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9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칼 9세는 구스타브 1세 바사의 셋째 아들로, 이복형 에리크 14세에 대항하는 반란에 참여하여 요한 3세를 왕위에 올리는 데 기여했다. 그는 루터교를 옹호하며 가톨릭과의 화해를 반대했고, 섭정으로 스웨덴을 통치하며 1599년 왕위에 올랐다. 칼 9세는 폴란드와의 전쟁, 러시아와의 영토 분쟁 등 끊임없는 전쟁을 치렀으며, 루터교를 국교로 정하고 바사 왕조의 통치권을 확립했다. 그는 스웨덴의 독립을 굳건히 하고 루터교 신앙을 수호한 왕으로 평가받으며, 구스타브 2세 아돌프가 프로테스탄트 제국을 건설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웨덴의 섭정 - 마르그레테 1세
마르그레테 1세는 14세기 말 칼마르 동맹을 성립시켜 스칸디나비아 3국을 통합한 덴마크 여왕이자 노르웨이와 스웨덴의 섭정으로, 아들 올라프 2세 사후 에리크를 후계자로 삼아 3국의 왕으로 옹립하여 동맹을 통치하며 북유럽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스웨덴의 섭정 - 스텐 스투레 덴 윙레
스텐 스투레 덴 윙레는 15세기 말에서 16세기 초 스웨덴의 섭정으로, 덴마크로부터 스웨덴의 독립을 유지하려 했으나 웁살라 대주교와의 갈등과 크리스티안 2세의 침공으로 사망했고, 이후 스톡홀름 피바다 사건이 발생했으며, 그의 후손 중에는 스웨덴의 칼 16세 구스타프 국왕이 있다. - 바사가 - 칼 샌드버그
칼 샌드버그는 다양한 직업을 거치며 사회주의 운동에 참여한 미국의 시인, 작가, 언론인이자 민속 음악가로, 시카고를 배경으로 한 시, 퓰리처상을 수상한 『옥수수 껍질』, 에이브러햄 링컨 전기, 그리고 미국 민속 음악을 소개한 『미국의 노래자루』 등을 통해 미국 문학과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바사가 - 구스타브 1세 바사
구스타브 1세 바사는 스웨덴을 칼마르 동맹으로부터 독립시키고 바사 왕조를 창시한 국왕으로, 반란을 통해 덴마크의 지배를 종식시키고 루터파 교리 인정 및 강력한 중앙집권 통치를 시행하여 스웨덴의 독립과 발전에 기여했으나 잔혹한 면모도 보였다. - 1550년 출생 - 헨리 허드슨
헨리 허드슨은 잉글랜드 탐험가이자 항해사로, 북동항로와 북서항로 개척을 시도하며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를 위해 항해하던 중 허드슨 강을 발견하여 네덜란드 북미 식민지 건설에 기여했으나, 선원 반란으로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 1550년 출생 - 월터 롤리
월터 롤리 경은 16세기 잉글랜드의 탐험가, 군인, 정치가, 작가로, 엘리자베스 1세 치세에 활약하며 신대륙 탐험과 식민지 개척에 기여했으나, 말년에 반역죄로 처형되었다.
칼 9세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칼 9세 |
스웨덴어 이름 | Karl IX |
전체 이름 | 칼 바사 (Karl Vasa) |
통치 | |
작위 | 스웨덴 국왕, 핀란드 대공 |
재위 | 1604년 3월 22일 – 1611년 10월 30일 |
대관식 | 1607년 3월 15일 |
선임자 | 지그문트 |
후임자 | 구스타브 2세 아돌프 |
섭정 | 1599년 7월 24일 - 1604년 3월 22일 |
공작 | 쇠데르만란드 공작 (1560년-1604년) |
생애 | |
출생일 | 1550년 10월 4일 |
출생지 | 스톡홀름성, 스톡홀름, 스웨덴 |
사망일 | 1611년 10월 30일 |
사망지 | 뉘셰핑 성, 뉘셰핑, 스웨덴 |
매장일 | 1612년 4월 21일 |
매장지 | 스트렝네스 대성당, 스웨덴 |
가문 | |
왕가 | 바사 |
아버지 | 구스타프 1세 |
어머니 | 마르가레타 레이욘후부드 |
종교 | 루터교 |
배우자 | |
배우자 | 마리아 (1579년 결혼, 1589년 사망) 크리스티나 (1592년 결혼) |
자녀 | |
자녀 | 마르가레타 공주 엘리자베트 공주 루이 왕자 카타리나 (클레부르크 백작 부인) 구스타프 왕자 마리아 공주 크리스티나 공주 구스타브 2세 아돌프 마리아 엘리자베트 공주 (외스테르예틀란드 공작 부인) 칼 필립 왕자 (쇠데르만란드 공작) 칼 길렌힐름 (사생아) |
2. 생애
구스타브 1세 바사의 셋째 아들로 1568년 이복형 에리크 14세에 대항하는 반란의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 이 반란으로 그의 다른 형이 요한 3세로 즉위했다. 칼은 형 요한 3세와 공작 권위를 두고 갈등했으며, 스웨덴에서 루터교와 가톨릭을 화해시키려는 국왕의 노력에 저항했다. 그는 국왕의 새로운 기도식문을 거절하고, 자신의 공작령에서 박해받던 루터교도들에게 보호시설을 승인하였다.
1587년 칼은 에리크와 재결합했는데, 요한 3세의 아들 시기스문드(후에 폴란드의 지그문트 3세 바사)를 폴란드 왕좌 후보로 올린 귀족들의 국가의회에 반대하였다.
1591년 가톨릭 신자인 시기스문드가 스웨덴 왕위에 오른 후, 칼은 루터교를 국교로 확정할 것을 요구하는 웁살라 종교회의를 소집했다. 왕실의 결석자들에 의한 폐지법에 위협을 느낀 귀족들을 이용하여, 시기스문드에게 웁살라 종교회의를 받아들이도록 하였고 귀족의회와 함께 섭정으로 인정받았다. 국왕이 이 동의를 철회하자, 칼은 하급 계급들의 후원을 얻어 귀족들과 국왕군에 대항하는 내란을 일으켰다. 1598년 스통게브로 전투에서 패한 시기스문드는 이듬해 왕좌에서 물러났고 칼이 사실상 통치자가 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공작 시절
구스타브 1세 바사의 셋째 아들로 1568년 이복형 에리크 14세에 대항하는 반란에서 실질적인 지도자 역할을 수행했다.[1] 그러나 폐위된 후 그의 형인 요한 3세가 불행한 왕에 대해 꾸민 음모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칼과 요한의 관계는 항상 다소 불편했다. 그는 1574년 요한 3세를 폐위하려는 모르네 음모에 연루된 것으로 의심받았으며,[1] 1576년 음모의 음모자들이 제안한 대체 섭정 중 한 명이었다.칼은 요한 3세의 가톨릭 정책에 반대하며, 스웨덴 내 루터교 세력을 보호하고 지원했다. 그는 국왕의 새로운 기도식문을 거절하고, 그의 공작 권위에서 박해당한 루터교도들에게 보호시설을 승인하였다. 귀족들과 대다수의 삼부회는 요한을 지지했다. 그러나 요한은 왕국을 통일하려고 노력했고, 결과적으로 칼은 (1587년) 그의 공국 내 자치권에 대한 주장을 포기해야 했다. 그러나 그는 확고한 루터교도였기 때문에 종교 문제에 있어서는 흔들리지 않았다.
1587년 칼과 에리크는 재결합하였는데, 요한 3세의 아들 시기스문드(후에 폴란드의 지그문트 3세 바사)를 폴란드의 왕좌 후보로 오르게 한 귀족들의 국가의회를 반대하였다. 1592년 요한 3세가 사망하면서 문제는 위기에 처했다. 왕위 계승자는 요한의 장남인 지그문트 3세 바사였는데, 그는 이미 폴란드의 국왕이었고 헌신적인 가톨릭교도였다. 지기스문트가 스웨덴을 재가톨릭화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은 스웨덴, 특히 평민과 하급 귀족들의 프로테스탄트 다수를 불안하게 만들었고, 칼은 그들의 옹호자이자 외세의 간섭으로부터 바사 왕조를 수호하는 자로 나섰다.

2. 2. 섭정 시절
1592년 요한 3세가 사망하자, 그의 아들이자 폴란드 국왕인 시기스문드가 스웨덴 왕위를 계승했다. 그러나 시기스문드는 가톨릭교도였고 폴란드를 중심으로 통치했기 때문에, 그의 숙부인 칼이 스웨덴의 섭정이 되었다. 하지만 스웨덴에서는 가톨릭으로 개종한 시기스문드에 대한 반감이 강해지면서, 칼이 반가톨릭 세력의 지도자로 추대되었다. 칼은 1593년 웁살라 종교회의를 소집하여 스웨덴 국교를 루터교로 확정하고, 시기스문드에게 이를 승인하도록 압박했다.[1]칼은 스웨덴 국왕 대리로서 사실상 스웨덴을 통치하게 되었고, 가톨릭교회와의 단절을 선언했다. 1595년 쇠데르쾨핑 삼부회는 칼을 섭정으로 선출했다.[3] 시기스문드는 일단 이를 인정했지만, 두 사람의 대립은 불가피하게 되었고, 1598년 시기스문드는 스웨덴에 상륙하여 칼의 통치권을 박탈하려 했다.
이에 칼은 반란군을 조직했고, 스톡홀름 남쪽 링셰핑에서 두 사람은 스통게브로 전투를 벌였다. 이 전투에서 칼은 시기스문드를 패퇴시켜 스웨덴에서 추방하고 스웨덴 왕위를 박탈했다. 이듬해 1599년, 칼은 스웨덴의 섭정으로 임명되었지만, 사실상 스웨덴의 군주가 되었다.[3]

대외적으로는, 1590년부터 시작된 러시아-스웨덴 전쟁에서 패배하여, 1595년 리보니아 전쟁에서 얻었던 에스토니아를 제외한 영토를 러시아에 반환해야 했다. 이러한 일들은 폴란드와 스웨덴의 분열 사이 틈을 러시아가 파고든 결과였고, 칼은 후에 국왕이 된 후 다시 발트 지역과 러시아 방면으로 세력 확장을 시도하게 된다.
2. 3. 국왕 즉위와 통치
1600년 링셰핑 학살(린셰핑의 피의 목욕)을 통해 시기스문트를 지지하는 가톨릭 세력을 숙청했다.[3] 1604년 정식으로 스웨덴 국왕으로 즉위했다. 즉위 후, 폴란드, 러시아, 덴마크와 연이은 전쟁을 치렀다. 1605년 리보니아 침공에서 폴란드에게 참패하기도 했다.우수한 행정가였던 칼 9세는 철강 산업을 육성하고, 외국 기술자들을 초빙하는 등 국가 경제 발전에 힘썼다.
1611년 10월 30일 뉘셰핑에서 사망했다.[8]
3. 유산과 평가
카를 9세는 스웨덴의 독립을 확고히 하고 루터교 신앙을 수호한 왕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1600년 린셰핑 대학살을 통해 가톨릭 세력을 숙청하고 루터교를 국교로 확립했다.[8] 또한 바사 왕조의 스웨덴 통치권을 확립하는데 기여했다.
그의 짧은 통치 기간은 전쟁으로 점철되었지만, 그의 외교 정책과 비교하여 국내 정책은 비교적 중요하지 않았으며 섭정 기간 동안 이미 이루어진 일들을 확인하고 보완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는 1604년 3월 22일까지 공식적으로 왕이 되지 않았으며, 1607년 3월 15일까지 대관식을 치르지 않았다.[8]
그는 군사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지만, 내정에 힘써 스웨덴의 국력을 강화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비록 폴란드와의 전투에서는 참패를 겪기도 했지만(1605년, 리보니아 침공), 그의 노력은 아들 구스타브 2세 아돌프 시대에 스웨덴이 강대국으로 발돋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8]
카를 9세는 홀슈타인=고트르프 공작의 딸 크리스티나와 결혼하여 4명의 자녀를 두었는데, 그중 한 명이 훗날 스웨덴 국왕 구스타브 2세 아돌프이다. 그는 아들 구스타프 아돌프에게 큰 기대를 걸고 군주 교육을 시켜 10세에 국정에 참여하게 했다.[8]
카를 9세는 1611년 10월 30일 뉘셰핑에서 사망했으며, 그의 뒤를 이어 17세의 아들 구스타프 2세 아돌프가 왕위를 계승했다.[8]
4. 가족 관계
Karin Nilsdotter|카린 닐스도테르sv와의 사이에서 낳은 자녀는 다음과 같다.
- 칼 카를손 귈렌힐름(1574~1650)
첫 번째 부인인 팔츠의 마리아와의 사이에서 낳은 자녀는 다음과 같다.
이름 | 출생 | 사망 |
---|---|---|
마르가레타 엘리자베트 | 1580년 | 1585년 |
엘리자베트 사비나 | 1582년 | 1585년 |
루이 | 1583년 | 1583년 |
카타리나 | 1584년 | 1638년 |
구스타프 | 1587년 | 1587년 |
마리아 | 1588년 | 1589년 |
두 번째 부인인 홀슈타인-고토르프의 크리스티나와의 사이에서 낳은 자녀는 다음과 같다.
이름 | 출생 | 사망 |
---|---|---|
크리스티나 | 1593년 | 1594년 |
구스타프 2세 아돌프 | 1594년 | 1632년 |
마리아 엘리자베트 | 1596년 | 1618년 |
카를 필립 | 1601년 | 1622년 |
5. 칼 9세 시대의 주요 사건
곤봉 전쟁 (1596-1597)은 핀란드 농민들이 일으킨 반란이었다.[2] 칼은 이 반란을 진압했다. 칼은 지기스문트와의 왕위 다툼에서 스탕게브로 전투에서 승리하고 그를 포로로 잡았다. 이후 칼은 자신과 스웨덴 삼부회가 반역자로 지목한 스웨덴 귀족들을 링셰핑 학살에서 처형했다.[3]
칼 9세의 짧은 통치 기간은 계속되는 전쟁으로 특징지어진다. 폴란드와의 갈등과 러시아의 혼란은 그를 리보니아와 잉그리아 영유권을 둘러싼 해외 분쟁, 즉 폴란드-스웨덴 전쟁과 잉그리아 전쟁에 휘말리게 했다. 또한 라플란드에 대한 그의 영유권 주장으로 인해 그의 통치 마지막 해에 덴마크-노르웨이와의 칼마르 전쟁이 발발했다.[3]
참조
[1]
서적
Vasadöttrarna (2)
Historiska Media
2010
[2]
웹사이트
Från vår konstverld: Taflor och skulpturer af svenska och finska konstärer i vår tid.
https://runeberg.org[...]
Albert Bonniers förlag
1881
[3]
웹사이트
Explore Linköping's historic quarters
https://visitlinkopi[...]
2020-06-10
[4]
뉴스
Swedish crown jewels: Speedboat thieves steal priceless treasures
https://www.bbc.com/[...]
2018-08-01
[5]
뉴스
Sweden's stolen crown jewels have 'likely' been found, police say
https://www.nbcnews.[...]
2019-02-05
[6]
뉴스
Police confirm: Sweden's stolen crown jewels have been found
https://www.thelocal[...]
2019-02-11
[7]
뉴스
Swede jailed for stealing crown jewels in broad daylight
https://www.bbc.com/[...]
2019-02-22
[8]
서적
Gustavus Adolphus: a history of the art of war from its revival after the Middle Ages to the end of the Spanish Succession War, with a detailed account of the campaigns of the great Swede, and of the most famous campaigns of Turenne, Condé, Eugene and Marlborough
Greenhill Books
189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