칭걸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칭걸테는 1924년 중화민국 러허성에서 태어난 몽골족 언어학자이다. 그는 일본 유학 후 내몽고대학 교수로 재직하며 내몽골 자치구 공산당 당위원회 비서를 역임했다. 칭걸테이는 내몽골 선전부에서 근무하고 내몽골문자개혁위원회 부회장을 맡았으며, 내몽골군정대학과 중국과학원 소수민족언어연구소에서 강의하며 언어 연구 활동을 했다. 1985년에는 《소 요나라 문자 연구》를 출판하여 거란어와 거란 소자 연구에 기여했으며, 1996년에는 교직 50주년을 기념하여 헌정 논문집을 받았다. 2008년에는 내몽골 공산당 상무위원회로부터 걸출 인재상을 수상하고 칭겔테이 몽골어 재단을 설립하여 몽골어 시험 우수 학생에게 장학금을 지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거란어학자 - 대니얼 케인
대니얼 케인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언어학자이자 외교관으로, 여진어, 거란어 등 소수 언어 연구와 중국어 교육에 기여했으며, 중국 전문가이자 매쿼리 대학교 중국어학과 교수로 활동하며 《The Sino-Jurchen Vocabulary of the Bureau of Interpreters》, 《The Chinese Language: Its History and Current Usage》, 《The Kitan Language and Script》 등의 저서를 남겼다. - 츠펑시 출신 - 바오시순
236.1cm의 키로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된 중국 최장신 남성 바오시순은 인민해방군 복무 후 돌고래 구조 활동과 《어메이징 레이스》 출연, 결혼과 득남으로 화제를 모았다. - 츠펑시 출신 - 왕뤄단
왕뤄단은 베이징 영화 학원을 졸업하고 드라마 《투쟁》으로 이름을 알린 중국 배우이며, 영화와 드라마를 넘나들며 활동하며 제29회 금계백화영화제에서 여우조연상을 수상했다. - 몽골학자 - 스벤 헤딘
스벤 헤딘은 중앙아시아 탐험과 고대 도시 유적 발굴에 기여한 스웨덴의 지리학자이자 탐험가이지만, 나치 독일과의 협력 관계로 비판을 받기도 하는 인물이다. - 몽골학자 - 구스타브 욘 람스테트
구스타브 욘 람스테트는 핀란드의 언어학자이자 외교관으로, 알타이어족 연구와 아시아 탐험, 주일 핀란드 공사 역임, 일본어의 알타이어족 기원설 주장, 한국어 연구 기여, 그리고 핀란드 내 에스페란토 운동 주도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 칭걸테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원어 이름 | 몽골어: , Чингэлтэй 중국어: |
| 로마자 표기 | Chinggeltei |
| 한어 병음 | Qīnggè'ěrtái |
| 인물 정보 | |
| 출생일 | 1924년 6월 12일 |
| 출생지 | 중화민국 러허성 조소투맹 카라친중기 |
| 사망일 | 2013년 12월 27일 |
| 국적 | 중화인민공화국 |
| 직업 | 언어학자 |
| 분야 | 몽골어족 거란어 |
| 소속 기관 | (정보 없음) |
2. 생애
칭걸테는 1924년 중화민국 러허성 카라친 기 출신의 몽골족 언어학자이자 교육자이다.[2] 만주국과 일본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1945년 귀국하여 내몽골 자치구의 설립과 발전에 기여했다.[2]
초기에는 내몽고 자치 학원과 내몽골 군사 행정 대학에서 교육 활동을 했으며,[2] 《내몽고일보》(内蒙古日报중국어) 편집을 주관하고[2] 내몽골 자치구 공산당 당위원회 비서를 역임하는 등 정치 활동에도 참여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에는 내몽골 선전부 편역과 과장, 내몽골문자개혁위원회 부회장을 맡아 언어 정책 수립에 관여했다.
이후 내몽고대학 설립에 참여하여 부총장과 교수를 역임하며[4] 후학 양성과 몽골어 및 거란 문자 연구에 매진했다.[5] 그는 몽골어 연구와 교육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2008년 내몽골 자치구 '걸출 인재상'(杰出人才奖중국어)을 수상했다.[7][8]
2. 1. 유년 시절과 교육
칭걸테는 1924년 중화민국 러허성 조소투맹(卓索圖盟) 카라친중기(현재 내몽골 자치구 츠펑시 닝청현 샤오청쯔진 류수잉쯔촌)에서 태어났다. 당시 러허성은 1933년 일본군에 의해 만주국으로 병합된 상태였다. 그는 내몽골의 몽골어 학교에서 초등 교육을 받았으며, 이후 만주국에서 교육 과정을 이어갔다.1939년 만주국의 교육 과정을 마친 후, 베이징에 있는 베이징 몽골 티베트 학교(北京蒙藏学校중국어)에 진학하려 했으나, 만주국 출신이라는 이유로 입학이 거부되었다. 대신 후허하오터의 옛 이름인 구이쑤이(歸綏)에 위치한 몽골학원(구이쑤이멍구학원 또는 후허 몽골 아카데미 厚和蒙古学院중국어)의 교사 연수 과정에 입학했다. 입학 시험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어 2학년으로 편입되었고, 1940년 말에 졸업했다.[2]
졸업 후 일본 유학을 준비하는 예비 학교를 거쳐 1941년 일본 도쿄로 유학을 떠났다. 도쿄에서는 대학 입학을 위해 ''주쿠''(塾)에 다니며 영어와 수학을 공부했다. 그는 고향에 공학 기술자가 부족하다는 생각에 공학 분야를 지망하여 처음에는 도쿄 공업대학에 입학했다. 그러나 집에서 학교까지 거리가 멀고 제2차 세계 대전이 심화되자 센다이에 있는 도호쿠 제국대학 이학부로 옮겨 학업을 계속했다.[2] 1945년까지 일본에서 유학 생활을 했다.
2. 2. 교육 및 연구 활동
칭걸테는 내몽골 자치구의 몽골어 학교에서 초등 교육을 받았으며, 이후 만주국으로 갔다. 1939년에 그곳 과정을 마친 후, 그는 베이징의 베이징 몽골 티베트 학교(北京蒙藏学校중국어)로 전학을 희망했지만, 학교 측에서 만주국 출신 학생의 입학을 허용하지 않았다. 결국, 그는 후허하오터의 옛 중국식 이름인 후허 몽골 아카데미(厚和蒙古学院중국어)에서 교사 연수 과정을 밟게 되었다. 이 학교는 일반적으로 내몽골 서부 지역 출신 학생들만 받았지만, 그는 입학 시험에서 좋은 점수를 받아 2학년 과정에 배치되어 1940년 말에 졸업했다. 그 후, 그는 일본 유학을 준비하는 학생들을 위한 예비 학교에 입학했으며, 1941년 도쿄로 갔다.[2]도쿄에 도착한 칭겔테이는 대학 입학 시험을 위해 영어와 수학을 공부하기 위해 사설 학원(주쿠)에 등록했다. 그는 고향에 그러한 기술을 가진 사람들이 특히 부족하다고 느껴 공학 학교를 목표로 삼았다. 그는 처음에 도쿄 공업대학에 입학했지만, 집에서 학교까지의 먼 통학과 제2차 세계 대전의 심화로 인해 센다이에 있는 도호쿠 제국대학 이학부(理學部)로 전학하여 공부를 이어갔다.[2]
1945년, 칭겔테이는 내몽골로 돌아왔고, 곧 일본의 항복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이 종식되었다. 그는 적봉시에 있는 내몽고 자치 학원(内蒙古自治学院중국어)에서 교직을 맡아 몽골어로 교재를 편찬하고 정치, 언어, 문학 강좌를 가르쳤다.[2] 그곳에서 그는 학교 교장이었던 우란후를 처음 만났다. 우란후의 각종 사건에 대한 연설(예: 1946년 4월 3일 청더 회의, 내몽골을 단일 정부 단위로 통합하는 내용)은 학교 교사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고, 그들이 정치에 대해 더 많이 알 수 있도록 도왔다.[4] 1947년 5월, 자치 학원 교직원의 절반이 치치하얼로 전근되어 내몽골 군사 행정 대학(内蒙古军政大学중국어)을 설립했으며, 칭겔테이는 몽골어 및 문학 부서를 설립하는 책임을 맡았다.[2]
1949년, 칭겔테이는 몽골어 섹션 편집자 및 내부 교육 책임자로 《내몽고일보》(内蒙古日报중국어)로 전근되었고, 이 기간 동안 그는 후룬베이얼로 언어 조사를 위해 여행했으며, 그의 저서 《몽골어 문법》(蒙文文法중국어)을 출판했다.[2] 1953년, 그는 중국 공산당 선전 위원회를 위해 언어 작업을 시작했으며, 중국과학원 소수민족언어연구소에서 강의하며 언어 연구 활동을 진행했다. 1957년 신설된 내몽골 대학의 부총장으로 발탁되어 다시 우란후 밑에서 일했으며,[4] 1973년부터 1984년까지 부교장을 지낸 후 교수가 되었다.
1985년, 칭겔테이는 《소 요나라 문자 연구》를 출판했는데, 이는 거란어와 그 문자 체계 연구의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5] 1996년, 그는 교직을 시작한 지 50주년을 기념하여 동료 몽골학자들로부터 헌정 논문집을 받았다.[6] 2008년, 그는 내몽골 공산당 상무위원회로부터 20만위안의 상금을 포함하여 최초의 "걸출 인재상"(杰出人才奖중국어)을 받았다.[7] 그는 이 상금으로 몽골어 시험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제공하는 칭겔테이 몽골어 재단을 설립했다.[8]
3. 주요 업적
칭걸테는 몽골어와 거란 문자 연구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긴 언어학자이다. 그는 내몽골 지역에서 몽골어 교육과 연구의 기반을 다지는 데 기여했으며, 대표적인 저서로 《몽골어 문법》(蒙文文法zho)이 있다.[11][2] 또한, 거란어와 거란 소자 연구에도 매진하여 1985년 《소 요나라 문자 연구》(契丹小字研究zho)를 출판하며 해당 분야 연구에 큰 획을 그었다.[5]
이러한 학문적 공로를 인정받아 1996년 교직 50주년 기념 헌정 논문집을 받았으며,[6] 2008년에는 내몽골 공산당 상무위원회로부터 제1회 "걸출 인재상"(杰出人才奖zho)과 상금 20만위안을 수상했다.[7] 그는 수상 상금으로 몽골어 우수 학생들을 위한 칭겔테이 몽골어 재단을 설립하여 후학 양성에도 힘썼다.[8]
3. 1. 몽골어 연구
1945년, 칭걸테이는 내몽골로 돌아왔고, 일본의 항복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직후 적봉시에 있는 내몽골 자치 학원(内蒙古自治学院중국어)에서 교직을 맡았다. 그는 몽골어로 교재를 편찬하고 정치, 언어, 문학 강좌를 가르쳤다.[2] 이곳에서 그는 학교 교장이었던 우란후를 처음 만났다. 우란후의 연설은 학교 교사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으며, 정치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도움을 주었다.[4] 1947년 5월, 자치 학원 교직원 절반이 치치하얼로 옮겨가 내몽골 군사 행정 대학(内蒙古军政大学중국어)을 세웠고, 칭걸테이는 몽골어 및 문학 부서를 만드는 책임을 맡았다.[2]1949년, 칭걸테이는 《내몽골 일보》(内蒙古日报중국어)로 자리를 옮겨 몽골어 섹션 편집자 및 내부 교육 책임자로 일했다. 이 시기에 그는 후룬베이얼로 가서 언어 조사를 했으며, 그의 저서 《몽골어 문법》( 蒙文文法중국어, 1949년, 内蒙古日报社중국어 출판)[11]을 출판했다.[2] 1953년부터는 중국 공산당 선전 위원회에서 언어 관련 업무를 담당했다. 1957년에는 새로 설립된 내몽골 대학의 부총장으로 임명되어 다시 우란후 밑에서 일하게 되었다.[4]
1985년, 칭걸테이는 《소 요나라 문자 연구》( 契丹小字研究중국어, Chinese Social Sciences Press 출판, OCLC 16717597)를 출판했는데, 이는 거란어와 거란 소자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받는다.[5] 1996년에는 교직 생활 50주년을 맞아 동료 몽골학자들로부터 헌정 논문집을 받았다.[6] 2008년, 그는 내몽골 공산당 상무위원회로부터 제1회 "걸출 인재상"(杰出人才奖중국어)을 수상했으며, 부상으로 20만위안의 상금을 받았다.[7] 그는 이 상금으로 몽골어 시험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주는 칭겔테이 몽골어 재단을 설립했다.[8]
3. 2. 거란 소자 연구
1985년, 칭걸테이는 《소 요나라 문자 연구》( 契丹小字研究|치단 샤오쯔 옌주zho )를 출판하였다. 이 저서는 거란어와 거란 소자 연구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받는다.[5]4. 주요 저서
- 蒙文文法|멍원 원파중국어 (몽문 문법). 내몽골 일보사. 1949년.[11] 이 책은 중국에서 출판된 최초의 현대 과학적 몽골어 문법서로 평가받는다.[2]
- * 영어 번역본 ''Mongolian Grammar''는 1952년 홍콩의 The Evangelical Alliance Mission에서 출판되었고(OCLC 252252646), 1963년 미국 뉴욕의 웅가르(Ungar) 출판사에서 재출판되었다(OCLC 1920867).
- ** 존 C. 스트리트(John C. Street)는 1963년 영어판에 대해 비판적인 서평을 남겼다.[9]
- * 키릴 문자 표기 몽골어 번역본은 2007년 몽골 국립 대학교에서 출판되었다(OCLC 317393560).
- 契丹小字研究|치단 샤오쯔 옌지우중국어 (거란 소문자 연구). 중국 사회 과학 출판사. 1985년. (OCLC 16717597)
참조
[1]
뉴스
http://www.chinanews[...]
2014-01-04
[2]
뉴스
http://politics.peop[...]
2007-07-19
[3]
뉴스
http://www.gmw.cn/01[...]
2004-09-22
[4]
간행물
http://news.sina.com[...]
2006-12-19
[5]
문서
1991
[6]
문서
1997
[7]
뉴스
http://news.sina.com[...]
2008-01-07
[8]
뉴스
http://news.xinmin.c[...]
2009-09-05
[9]
문서
1963
[10]
뉴스
http://www.chinanews[...]
2014-01-04
[11]
뉴스
http://politics.peop[...]
2007-07-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