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구는 누벨칼레도니 고유종으로, 땅에서 생활하는 희귀한 새로, 몸길이는 약 55cm이다. 카구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숲과 관목지에서 서식하며, 주로 곤충, 지렁이, 달팽이 등을 먹는다. 카구는 볏과 날개를 이용해 과시하고, 영역을 유지하며, 일부일처제 번식을 한다. 카구는 뉴칼레도니아의 국조로, 서식지 파괴와 포식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보전 노력이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뱀눈새목 - 카구속
    카구속은 뉴칼레도니아 섬에 고유하며 잿빛 깃털, 붉은 부리, 긴 볏깃을 가진 날지 못하는 대형 조류인 카구를 유일한 종으로 포함하며, 서식지 파괴와 포식자로 인해 개체 수가 위협받고 있다.
  • 1860년 기재된 새 - 휘파람새
    휘파람새는 동아시아 지역에서 번식하고 월동하는 17cm 크기의 작은 새로, 붉은 기가 도는 회갈색 깃털과 굵은 눈썹 선을 가지며 곤충류를 먹고 "지짓", "비빗"거리는 소리를 낸다.
  • 1860년 기재된 새 - 월리스뜸부기
    월리스뜸부기는 인도네시아 할마헤라섬에 서식하며 곤충이나 사고 새싹을 먹는 잡식성 날지 못하는 새이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인해 취약종으로 분류된다.
  • 날지 못하는 새 - 키위 (새)
    키위는 뉴질랜드를 상징하는 날지 못하는 조류로, 야행성이며 후각과 촉각이 발달했고, 5종으로 분류되며 뉴질랜드의 국조로 사용되고 개체 수 감소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날지 못하는 새 - 웨카
    웨카는 뉴질랜드 고유종으로 날지 못하는 뜸부기과의 새로, 붉은 갈색 부리와 튼튼한 다리를 가지며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는 잡식성 조류이지만, 현재 서식지 파괴 등으로 취약종으로 분류된다.
카구 - [생물]에 관한 문서
위치 정보
카구(회색 깃털, 붉은색 부리, 붉은색 다리)
카구
기본 정보
학명Rhynochetos jubatus
명명자Verreaux, J & des Murs, 1860
상태위기(EN)
상태 기준IUCN3.1
CITES 부속서CITES_A1
CITES 기준CITES
카구과 Rhynochetidae
카구속 Rhynochetos
뱀눈새목 Eurypygiformes
영어 이름Kagu
크기55 센티미터
생물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강
하강신악하강
상목신조상목
미분류후조류

2. 명칭

카구라는 이름은 이 종에 대한 멜라네시아 언어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4] 이 종은 카낙어로는 ''kavu'' 또는 ''kagou''로 다양하게 알려져 있으며, 프랑스어로는 ''cagou''로 알려져 있다(영어에서도 대체 철자로 사용됨).[2]

F. J. Gauchard가 제작한 목판화

3. 분류

속명 ''Rhynochetos''와 분지명 Rhynochetidae는 고대 그리스어 ῥίςgrc ''rhis''(코)와 χαίτηgrc ''khaitē''(긴털)에서 유래되었는데, 콧구멍 위의 길고 뻣뻣한 털을 가리킨다. 종명 ''jubatus''는 라틴어 ''iubātus''(볏이 있는)에서 유래되었다.[5]

카구의 계통적 위치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오랫동안 가장 수수께끼 같은 조류 중 하나였으며, 최근에는 일반적으로 두루미목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처음에는 가루털, 깃털 색깔과 내부 해부학적 유사성, 새끼와 알의 색깔, 그리고 새끼 성장에 따른 색깔 변화 때문에 분지 Ardeae의 구성원으로 분류되었다.[6]

두루미목으로 간주될 때, 카구는 일반적으로 뉴질랜드산 멸종된 도끼부리새와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에 서식하는 일광조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일광조가 카구와 가장 가까운 현존하는 친척임을 시사한다. 예를 들어, Fain & Houde는 이 두 종이 확실히 자매 분류군임을 발견했다.[7] 이들과 메시트는 그들의 연구에서 전통적인 두루미목과는 분류되지 않았지만, 대신 그들이 제안한 분지 Metaves에 속했는데, 여기에는 호아친, 비둘기, 쏙독새목, 홍학, 열대조, 극락조목, 모래닭, 그리고 가마우지가 포함된다. 이 그룹의 내부 구조는 그들의 데이터로는 잘 해결되지 않았지만, 후속 연구는 카구와 일광조 사이의 밀접한 관계를 확인했다.[8]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에 서식하는, 카구와 가장 가까운 친척일 가능성이 있는 일광조


카구와 일광조, 그리고 아마도 도끼부리새는 하나의 목 또는 그 이상으로 구별되는 뚜렷한 곤드와나 조류 계통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메시트와 "핵심 두루미목"과 같이 이전에 관련된 것으로 여겨졌던 그룹과의 관계는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 그러나 일광조와 메시트도 가루털을 가지고 있는 반면, "핵심 두루미목"은 가지고 있지 않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카구의 조상은 올리고세(4500만 년 전~1700만 년 전)에 일광조에서 갈라져 나온 것으로 여겨지며, 6000만 년 전~2500만 년 전에 누벨칼레도니에 정착했다. 육상 포식자가 없는 환경에서 결국 날 수 없게 되었다.[9]

카구는 분지 Rhynochetidae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은 종이지만, 더 큰 종인 저지대 카구(''Rhynochetos orarius'')가 홀로세 아화석 유적에서 발견되었다. 이 종의 크기는 ''Rhynochetos jubatus''보다 15% 더 컸으며, 앞다리 측정치를 제외하고는 측정치가 중복되지 않았다. ''R. orarius''의 유적이 발견된 모든 지역이 저지대 지역이고 이러한 지역에서 ''R. jubatus''의 화석이 발견되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하여, 화석을 발견한 과학자들은 각각 고지대 종과 저지대 종을 나타낸다고 제안했다. ''R. orarius''는 인간이 도착한 후 누벨칼레도니에서 멸종된 많은 종 중 하나이다.[10] 이 종의 유효성에 대해서는 일부 학자들은 의문을 제기했지만,[2] 다른 학자들은 받아들였다.[2]

4. 형태

카구는 땅 위에서 사는 새로, 몸길이는 약 55cm이다.[29] 몸무게는 700g에서 1100g 사이로 개체와 계절에 따라 차이가 크다. 숲 바닥에 사는 새치고는 특이하게 밝은 회색과 흰색을 띠며, 첫째날개깃의 줄무늬 양의 차이를 제외하고는 암수 간의 깃털 차이가 거의 없다.[2] 카구는 몸을 건조하게 유지하고 뉴칼레도니아 열대 기후의 극심한 온도 변화로부터 보온하는 데 도움이 되는 분말 깃털을 가지고 있다. 과시할 때 사용하는 볏은 평소에는 눈에 잘 띄지 않지만, 세워서 펼칠 수 있다. 머리 뒤쪽으로는 깃털이 길게 나 있는데(관우)[29], 이는 "갈기가 있는"이라는 뜻의 종소명 ''jubatus''에 반영되어 있다.[28]

카구는 거의 날 수 없지만, 날개는 과시(일차 날개깃에 무늬가 있다)와 숲 속에서 빠르게 이동하는 데 사용한다. 위험으로부터 도망칠 때 활공하는 데에도 날개를 사용하며, 날개폭은 약 77.5cm이다.[2][9] 날개에는 검정색, 흰색, 갈색의 얼룩무늬가 있다.[27][30] 또한, 포식자의 주의를 새끼로부터 돌리기 위해 부상을 가장하는 '부러진 날개' 과시 행동을 하기도 한다. 카구는 밝은 빨간색의 길고 튼튼한 다리를 가지고 있어 먼 거리를 걸어 다니고 빠르게 달릴 수 있다.[30] 부리와 다리의 색깔은 붉다.[27][29] 부리는 아래쪽으로 굽어 있다.[27]

카구는 다른 어떤 새에게서도 볼 수 없는 콧구멍을 덮는 '비강 각질 돌기'를 가지고 있다. 이 사진은 어린 새로, 어른 새의 밝은 색 부리를 가지고 있지 않다.


카구는 큰 눈을 가지고 있으며, 양안시가 가능하도록 위치해 있어 낙엽층에서 먹이를 찾고 어두운 숲 속에서도 잘 볼 수 있다. 콧구멍은 다른 새에게서는 볼 수 없는 '비강 각질 돌기'로 덮여 있는데,[30] 이는 먹이를 찾을 때 땅을 파는 동안 입자들이 콧구멍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홍채는 붉은색이다.[30] 이 종의 또 다른 독특한 특징은 다른 새들보다 적혈구 수가 1/3밖에 되지 않고 적혈구당 헤모글로빈이 3배나 많다는 것이다.[2]

알은 장경 6.2cm, 단경 4.5cm이며, 껍데기는 연한 갈색에 짙은 갈색이나 회색 얼룩무늬가 있다.[30] 새끼의 솜털은 갈색이며, 노란색 얼룩무늬가 있다.[30] 어린 새는 온몸이 갈색을 띤다.[29][30]

5. 분포 및 서식지

카구는 프랑스의 해외 영토인 누벨칼레도니의 고유종이다.[11] 뉴칼레도니아의 관목지에 서식하며, 특히 그랑테르 섬에 국한되어 분포한다.[11] 일드팽 섬에서는 멸종된 저지대 형태인 ''R. orarius''의 화석이 발견되었으나, 로열티 제도 서식 증거는 없다.[11]

카구는 서식지에 대한 특별한 요구사항이 없어, 충분한 먹이가 있다면 열대우림부터 건조한 저지대 숲까지 다양한 유형의 숲에서 살 수 있다.[6] 섬의 초염기성암과 관련된 일부 건조한 관목지에서도 먹이 활동을 하지만, 먹이가 부족한 가장 열악한 관목지에는 서식하지 않는다.[6] 풀밭이나 고사리 덮개가 많은 지역처럼 먹이를 찾기 어려운 곳은 피하지만, 다른 먹이 지역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통과할 수 있다.[6]

외래종의 사냥과 포식으로 인해 서식 범위가 다소 축소되었다.[6] 카구와 ''R. orarius''가 뉴칼레도니아 저지대 지역에서 어느 정도 공존했는지, 인간 등장 전 원래 분포 지역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2]

6. 생태

카구는 일년 내내 약 10-28 헥타르의 영역을 유지하는 영역 동물이다.[12] 한 마리의 번식 암컷과 한두 마리에서 세 마리의 번식 수컷으로 구성된 사회 조직을 가지고 있으며, 수컷 새끼들도 부모의 영역을 방어하는 데 도움을 준다.[9][13]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개의 공격과 가족 구성원의 죽음으로 인해 카구의 사회 조직이 붕괴되기도 하였다. 번식 수컷이나 암컷이 죽은 경우 비형제적 다부제 행동으로 이어졌다. 협력적이고 무관계한 다부제는 조류에서는 드물지만 검은딱새와 타즈메이니아 토종닭과 같은 종에서 관찰되었다.

영역 내에서 짝은 번식기가 아닌 계절에는 고독하며, 분리되어 있지만 중첩되는 먹이 탐색 지역을 가질 수 있다. 카구는 다양한 소리를 내는데, 가장 흔한 것은 아침에 이중창을 할 때이며, 각 이중창은 약 15분 동안 지속된다. 카구의 볏과 날개는 다른 카구에 대한 영역 표시에 사용되며, 잠재적인 포식자에 대해서는 약간 다른 표시를 사용한다. 영역 다툼은 날개와 부리를 사용한 싸움으로 해결될 수 있으며, 야생에서는 거의 심각한 부상으로 이어지지 않는다.[6][13]

해발 1,400미터 이하의 에 서식한다.[29] 지표면에서 생활하며, 날지 못한다.[30] 야행성 또는 반야행성으로 생각되지만, 산란기를 제외하고는 낮에 더 활동적이라는 보고도 있다.[30] 이름은 서식지에서 불리는 명칭으로, 울음소리에서 유래한다.[28][30] 천적의 공격을 받으면 관우를 곤두세우고 날개를 펼쳐 위협한다.[30]

곤충, 지렁이, 육지에 사는 달팽이 ''Placostylus bavayi'' 등을 먹는다.[27][30] 발을 구르며 먹이를 찾고, 땅속에 있는 먹이는 부리로 파내어 먹는다.[30]

관우를 곤두세운 카구


번식 방식은 난생이다. 번식기가 되면 암수가 마주보고 관우를 세우거나 날개를 펼치고, 상대의 주변을 배회하는 등 구애 행동을 한다.[30] 번식기 야간이나 새벽녘에 수컷이 운 다음, 암컷이 여러 차례 울며 10분 이상 울어대는 경우도 있다.[30] 땅의 움푹 들어간 곳에 잎과 나뭇가지를 깔아 둥지를 만들고, 5월~12월에 한 번에 알 하나를 낳는다.[30] 암수가 번갈아 가며 포란과 육추를 한다.[29][30] 포란 기간은 35~40일이다.[27] 새끼는 부화 후 3일 만에 둥지를 떠난다.[30] 부화 후 3~4개월이면 독립한다.[29]

6. 1. 행동

카구는 일년 내내 약 10-28 헥타르의 영역을 유지하는 영역 동물이다.[12] 한 마리의 번식 암컷과 한두 마리에서 세 마리의 번식 수컷으로 구성된 사회 조직을 가지고 있으며, 수컷 새끼들도 부모의 영역을 방어하는 데 도움을 준다.[9][13]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개의 공격과 가족 구성원의 죽음으로 인해 카구의 사회 조직이 붕괴되기도 하였다. 번식 수컷이나 암컷이 죽은 경우 비형제적 다부제 행동으로 이어졌다. 협력적이고 무관계한 다부제는 조류에서는 드물지만 검은딱새와 타즈메이니아 토종닭과 같은 종에서 관찰되었다.

영역 내에서 짝은 번식기가 아닌 계절에는 고독하며, 분리되어 있지만 중첩되는 먹이 탐색 지역을 가질 수 있다. 카구는 다양한 소리를 내는데, 가장 흔한 것은 아침에 이중창을 할 때이며, 각 이중창은 약 15분 동안 지속된다. 카구의 볏과 날개는 다른 카구에 대한 영역 표시에 사용되며, 잠재적인 포식자에 대해서는 약간 다른 표시를 사용한다. 영역 다툼은 날개와 부리를 사용한 싸움으로 해결될 수 있으며, 야생에서는 거의 심각한 부상으로 이어지지 않는다.[6][13]

해발 1,400미터 이하의 에 서식한다.[29] 지표면에서 생활하며, 날지 못한다.[30] 야행성 또는 반야행성으로 생각되지만, 산란기를 제외하고는 낮에 더 활동적이라는 보고도 있다.[30] 이름은 서식지에서 불리는 명칭으로, 울음소리에서 유래한다.[28][30] 천적의 공격을 받으면 관우를 곤두세우고 날개를 펼쳐 위협한다.[30]

곤충, 지렁이, 육지에 사는 달팽이 ''Placostylus bavayi'' 등을 먹는다.[27][30] 발을 구르며 먹이를 찾고, 땅속에 있는 먹이는 부리로 파내어 먹는다.[30]

번식 방식은 난생이다. 번식기가 되면 암수가 마주보고 관우를 세우거나 날개를 펼치고, 상대의 주변을 배회하는 등 구애 행동을 한다.[30] 번식기 야간이나 새벽녘에 수컷이 운 다음, 암컷이 여러 차례 울며 10분 이상 울어대는 경우도 있다.[30] 땅의 움푹 들어간 곳에 잎과 나뭇가지를 깔아 둥지를 만들고, 5월~12월에 한 번에 알 하나를 낳는다.[30] 암수가 번갈아 가며 포란과 육추를 한다.[29][30] 포란 기간은 35~40일이다.[27] 새끼는 부화 후 3일 만에 둥지를 떠난다.[30] 부화 후 3~4개월이면 독립한다.[29]

6. 2. 먹이

카구는 육식성이며 환형동물, 달팽이, 도마뱀 등을 잡아먹는다.[2] 유충, 거미, 지네, 메뚜기, 벌레, 딱정벌레와 같은 곤충이나 육지에 사는 달팽이 ''Placostylus bavayi'' 또한 카구의 먹이가 된다.[27][30] 먹이의 대부분은 낙엽이나 토양에서 얻으며, 초목, 썩은 통나무, 바위 등에서도 먹이를 찾는다. 때때로 얕은 물에서 작은 동물을 사냥하기도 한다.[2]

카구는 땅 위나 높은 곳에서 움직이지 않고 조용히 먹이를 관찰하다가 사냥한다. 한 발로 서서 다른 발로 낙엽을 살짝 움직여 먹이를 쫓아내기도 하며, 먹이를 발견하면 먹이 쪽으로 이동하여 먹이 위에 서서 공격할 준비를 하거나, 관찰하던 위치에서 먹이를 향해 돌진한다. 먹이를 얻기 위해 파야 할 경우 부리로 파고, 발을 사용하여 흙이나 파편을 파내거나 긁어내지는 않는다.[2] 발을 구르며 먹이를 찾고, 땅속에 있는 먹이는 부리로 파내어 먹는다고 알려져있다.[30]

6. 3. 번식

카구는 일부일처제 조류로, 일반적으로 수년, 심지어 평생에 걸쳐 장기적인 짝짓기 관계를 유지한다.[2] 수명이 길어 사육 상태에서는 20년 이상 사는 경우도 있다.[2] 매년 한 번씩 번식을 시도하며, 첫 번째 번식 시도가 실패하면 그 해에 두 번째 시도를 한다.[2]

카구 알 - MHNT


나뭇잎을 쌓아 올린 둥지를 만들지만, 때로는 알을 땅에 직접 낳기도 한다.[2] 둥지는 숨겨져 있지 않고 보통 나무줄기, 통나무 또는 낮은 초목 근처에 있다. 회색에 약간 얼룩덜룩한 알 하나를 낳는데, 무게는 60~75g이다. 알 품기는 부모가 공동으로 하며. 각각의 새는 하루 24시간 동안 알을 품고, 매일 정오쯤 교대한다.[2] 알을 품는 기간은 33~37일이며, 알의 크기에 비해 긴 편이다.[2]

번식기가 되면 암수가 마주보고 관우를 세우거나 날개를 펼치고, 상대의 주변을 배회하는 등 구애 행동을 한다.[30] 번식기 야간이나 새벽녘에 수컷이 운 다음, 암컷이 여러 차례 울며 10분 이상 울어대는 경우도 있다.[30] 땅의 움푹 들어간 곳에 잎과 나뭇가지를 깔아 둥지를 만들고, 5월~12월에 한 번에 알 하나를 낳는다.[30] 암수가 번갈아 가며 포란과 육추를 한다.[29][30] 포란 기간은 35~40일이다.[27] 새끼는 부화 후 3일 만에 둥지를 떠난다.[30] 부화 후 3~4개월이면 독립한다.[29]

새끼는 깃털이 다 자란 후에도 수년 동안, 때로는 최대 6년 동안 부모의 영역에 머물 수 있다.[2] 이 새끼들은 알을 품거나 새끼를 기르는 데 도움을 주지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모의 번식 성공률을 높인다. 나이 든 새끼들은 영역 방어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보이며, 경쟁자의 소리를 재생하거나 영역 다툼에 참여하기도 한다. 이것은 협동 번식의 한 형태로 간주되어야 한다는 제안이 있다. 카구는 관련 없는 새끼를 입양하는 모습도 관찰되었는데, 이는 번식률이 낮고, 사회 조직이 발달하고, 어린 새끼에 대한 부모의 보살핌이 광범위한 종에서 더 흔하게 나타나는 행동이며, 이 모든 특징은 카구가 공유한다.[9]

7. 인간과의 관계

카구는 뉴칼레도니아의 카낙 부족의 전통 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랑 테르 북부의 앙 부근에 있는 부족들 사이에서는 카구의 이름이 사람들에게 붙여졌고, 그 문장은 족장들의 머리 장식에 사용되었으며, 그 울음소리는 전쟁 춤에 포함되어 족장들이 해석해야 할 메시지로 여겨졌다. 우아이루 부근의 카낙들은 이 종을 "숲의 유령"이라고 불렀다.[6]

1852년 프랑스가 뉴칼레도니아를 식민지화할 때까지 유럽인들에게 발견되지 않았고, 1860년 파리의 식민지 박람회에 표본이 가져가지기 전까지는 기술되지 않았다.[18] 이것은 이 종에 대한 과학적 관심을 급증시켰고, 많은 새들이 박물관과 동물원으로 포획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 종은 또한 식량으로 포획되었고 유럽 식민 개척자들에게는 별미로 여겨졌다. 카구를 애완동물로 기르는 것도 유행이었다. 1977년부터 1982년까지 카구의 애완동물 거래를 단계적으로 없애기 위한 캠페인이 진행되었다.[6] 깃털이 장식품으로 사용되기도 했다.[27]

오늘날 카구는 뉴칼레도니아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며, 이 지역의 대표적인 고유종 상징이다. 그 독특한 노랫소리는 섬의 TV 방송국이 방송을 종료할 때 매일 밤 국가에 울려 퍼졌다. 카구의 생존은 이 지역의 경제와 이미지에 중요하다고 여겨진다.[6] 뉴칼레도니아의 국조이다.

산림벌채와 광산 개발 등으로 인한 서식지 파괴와 인위적으로 유입된 개, 고양이, 돼지 등에 의한 포식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25][27][29][30] 특히 개에 의한 포식이 위협이 되고 있으며, 한 예로 1993년에는 송신기를 부착한 21마리 중 17마리가 개에게 죽었다.[25] 인위적으로 유입된 사슴( *Rusa timorensis*)에 의한 식생 변화와 전염병의 영향도 우려되고 있다.[25] 야생 개체의 생태 조사, 사육 하에서 번식한 개체의 방사 등의 대책이 진행되고 있다.[25][29] 1975년 워싱턴 조약 발효 시점부터 워싱턴 조약 부속서 I에 등재되어 있다.[24] 1991년의 개체 수는 654마리 이상으로 추정된다.[29]

2019년 현재, 일본의 동물원에서 사육 전시되고 있는 것은 요코하마시 노게야마 동물원의 수컷 2마리뿐이다.[31]

7. 1. 보전 상태

카구의 개체 수 감소는 초기에는 생계형 사냥 때문이었다. 유럽 애완동물 무역과 박물관 및 동물원을 위해 광범위하게 포획되었지만, 보호를 받게 되었다.[14] 들고양이, 돼지, 에 의해 위협받고 있으며,[15] 특히 개에 의한 포식이 심각하여 1993년에는 송신기를 부착한 카구 21마리 중 17마리가 개에게 죽었다.[25] 뉴칼레도니아에는 인간이 도착하기 전까지 박쥐를 제외한 포유류가 없었고,[16] 많은 토착종이 유입된 포유류의 영향을 받았다. 쥐는 새끼에게 큰 영향을 미치며, 새끼 손실의 55%를 차지한다.[17] 카구는 광산임업으로 인한 서식지 손실과 더불어, 인위적으로 유입된 사슴( *Rusa timorensis*)에 의한 식생 변화와 전염병으로도 고통받고 있다.[25]

현재 야생 카구의 개체 수는 약 250~1000마리이며, 수십 년 동안 보전 노력의 중심이 되고 있다.


카구의 미래에 대한 우려는 1904년에 처음 제기되었다.[18] 1948년, 한 미국 과학자는 카구의 멸종 가능성을 언급하고, 이 종이 직면한 많은 위협을 확인했다.[14] 개의 영향에 대한 최초의 구체적인 증거는 1990년대 뉴질랜드 연구원의 연구 개체군이 개에 의해 빠르게 멸종된 경우였지만,[19] 개와 다른 포식자의 중요성에 대한 의심은 이전에 제기되었고 1980년대 일부 지역에서는 개 사냥 통제 조치가 시행되었다.[20]

카구는 멸종위기종(CITES I)으로 분류되며 뉴칼레도니아에서 완전한 보호를 받고 있다. 1975년 워싱턴 조약 발효 시점부터 워싱턴 조약 부속서 I에 등재되어 있다.[24] 카구는 전념하는 보전 노력의 대상이 되었으며 현지 외 보전에 잘 반응하여 누메아 동물원에서 잘 번식한다. 리비에르 블뢰 준주립공원에서도 번성하고 있으며,[21] 해충 관리 프로그램이 있으며 사육된 새들을 야생으로 방출하는 장소이기도 하다.[15] 야생 개체의 생태 조사, 사육 하에서 번식한 개체의 방사 등의 대책이 진행되고 있다.[25][29] 1991년의 개체 수는 654마리 이상으로 추정된다.[29]

최근 연구에 따르면 토양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중금속이 먹이 공급을 통해 카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토양의 중금속 수치가 낮은 지역의 카구는 토양의 중금속 함량이 높은 지역의 카구보다 더 많은 알을 낳고, 더 많은 새끼를 기르며, 활동 영역이 작고 체중이 더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토양의 중금속 수치가 낮은 지역에서 카구 보전이 더 효과적일 것이라는 의견이 제시되었다.[22]

뉴칼레도니아의 국조이며, 깃털이 장식품으로 사용되기도 했다.[27] 2019년 현재, 일본의 동물원에서 사육 전시되고 있는 것은 요코하마시 노게야마 동물원의 수컷 2마리뿐이다.[31]

참조

[1] IUCN Rhynochetos jubatus 2021-11-19
[2]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 웹사이트 Kagu, Sunbittern, tropicbirds, loons, penguins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3-04-08
[4] 웹사이트 Kagu http://www.oed.com:8[...] Oxford University Press 2011-01-11
[5] 서적 A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Oxford University Press
[6]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Lynx Edicions 1996-00-00
[7] 논문 Parallel Radiations in the Primary Clades of Birds http://biology-web.n[...]
[8] 논문 A Phylogenomic Study of Birds Reveals Their Evolutionary History
[9] 논문 Some like it odd: Long-term research reveals unusual behaviour in the flightless Kagu of New Caledonia https://onlinelibrar[...] 2021-02-00
[10] 논문 Fossil birds from Late Quaternary deposits in New Caledonia http://si-pddr.si.ed[...]
[11] 서적 Extinction and Biogeography in Tropical Pacific Bird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2] 논문 Spatial Organisation and Breeding of Kagu ''Rhynochetos jubatus'' in Rivière Bleue Park, New Caledonia
[13] 논문 Group Territoriality as a form of Cooperative Breeding in the Flightless Kagu (''Rhynochetos jubatus'') of New Caledonia
[14] 논문 The Present Status of the Kagu, ''Rhynochetos jubatus'', on New Caledonia http://sora.unm.edu/[...]
[15] 잡지 National Geographic
[16] 서적 Extinction and Biogeography in Tropical Pacific Bird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7] 논문 New information on the distribution, status and conservation of terrestrial bird species in Grande Terre, New Caledonia
[18] 논문 The kagu of New Caledonia https://zenodo.org/r[...]
[19] 논문 Multiple kagu ''Rhynochetos jubatus'' deaths caused by dog attacks at a high altitude study site on Pic Ningua, New Caledonia
[20] 잡지 Gray Ghosts of the Cloud Forest http://www.nwf.org/n[...]
[21] 기타
[22] 논문 Elevated concentrations of naturally occurring heavy metals inversely correlate with reproductive output and body mass of the Kagu ''Rhynochetos jubatus''
[23] 웹사이트 I, II and III (valid from 28 August 2020) https://cites.org/si[...] 2020-11-28
[24] 웹사이트 Rhynochetos jubatus https://www.speciesp[...] UNEP 2020-11-28
[25] IUCN Rhynochetos jubatus BirdLife International 2020-11-28
[26] 웹사이트 IOC World Bird List (v10.2) https://www.worldbir[...] 2020-11-28
[27] 서적 ミフウズラ類と他の近縁グループ 平凡社
[28] 서적 ヒレアシ、カグー、ジャノメドリ、ノガンモドキ、ノガンの仲間たち 朝日新聞社
[29] 서적 カグー(カンムリサギモドキ) 講談社
[30] 서적 カグー科の分類 東京動物園協会
[31] 뉴스 【野毛山動物園だより】生き物ってオモシロイ!!|今月のどうぶつ:カグー http://tokyo.ecochil[...] アドバコム 2020-05-01
[32] IUCN Rhynochetos jubatus BirdLife International 2021-03-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