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베르네 프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베르네 프랑은 17세기 프랑스에서 기원한 적포도 품종으로, 카베르네 소비뇽과 유전적 관련이 있으며, 와인 양조에 널리 사용된다. 프랑스 루아르 계곡과 보르도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며, 이탈리아, 헝가리, 캐나다, 미국 등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도 생산된다. 카베르네 프랑은 라즈베리, 검은 건포도, 제비꽃 등의 향과 옅은 색상을 특징으로 하며, 카베르네 소비뇽보다 부드러운 타닌을 가진 와인을 생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도 품종 - 샤인머스캣
    샤인머스캣은 일본에서 개발된 씨 없는 포도 품종으로, 유럽 머스캣의 맛과 미국 품종의 재배 용이성을 결합하여 크고 달콤하며 향이 강하지만 해외 유출로 한국과 중국 등지에서 대량 재배되며 품질 저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 포도 품종 - 피노 누아르
    피노 누아르는 프랑스 부르고뉴 지방이 원산인 적포도 품종으로, 다양한 테루아를 반영하여 체리, 라즈베리 등의 과실 향과 숙성된 사냥고기 향을 지닌 복합적인 풍미를 내는 섬세하고 낭만적인 와인 품종이며 샴페인 제조에도 사용된다.
  • 포도주 - 신의 물방울
    《신의 물방울》은 2004년부터 2014년까지 연재된 와인 만화로, 주인공들이 아버지의 유산을 상속받기 위해 와인을 찾아가는 이야기를 통해 와인과 문화의 관계를 보여주며, 드라마, 소셜 게임으로도 제작되었다.
  • 포도주 - 보졸레 누보
    보졸레 누보는 프랑스 보졸레 지역의 햇포도주로, 가메이 포도를 사용하여 빠르게 생산되며, 매년 11월 셋째 주 목요일에 전 세계 동시 출시를 기념하는 축제와 함께 많은 사랑을 받는 신선하고 과일 향이 풍부한 와인이다.
카베르네 프랑
기본 정보
카베르네 프랑
비알라 & 베르모렐의 카베르네 프랑
학명Vitis vinifera
원산지보르도, 프랑스
주요 재배 지역보르도, 루아르
대표 와인샤토 슈발 블랑
품종 정보
색상흑색
다른 이름부셰, 부시, 브르통
위험 요소
일반 특징
재배 환경

2. 역사

카베르네 프랑 포도


카베르네 프랑은 17세기 프랑스 리슐리외 추기경이 보르도리부른 지역에서 잘라온 나무를 루아르 계곡에 심었다고 전해진다. 루아르 부흐괴이의 수도원에서 재배를 시작하며 당시 수도원장이었던 브르통(Breton)이 처음으로 이 포도를 별개의 품종으로 다루기 시작했다. 18세기에 이르러 보르도 대부분 지역에서 고급 포도주를 만들기 위해 카베르네 프랑(부셰(Bouchet)라고도 불렸음)을 재배하기 시작했다. 19세기 전후로 카베르네 소비뇽이 유명해지면서 카베르네 프랑과 유사성이 발견되기 시작했고, 1997년 소비뇽 블랑과 카베르네 프랑의 유전자가 혼합되어 카베르네 소비뇽이 나타났음을 보여주는 DNA 증거가 나왔다.[16]

2. 1. 기원 및 초기 역사



카베르네 프랑은 17세기경 프랑스 남서부 리부르네 지역에서 자리 잡은 것으로 여겨진다. 리슐리외 추기경이 이 포도나무의 가지루아르 계곡으로 옮겨 심었다.[4] 이 포도나무는 브르통이라는 이름의 수도원장의 보살핌을 받으며 부르ueil 수도원에 심어졌고, 그의 이름은 이 포도와 연관되었다.[4] 18세기 무렵에는 카베르네 프랑('''부셰'''로 알려짐)이 프롱삭, 포므롤, 생테밀리옹 전역에서 재배되어 양질의 와인을 생산했다.[4] 18세기와 19세기에 카베르네 소비뇽이 더 인기를 얻으면서 두 포도의 유사성이 관찰되었고, 이들의 관계에 대한 이론이 등장했다. 1997년에는 카베르네 프랑이 교배를 통해 소비뇽 블랑과 결합하여 카베르네 소비뇽을 낳았다는 DNA 증거가 나왔다.[4]

2. 2. 보르도에서의 발전



카베르네 프랑은 17세기경 프랑스 남서부 리부르네 지역에서 자리 잡은 것으로 여겨진다. 리슐리외 추기경이 이 포도나무의 가지루아르 계곡으로 옮겨 심었다.[4] 이 포도나무는 브르통이라는 이름의 수도원장이 부르ueil 수도원에 심어 보살폈으며, 그의 이름은 이 포도와 연관되었다.[4] 18세기 무렵에는 카베르네 프랑(''부셰''로 알려짐)이 프롱삭, 포므롤, 생테밀리옹 전역에서 재배되어 양질의 와인을 생산했다.[4] 18세기와 19세기에 카베르네 소비뇽이 더 인기를 얻으면서 두 포도의 유사성이 관찰되었고, 이들의 관계에 대한 이론이 등장했다.[4] 1997년에는 DNA 증거를 통해 카베르네 프랑이 교배를 통해 소비뇽 블랑과 결합하여 카베르네 소비뇽을 낳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4]

3. 포도 재배

카베르네 프랑은 다양한 포도밭 토양에 적응할 수 있지만, 특히 모래석회질 토양에서 잘 자라며, 여기서 더 풍부한 질감의 와인을 생산하는 경향이 있다. 루아르 계곡 내에서는 자갈 테라스와 토포 경사지에서 재배된 포도로 만든 와인 사이에 ''떼루아'' 기반의 차이가 나타난다. 이 품종은 수확량에 매우 민감하여, 과도하게 수확하면 풋내와 쓴맛이 강한 와인을 만든다.[19]

보르도 지방에서는 카베르네 소비뇽에 비해 배수가 잘 안 되는 곳에서도 잘 자라기 때문에, 도르도뉴 강 우안의 생테밀리옹이나 퐁사크 지구 등에서 비교적 많이 재배된다. 지롱드 강 좌안의 메독 등에서는 단지 몇 퍼센트만 생산되고 있다.

프랑스 외에는 미국캘리포니아주오스트레일리아에서도 소량 재배되고 있다. 카베르네 소비뇽에 비해 고온 다습에 강하기 때문에, 일본에서는 야마나시현을 중심으로 이 품종을 도입하고 있는 와이너리가 몇 군데 있다.

3. 1. 생육 특성

카베르네 프랑 잎


카베르네 프랑은 카베르네 소비뇽과 매우 유사하지만, 싹이 트고 꽃이 일주일 정도 빨리 피며 포도 역시 빨리 익는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카베르네 소비뇽보다 루아르 계곡처럼 약간 더 서늘한 기후에서 잘 자란다. 보르도에서는 수확 시기에 예측할 수 없는 악천후로 카베르네 소비뇽이 피해를 입을 경우를 대비해 카베르네 프랑을 재배한다.[4] 그러나 빨리 싹이 트는 만큼 포도나무 병충해(Coulure)에 더 빨리 노출되는 위험도 있다.[17]

카베르네 프랑 나무는 위를 향해 직립적으로 자라고 가지는 중소형 크기로 길쭉한 편이다. 잎은 짙은 녹색에 다섯 방향으로 넓고 날카롭게 뻗은 모양이다. 포도송이는 길쭉하고 크기가 작거나 중간 정도이며, 열매는 상당히 작고 청흑색을 띠며 껍질이 얇다.[2] 카베르네 프랑 포도나무는 카베르네 소비뇽보다 변이가 더 잘 일어나지만, 피노 누아보다는 덜하다.[5]

카베르네 프랑은 다양한 포도밭 토양 유형에 적응할 수 있지만, 모래석회질 토양에서 더 잘 자라며 질감이 풍부한 포도주를 만들어낸다. 루아르 계곡 내에서도 자갈 테라스에서 재배된 포도로 만든 와인과 토포 경사지에서 재배된 포도로 만든 와인 사이에 ''떼루아'' 기반의 차이가 나타난다. 이 포도는 수확량에 매우 민감하여, 과도하게 수확하면 풋내와 쓴맛이 강한 와인이 만들어진다.[5]

보르도 지방에서는 카베르네 소비뇽에 비해 배수가 잘 안 되는 곳에서도 잘 자라기 때문에, 도르도뉴 강 우안의 생테밀리옹이나 퐁사크 지구 등에서 비교적 많이 재배된다. 프랑스 국내에서 가장 재배 면적이 많은 곳은 루아르 지방이며, 시농, 소뮈르, 부르게이유 등의 적포도주는 이 품종을 주재료로 만들어진다. 카베르네 소비뇽과 매우 흡사한 블루베리 향과 적당한 떫은 맛, 풍부한 산미를 가지고 있지만, 카베르네 소비뇽에 비하면 순한 느낌의 와인이 많다.

3. 2. 재배 조건

카베르네 프랑은 카베르네 소비뇽과 매우 유사하지만, 싹이 트고 최소 일주일 먼저 익는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루아르 밸리처럼 카베르네 소비뇽보다 약간 더 서늘한 기후에서 잘 자란다. 보르도에서는 수확 시기에 가까워 카베르네 소비뇽 포도밭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악천후에 대한 "보험 정책"으로 카베르네 프랑 포도밭을 취급한다. 싹이 일찍 트는 것은 재배 초기에 꽃떨이의 위험을 야기한다.[4] 포도나무는 잎이 짙은 녹색이고 5갈래로 갈라져 있으며, 덩굴손이 있고 위로 뻗어 있다. 포도송이는 길쭉하고 크기가 작거나 중간 정도이다. 열매는 상당히 작고 청흑색을 띠며 껍질이 얇은 편이다.[2] 카베르네 프랑 포도나무는 카베르네 소비뇽보다 변이가 더 잘 일어나며, 피노 누아보다는 덜하다.[5]

카베르네 프랑은 다양한 포도밭 토양 유형에 적응할 수 있지만, 모래, 백악 토양에서 잘 자라며, 그곳에서 더 무겁고 풀 바디한 와인을 생산하는 경향이 있다. 루아르 밸리에서는 자갈 테라스에서 재배된 포도로 만든 와인과 토포 경사지에서 재배된 포도로 만든 와인 사이에서 ''떼루아'' 기반의 차이를 느낄 수 있다. 이 포도는 수확량에 매우 민감하여, 과도한 수확은 더 녹색이고 식물성 향이 나는 와인을 생산한다.[5]

보르도 지방에서는 카베르네 소비뇽 품종에 비해 배수가 잘 안 되는 곳에서도 잘 자라기 때문에, 도르도뉴 강 우안의 생테밀리옹이나 퐁사크 지구 등에서 비교적 많이 재배된다. 지롱드 강 좌안의 메독 등에서는 단지 몇 퍼센트만 생산되고 있다.

프랑스 국내에서 가장 재배 면적이 많은 곳은 루아르 지방이며, 시농, 소뮈르, 부르게이유 등의 적포도주는 이 품종을 주체로 만들어진다. 카베르네 소비뇽 품종과 매우 흡사한 블루베리와 같은 향과 적당한 떫은 맛, 풍부한 산미를 가지고 있지만, 카베르네 소비뇽 품종에 비하면 순한 느낌의 와인이 많다. AOC 와인 중에서는 저렴한 것 중 하나이다. 기분 좋은 달콤한 맛과 연어 핑크색의 아름다움을 가진 앙주 로제나 카베르네 당주도 이 품종을 중심으로 만들어진다.

프랑스 외에는, 미국캘리포니아주오스트레일리아에서도 소량 재배되고 있다.

카베르네 소비뇽에 비해 고온 다습에 강하기 때문에, 일본에서는 야마나시현을 중심으로 이 품종을 도입하고 있는 와이너리가 몇 군데 있다.

4. 와인 생산 지역

카베르네 프랑은 전 세계적으로 20대 주요 재배 포도 품종 중 하나로, 유럽, 신세계, 중국, 카자흐스탄 등지에서 재배된다.[4] 많은 지역에서 메리타지와 같은 보르도 스타일 블렌드의 구성 요소로 사용되지만, 이탈리아 북동부, 앙주-소뮈르, 투렌 및 보르도의 우안 지역에서는 블렌드의 주된 역할을 하거나 단일 품종으로도 생산된다.[4]


  • 프랑스: 프랑스 내 최대 재배 지역은 루아르 지방이며, 보르도에서도 상당량 재배된다.
  • 기타 유럽 지역: 이탈리아 외에도 그리스(차푸르나코스), 불가리아,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스페인 등지에서 재배된다.
  • 캐나다: 온타리오 와인과 브리티시 컬럼비아 와인 지역에서 재배되며, 단일 품종 와인 및 아이스와인으로도 생산된다.
  • 미국: 캘리포니아를 중심으로 재배되며, 뉴욕, 워싱턴 주 등 다양한 지역에서 재배 면적이 증가하고 있다.
  • 아르헨티나: 최근 말벡 다음으로 잠재력 있는 품종으로 평가받으며, 단일 품종 및 블렌딩 와인으로 생산된다.
  • 기타 신세계 지역: 오스트레일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칠레, 뉴질랜드 등지에서 소량 재배된다.
  • 일본: 카베르네 소비뇽에 비해 고온 다습한 환경에 강하여 야마나시현을 중심으로 재배된다.

4. 1. 프랑스

프랑스에서 카베르네 프랑은 전 세계 재배 면적의 거의 절반을 차지하며, 주로 루아르 밸리와 보르도 지역에서 발견된다. 2000년 기준으로 프랑스에서 여섯 번째로 널리 재배되는 적포도 품종이었으며, 베르제락과 마디랑 ''원산지 통제 명칭(AOC)''을 포함한 다른 지역에도 상당한 면적이 재배된다.[4]

20세기 초, 보르도에서는 카베르네 소비뇽과 카베르네 프랑의 재배 면적이 거의 같았으나, 20세기 말 카베르네 소비뇽의 재배 면적이 급증하면서 카베르네 프랑 재배 면적을 넘어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랑스 내 카베르네 프랑 재배 면적은 여전히 상당하다.[4]

4. 1. 1. 루아르 계곡

루아르 지방에서는 시농, 소뮈르, 부르게이유 등에서 이 품종을 주체로 적포도주를 만든다. 카베르네 소비뇽 품종과 매우 흡사한 블루베리와 같은 향과 적당한 떫은 맛, 풍부한 산미를 가지고 있지만, 카베르네 소비뇽 품종에 비하면 순한 느낌의 와인이 많다. AOC 와인 중에서는 저렴한 것 중 하나이다. 기분 좋은 달콤한 맛과 연어 핑크색의 아름다움을 가진 앙주 로제나 카베르네 당주도 이 품종을 중심으로 만들어진다.

4. 1. 2. 보르도

프랑스에서 카베르네 프랑은 주로 루아르 밸리와 보르도의 리부르네 지역에서 발견된다. 2000년 기준으로, 프랑스에서 여섯 번째로 널리 재배되는 적포도 품종이었다. 베르제락과 마디랑 ''원산지 통제 명칭(AOC)''을 포함한 다른 지역에도 상당한 면적이 재배된다. 20세기 초, 보르도에서는 카베르네 소비뇽과 카베르네 프랑의 재배 면적이 거의 같았으며, 1960년대 말에는 약 25000acre에 달했다. 이 재배 면적의 대부분은 프롱삭, 생테밀리옹, 포므롤 지역의 지롱드 강 오른쪽 제방을 따라 위치해 있었다. 20세기 말, 보르도에서 카베르네 소비뇽의 재배 면적이 카베르네 프랑에 비해 2:1의 비율로 급증했음에도 불구하고, 카베르네 프랑의 재배 면적은 35360acre 이상이었으며, 이는 프랑스 전체 88900acre의 거의 절반에 달한다.[4]

카베르네 프랑은 생테밀리옹의 보르도 와인 샤토 슈발 블랑의 특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칩니다.


보르도 지방에서는 카베르네 소비뇽 품종에 비해 배수가 잘 안 되는 곳에서도 잘 자라기 때문에, 도르도뉴 강 우안의 생테밀리옹이나 퐁사크 지구 등에서 비교적 많이 재배된다. 지롱드 강 좌안의 메독 등에서는, 단지 몇 퍼센트만 생산되고 있다.

4. 2. 이탈리아

2000년까지 이탈리아에는 가 넘는 카베르네 프랑이 재배되었다. 그러나 이 포도 품종은 카베르네 소비뇽과 고대 보르도 품종인 카르메네르와 흔히 혼동되므로, 더 많은 포도원이 포도 품종 연구가에 의해 조사되기 전까지는 정확한 재배 면적을 알 수 없을 수 있다.[4] 이 품종은 주로 이탈리아 최북동부, 특히 프리울리 지역에 많이 심어지지만, 베네토 지역의 포도원에서도 발견되며(이곳에서는 '''보르도'''라고 불림), 심지어 풀리아 지역과 같이 남쪽 지역의 일부 키안티 블렌드에서도 발견된다.[9] 토스카나 지역의 카베르네 프랑 재배는 최근 몇 년 동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블렌드에 균형과 우아함을 더하는 이 포도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는 볼게리와 마렘마 지역에서 두드러진다. 이탈리아 와인 중 "카베르네"로만 표기된 와인은 주로 카베르네 프랑이거나 카베르네 프랑과 카베르네 소비뇽의 블렌드인 경향이 있다.[4]

포도나무에 달린 카베르네 프랑

4. 3. 헝가리

1990년대 말, 일부 와인 생산 지역에서 기후와 생육 조건이 카베르네 소비뇽이 완전히 숙성하기에 최적이지 않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헝가리의 카베르네 프랑이 주목받기 시작했다.[4] 빌라니섹사르드에서 성공적인 단일 품종 와인 사례가 나타나면서 큰 잠재력을 보여주었고, 일부 국제 전문가들은 카베르네 프랑이 "빌라니 지역에서 새로운 고향을 찾았다"라고 선언했다. 헝가리산 단일 품종 카베르네 프랑은 전형적으로 풀 바디(full-bodied)하며, 중간 또는 높은 수준의 타닌을 지니고 있으며, 향신료, 푸른 꽃, 붉은/검은 베리 과일의 풍부한 아로마를 가지고 있으며 약 10년 정도의 훌륭한 숙성 잠재력을 지닌다. 이러한 와인은 일반적으로 새 헝가리산 오크통에서 12~18개월 동안 숙성된다.[4]

빌라니섹사르드 외에도, 카베르네 프랑은 에게르, 남부 발라톤, 그리고 쇼프론 포도원에서도 소량으로 재배된다. 카베르네 프랑은 종종 이 지역의 보르도 스타일 블렌드 와인을 보완하며, 때로는 로제 와인 생산에도 역할을 한다.[4]

4. 4. 기타 유럽 지역

카베르네 프랑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재배되는 20대 포도 품종 중 하나이다. 유럽, 신세계, 중국 및 카자흐스탄 전역에서 재배되고 있다. 많은 지역에서 메리타지와 같은 보르도 스타일 블렌드의 구성 요소로, 카베르네 소비뇽메를로에 비해 부차적인 역할을 한다.[4]

프랑스와 이탈리아 외에도, 카베르네 프랑은 그리스(차푸르나코스라고 알려짐), 불가리아,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특히 이스트라의 사부드리야 지역에서 상당한 양이 재배된다. 이 품종은 스페인에서는 흔하지 않으며, 주로 카탈루냐에서 재배되며, 여기에서는 4개의 DOP(원산지 명칭 보호)에서 허용되는 품종이다: 카탈루냐(DO), 코스테르스 델 세그레, 엠포르다, 플라 데 바제스, 프리오라트. 또한 발렌시아와 카스티야-라 만차에서도 재배된다. 2015년 스페인에서는 732ha의 카베르네 프랑이 재배되었다.

4. 5. 캐나다

카베르네 프랑은 캐나다에서 점점 더 인기를 얻고 있으며, 온타리오 와인의 나이아가라 반도, 프린스 에드워드 카운티 와인, 이리호 북부 해안, 필리 아일랜드, 그리고 브리티시 컬럼비아 와인의 오카나간 밸리 와인에서 재배되고 있다.[4] 주로 블렌딩에 사용되지만, 단일 품종으로, 또한 아이스와인으로도 인기를 얻고 있다.[4] 카베르네 소비뇽보다 약 2주 정도 일찍 익기 때문에, 캐나다의 더 서늘한 기후에서 다른 적포도 품종보다 더 잘 자라는 경향이 있다. 온타리오 카베르네 프랑은 종종 적당한 산도와 함께 채소, 라즈베리와 같은 특징적인 풍미를 와인에 더한다.

4. 6. 미국

워싱턴 주의 카베르네 프랑


캘리포니아 와인 생산자들이 보르도 블렌드(현재는 메리테지(Meritage)로 판매됨)를 만들고 싶어 하면서 이 품종에 대한 관심이 시작되었다. 20세기 초중반에는 일부 카베르네 프랑 묘목이 메를로로 오인되기도 했다. 1980년대에 카베르네 프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재배 면적이 증가했고, 이는 캘리포니아의 카베르네 프랑 총 재배 면적을 3400acre까지 늘리는 데 기여했으며, 대부분은 나파와 소노마 카운티에 있다.[4] 1986년, 나파 밸리의 카사 누에스트라 와이너리(Casa Nuestra Winery)는 미국에서 최초로 카베르네 프랑 프로그램을 시작하여 첫 빈티지로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와인 콩쿠르에서 더블 골드 메달과 베스트 오브 클래스 메달을 수상했다. 이 프로그램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더 최근에는 롱아일랜드, 뉴욕의 핑거 레이크스, 콜로라도의 그랜드 밸리 AVA, 일리노이 남부의 쇼니 힐스 AVA, 펜실베이니아, 오하이오의 모든 하위 지역, 미시간 서부 해안, 워싱턴 주, 버지니아 몬티첼로 와인 지역 및 로어노크 광역권 등 더 서늘한 지역의 재배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으며, 미주리와 록키 노브 AVA 지역의 버지니아주 남서부의 재배 면적을 늘리고 있다. 미시간 주립대학교는 미시간주 벤턴 하버에 있는 농업 연구 센터에서 카베르네 프랑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오대호 지역과 버지니아에서 카베르네 프랑은 다른 적포도 품종인 ''비티스 비니페라''보다 더 확실하게 익을 수 있으며, 대부분의 하이브리드 품종보다 더 좋은 품질의 와인을 생산하는 능력으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4]

워싱턴 주에서 카베르네 프랑은 1970년대에 워싱턴 주립대학교가 컬럼비아 밸리의 실험 구획에서 처음 재배되었다. 1985년에는 보르도 스타일 블렌드에 사용하기 위해 레드 윌로우 빈야드에 카베르네 프랑이 심어졌다. 워싱턴에서 최초의 단일 품종 카베르네 프랑은 1991년 컬럼비아 와이너리에서 출시되었고, 1992년에는 샤토 생 미셸에서 콜드 크릭 빈야드에서 재배한 포도로 와인을 출시했다. 1990년대에 치누크 와이너리는 주 최초의 카베르네 프랑 ''로제''를 선보였다. 현재 이 품종은 카베르네 소비뇽, 메를로, 시라에 이어 주에서 네 번째로 널리 재배되는 포도 품종이다. 워싱턴 카베르네 프랑은 블루베리와 라즈베리 과일의 풍미가 두드러지는 스타일이 특징이다. 워싱턴 와인에서는 특징적인 채소향이 약해지고, 대신 구운 커피와 올리브의 풍미가 더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6]

4. 7. 아르헨티나

아르헨티나에서 카베르네 프랑 포도 재배는 최근 몇 년 동안 최고 품질의 와인을 생산해 왔으며, 이 품종은 말벡 다음으로 이 나라에서 가장 잠재력이 있는 품종으로 여겨지고 있다.[7] ''Squeeze Magazine''은 이를 "멘도사 와인계의 새롭고 멋진 슈퍼히어로"라고 칭했다. 2014년, 로버트 파커(와인)의 ''와인 어드보케이트''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아르헨티나 와인은 카베르네 프랑으로 97점을 받았다.[8] 카베르네 프랑은 단독으로 병입될 수 있으며, 이 나라의 전형적인 말벡보다 가벼운 바디감의 와인을 만들 수 있다(2016년 팀 앳킨의 보고서에서 와인은 최대 95점을 받았다). 또는 블렌드의 주된 품종이나 적은 비율로 사용될 수 있다.[7]

4. 8. 기타 신세계 지역

신세계에서 카베르네 프랑은 주로 블렌딩 재료로 사용되며, 오스트레일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칠레 및 뉴질랜드에서 소량 발견된다.[4] 다른 많은 포도 품종과 마찬가지로, 카베르네 프랑은 1832년 제임스 버스비의 컬렉션을 통해 오스트레일리아에 들어왔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북동부 빅토리아, 맥라렌 베일, 애들레이드 힐스, 클레어 밸리와 같은 서늘하거나 서늘한 기후, 온난한 기후에서 주로 재배된다.[9]

워싱턴주에서 최초의 품종 카베르네 프랑은 야키마 계곡의 레드 윌로우 빈야드에서 재배된 포도로 컬럼비아 와이너리에서 생산되었다.


뉴질랜드에서는 많은 와인 생산자들이 자국의 서늘한 ''떼루아''가 자국산 카베르네 소비뇽에서 카베르네 프랑과 유사한 풍미를 내는 데 기여한다고 생각하며, 2006년 기준 약 519acre가 재배되는 등 진정한 카베르네 프랑의 재배는 제한적이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카베르네 프랑은 이 나라의 일부 ''부티크'' 와이너리에서 선호하는 품종이 되었으며, 2000년대 중반까지 재배 면적이 약 2470acre로 서서히 증가했다. 칠레에서는 21세기 초에 약 2910acre가 재배되었다.[10]

4. 9. 일본

카베르네 소비뇽에 비해 고온 다습한 환경에 강하기 때문에, 일본에서는 야마나시현을 중심으로 이 품종을 도입하고 있는 와이너리가 몇 군데 있다.

5. 와인의 특징

카베르네 프랑으로 만든 루아르 밸리의 시농 와인


카베르네 프랑은 카베르네 소비뇽과 많은 페놀 및 아로마 화합물을 공유하지만 몇 가지 뚜렷한 차이점이 있다. 카베르네 프랑은 더 옅은 색상을 띠는 경향이 있으며, 카베르네 소비뇽과 동일한 강도와 풍부함을 가진 와인을 생산한다. 카베르네 프랑은 라즈베리, 검은 건포도, 제비꽃, 흑연의 향이 나는 뚜렷한 향을 풍긴다. 이 와인은 에서 피망까지 다양한 녹색, 식물성 향이 특징이다. 카베르네 소비뇽보다 약간 적은 타닌을 함유하고 있으며 더 부드러운 입안 느낌의 와인을 생산하는 경향이 있다. 신세계 카베르네 프랑의 예는 과일을 더 강조하는 경향이 있으며 녹색 잎의 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수확을 늦출 수 있다.[5]

보르도 지방에서는 카베르네 소비뇽 품종에 비해 배수가 잘 안 되는 곳에서도 잘 자라기 때문에, 도르도뉴 강 우안의 생테밀리옹이나 퐁사크 지구 등에서 비교적 많이 재배된다. 지롱드 강 좌안의 메독 등에서는 단지 몇 퍼센트만 생산되고 있다.

프랑스 국내에서 가장 재배 면적이 많은 곳은 루아르 지방이며, AOC 와인 중에서는 저렴한 것 중 하나이다. 기분 좋은 달콤한 맛과 연어 핑크색의 아름다움을 가진 앙주 로제나 카베르네 당주도 이 품종을 중심으로 만들어진다.

프랑스 외에는 미국캘리포니아주오스트레일리아에서도 소량 재배되고 있다. 카베르네 소비뇽에 비해 고온 다습에 강하기 때문에, 일본에서는 야마나시현을 중심으로 이 품종을 도입하고 있는 와이너리가 몇 군데 있다.

5. 1. 향과 맛

카베르네 프랑은 카베르네 소비뇽과 많은 페놀 및 아로마 화합물을 공유하지만 몇 가지 눈에 띄는 차이점이 있다. 카베르네 프랑은 더 옅은 색상을 띠는 경향이 있으며 동일한 강도와 풍부함을 가진 와인을 생산한다. 카베르네 프랑은 라즈베리, 검은 건포도, 제비꽃흑연의 향이 나는 뚜렷한 향을 풍기는 경향이 있다. 이 와인은 에서 피망까지 다양한 녹색, 식물성 향이 특징이다.[5] 카베르네 소비뇽보다 약간 적은 타닌을 함유하고 있으며 더 부드러운 입안 느낌의 와인을 생산하는 경향이 있다. 신세계 카베르네 프랑의 예는 과일을 더 강조하는 경향이 있으며 녹색 잎의 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수확을 늦출 수 있다.[5]

루아르 지방의 시농, 소뮈르, 부르게이유 등에서 생산되는 적포도주는 이 품종을 주체로 만들어진다. 카베르네 소비뇽 품종과 매우 흡사한 블루베리와 같은 향과 적당한 떫은 맛, 풍부한 산미를 가지고 있지만, 카베르네 소비뇽 품종에 비하면 순한 느낌의 와인이 많다.

5. 2. 스타일



카베르네 프랑은 카베르네 소비뇽과 많은 페놀 및 아로마 화합물을 공유하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카베르네 프랑은 더 옅은 색상을 띠며, 라즈베리, 검은 건포도, 제비꽃, 흑연 향이 나는 뚜렷한 향을 가진다. 이 와인은 에서 피망까지 다양한 녹색, 식물성 향이 특징이며, 카베르네 소비뇽보다 타닌이 약간 적어 더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 신세계 카베르네 프랑은 과일 향을 강조하고 녹색 잎 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수확을 늦추기도 한다.[5]

보르도에서는 카베르네 소비뇽에 비해 배수가 잘 안 되는 곳에서도 잘 자라기 때문에, 도르도뉴 강 우안의 생테밀리옹이나 퐁사크 지구 등에서 비교적 많이 재배된다. 지롱드 강 좌안의 메독 등에서는 생산량이 적다.

프랑스 내에서는 루아르 지방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며, 시농, 소뮈르, 부르게이유 등의 적포도주가 이 품종을 주로 사용한다. 카베르네 소비뇽과 비슷한 블루베리 향, 적당한 떫은 맛, 풍부한 산미를 가지지만, 더 순한 느낌의 와인이 많다. AOC 와인 중에서는 저렴한 편에 속한다. 앙주 로제나 카베르네 당주도 이 품종을 중심으로 만들어지며, 달콤한 맛과 연어 핑크색을 띤다.

프랑스 외에는 미국 캘리포니아주오스트레일리아에서 소량 재배된다.

일본에서는 카베르네 소비뇽에 비해 고온 다습에 강해 야마나시현을 중심으로 재배하는 와이너리가 있다.

6. 동의어

카베르네 프랑(Cabernet Franc)의 동의어는 다음과 같다.[11]


  • 그리스: 차푸르나코(Tsapournako)
  • 스페인 아라곤: 베르데힐라 틴토(Verdejilla Tinto)
  • 바스크 지방: 아체리아(Achéria, 주로 이루레기)
  • 베아른: 아르두네(Ardounet), 부시(Bouchy), 트루셰(Trouchet)
  • 그라브: 비듀르(Bidure), 그로스 비듀르(Grosse Vidure)
  • 스위스: 보르도(Bordeaux)
  • 루마니아: 보르도(Bordo)
  • 피레네-아틀랑티크: 부베(Boubet)
  • 생테밀리옹 및 포므롤: 부셰 프랑(Bouchet Franc) 또는 그로 부셰(Gros Bouchet), 카브루네(Cabrunet)
  • 마디랑: 부시(Bouchy)
  • 루아르 계곡: 브르통(Breton)
  • 카베르네 그리(Cabernet Gris)
  • 랑드: 카프브르통 루즈(Capbreton Rouge)
  • 메독: 카르메네(Carmenet)
  • 쿠아오르(Couahort)
  • 앙드르에루아르의 시농: 플랑 브르통(Plant Breton) 또는 플랑 드 라베 브르통(Plant de l’Abbé Breton)
  • 튀르상: 사블 루즈(Sable Rouge)
  • 니에브르 및 드 뇌세브르: 베롱(Véron)
  • 비듀르(Vidure), 브이듀르(Vuidure)[11]
  • 아세리아(Aceria)
  • 아로우야(Arrouya)
  • 부르데아스 틴토(Bourdeas Tinto)
  • 카베르네(Cabernet)
  • 카베르네 오니스(Cabernet Aunis)
  • 카베르네 프랑코(Cabernet Franco)
  • 페르 세르반두(Fer Servandou)
  • 감푸트(Gamput)
  • 하틀링(Hartling)
  • 카베르네 프랑(Kabernet Franc)
  • 메상주 루즈(Messanges Rouge)
  • 모레노아(Morenoa)
  • 누아르 듀르(Noir Dur)
  • 프티 페르(Petit Fer)
  • 프티 비오듀르(Petit Viaudure)
  • 프티트 비듀르(Petite Vidure)
  • 프티트 비뉴듀르(Petite Vignudure)
  • 베롱 부시(Véron Bouchy)
  • 베로네(Véronnais)[12]


카베르네 프랑으로 흔히 오인되는 품종은 다음과 같다.[11]

  • 아르도네(베아른, 더 이상 재배되지 않음)
  • 아로우야(피레네)
  • 베키뇰 누아(비엔주의 디세)
  • 카베르네 소비뇽
  • 카르메네르
  • 그로 카베르네(메독, 더 이상 재배되지 않음)
  • 혼다르비 벨차(스페인 바스크 지방)

참조

[1] 웹사이트 Discovery Channel: "DNA analysis reveals mysterious past of Cabernet Sauvignon" https://web.archive.[...] 2006-11-05
[2] 웹사이트 Cabernet Franc https://web.archive.[...] 2007-03-23
[3] 서적 Wine Grapes: A complete guide to 1,368 vine varieties, including their origins and flavours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Limited 2013-09-26
[4]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W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5] 서적 Encyclopedia of Grapes Harcourt Books 2001
[6] 서적 Washington Wines and Wineries: The Essential Guid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7
[7] 간행물 Argentina 2016 Special Report 2016
[8] 웹사이트 Discovering the dark horse of Argentine wine https://thesqueezema[...]
[9] 웹사이트 Grapes and Wines of the World https://web.archive.[...] The State Library of South Australia, GPO Box 419, Adelaide SA 5001 2007-05-05
[10] 웹사이트 Hectares planted http://www.winesofch[...]
[11] 서적 Wine Grapes - A complete guide to 1,368 vine varieties, including their origins and flavours Allen Lane
[12] 웹사이트 Vitis International Variety Catalogue https://web.archive.[...] Information and Coordination Centre for Biological Diversity (IBV) of the Federal Agency for Agriculture and Food (BLE), Deichmanns Aue 29, 53179 Bonn, Germany 1999-06
[13] 웹인용 디스커버리 채널 : "DNA 분석은 Cabernet Sauvignon의 신비한 과거를 밝힙니다" https://web.archive.[...] 2019-04-01
[14] 웹인용 Cabernet Franc https://web.archive.[...] 2019-04-01
[15] 웹인용 Wine Grapes: A complete guide to 1,368 vine varieties, including their origins and flavours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Limited 2013-09-26
[16]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W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17] 웹인용 Cabernet Franc https://web.archive.[...] 2019-04-01
[18] 서적 Encyclopedia of Grapes Harcourt Books 2001
[19] 서적 Encyclopedia of Grapes Harcourt Books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