 볼차노
출생일1781년 10월 5일
출생지프라하, 보헤미아 왕국
사망일1848년 12월 18일
사망지프라하, 보헤미아 왕국
국적보헤미아
언어독일어
교육
교육 기관프라하 카렐 대학교
학위박사 (1804년)
박사 논문 제목원소 기하학의 몇 가지 대상에 대한 고찰
박사 논문 URL원소 기하학의 몇 가지 대상에 대한 고찰
지도 교수프란츠 요제프 게르스트너
직업
직업수학자
논리학자
철학자
신학자
가톨릭 사제
소속 기관프라하 카렐 대학교 (1805년–1819년)
철학적 관점
학파논리 객관주의
공리주의
고전적 자유주의
주요 관심사논리학
인식론
신학
주요 사상논리 객관주의
볼차노 정리 (중간값 정리의 첫 번째 순수 해석적 증명)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
(ε, δ)-극한 정의
최소 상계 속성
종교
종교기독교
교단가톨릭 교회
서품1805년
영향
주목할 만한 제자로베르트 폰 치머만

2. 생애

베르나르트 볼차노는 프라하의 상인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독일어를 모국어로 사용했다. 1796년부터 프라하 대학교에서 철학, 수학, 신학을 공부했고, 1805년 가톨릭 사제 서품을 받았다. 프라하 대학교 종교학 교수가 되었으나, 군국주의를 비판하고 평화를 옹호하는 그의 가르침은 가톨릭 교회 및 대학 당국과 갈등을 빚었다. 결국 1819년 이단으로 몰려 해직되었고, 저술 활동에도 제약을 받았다.

볼차노는 자신의 신념을 굽히지 않고 연구를 계속했으며, 1823년 안나 호프만 부인의 지원을 받으며 연구에 전념할 수 있었다. 1842년 프라하로 돌아왔으며, 1848년 『무한의 역설』을 완성한 직후 사망했다.

2. 1. 출생과 교육

베르나르트 볼차노는 프라하의 상인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모국어는 독일어였다. 아버지 베르나르트 폼페이우스 볼차노는 이탈리아 출신으로 프라하로 이주하여 프라하의 독일어 사용 가문인 마우러 가문 출신의 마리아 체칠리아 마우러와 결혼했다. 볼차노는 독실한 가톨릭 신자 부모의 아들이었다. 그들의 12명의 자녀 중 성인이 된 자녀는 두 명뿐이었다.[19]

1796년부터 프라하 대학교에서 철학, 수학, 신학을 공부했다. 1804년에는 논문 「초등기하학의 몇 가지 대상에 대한 고찰」(Betrachtungen über einige Gegenstände der Elementargeometrie)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19]

2. 2. 프라하 대학교 교수 시절과 해직

프라하 대학교에서 가톨릭 신학, 수학, 형이상학, 물리학을 공부했으며, 크리스티안 볼프 등의 철학에 관심을 가졌다. 이후 칸트 연구에도 힘썼다.[7] 1804년 논문 「초등기하학의 몇 가지 대상에 대한 고찰」(Betrachtungen über einige Gegenstände der Elementargeometrie)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805년부터 프라하 대학교에서 종교학 강의를 담당했다. 그러나 강의 내용이 당시 체코에서 금지되었던 계몽주의적인 내용으로 여겨져 궁정으로부터 위험시되었다.[5]

볼차노는 군국주의의 사회적 낭비와 전쟁의 불필요성에 대해 가르쳤는데, 이는 많은 교수진과 교회 지도자들을 소외시켰다. 그는 국가 간의 무력 충돌보다는 평화를 통해 국가의 이익을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이를 위해 교육, 사회, 경제 시스템의 전면적인 개혁을 촉구했다. 이러한 그의 정치적 신념은 오스트리아 당국에게는 지나치게 자유주의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결국 1820년 체코 독립 운동 가담을 이유로 대학교에서 추방되었고, 종교 관련 강연과 저술 발표가 금지되었다. 설상가상으로 1821년에는 어머니가 사망하는 등 연이은 불행을 겪었다.[19]

2. 3. 해직 이후의 삶과 연구

볼차노는 군국주의는 사회적 파괴이며 전쟁은 불필요하다고 가르쳤다가 대학의 다른 교수 및 가톨릭 교회 지도자와 멀어졌다.[5] 그는 국가 간의 무력 충돌보다는 국가 안보를 평화에 대한 방향으로 이끌어 줄 교육, 사회 및 경제 체제의 전면 개혁을 촉구했다. 이런 그의 견해는 대학측과 로마 가톨릭 당국으로부터 찬성을 얻지 못했고 오히려 그의 신념을 버리고 자유주의적 가르침을 중단할 것을 강요받았다.[5] 그는 그러한 요구를 거절했고 1819년 이단이라 하여 대학에서 해직 당했다.[5] 저서의 출판도 금지되었다. 이 때문에 그의 저서는 익명으로 나가고 외국 출판물이 많았다.

1819년 12월 24일, 그는 자신의 신념을 철회하기를 거부함에 따라 교수직에서 해임되었고 시골로 추방된 후 사회, 종교, 철학 및 수학적 문제에 관한 저술에 힘썼다. 추방 조건으로 주류 학술지출판하는 것이 금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볼차노는 자신의 아이디어를 계속 발전시켜 스스로 또는 외딴 동유럽 학술지에 출판했다.

1820년, 체코 독립 운동 가담을 이유로 대학교에서 추방되었고, 종교 관련 강연과 저술 발표가 금지되었다. 설상가상으로 1821년에는 어머니가 사망하는 등 연이어 불행을 겪었다.

적은 연금으로 생계를 유지하며 궁핍한 생활을 보낸 볼차노는 1823년 프라하 상인의 부인인 안나 호프만을 만났다. 그녀는 경제적, 정신적으로 지원해 줌으로써 그는 연구를 계속할 수 있었다. 이러한 지원은 부인이 1842년 사망할 때까지 계속되었다.

1837년, 주저로 여겨지는 『'''지식학''' ''Wissenschaftslehre''』[19]을 저술하여, 여러 학문의 기초를 "명제 자체 ''Satz an sich''", "진리 자체 ''Wahrheit an sich''", "표상 자체 ''Vorstellung an sich''"라는 세 가지 개념을 바탕으로 객관주의적인 논리학적 입장에서 세우려고 시도했다.

최후의 해인 1848년 말에는 그동안 철학적 개념으로만 다루어졌던 무한 개념을 수학에도 도입한 『'''무한의 역설''' ''Paradoxien des Unendlichen''』을 저술했다. 이 역시 중요한 저서이다. 『무한의 역설』을 완성한 지 며칠 후 감기에 걸려 건강이 급격히 악화되어 1848년에 프라하에서 사망했다. 향년 67세였다.

2. 4. 죽음

볼차노는 1842년에 프라하로 돌아와 1848년에 사망했다.[7] 마지막 저서인 『'''무한의 역설'''』을 완성한 지 며칠 후 감기에 걸려 건강이 급격히 악화되어 향년 67세로 사망했다.

3. 수학적 업적

볼차노는 볼차노 정리로 유명하며, 카를 바이어슈트라스와 함께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를 발견했다. 또한 무한의 역설을 연구했다.[20]

볼차노는 수학에 여러 가지 독창적인 공헌을 했다. 생전에는 그의 업적이 거의 평가받지 못했지만, 해석학 분야에서는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 등 그의 이름이 붙은 정리가 몇 가지 남아 있다.[21]

3. 1. 해석학의 엄밀성 확립

볼차노는 수학에 여러 가지 독창적인 공헌을 했다. 당시 수학의 일반적인 경향과는 달리, 시간과 운동과 같은 직관적인 개념을 수학에 도입하지 않는 것이 더 낫다는 철학적 입장을 취했다.[8] 그는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초기 수학자 중 한 명으로서, ''Beyträge zu einer begründeteren Darstellung der Mathematik''(1810), ''Der binomische Lehrsatz''(1816), ''Rein analytischer Beweis''(1817)와 같은 세 가지 주요 수학 저서를 통해 수학 해석에 엄밀성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저서들은 "...해석을 발전시키는 새로운 방법의 샘플"을 제시했으며, 그 궁극적인 목표는 약 50년 후 카를 바이어슈트라스의 주목을 받게 될 때까지 실현되지 않았다.[8]

그는 수학 해석의 기초에 완전히 엄밀한 (ε, δ) 극한의 정의를 도입하는 데 기여했다. 볼차노는 실수의 최소 상계 성질을 처음으로 인식한 사람이었다.[8] 당시 다른 여러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그는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무한소 가능성에 대해 회의적이었다. 무한소는 미적분학의 초기 기초가 되었다. 볼차노의 극한 개념은 현대적인 개념과 유사했다. 즉, 극한은 무한소 사이의 관계가 아니라 독립 변수가 어떤 정의된 값에 접근할 때 종속 변수가 어떻게 정의된 값에 접근하는지에 대한 관점에서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볼차노는 또한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가 원래 기하학적 고려 사항에서 증명한 대수의 기본 정리에 대한 최초의 순수 해석적 증명을 제시했다. 그는 중간값 정리(볼차노의 정리로도 알려짐)에 대한 최초의 순수 해석적 증명도 제시했다.

3. 2.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

카를 바이어슈트라스와 함께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를 발견했다.[20] 그는 수학 해석의 기초에 완전히 엄밀한 (ε, δ) 극한의 정의를 도입하는 데 기여했다. 볼차노는 실수의 최소 상계 성질을 처음으로 인식한 사람이었다.[8] 오늘날 그는 주로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로 기억되는데, 이 정리는 카를 바이어슈트라스가 독자적으로 개발하고 볼차노의 최초 증명 후 수년 후에 발표했으며, 볼차노의 초기 연구가 재발견될 때까지 처음에는 바이어슈트라스 정리라고 불렸다.

3. 3. 무한 개념 연구

볼차노는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무한소 가능성에 회의적이었다.[8] 무한소는 미적분학의 초기 기초가 되었다. 볼차노는 무한(無限)의 역설(逆說)을 생각했다.[20] 그의 극한에 대한 개념은 현대적인 개념과 유사했다. 즉, 극한은 무한소 사이의 관계가 아니라 독립 변수가 다른 어떤 정의된 값에 접근할 때 종속 변수가 어떻게 정의된 값에 접근하는지에 대한 관점에서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의 유작인 『무한의 역설』은 이후 실무한 개념의 발전에 기여했다.[20]

4. 철학적 업적

볼차노는 수학에서 볼차노 정리로 유명하며, 카를 바이어슈트라스와 함께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를 발견했다. 또한, 무한(無限)의 역설(逆說)을 생각했다.

볼차노의 주저는 4권의 《지식학(Wissenschaftslehre)》(1837)이다. 그는 '명제 자체', '표상 자체', '진리 자체'라는 세 가지 개념을 제시했다. 이 개념들은 에드문트 후설에게 영향을 미친 논리주의의 기반이 된다.

《무한의 역설(Paradoxien des Unendlichen)》(1851)은 볼차노 사후 출판된 저서로 찰스 샌더스 피어스, 게오르크 칸토어, 리하르트 데데킨트 등 저명한 논리학자들에게 극찬을 받았다. 4권으로 구성된 《과학이론(Wissenschaftslehre)》(1837)은 과학철학, 논리학, 인식론, 과학 교육학을 다룬 저서로, 볼차노의 논리 이론은 획기적인 것으로 평가받는다.

볼차노는 《종교과학 교과서(Lehrbuch der Religionswissenschaft)》, 《아타나시아(Athanasia)》 등의 저서를 남겼다. 그는 수학 분야에서도 업적을 남겼으나, 오토 슈톨츠가 그의 유실된 저널 기사들을 재발견하여 1881년에 재출판하기 전까지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생전에는 그의 업적이 거의 평가받지 못했지만, 그의 유작인 《무한의 역설》은 실무한 개념의 발전에 기여했다.[20] 해석학 분야에서는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 등 그의 이름이 붙은 정리가 남아 있다. 철학 분야에서는 반칸트주의적 방법론 때문에 당대 인물들에게서 거의 주목받지 못했지만, 20세기 초 브렌타노후설에 의해 그 업적이 크게 평가되었다.[21] 현재는 근대기의 중요한 논리학자이자 수학자로 인식되고 있다.

소행성(2622) Bolzano는 볼차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2]

4. 1. 지식학

볼차노는 1837년에 출판한 4권의 《지식학(Wissenschaftslehre)》에서 '명제 자체', '표상 자체', '진리 자체'라는 세 가지 개념을 중심으로 논의하며, 모든 과학의 논리적 토대를 제공하고자 했다. 그는 추상적 대상, 속성, 문장 형태, 사상, 명제 자체, 합집합과 집합, 집합체, 실체, 부착물, 주관적 사상, 판단, 문장 발생 등과 같은 추상화에 기반하여 논의를 전개했다.[9][10] 이러한 볼차노의 논리주의는 에드문트 후설에게 영향을 미쳤다.

볼차노는 《지식학》 서두에서 '지식학'의 의미와 인간의 지식, 진리, 과학 사이의 관계를 설명한다. 인간의 지식은 인간이 알거나 알았던 모든 진리(참된 명제)로 구성되지만, 이는 존재하는 모든 진리의 극히 일부분이며 한 사람이 이해하기에는 너무 많다. 따라서 인간의 지식은 더 접근하기 쉬운 부분, 즉 과학으로 나뉜다. 과학의 모든 참된 명제가 인간에게 알려질 필요는 없으며, 우리는 과학에서 발견을 할 수 있다.

과학의 진리를 더 잘 이해하고 파악하기 위해 인간은 교과서를 만드는데, 여기에는 인간에게 알려진 과학의 참된 명제만이 포함된다. 볼차노는 지식을 과학으로 나누는 방법에 대한 규칙 자체가 과학이 될 것이며, 어떤 진리가 함께 속하고 교과서에서 설명되어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과학이 바로 '지식학'이라고 말한다.

알려진 진리는 그 자체로 진리와 판단으로 구성된다. 판단은 참인 명제를 진술하는 사고이며, 판단할 때 대상의 개념이 특징의 개념과 연결된다. 참된 판단에서 대상의 개념과 특징의 개념 사이의 관계는 실제적이다. 모든 판단은 참 또는 거짓인 명제를 가지며 주관적인 정신 활동에 의존하지만, 단순한 제시나 사고는 판단이 아니다.

참인 명제를 대상으로 하는 판단은 인식이라고 부를 수 있다. 인식은 주관에 의존하므로 정도를 허용한다. 명제는 더 많이 또는 더 적게 알려질 수 있지만, 더 많이 또는 더 적게 참일 수는 없다. 모든 인식은 반드시 판단을 함축하지만, 모든 판단이 반드시 인식인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거짓인 판단도 있기 때문이다. 볼차노는 거짓 인식은 없고 거짓 판단만 있을 뿐이라고 주장한다.

4. 1. 1. 명제 자체, 진리 자체, 표상 자체

베르나르트 볼차노는 저서 《지식학(Wissenschaftslehre)》에서 '명제 자체', '표상 자체', '진리 자체'라는 세 가지 개념을 제시한다.
명제 자체는 현실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초월적인 의미를 지니는 사고 또는 판단의 내용이다. 예를 들어 "풀은 녹색이다"라는 문장은 명제이지만, "풀"은 단순한 표상일 뿐이다. 명제 자체는 참 또는 거짓일 수 있으며, "직사각형은 둥글다"와 같이 모순되는 명제도 존재할 수 있다.[9] 명제는 주어, 술어, 술어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소크라테스는 대머리이다"는 "소크라테스는 대머리임을 가지고 있다"로 표현될 수 있다.
표상 자체는 명제 자체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표상은 대상을 가질 수도 있고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원형의 정사각형'이라는 표상은 대상을 가지지 않지만, '무(無)'라는 표상은 대상을 가진다. 또한, '달에 첫발을 디딘 사람'과 같이 오직 하나의 대상만을 가지는 표상도 존재한다.[10][11]
진리 자체는 객관적인 진리를 의미하며, 명제 자체의 일종이다. 볼차노는 '참'과 '진리'라는 단어를 다섯 가지 의미로 구분한다.[13] 그중 '진리 자체'는 명제가 현실에서 표현된 것과 같이 표현되는 속성을 의미한다. 모든 진리 자체는 명제 자체이지만, 시공간에 위치하지 않는다. 볼차노는 적어도 하나의 진리 자체가 존재하며, 그 수는 무한하다고 주장한다.

4. 2. 반칸트주의

볼차노의 사후에 출판된 저서 『무한의 역설(Paradoxien des Unendlichen)』(1851)은 찰스 샌더스 피어스, 게오르크 칸토어, 리하르트 데데킨트를 포함한 그 이후의 많은 저명한 논리학자들에게 극찬을 받았다. 그러나 볼차노의 가장 큰 업적은 1837년에 출판된 4권으로 구성된 『과학이론(Wissenschaftslehre)』이다. 이 저서는 현대적 의미의 과학철학뿐만 아니라 논리학, 인식론, 과학 교육학을 다루고 있다. 볼차노가 이 저서에서 발전시킨 논리 이론은 획기적인 것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다른 저서로는 4권으로 된 『종교과학 교과서(Lehrbuch der Religionswissenschaft)』와 영혼 불멸을 옹호하는 형이상학적 저서 『아타나시아(Athanasia)』가 있다. 볼차노는 수학 분야에서도 귀중한 업적을 남겼지만, 오토 슈톨츠가 그의 많은 유실된 저널 기사들을 재발견하여 1881년에 재출판할 때까지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5. 사회 사상

볼차노는 군국주의가 사회적으로 낭비이며 전쟁은 불필요하다고 가르쳤으며, 많은 교수진과 가톨릭 교회 지도자들을 소외시켰다.[5] 그는 국가 간의 무력 충돌보다는 국가 안보를 평화로 이끌 교육, 사회, 경제 체제의 전면적인 개혁을 촉구했다. 그의 정치적 신념은 오스트리아 당국에게는 너무 자유주의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1819년 12월 24일, 자신의 신념을 철회하기를 거부함에 따라 교수직에서 해임되었고 시골로 추방된 후 사회, 종교, 철학 및 수학적 문제에 관한 저술에 힘썼다.[7]

추방 조건으로 주류 학술지출판하는 것이 금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볼차노는 자신의 아이디어를 계속 발전시켜 스스로 또는 외딴 동유럽 학술지에 출판했다. 1842년 그는 프라하로 돌아와 1848년에 사망했다.

5. 1. 평화주의와 사회 개혁

볼차노는 군국주의가 사회적으로 낭비이며 전쟁은 불필요하다고 가르쳤으며, 많은 교수진과 가톨릭 교회 지도자들을 소외시켰다.[5] 그는 국가 간의 무력 충돌보다는 국가 안보를 평화로 이끌 교육, 사회, 경제 체제의 전면적인 개혁을 촉구했다. 그의 정치적 신념은 오스트리아 당국에게는 너무 자유주의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1819년 12월 24일, 자신의 신념을 철회하기를 거부함에 따라 교수직에서 해임되었고 시골로 추방된 후 사회, 종교, 철학 및 수학적 문제에 관한 저술에 힘썼다.[7]

6. 후대에 미친 영향

볼차노는 그의 사상을 널리 알린 친구들과 제자들(소위 '''볼차노 서클''')로 둘러싸였지만, 그의 사상이 철학에 미친 영향은 처음에는 미미할 것으로 보였다.[3]

알로이스 횔플러(1853–1922)는 프란츠 브렌타노와 알렉시우스 마이닝의 제자였으며, 이후 빈 대학교에서 교육학 교수가 되었는데, 그는 "빈 서클과 오스트리아의 볼차노 전통 사이의 잃어버린 고리"를 만들었다.[14] 그러나 볼차노의 업적은 에드문트 후설[15]과 카지미에시 트바르도프스키[16]에 의해 재발견되었는데, 두 사람 모두 브렌타노의 제자였다. 그들을 통해 볼차노는 현상학분석철학 모두에 형성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생전에는 그의 업적이 거의 평가받지 못했다. 수학 분야에서는 유작인 『무한의 역설』이 이후 실무한 개념의 발전에 기여했다.[20] 해석학 분야에서는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 등 그의 이름이 붙은 정리가 몇 가지 남아 있다. 철학 분야에서는 반칸트주의적 방법론 때문에 당대 인물들에게서 거의 주목받지 못했지만, 20세기 초 브렌타노와 후설에 의해 그 업적이 크게 평가되었다.[21] 현재는 근대기의 중요한 논리학자이자 수학자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소행성(2622) Bolzano는 볼차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2]

참조

[1] 서적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Routledge
[2] 서적 The Metaphysics of Logic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백과사전 Bernard Bolzano
[4] 서적 Bernard Bolzano: His Life and Work Oxford University Press
[5] 백과사전 Bolzano, Bernhard
[6] 서적 German Philosophy Since Kan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백과사전 Bernard Bolzano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4-04-06
[8] 학술지 A Pedagogical History of Compactness 2015-08-01
[9] 서적 On the Mathematical Method
[10] 서적 On the Mathematical Method
[11] 서적 On the Mathematical Method
[12] 서적 Wissenschaftslehre
[13] 서적 Bolzano's Conception of Grounding Klostermann
[14] 서적 Mind, Values, and Metaphysics https://philpapers.o[...] Springler
[15] 서적 Phenomenology and Analysis: Essays on Central European Philosophy Walter de Gruyter
[16] 서적 Kazimierz Twardowski: A Grammar for Philosophy Brill
[17] 웹사이트 https://www.frommann[...]
[18] 기타
[19] 기타
[20] 기타
[21] 기타
[22] 웹사이트 (2622) Bolzano https://minorplanetc[...] MPC 2021-09-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