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츠힌발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츠힌발리는 조지아어로 "너도밤나무의 땅"을 의미하며, 1934년부터 1961년까지는 스탈린을 기념하여 스타리니리로 불렸다. 현재는 주로 오세트인들이 츠힌발이라고 부르며, 조지아어 "모임"을 의미하는 치레바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츠힌발리는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1398년 조지아 자료에 카르틀리의 마을로 처음 기록되었다. 1801년 러시아 제국에 병합된 후 상업 도시로 발전했으며, 조지아-오세티아 분쟁의 격전지였다. 현재는 남오세티야의 수도이며, 2008년 남오세티야 전쟁으로 도시가 크게 파괴되었다.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온대 습윤 기후를 보이며, 츠힌발리 기차역은 1991년 분쟁으로 철도 운행이 중단되었다. 자매 도시로는 러시아의 아르한겔스크와 블라디보스토크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지아의 도시 - 트빌리시
    트빌리시는 쿠라 강 양안에 위치한 조지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5세기에 건설되어 12세기 번영을 누렸으나 외세의 지배를 받았고, 현재는 조지아의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이다.
  • 조지아의 도시 - 므츠헤타
    므츠헤타는 쿠라 강과 아라그비 강 합류 지점에 위치한 조지아의 도시로, 고대 이베리아 왕국의 수도였으며, 조지아 기독교 건축의 중요한 기념물들을 보유하여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츠힌발리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인구
2019년32,180명
2015년30,432명

2. 명칭

"츠힌발리"라는 이름은 고대 조지아어 '크르츠힌발리(Krtskhinvali, ქრცხინვალიka)'에서 유래했으며, 그 이전에는 '크르츠힐바니(Krtskhilvani, ქრცხილვანიka)'로 불렸다. 이는 문자 그대로 "너도밤나무의 땅"을 의미하며,[4][5] 도시의 역사적인 이름이다.[6] 자세한 내용은 ცხინვალი를 참조할 수 있다.

1934년부터 1961년까지 이 도시는 스타리니리(Staliniri, სტალინირიka)로 불렸다. 이는 요시프 스탈린의 성과 오세티아어로 "땅"을 의미하는 "이르(Ir)"를 결합한 이름이다. 현대 오세트인(오세티아인)들은 이 도시를 츠힌발(Tskhinval)이라고 부르는데(조지아어의 주격 어미인 "i"를 생략), 오세트어로 도시의 또 다른 이름은 츠레바(Chreba, Чъребаru)이다. 이는 구어적인 표현으로만 사용된다.[7] 츠레바라는 이름은 조지아어의 "크레바(Ḳreba, კრებაka)"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문자 그대로 "모임"을 의미하며, 이 도시가 역사적으로 무역 중심지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8]

츠힌발리(Цхинвалиru)의 명칭은 조지아어 ''Krtskhinvali'' (ქრცხინვალიka)의 가나 표기이며, "자작나무의 나라"를 의미한다.[24] (자작나무는 자작나무과의 나무이다.) 역사적으로도 이 명칭이 자주 사용되어 왔다.[5]

3. 역사

츠힌발리는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했으며, 1918년-1920년 조지아-오세티아 분쟁, 조지아-오세티아 분쟁, 2008년 남오세티야 전쟁 등 여러 분쟁을 겪었다.

조지아-오세티아 분쟁이 격화되면서, 츠힌발리는 조지아군과 오세티아군 간의 민족적 긴장과 무력 충돌이 벌어진 현장이었다. 1992년 소치 휴전 협정으로 츠힌발리는 오세티아인의 손에 남게 되었다. 2015년 남오세티아 공화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구는 30,432명이었다.[9]

3. 1. 초기 역사

현재 츠힌발리 주변 지역은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하기 시작했습니다. 당시 발굴된 유적과 유물은 이베리아(동조지아)와 콜키스(서조지아) 문화의 영향을 반영하고 있으며, 사르마티아 계통의 요소도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서 독특합니다.

D. 루드네프가 1886년에 촬영한 츠힌발리의 빈티지 사진


츠힌발리는 1398년 조지아 자료에 카르틀리(중앙 조지아)의 마을로 처음 기록되었지만, 후대의 기록에서는 3세기경 조지아 왕 아스파쿠레스 2세가 요새로 건설했다고 전해집니다. 18세기 초, 츠힌발리는 주로 수도원 농노들로 구성된 작은 "왕립 도시"였습니다. 1801년 동부 조지아의 나머지 지역과 함께 러시아 제국에 병합되었습니다. 북카우카수스를 트빌리시고리와 연결하는 무역로에 위치한 츠힌발리는 점차 상업 도시로 발전했으며, 조지아 유대인, 조지아인, 아르메니아인, 오세티아인이 혼합 거주했습니다. 1917년에는 600채의 집이 있었고, 인구 구성은 조지아 유대인 38.4%, 조지아인 34.4%, 아르메니아인 17.7%, 오세티아인 8.8%였습니다.[9]

3. 2. 러시아 제국 및 소비에트 연방 시기



1801년, 츠힌발리는 동부 조지아의 나머지 지역과 함께 러시아 제국에 병합되었다. 북카우카수스를 트빌리시고리와 연결하는 무역로에 위치하여 점차 상업 도시로 발전했으며, 조지아 유대인, 조지아인, 아르메니아인, 오세티아인 등 다양한 민족이 함께 거주했다. 1917년에는 600채의 집이 있었고, 인구 구성은 조지아 유대인 38.4%, 조지아인 34.4%, 아르메니아인 17.7%, 오세티아인 8.8%였다.[9]

1918년부터 1920년까지 조지아가 러시아로부터 잠시 독립했을 때, 츠힌발리에서는 조지아 인민 경비대와 친볼셰비키 오세티아 농민 사이에 충돌이 발생했다. 1921년 3월 붉은 군대의 조지아 침공으로 소비에트 지배가 확립되었고, 1년 후인 1922년에 츠힌발리는 조지아 SSR 내 남오세티아 자치주의 수도가 되었다. 이후, 츠힌발리는 도시화와 소비에트 코레니자치야("토착화") 정책으로 인해 인근 농촌 지역에서 오세티아인들이 유입되면서 주로 오세티아인들이 거주하는 지역이 되었다. 목재 공장과 제조 공장이 있는 산업 중심지였으며, 사범대학(현재 츠힌발리 주립대학교)과 극장과 같은 여러 문화 및 교육 기관도 있었다. 1989년 소련 인구 조사에 따르면, 츠힌발리의 인구는 42,934명이었다.

3. 3. 조지아-오세티아 분쟁

1918년부터 1920년까지 조지아가 러시아로부터 잠시 독립했을 때, 츠힌발리에서는 조지아 인민 경비대와 친볼셰비키 오세티아 농민 사이에 충돌이 발생했다. 1921년 3월 붉은 군대의 조지아 침공으로 소비에트 지배가 확립되었고, 1년 후인 1922년에 츠힌발리는 조지아 SSR 내 남오세티아 자치주의 수도가 되었다.

조지아-오세티아 분쟁이 격화되면서, 츠힌발리는 조지아군과 오세티아군 간의 민족적 긴장과 무력 충돌이 벌어진 현장이었다. 1992년 소치 휴전 협정으로 츠힌발리는 오세티아인의 손에 남게 되었다.

츠힌발리에 있는 아르메니아 교회 근처 조지아-오세티아 분쟁 희생자들을 위한 기념비

3. 4. 2008년 남오세티야 전쟁

2008년 남오세티야 전쟁 이전 또는 직후, 남오세티야 인구의 상당수(최소 7만 명 중 3만 명)는 북오세티야-알라니아로 피난했다.[10] 그러나 많은 민간인들이 포격과 그 후의 츠힌발리 전투에서 사망했는데, 러시아 조사팀은 162명의 민간인 사망을 기록했고,[11] 남오세티아 당국은 365명이라고 기록했다.[12] 조지아군의 집중적인 포격으로 인해 전투 중 도시는 심하게 파괴되었다. 안드레이 일라리오노프는 2008년 10월에 도시를 방문하여 유대인 거주지가 실제로 폐허가 된 것을 보고했지만, 폐허에 관목과 나무가 무성하게 자란 것을 보아 파괴가 1991년-1992년 남오세티아 전쟁 중에 발생했음을 지적했다.[13] 그러나 더 네이션에서 마지막 전쟁을 취재했던 마크 에임스는 츠힌발리의 주요 주거 지역인, 인구 밀도가 높아 상하이라는 별명이 붙은 곳(도시의 고층 아파트 단지 대부분이 있는 곳)과 옛 유대인 거주지가 완전히 파괴되었다고 말했다.[14]

4. 지리

츠힌발리는 카프카스 산맥에 위치하며, 해발 860m 고도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805mm이며, 온대 습윤 기후(쾨펜: ''Dfb'')를 보인다. 여름은 온화하고 겨울은 춥고 눈이 내린다. 자세한 기후 정보는 아래 '기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기후

카프카스 지역에 위치한 해발 860m 고도의 츠힌발리는 연평균 강수량이 805mm인 온대 습윤 기후(쾨펜: ''Dfb'')를 가지고 있다. 여름은 온화하고 겨울은 춥고 이 내린다.[27]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1.9°C3.3°C7.8°C14.2°C19.5°C22.8°C25.2°C25.4°C21.2°C15.8°C8.7°C4°C
평균 기온 (℃)-2.6°C-1.4°C2.8°C8.1°C13.3°C16.6°C19.1°C19.2°C14.9°C9.9°C4.1°C-0.4°C
평균 최저 기온 (℃)-7.1°C-6°C-2.2°C2°C7.2°C10.4°C13.1°C13°C8.6°C4.1°C0.5°C-4.7°C
강수량 (mm)46mm46mm52mm74mm97mm97mm75mm66mm60mm68mm65mm59mm


5. 교통

1991년 이전에는 츠힌발리 기차역을 통해 도시와 고리를 연결하는 철도 서비스가 있었다. 조지아 철도 츠힌발리 역이 시내에 있었으나, 1991년 분쟁으로 철도 운행이 중단되면서 폐역되었다. 이후 역터는 버스 터미널로 이용되고 있다.

6. 국제 관계

츠힌발리는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7. 저명한 인물


  • 데이비드 바조프(David Baazov), 조지아의 시온주의 운동 창시자
  • 카히 카히아슈빌리(Kakhi Kakhiashvili), 올림픽 역도 금메달리스트
  • 아르센 카사비예프(Arsen Kasabiev), 역도 선수
  • 바딤 랄리예프(Vadim Laliev), 아르메니아와 러시아를 대표했던 전직 프로 레슬러
  • 테모 스비렐리(Temo Svirely), 예술가
  • 구람 츠호브레보프(Guram Tskhovrebov), 축구 선수
  • 이라클리 오크루아슈빌리(Irakli Okruashvili), 조지아의 정치인이자 전 조지아 국방장관

참조

[1] 주석 South Ossetia-note
[2] 웹사이트 Статистический сборник за январь-июнь 2019 г. http://ugosstat.ru/s[...] 2021-05-04
[3] 웹사이트 Information on Tskhinvali/South Ossetia Region https://www.gov.ge/e[...] 2023-10-15
[4] 웹사이트 Словарь географических названий http://www.diclib.co[...]
[5] 서적 Etymological-Explanatory Dictionary of Georgian Toponyms Bakur Sulakauri Publishing 2002
[6] 웹사이트 ИСТОРИЯ ЦАРСТВА ГРУЗИНСКОГО http://www.vostlit.i[...] 2008-08-24
[7] 웹사이트 Georgia: a toponymic note concerning South Ossetia https://web.archive.[...] 2007
[8] 학술지 Цхинвали https://commons.wiki[...]
[9] 웹사이트 Цхинвали. Электронная еврей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https://eleven.co.il[...] 2015-08-21
[10] 웹사이트 UNHCR – UNHCR secures safe passage for Georgians fearing further fighting http://www.unhcr.org[...] 2015-08-21
[11] 웹사이트 Мы полагаем, что мы в полной мере доказали состав преступления - Пресс-центр - Интерфакс http://interfax.ru/t[...] 2012-04-02
[12] 웹사이트 Список погибших жителей Южной Осетии http://osetinfo.ru/s[...] 2015-08-21
[13] 웹사이트 Эхо Москвы :: Разворот Ситуация в Южной Осетии и Грузии: Андрей Илларионов http://www.echo.msk.[...] 2015-08-21
[14] 웹사이트 How To Screw Up A War Story: The New York Times At Work – By Mark Ames – The eXiled http://exiledonline.[...] 2015-08-21
[15] 웹사이트 Climate: Tskhinval http://en.climate-da[...] 2014-12-02
[16] 뉴스 Life and tempo of a maestro http://www.smh.com.a[...] 2006-09-28
[17] 뉴스 South Ossetians enjoy requiem concert in shattered capital https://www.theguard[...] 2021-05-04
[18] 웹사이트 Архангельск и Цхинвал могут стать городами-побратимами https://rg.ru/2008/1[...] 2008-12-22
[19] 웹사이트 Архангельская область восстанавливает югоосетинскую 5-ю школу - KP.RU https://www.stav.kp.[...]
[20] 웹사이트 АРХАНГЕЛЬСК - ЦХИНВАЛ: ДРУЖБУ УКРЕПЛЯЕТ СПОРТ https://www.arhcity.[...]
[21] 웹사이트 Сообщение пресс-службы Министерства иностранных дел Республики Южная Осетия | Министерство иностранных дел http://www.mfa-rso.s[...]
[22] 웹사이트 В Цхинвале прошла пресс-конференция начальника Управления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статистики Южной Осетии Инала Тибилова http://cominf.org/no[...]
[23] 웹사이트 Zchinwali ohne „i“? http://de.rian.ru/an[...]
[24] 웹사이트 Словарь географических названий http://www.diclib.co[...]
[25] 웹사이트 ИСТОРИЯ ЦАРСТВА ГРУЗИНСКОГО http://www.vostlit.i[...]
[26] 웹사이트 Climate: Tskhinval http://en.climate-da[...] 2014-12-02
[27] 웹인용 Climate: Tskhinval http://en.climate-da[...] 2014-1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