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리톤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리톤군은 미국 미주리주에 위치한 군이다. 켄터키, 테네시 등 상부 남부 지역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이 정착하여 노예 소유와 담배, 삼 재배 문화를 형성했으며, 남북 전쟁 당시 남부 연합을 지지했다. 1830년 1,780명에서 1890년 26,254명으로 인구가 정점을 찍은 후 감소하여 2018년에는 7,451명으로 추정된다. 민주당의 지배가 강했으나, 21세기 들어 공화당 지지세가 강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주리주의 군 - 세인트루이스군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군은 1812년에 설립되어 미시시피강과 미주리강을 경계로 하며, 100만 명 이상의 인구를 가진 미주리주 군으로, 교육, 보건, 무역 등의 산업이 발달하였고, 군수와 의회에 의해 운영된다.
  • 미주리주의 군 - 플랫군 (미주리주)
    플랫군은 미국 미주리주 북서부에 위치한 군으로, 캔자스주와 경계를 접하며, 2020년 기준 인구는 106,718명이고, 주요 고속도로가 지나가며, 공화당이 강세를 보인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카리톤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국가미국
미주리주
설립 연도1820년
설립 날짜11월 16일
명칭 유래채리턴 강
군청 소재지키테스빌
최대 도시솔즈베리 (미주리주)
키테스빌에 있는 셔리턴 카운티 청사
키테스빌에 있는 셔리턴 카운티 청사
지리
총 면적767 제곱마일 (1,987 제곱킬로미터)
육지 면적751 제곱마일 (1,945 제곱킬로미터)
수역 면적16 제곱마일 (41 제곱킬로미터)
수역 비율2.0%
인구
인구 (2020년)7,408명
인구 밀도9.86 명/제곱마일 (3.8 명/제곱킬로미터)
정치
하원 의원6번째 선거구
기타 정보
시간대중부 표준시 (UTC-6)
하계 시간 (DST)중부 일광 절약 시간제 (UTC-5)

2. 역사

두 번째 카리톤군 법원 (1867–1973). 1864년 남부 연합 습격자들에 의해 파괴된 법원을 대체했다.


카리톤군은 주로 켄터키와 테네시 등 상부 남부 지역에서 이주해 온 정착민들에 의해 개척되었다. 이들은 노예 제도를 가져왔으며, 지역의 주요 작물로 담배를 재배했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해 카리톤군은 남부 문화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리틀 딕시 지역의 중심지로 여겨졌으며, 미국 남북 전쟁 당시에는 남부 연합을 지지하는 성향이 뚜렷했다.[3]

2. 1. 초기 역사



카리톤군은 주로 켄터키와 테네시 등 상부 남부 지역에서 이주해 온 정착민들에 의해 개척되었다. 이들은 노예를 데려와 노예 소유 전통을 이 지역에 도입했으며, 곧 테네시 중부나 켄터키에서 재배하던 담배 농사를 시작했다. 카리톤군은 미주리 강 남북으로 남부 출신 이주민들이 많이 정착한 여러 군 중 하나였다. 이러한 문화와 전통 때문에 이 지역은 리틀 딕시로 알려지게 되었고, 카리톤군은 그 중심지로 여겨졌다. 미국 남북 전쟁 동안에는 남부 연합에 대한 지지 성향이 강했다.[3]

2. 2. 리틀 딕시

카리톤군은 주로 켄터키와 테네시 등 상부 남부 지역에서 이주해 온 정착민들에 의해 개척되었다. 이들은 노예와 노예 소유 문화를 함께 가져왔으며, 자신들의 고향인 중부 테네시나 켄터키에서처럼 담배를 주요 작물로 재배하기 시작했다. 카리톤군은 미주리 강 남북 지역에 남부 출신 이주민들이 다수 정착한 여러 군 중 하나였다. 이러한 남부적 문화와 전통의 영향으로 이 일대는 리틀 딕시로 불리게 되었으며, 카리톤군은 그 중심 지역으로 여겨졌다. 미국 남북 전쟁 시기에는 남부 연합에 대한 지지 성향이 강하게 나타났다.[3]

2. 3. 남북 전쟁



카리톤군은 주로 상부 남부 지역, 특히 켄터키와 테네시에서 이주해 온 정착민들에 의해 형성되었다. 이들은 노예와 노예 소유 전통을 카리톤군에 들여왔으며, 곧 중부 테네시와 켄터키에서 재배하던 방식과 유사하게 담배를 경작하기 시작했다. 카리톤군은 미주리 강 남쪽과 북쪽 모두에 남부 출신 사람들이 많이 정착한 여러 군 중 하나였다. 이러한 문화와 전통 때문에 이 지역은 리틀 딕시로 알려지게 되었고, 카리톤군은 그 중심지로 여겨졌다. 미국 남북 전쟁이 발발했을 때, 카리톤군은 남부 연합을 강하게 지지하는 성향을 보였다.[3]

2. 4. 남북 전쟁 이후



미국 남북 전쟁 중인 1864년 9월, 미국 남부 연합 지지 세력의 습격으로 카리톤군 법원이 파괴되었다. 전쟁 이후, 파괴된 법원을 대체하기 위해 1867년에 새로운 법원 건물이 건립되었으며, 이 건물은 1973년까지 사용되었다.

3. 지리

미국 인구조사국에 따르면, 카리톤군의 전체 면적은 약 1989.75km2이다. 이 중 육지 면적은 약 1957.68km2이고, 수역 면적은 약 32.06km2로, 전체 면적의 1.61%를 차지한다.[21] (다른 인구조사국 자료에서는 총 면적 약 1986.51km2, 육지 약 1945.07km2, 수역 약 41.44km2(2.0%)로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4])

3. 1. 인접 군

3. 2. 주요 고속도로


  • -- 국도 24호선
  • 미주리 주도 5번
    미주리주도 5호선
  • 미주리 주도 11번
    미주리주도 11호선
  • 미주리 주도 129번
    미주리주도 129호선
  • 미주리 주도 139번
    미주리주도 139호선

3. 3. 국립 보호 구역


  • 스완호 국립 야생동물 보호구역

4. 인구

카리톤군의 인구는 미국 인구 조사 기록에 따르면[5][6][7][8][9], 1900년에 26,826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20년 조사에서는 7,408명으로 집계되었다.[5]

4. 1. 인구 통계

'''카리톤군 연도별 인구'''[5][6][7][8][9]
미국 인구 조사
연도인구연도인구연도인구연도인구
18301,780188025,224193019,588198010,489
18404,746189026,254194018,08419909,202
18507,514190026,826195014,94420008,438
186012,562191023,503196012,72020107,831
187019,136192021,769197011,08420207,408



2000년 인구 조사[10]에 따르면, 이 군에는 8,438명, 3,469가구, 2,345가족이 거주하고 있었다. 인구 밀도는 4/km2였다. 주택은 평균 2/km2의 밀도로 4,250채가 있었다. 이 군의 인종 구성은 백인 95.99%, 아프리카계 미국인 3.19%, 아메리카 원주민 0.17%, 아시아인 0.13%, 기타 인종 0.11%, 그리고 두 인종 이상이 0.41%였다. 인구의 약 0.56%는 히스패닉 또는 라티노였다. 주요 조상별 구성은 독일계가 38.8%, 미국인이 25.5%, 영국계가 9.7%, 아일랜드계가 7.8%였다.

총 3,469가구 중 28.40%는 18세 미만의 자녀와 함께 살고 있었으며, 58.30%는 결혼한 부부가 함께 거주했다. 6.50%는 남편 없이 여성이 가구주인 경우였고, 32.40%는 비가족 가구였다. 전체 가구의 29.80%는 개인이었으며, 17.30%는 65세 이상의 노인이 혼자 사는 가구였다. 평균 가구 규모는 2.38명이었고, 평균 가족 규모는 2.94명이었다.

이 군의 연령별 인구 분포는 18세 미만 23.70%, 18세에서 24세 6.50%, 25세에서 44세 23.70%, 45세에서 64세 23.80%, 65세 이상 22.30%였다. 중위 연령은 42세였다. 여성 100명당 남성은 91.90명이었고, 18세 이상 여성 100명당 남성은 91.30명이었다.

이 군의 가구당 중간 소득은 32285USD였고, 가족당 중간 소득은 39176USD였다. 남성의 중간 소득은 25263USD였으며, 여성은 19068USD였다. 군의 1인당 소득은 15515USD였다. 가족의 약 8.80%와 인구의 11.60%가 빈곤선 아래에 있었으며, 이 중 11.40%는 18세 미만, 14.00%는 65세 이상이었다.

카리톤군 인종 구성[11]
인종비율
백인 (비히스패닉)6,92593.5%
흑인 또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비히스패닉)1442%
아메리카 원주민 (비히스패닉)150.2%
아시아인 (비히스패닉)30.04%
태평양 제도 주민 (비히스패닉)30.04%
기타/혼혈 (비히스패닉)2173%
히스패닉 또는 라티노1011.36%


4. 2. 가구 및 소득

2000년 인구 조사[10] 기준으로, 카리톤군에는 8,438명, 3,469가구, 2,345가족이 거주하고 있었다. 인구 밀도는 11/km2이었다. 주택은 총 4,250채가 있었으며, 평균 밀도는 6/km2였다.

카리톤군의 인종 구성은 다음과 같았다:

  • 백인: 95.99%
  • 흑인 또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3.19%
  • 아메리카 원주민: 0.17%
  • 아시아인: 0.13%
  • 기타 인종: 0.11%
  • 둘 이상의 인종: 0.41%

인구의 약 0.56%는 인종과 관계없이 히스패닉 또는 라틴계였다.

주요 혈통 배경은 다음과 같았다:

전체 3,469가구 중 28.40%는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살고 있었으며, 58.30%는 부부가 함께 거주했다. 6.50%는 남편 없이 여성이 가구주인 경우였고, 32.40%는 비가족 가구였다. 전체 가구의 29.80%는 1인 가구였으며, 특히 17.30%는 65세 이상 노인이 혼자 사는 경우였다. 평균 가구원 수는 2.38명이었고, 평균 가족 규모는 2.94명이었다.

군의 연령 분포는 18세 미만 23.70%, 18~24세 6.50%, 25~44세 23.70%, 45~64세 23.80%, 65세 이상 22.30%였다. 중위 연령은 42세였다. 여성 100명당 남성은 91.9명이었고, 18세 이상 여성 100명당 남성은 91.3명이었다.

카리톤군의 가구당 중간 소득은 32285USD였고, 가족당 중간 소득은 39176USD였다. 남성의 중간 소득은 25263USD, 여성은 19068USD였다. 군의 1인당 소득은 15515USD였다. 전체 인구의 약 11.60%, 가족 단위로는 약 8.80%가 빈곤선 이하의 생활을 하고 있었다. 빈곤선 이하 인구 중 18세 미만은 11.40%, 65세 이상은 14.00%를 차지했다.

5. 교육

카리톤군 내에는 여러 공립 교육구가 운영되고 있으며, 각 교육구는 초등학교고등학교 과정을 제공한다.[12] 또한, 소수의 사립 학교와 지역 주민들을 위한 공공 도서관 시설도 갖추어져 있다.[13][14][15]

5. 1. 공립 학교

카리톤군의 교육구는 다음과 같다.[12]

교육구소재지운영 학교
브룩필드 R-III 교육구
브런스윅 R-II 교육구브런스윅브런스윅 초등학교 (PK-06)
브런스윅 고등학교 (07-12)
글래스고 교육구
키테스빌 R-III 교육구키테스빌키테스빌 초등학교 (PK-06)
키테스빌 고등학교 (07-12)
마르셀린 R-V 교육구
노스웨스턴 R-I 교육구멘돈노스웨스턴 초등학교 (PK-06)
노스웨스턴 고등학교 (07-12)
솔즈베리 R-IV 교육구솔즈베리솔즈베리 초등학교 (K-06)
솔즈베리 고등학교 (07-12)


5. 2. 사립 학교


  • 세인트 조셉 학교 – 솔즈베리 (유치원-9학년) – 로마 가톨릭

5. 3. 공공 도서관


  • 브런스윅 지역 도서관[13]
  • 듀라니 기념 도서관[14]
  • 키테스빌 공공 도서관[15]

6. 지역 사회

카리톤군은 여러 도시와 마을, 그리고 다수의 비법인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군청 소재지는 키테스빌이다.

6. 1. 도시 및 마을


  • 브런즈윅
  • 바이넘빌
  • 달튼
  • 포레스트그린
  • 키테스빌 (군청 소재지)
  • 마르셀린
  • 멘돈
  • 프레리힐
  • 로스빌
  • 솔즈베리
  • 스나이더
  • 섬너
  • 트리플렛

6. 2. 비법인 지역


  • 바넘빌
  • 커닝햄
  • 포레스트 그린
  • 거스리지
  • 햄던
  • 인디언 그로브
  • 라고다
  • 루이스 밀
  • 루이빌
  • 마이크
  • 머슬포크
  • 뉴코머
  • 프레리 힐
  • 록포드
  • 셔넌데일
  • 스나이더
  • 웨스트빌

7. 정치

카리톤군은 미국 미주리주에 위치한 군으로, 지방 정부, 주 의회 대표, 연방 의회 대표 선출을 통해 정치 시스템이 운영된다. 지방 정부는 평가관, 서기, 군 위원회, 징수관, 검사 등 다양한 선출직 공무원으로 구성되며, 민주당공화당 소속 인물들이 함께 활동하고 있다.

주 단위 정치에서는 미주리 주 하원에 두 명, 미주리 주 상원에 한 명의 대표를 선출한다. 현재 카리톤군을 대표하는 주 의회 의원들은 모두 공화당 소속이다. 연방 차원에서는 미국 하원 제6선거구에 속하며, 현재 공화당 소속 의원이 대표하고 있다. 미국 상원 선거에서는 최근 선거 결과가 양당 간에 엇갈리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역사적으로 카리톤군은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를 지지하는 경향이 강했으나, 2000년대 이후로는 공화당 후보가 꾸준히 승리하며 정치적 성향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미주리 주지사 선거에서도 유사한 흐름이 관찰된다. 다만, 2008년 민주당 대통령 예비 선거에서는 힐러리 클린턴 후보가 군 내에서 가장 많은 표를 얻는 등, 특정 선거에서는 다른 양상을 보이기도 했다.

카리톤군의 구체적인 지방 정부 구성원 및 역대 선거 결과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7. 1. 지방 정치

직책이름정당
평가관 (Assessor)대린 E. 글래드바흐민주당
순회 법원 서기 (Circuit Clerk)에릭 스탈로민주당
군 서기 (County Clerk)미치 슈흐만공화당
군 위원회 의장 (Presiding Commissioner)에반 에머리히공화당
제1지구 군 위원 (District 1 Commissioner)자레드 마이어공화당
제2지구 군 위원 (District 2 Commissioner)테리 밀포드공화당
징수관 (Collector)달린 쉽민주당
검시관 (Coroner)나일 보이어공화당
검사 (Prosecutor)클리프 손버그민주당
공공 행정관 (Public Administrator)레지나 에머리히민주당
등기 담당관 (Recorder of Deeds)에릭 스탈로민주당
보안관 (Sheriff)에릭 빌럽스공화당
재무관 (Treasurer)달린 쉽민주당


7. 2. 주 및 연방 정치

역대 주지사 선거 결과
연도공화당민주당제3 정당
202076.13% 3,10022.35% 9101.52% 62
201659.61% 2,36438.40% 1,5231.99% 79
201246.59% 1,77050.99% 1,9372.42% 92
200846.54% 1,95151.67% 2,1661.79% 75
200454.32% 2,35044.87% 1,9410.81% 35
200048.47% 1,99850.39% 2,0771.14% 47
199633.31% 1,32665.16% 2,5941.53% 61



카리톤군은 미주리 주 하원에서 두 개의 선거구로 나뉘어 있으며, 두 곳 모두 공화당 소속 의원을 선출하고 있다.

'''미주리 주 하원 선거 결과 (카리톤군)'''

연도선거구공화당 후보득표수 (%)민주당 후보득표수 (%)기타 후보득표수 (%)
2016제39선거구조 돈 맥거프2,507 (100.00%)----
제48선거구데이브 먼첼676 (81.06%)--데브라 딜크스 (무소속)158 (18.94%)
2014제39선거구조 돈 맥거프1,420 (100.00%)----
제48선거구데이브 먼첼401 (100.00%)----
2012제39선거구조 돈 맥거프1,562 (54.27%)윌 탈버트1,316 (45.73%)--
제48선거구데이브 먼첼413 (48.93%)론 모닉431 (51.07%)--


  • '''제39선거구''': 카운티 북부 지역. 현 의원은 조 돈 맥거프(공화당-캐롤턴)이다.
  • '''제48선거구''': 카운티 남부 지역. 현 의원은 데이브 먼첼(공화당-분빌)이다. (주: 2012년 선거에서는 민주당 후보가 승리했다.)


카리톤군 전체는 미주리 주 상원의 제18선거구에 속하며, 현재 신디 오로플린(공화당-쉘비나)이 대표하고 있다.

'''미주리 주 상원 제18선거구 선거 결과 (카리톤군)'''

연도공화당 후보득표수 (%)
2014브라이언 문즐링거1,781 (100.00%)



'''미국 상원 선거 결과 (카리톤군)'''

연도공화당 후보득표수 (%)민주당 후보득표수 (%)기타 후보득표수 (%)
2016로이 블런트2,322 (58.64%)제이슨 캔더1,465 (36.99%)조나단 다인 (자유당), 존아단 맥팔랜드 (녹색당), 프레드 라이먼 (헌법당) 등173 (4.36%)
2012토드 에이킨1,690 (44.71%)클레어 매캐스킬1,856 (49.10%)조나단 다인 (자유당)234 (6.19%)



카리톤군의 모든 지역은 미주리주 제6선거구에 포함되며, 현재 샘 그레이브스(공화당-타르키오)가 미국 하원 의원으로 대표하고 있다.

'''미국 하원 제6선거구 선거 결과 (카리톤군)'''

연도공화당 후보득표수 (%)민주당 후보득표수 (%)기타 후보득표수 (%)
2016샘 그레이브스2,889 (74.17%)데이비드 M. 블랙웰894 (22.95%)러스 리 몬칠 (자유당), 마이크 디엘 (녹색당)112 (2.88%)
2014샘 그레이브스1,643 (70.61%)빌 헤지588 (25.27%)러스 리 몬칠 (자유당)96 (4.12%)
2012샘 그레이브스2,546 (68.08%)카일 야버1,124 (30.05%)러스 리 몬칠 (자유당)70 (1.87%)



'''대통령 선거 결과'''[16]

'''카리톤군 대통령 선거 결과 (1888-2024)'''
연도승리 정당공화당 득표수민주당 득표수기타 득표수
2024공화당3,17987535
2020공화당3,11191650
2016공화당2,950888131
2012공화당2,4021,33980
2008공화당2,3391,79976
2004공화당2,4211,89227
2000공화당2,3001,79262
1996민주당1,5082,072452
1992민주당1,3782,1411,082
1988민주당2,1932,34715
1984공화당2,7442,2440
1980공화당2,6412,25082
1976민주당2,1283,05521
1972공화당2,8121,9990
1968공화당2,4042,371509
1964민주당1,9323,8620
1960민주당3,1023,5500
1956민주당3,4593,6710
1952공화당3,8833,73014
1948민주당2,6154,1706
1944민주당3,8023,9308
1940민주당4,4395,0535
1936민주당3,4335,49034
1932민주당1,8355,49834
1928민주당3,9294,55913
1924민주당3,1734,795226
1920민주당4,3314,67578
1916민주당2,1833,13559
1912민주당1,5283,112829
1908민주당2,2493,35252
1904민주당2,0643,058118
1900민주당2,1383,82895
1896민주당2,3594,32120
1892민주당2,0573,463197
1888민주당2,3453,452109



2008년 민주당 대통령 예비 선거에서 전 미국 상원 의원 힐러리 클린턴(민주당-뉴욕주)은 카리톤군에서 786표를 얻어 양당 후보 중 가장 많은 표를 얻었다. 이는 카리톤군 공화당 예비 선거 전체 투표수보다 많은 수치이다. 당시 카리톤군은 민주당과 공화당 모두 주 전체 및 전국 결과와 달리 2위 후보(힐러리 클린턴, 마이크 허커비)를 선택했다.

7. 3. 역대 선거 결과

카리톤군은 미주리주의 정치 지형에서 특정 경향성을 보여왔다. 연방 및 주 단위 선거 결과를 통해 이러한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주(State) 단위 선거'''

  • 미주리 주 하원: 카리톤군은 두 개의 선거구로 나뉘어 있으며, 두 곳 모두 미주리 주 하원에서 공화당 소속 의원을 선출하고 있다.
  • 제39선거구는 카운티 북부 지역을 포함하며, 조 돈 맥거프(공화)가 대표하고 있다. 그는 캐롤턴 출신이다.
  • 제48선거구는 카운티 남부 지역을 포함하며, 데이브 먼첼(공화)가 대표하고 있다. 그는 분빌 출신이다.
  • 미주리 주 상원: 카리톤군 전체는 미주리 주 상원 제18선거구에 속한다. 현재 신디 오로플린(공화)이 이 지역구를 대표하고 있으며, 그녀는 쉘비나 출신이다.


'''연방(Federal) 단위 선거'''

  • 미국 상원: 미국 상원 선거에서 카리톤군은 최근 선거에서 공화당 후보에게 더 많은 표를 주었으나, 과거에는 민주당 후보가 승리하기도 했다.
  • 2016년 선거에서는 현직 로이 블런트(공화)가 58.64%의 득표율로 제이슨 캔더(민주)(36.99%)를 앞섰다.
  • 2012년 선거에서는 현직 클레어 매캐스킬(민주)이 49.10%의 득표율로 토드 에이킨(공화)(44.71%)을 누르고 승리했다.
  • 미국 하원: 카리톤군 전체는 미주리 주 제6 연방 하원 의회 지구에 포함된다. 현재 샘 그레이브스(공화)가 미국 하원 의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그는 타키오 출신이다. 그레이브스는 최근 선거에서 꾸준히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며 카리톤군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

7. 3. 1. 대통령 선거

'''대통령 선거 결과'''[16]
연도공화당민주당기타 정당
2024년77.75% 3,17921.40% 8750.86% 35
2020년76.31% 3,11122.47% 9161.23% 50
2016년74.31% 2,95022.37% 8883.30% 131
2012년62.86% 2,40235.04% 1,3392.10% 80
2008년55.51% 2,33942.69% 1,7991.80% 76
2004년55.78% 2,42143.59% 1,8920.62% 27
2000년55.37% 2,30043.14% 1,7921.49% 62
1996년37.40% 1,50851.39% 2,07211.21% 452
1992년30.61% 1,37847.56% 2,14124.03% 1,082
1988년48.15% 2,19351.52% 2,3470.33% 15
1984년55.01% 2,74444.99% 2,2440.00% 0
1980년53.12% 2,64145.25% 2,2501.65% 82
1976년41.00% 2,12858.85% 3,0550.41% 21
1972년58.45% 2,81241.55% 1,9990.00% 0
1968년45.50% 2,40444.88% 2,3719.63% 509
1964년33.35% 1,93266.65% 3,8620.00% 0
1960년46.63% 3,10253.37% 3,5500.00% 0
1956년48.51% 3,45951.49% 3,6710.00% 0
1952년50.94% 3,88348.89% 3,7300.18% 14
1948년38.51% 2,61561.41% 4,1700.09% 6
1944년49.12% 3,80250.77% 3,9300.10% 8
1940년46.74% 4,43953.21% 5,0530.05% 5
1936년38.32% 3,43361.30% 5,4900.38% 34
1932년24.91% 1,83574.63% 5,4980.46% 34
1928년46.22% 3,92953.63% 4,5590.15% 13
1924년38.72% 3,17358.51% 4,7952.76% 226
1920년47.68% 4,33151.46% 4,6750.86% 78
1916년40.60% 2,18358.30% 3,1351.10% 59
1912년30.75% 1,52862.60% 3,11216.68% 829
1908년39.78% 2,24959.30% 3,3520.92% 52
1904년39.39% 2,06458.36% 3,0582.25% 118
1900년35.28% 2,13863.16% 3,8281.57% 95
1896년35.21% 2,35964.49% 4,3210.30% 20
1892년36.01% 2,05760.62% 3,4633.45% 197
1888년39.71% 2,34558.45% 3,4521.85% 109



2008년 대통령 예비 선거에서 카리톤군은 각 정당에서 주 전체 및 전국적으로 2위를 차지한 후보를 지지했다. 특히 민주당 예비 선거에서는 전 미국 상원 의원 힐러리 클린턴(민주-뉴욕주)이 786표를 얻어 1위를 차지했는데, 이는 카리톤군 내 공화당 예비 선거 전체 득표수보다도 많은 수치였다.

7. 3. 2. 주지사 선거

역대 주지사 선거 결과
연도공화당민주당제3 정당
202076.13% 3,10022.35% 9101.52% 62
201659.61% 2,36438.40% 1,5231.99% 79
201246.59% 1,77050.99% 1,9372.42% 92
200846.54% 1,95151.67% 2,1661.79% 75
200454.32% 2,35044.87% 1,9410.81% 35
200048.47% 1,99850.39% 2,0771.14% 47
199633.31% 1,32665.16% 2,5941.53% 61


8. 저명한 인물


  • 다롤드 놀스 - 전 MLB 구원 투수. 월드 시리즈 7경기에 모두 출전한 최초의 투수이다. 브런즈윅 R-II 학교의 야구장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브런즈윅 출신)
  • 맥스웰 D. 테일러 - 미국 육군 장군 및 외교관. (키테즈빌 출신)
  • 번 케네디 - 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투수. (멘돈 출신)
  • 솔 스미스 러셀 - 19세기 후반 코미디 배우. 브런즈윅의 러셀 오페라 하우스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브런즈윅 출신)
  • 스터링 프라이스 - 미주리 주 제11대 주지사. 남북 전쟁에서 남부 연합 장군으로 활동했다. (키테즈빌 출신)
  • 웨인 E. 마이어 - 미국 해군 제독으로, "이지스 무기 시스템의 아버지"로 불린다. (브런즈윅 출신)
  • 윌버 스웨트먼 - 래그타임 및 딕시랜드 재즈 작곡가 겸 연주자. (브런즈윅 출신)
  • 월트 디즈니 - 영화 제작자, 애니메이터, 사업가. (마셀린 출신)
  • 제인 해들리 바클리 - 전 미국의 영부인, 앨번 바클리의 아내. (키테즈빌 출신)
  • 존 도날드슨 - 니그로 리그 베이스볼 투수. 다수의 노히터를 기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글래스고 출신)
  • J. 윌리엄 풀브라이트 - 오랫동안 미국 상원 의원을 지냈으며, 풀브라이트 장학금은 그의 이름을 딴 것이다. (섬너 출신)
  • 칼 허버드 - 프로 풋볼 명예의 전당 회원이며, 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심판이다. (키테즈빌 출신)
  • 플로이드 B. 파크스 - 미국 해병대 비행사. 미드웨이 해전 당시 해병 전투 비행대대 VMF-221을 지휘한 공로로 사후 해군 십자 훈장을 받았다. (솔즈베리 출신)
  • W. 제임스 모건 - 남북 전쟁 중 플랫 시티 방화의 책임을 맡았던 연방군 장교. (브런즈윅 출신)

참조

[1] 웹사이트 Explore Census Data https://data.census.[...] 2021-12-21
[2] 웹사이트 Find a County http://www.naco.org/[...] National Association of Counties 2011-06-07
[3] Webarchive The Story of Little Dixie, Missouri http://www.missourid[...] Missouri Division - Sons of Confederate Veterans 2008-06-03
[4] 웹사이트 2010 Census Gazetteer Files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4-11-14
[5] 웹사이트 U.S. Decennial Census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4-11-14
[6] 웹사이트 Historical Census Browser http://mapserver.lib[...] University of Virginia Library 2014-11-14
[7] 웹사이트 Population of Counties by Decennial Census: 1900 to 1990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4-11-14
[8] 웹사이트 Census 2000 PHC-T-4. Ranking Tables for Counties: 1990 and 2000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4-11-14
[9] 웹사이트 State & County QuickFacts http://quickfacts.ce[...]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3-09-07
[10] 웹사이트 U.S. Census website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1-05-14
[11] 웹사이트 P2 HISPANIC OR LATINO, AND NOT HISPANIC OR LATINO BY RACE – 2020: DEC Redistricting Data (PL 94-171) – Chariton County, Missouri https://data.census.[...]
[12] 웹사이트 2020 CENSUS - SCHOOL DISTRICT REFERENCE MAP: Chariton County, MO https://www2.census.[...] U.S. Census Bureau 2024-10-14
[13] 웹사이트 Brunswick Area Library https://librarytechn[...] Libraries.org 2017-05-08
[14] 웹사이트 Dulany Memorial Library https://librarytechn[...] Libraries.org 2017-05-08
[15] 웹사이트 Keytesville Public Library https://librarytechn[...] Libraries.org 2017-05-08
[16] 웹사이트 Dave Leip's Atlas of U.S. Presidential Elections http://uselectionatl[...] 2018-03-24
[17] 문서 Quickfacts.census.gov - Chariton County http://quickfacts.ce[...]
[18] 문서 American FactFinder - Keytesville, Missouri http://factfinder2.c[...]
[19] 문서 American FactFinder - Salisbury, Missouri http://factfinder2.c[...]
[20] 문서 The Story of Little Dixie, Missouri http://www.missourid[...] Missouri Division - Sons of Confederate Veterans 2008-06-03
[21] 웹사이트 Census 2000 U.S. Gazetteer Files: Counties http://www.census.go[...] United States Census 2011-02-13
[22] 웹인용 Population and Housing Unit Estimates https://www.census.g[...] 2019-11-29
[23] 웹인용 U.S. Decennial Census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4-11-14
[24] 웹인용 Historical Census Browser http://mapserver.lib[...] University of Virginia Library 2014-11-14
[25] 웹인용 Population of Counties by Decennial Census: 1900 to 1990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4-11-14
[26] 웹인용 Census 2000 PHC-T-4. Ranking Tables for Counties: 1990 and 2000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4-11-14
[27] 웹인용 State & County QuickFacts http://quickfacts.ce[...]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3-09-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