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케르소네소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케르소네소스는 크림반도 남서부에 위치한 고대 그리스 식민 도시로, 기원전 5세기에 건설되었다. 보스포루스 왕국, 로마 제국, 동로마 제국 등의 지배를 거쳐 번성했으며, 특히 동로마 제국 시대에는 중요한 상업 도시이자 유배지 역할을 했다. 9세기에 테마로 설치되어 자치 제도가 축소되었으나, 12세기 말부터 13세기 초에 지배력을 상실했다. 19세기에는 성 블라디미르 대성당이 건설되었고, 현재는 고고학 유적지로 보호받고 있다. 2013년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등재되었으나, 개발 압력과 관리 부실로 인해 훼손될 위험에 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 시대의 우크라이나 - 보스포로스 왕국
    보스포로스 왕국은 기원전 7세기부터 흑해 북부에서 그리스 식민 도시들을 기반으로 시작되어 곡물, 모피, 노예 등을 교역하며 번영하다가 3세기 이후 쇠퇴하여 4세기 중반에 멸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케르소네소스
지리 정보
케르소네소스 유적
성 블라디미르 대성당은 케르소네소스의 광범위한 발굴지를 내려다보고 있다.
기본 정보
이름케르소네소스
원어 이름

"러시아어 및 우크라이나어: Херсоне́с, Khersones"
다른 이름케르소네스
헤르손
코르순
위치가가린스키 구, 세바스토폴
지역타우리카
종류정착지
일부국립 보호 구역 "타우리크 케르소네소스"
면적약 30 헥타르
건설헤라클레아 폰티카 출신 정착민
건설 시기기원전 6세기
폐허 시기서기 1400년경
시대고대 그리스 ~ 중세 후기
문화그리스인
고대 로마
훈족
비잔티움 제국
발굴1827년
관리타우리크 케르소네소스 국립 보호구역
웹사이트케르소네소스 공식 웹사이트
유네스코 세계 유산
공식 명칭타우리크 케르소네소스 고대 도시
부분타우리크 케르소네소스 고대 도시와 그 코라
기준(ii), (v)
ID1411
등재 연도2013년
면적42.8 헥타르
완충 구역207.2 헥타르
웹사이트케르소네소스-세바스토폴
역사
건설기원전 6세기
멸망1399년
멸망 원인킵차크 칸국의 침략

2. 역사

케르소네소스는 고대 그리스의 식민 도시로 건설되어 보스포루스 왕국 등의 지배를 거쳐 동로마 제국령이 되었다.

고대 그리스로마의 도시가 쇠퇴・황폐해지고, 도시 시민에 의한 자치도 붕괴되어 가는 가운데, 케르소네소스는 북방에서 매입한 물품(모피, )을 동로마의 수도 콘스탄티노폴리스에 판매하는 상업 도시로서 번성하여, 9세기 전반까지 다른 동로마 제국의 도시보다 고도의 자치를 누렸다. 한편, 원격지라는 이유로 유배지이기도 하여, 로마 교황마르티노 1세나 유스티니아노스 2세 등이 유배되었다.[4]

9세기의 동로마 황제 테오필로스 시대에 테마 (군관구) 케르손이 설치되어,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파견되는 테마 장관 (스트라테고스)의 지배를 받게 되면서 고대 이래의 자치 제도는 축소되었지만, 하자르키예프 루스 등과의 교역 거점으로서의 기능은 계속 유지되었다.

동로마 제국은 12세기의 콤네노스 왕조 시대까지 케르소네소스를 유지했지만, 12세기 말부터 13세기 초 동로마 제국의 쇠퇴와 제4차 십자군에 의한 제국의 일시 멸망 시기에 그 지배는 상실되었다.

2. 1. 고대 그리스 식민 도시

크림반도 케르소네소스에서 나온 그리스 동전, 기원전 2세기, 왕의 왕관을 쓴 디오티무스가 묘사되어 있고, 엑세르그에는 ΧΕΡ ΔΙΟΤΙΜΟΥ 케르소네소스가 새겨져 있다.


빅토르 바스네초프: ''성 블라디미르 대공의 코르순 세례''.


기원전 5세기에 헤라클레아 폰티카에서 온 도리아인들이 현대 세바스토폴 외곽의 크림반도 남서부에 있는 해안 도시 케르소네소스를 건설했다. 이곳은 타우리족의 영토 가장자리에 위치한 수심이 깊은 양호한 항구가 있는 곳이었다. 고전 시대 대부분의 기간 동안 케르소네소스는 선출된 집정관들과 데미우르기라고 불리는 평의회에 의해 통치되는 민주주의 국가였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부는 과두제로 변모하여 권력이 집정관들의 손에 집중되었다. 기원전 4세기 중반까지 케르소네소스는 작은 도시로 남아 있었다. 이후 크림반도 북서부 지역으로 확장하여 케르키니티다 식민지를 병합하고 수많은 요새를 건설했다.

보스포루스 왕국과 토착민인 스키타이족, 타우리족에 대항하여 스스로를 방어하고 반도 서부 해안까지 세력을 확장한 후, 기원전 110년경 미트리다테스 6세 에우파토르와 그의 장군 디오판토스의 도움을 요청했고, 보스포루스 왕국에 복속되었다. 기원전 1세기 중반부터 서기 370년대까지 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수비대를 지원받았지만,[4] 이후 훈족에게 점령당했다.

2. 2. 보스포루스 왕국과 로마 제국 시기



기원전 5세기에 소아시아 흑해 연안의 헤라클레아 폰티카에서 온 도리아인들이 현대 세바스토폴 외곽의 크림반도 남서부에 있는 해안 도시 케르소네소스를 건설했다. 이곳은 토착민인 타우리족의 영토 가장자리에 위치한 수심이 깊은 양호한 항구가 있는 곳이었다. 고전 시대 대부분의 기간 동안 케르소네소스는 선출된 집정관들과 데미우르기라고 불리는 평의회에 의해 통치되는 민주주의 국가였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부는 과두제로 변모하여 권력이 집정관들의 손에 집중되었다. 기원전 4세기 중반까지 케르소네소스는 작은 도시로 남아 있었다. 이후 크림반도 북서부 지역으로 확장하여 케르키니티다 식민지를 병합하고 수많은 요새를 건설했다.

보스포루스 왕국은 토착민인 스키타이족과 타우리족에 대항하여 스스로를 방어하고 반도 서부 해안까지 세력을 확장한 후, 기원전 110년경 미트리다테스 6세 에우파토르와 그의 장군 디오판토스의 도움을 요청했고, 보스포루스 왕국에 복속되었다. 기원전 1세기 중반부터 서기 370년대까지 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수비대를 지원받았지만,[4] 이후 훈족에게 점령당했다.

2. 3. 비잔틴 제국 시기

비잔틴 제국 시대 초기에 비잔틴 제국의 소유가 되었고, 581년에는 돌궐의 포위를 견뎌냈다. 비잔틴의 지배는 미미했는데, 도시를 통제하기보다는 보호하기 위한 작은 황실 수비대가 있었고, 어느 정도 자치가 이루어졌다.[4] 비잔틴에게 케르소네소스는 야만족 부족을 감시하는 관측 지점이었고, 고립된 위치는 로마와 후기 비잔틴 정부를 화나게 한 사람들의 유배지로 인기가 있었다는 두 가지 면에서 유용했다. 유명한 "수감자"로는 교황 클레멘스 1세, 교황 마르티노 1세, 폐위된 비잔틴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2세가 있었다.[4]

테오파네스 연대기를 비롯한 여러 기록에 따르면, 케르소네소스는 7세기 말에 하자르 총독(투둔)의 거주지였다. 대략 705년에서 840년 사이에 도시의 행정은 "도시의 아버지"를 의미하는 '바바구크'라고 불리는 선출된 관리들에 의해 관리되었다.[5]

833년, 황제 테오필로스는 최근 사르켈의 하자르 요새 건설을 감독했던 귀족 페트로나스 카마테로스를 보내 도시와 주변 지역을 직접 통제하게 하고, 크리마타/케르손 테마를 설립했다. 이 도시는 980년대까지 비잔틴의 손에 있었는데, 이때 키예프 루스블라디미르 대공에게 함락되었다고 한다. 블라디미르는 바실 2세의 여동생 안나 포르피로게니타를 결혼 상대로 받으면 요새를 철수하겠다고 동의했다. 이 요구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스캔들을 일으켰다. 결혼 조건으로 블라디미르는 988년 이곳에서 세례를 받았고, 이는 키예프 루스의 세례의 길을 열었다. 그 후 코르순은 철수했다.

이 원정은 그리스 자료에 기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역사가들은 이 기록이 실제로는 루스-비잔틴 전쟁 (1043년)의 사건과 다른 노브고로드의 블라디미르를 언급하는 것이라고 추측했다. 실제로, 슬라브족이 코르순에서 약탈한 대부분의 귀중품은 노브고로드로 옮겨졌고(아마도 노브고로드 최초의 주교인 코르순의 요아킴을 거쳐 갔을 것이다. 그의 성은 코르순과의 연관성을 나타낸다), 그곳에서 20세기까지 성 소피아 대성당에 보존되었다. 이 "코르순 보물"에서 가장 흥미로운 유물 중 하나는 코르순에서 노브고로드인들이 획득한 것으로 추정되는 구리 코르순 문으로, 현재 성 소피아 대성당의 일부이다.

제4차 십자군(1202–04) 이후, 케르소네소스는 비잔틴 트라페준테 제국에 종속되어 테오도로 공국이 되었다. 트라페준테 공방전 (1461년) 이후 테오도로 공국은 독립했다. 이 도시는 13세기 초에 제노바 공화국의 지배하에 놓였고, 이는 그리스인들이 그곳에서 무역하는 것을 금지했다.[4] 1299년, 이 도시는 노가이 칸의 골든 호드의 몽골 군대에 의해 약탈당했다. 비잔틴 자료는 1396년에 케르소네소스를 마지막으로 언급했으며, 고고학적 증거를 바탕으로 이후 수십 년 동안 이 지역이 버려진 것으로 추정된다.

9세기의 동로마 황제 테오필로스 시대에 테마 (군관구) 케르손이 설치되어,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파견되는 테마 장관 (스트라테고스)의 지배를 받게 되었기 때문에 고대 이래의 자치 제도는 축소되었지만, 계속해서 하자르키예프 루스 등과의 교역 거점이었다.

동로마 제국은 12세기의 콤네노스 왕조 시대까지 케르손을 유지했지만, 12세기 말부터 13세기 초의 동로마 제국의 쇠퇴와 제4차 십자군에 의한 제국의 일시 멸망 시기에 그 지배는 상실되었다.

2. 4. 오스만 제국과 러시아 제국 시기

테오파네스 연대기를 비롯한 여러 기록에 따르면, 케르소네소스는 7세기 말에 하자르 총독(tudun)의 거주지였다. 대략 705년에서 840년 사이에 도시의 행정은 "도시의 아버지"를 의미하는 '바바구크'라고 불리는 선출된 관리들에 의해 관리되었다.[5]

833년, 황제 테오필로스는 사르켈의 하자르 요새 건설을 감독했던 귀족 페트로나스 카마테로스를 보내 도시와 주변 지역을 직접 통제하게 하고, 크리마타/케르손 테마를 설립했다. 이 도시는 980년대까지 비잔틴의 손에 있었는데, 이때 키예프 루스블라디미르 대공에게 함락되었다고 한다. 블라디미르는 바실 2세의 여동생 안나 포르피로게니타를 결혼 상대로 받으면 요새를 철수하겠다고 동의했다. 이 요구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스캔들을 일으켰다. 결혼 조건으로 블라디미르는 988년 이곳에서 세례를 받았고, 이는 키예프 루스의 세례의 길을 열었다. 그 후 코르순은 철수했다.

이 원정은 그리스 자료에 기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역사가들은 이 기록이 실제로는 루스-비잔틴 전쟁 (1043년)의 사건과 다른 노브고로드의 블라디미르를 언급하는 것이라고 추측했다. 실제로, 슬라브족이 코르순에서 약탈한 대부분의 귀중품은 노브고로드로 옮겨졌고(아마도 노브고로드 최초의 주교인 코르순의 요아킴을 거쳐 갔을 것이다. 그의 성은 코르순과의 연관성을 나타낸다), 그곳에서 20세기까지 성 소피아 대성당에 보존되었다. 이 "코르순 보물"에서 가장 흥미로운 유물 중 하나는 코르순에서 노브고로드인들이 획득한 것으로 추정되는 구리 코르순 문으로, 현재 성 소피아 대성당의 일부이다.

제4차 십자군(1202–04) 이후, 케르소네소스는 비잔틴 트라페준테 제국에 종속되어 테오도로 공국이 되었다. 트라페준테 공방전 (1461년) 이후 테오도로 공국은 독립했다. 이 도시는 13세기 초에 제노바 공화국의 지배하에 놓였고, 이는 그리스인들이 그곳에서 무역하는 것을 금지했다.[4] 1299년, 이 도시는 노가이 칸의 골든 호드의 몽골 군대에 의해 약탈당했다. 비잔틴 자료는 1396년에 케르소네소스를 마지막으로 언급했으며, 고고학적 증거를 바탕으로 이후 수십 년 동안 이 지역이 버려진 것으로 추정된다.

3. 유적

케르소네소스의 고대 유적은 현재 세바스토폴 교외에 위치해 있으며, 1827년부터 러시아 정부에 의해 발굴되었다. 현재는 고고학 공원으로 보호받으며 인기 있는 관광 명소이다.

건물은 그리스, 로마, 비잔틴 문화의 영향을 혼합하고 있다. 방어벽은 길이 3.5km, 너비 3.5~4 미터, 높이 8~10 미터였으며, 탑의 높이는 10~12 미터였다. 벽은 약 30ha 면적을 둘러쌌다. 건물에는 로마 원형 극장과 그리스 신전이 있다. 14세기 이후 사람이 살지 않아 비잔틴 시대의 삶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4]

도시 주변 토지(초라)는 수 킬로미터에 달하는 고대 농지였으나 현재는 황폐해졌으며, 포도주 압착기 유적과 방어 유적이 남아 있다. 고고학자들은 지역 주민들이 노예가 되는 대신 농업 노동을 하는 대가를 받았다는 증거를 발견했다.

발굴된 묘비는 그리스 묘제와는 다른 매장 관행을 보여준다. 각 돌은 가족 전체가 아닌 개인의 무덤을 표시하며, 장식에는 매장 조각상이 아닌 허리띠와 무기 같은 물건만 포함된다. 발견된 무덤의 절반 이상에서 아이들의 뼈가 발견되었다. 불에 탄 잔해는 도시가 약탈당하고 파괴되었음을 시사한다.

2007년, 케르소네소스는 우크라이나 7대 불가사의 투표에서 5위를 기록했다.

2009년 2월 13일, 유리 예하누로프 우크라이나 국방부 장관은 러시아 흑해 함대에 자동차 보관소를 해당 부지에서 다른 곳으로 옮길 것을 요청했다. 러시아 흑해 함대 자동차 보관소의 위치는 이 유적을 유네스코 세계 유산 목록에 등재하는 데 걸림돌 중 하나였다.[9]

2017년, 고고학자들은 세바스토폴 외곽에서 신들의 형상이 새겨진 고대 그리스 제단의 파편을 발견했다.[10][11]

2022년, 연구자들은 케르소네소스 북부의 묘지에서 발견된 인골을 분석했는데, 이는 식민지 초기 (기원전 5세기에서 4세기 사이)에 속한다. 사망한 개인의 대부분은 다리를 가슴에 구부려 웅크린 자세로 매장되었고, 소수는 팔다리를 쭉 뻗은 자세로 등을 대고 매장되었다. 연구자들은 대부분의 개인들이 매장 자세와 상관없이 유전적으로 서로 유사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결과는 흑해 북부 지역의 매장 자세가 사망자의 조상에 의해 결정되었다는 견해에 도전하는데, 웅크린 매장은 지역 타우리아인에 속하고, 뻗은 매장은 그리스 식민지인에 속한다는 것이다.[12]

1935년 바실리카


케르소네소스 종


1935년 바실리카


1935년 바실리카는 케르소네소스에서 가장 유명한 바실리카이다. "1935"는 발굴된 해를 가리킨다.[13] 6세기에 초기 기독교 시대의 작은 사원을 대체하는, 역사가들이 회당으로 추정하는 이전 사원 부지에 세워졌을 것으로 보인다.[14] 이 바실리카는 케르소네소스를 대표하는 이미지로 자주 사용되며, 우크라이나 지폐에도 등장한다.[13]

박물관에는 고고학 유적 외에도 서기 5년부터 15세기까지의 유물 약 20만 점이 있으며, 이 중 5,000점 이상이 전시되어 있다. 주요 전시품은 다음과 같다:[15]

  • 케르소네소스 시민의 서약(기원전 3세기)을 포함한 고대 문서,[16] 디오판토스를 기리는 포고령(기원전 2세기)[17]
  • 동전 컬렉션
  • 흑백 조약돌과 색색의 돌로 만든 모자이크
  • 고대 도자기
  • 고대 및 중세 주판, 부조, 고대 벽화의 잔해를 포함한 건축 조각

3. 1. 고고학 유적지

케르소네소스의 고대 유적은 현재 세바스토폴 교외에 위치해 있으며, 1827년부터 러시아 정부에 의해 발굴되었다. 현재는 고고학 공원으로 보호받으며 인기 있는 관광 명소이다.

건물은 그리스, 로마, 비잔틴 문화의 영향을 혼합하고 있다. 방어벽은 대략 3.5km 길이였고, 너비는 3.5~4 미터, 높이는 8~10 미터였으며, 탑의 높이는 10~12 미터였다. 벽은 약 30ha 면적을 둘러쌌다. 건물에는 로마 원형 극장과 그리스 신전이 있다. 이 유적이 14세기 이후로 사람이 살지 않았다는 사실은 비잔틴 시대의 삶을 중요하게 보여주는 유적임을 나타낸다.[4]

도시의 통제를 받는 주변 토지, 즉 초라(chora)는 수 킬로미터에 달하는 고대 농지였으나 현재는 황폐해졌으며, 포도주 압착기 유적과 방어 유적이 남아 있다. 고고학자들에 따르면, 증거는 지역 주민들이 노예가 되는 대신 농업 노동을 하는 대가를 받았음을 시사한다.

발굴된 묘비는 그리스 묘제와는 다른 매장 관행을 암시한다. 각 돌은 가족 전체가 아닌 개인의 무덤을 표시하며, 장식에는 매장 조각상이 아닌 허리띠와 무기 같은 물건만 포함된다. 고고학자들이 발견한 무덤의 절반 이상에서 아이들의 뼈가 발견되었다. 불에 탄 잔해는 도시가 약탈당하고 파괴되었음을 시사한다.

2007년, 케르소네소스는 우크라이나 7대 불가사의 투표에서 5위를 기록했다.

2009년 2월 13일, 유리 예하누로프 우크라이나 국방부 장관은 러시아 흑해 함대에 자동차 보관소를 해당 부지에서 다른 곳으로 옮길 것을 요청했다. 러시아 흑해 함대 자동차 보관소의 위치는 이 유적을 유네스코 세계 유산 목록에 등재하는 데 걸림돌 중 하나였다.[9]

2017년, 고고학자들은 세바스토폴 외곽에서 신들의 형상이 새겨진 고대 그리스 제단의 파편을 발견했다.[10][11]

2022년, 연구자들은 케르소네소스 북부의 묘지에서 발견된 인골을 분석했는데, 이는 식민지 초기 (기원전 5세기에서 4세기 사이)에 속한다. 사망한 개인의 대부분은 다리를 가슴에 구부려 웅크린 자세로 매장되었고, 소수는 팔다리를 쭉 뻗은 자세로 등을 대고 매장되었다. 연구자들은 대부분의 개인들이 매장 자세와 상관없이 유전적으로 서로 유사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결과는 흑해 북부 지역의 매장 자세가 사망자의 조상에 의해 결정되었다는 널리 퍼진 견해에 도전하는데, 웅크린 매장은 지역 타우리아인에 속하고, 뻗은 매장은 그리스 식민지인에 속한다는 것이다.[12]

1935년 바실리카는 케르소네소스에서 발굴된 가장 유명한 바실리카이다. 원래 이름은 알려져 있지 않아서 "1935"는 발굴된 해를 가리킨다.[13] 이 바실리카는 6세기에 초기 기독교 시대의 작은 사원을 대체하는, 역사가들이 회당으로 추정하는 이전 사원 부지에 세워졌을 것으로 보인다.[14] 1935년 바실리카는 종종 케르소네소스를 대표하는 이미지로 사용된다. 그 사진은 우크라이나 지폐에도 등장한다.[13]

박물관에는 고고학 유적지 외에도 서기 5년부터 15세기까지의 소규모 유물 약 20만 점이 있으며, 이 중 5,000점 이상이 현재 전시되어 있다. 주요 전시품은 다음과 같다:[15]

  • 케르소네소스 시민의 서약(기원전 3세기)을 포함한 고대 문서,[16] 디오판토스를 기리는 포고령(기원전 2세기)[17]
  • 동전 컬렉션
  • 흑백 조약돌과 색색의 돌로 만든 모자이크
  • 고대 도자기
  • 고대 및 중세 주판, 부조, 고대 벽화의 잔해를 포함한 건축 조각

3. 2. 1935년 바실리카

1935년 바실리카는 케르소네소스에서 발굴된 가장 유명한 바실리카이다. 원래 이름은 알려져 있지 않아 "1935"는 발굴된 해를 가리킨다.[13] 이 바실리카는 6세기에 초기 기독교 시대의 작은 사원을 대체하는, 역사가들이 회당으로 추정하는 이전 사원 부지에 세워졌을 것으로 보인다.[14] 1935년 바실리카는 종종 케르소네소스를 대표하는 이미지로 사용되며, 그 사진은 우크라이나 지폐에도 등장한다.[13]

3. 3. 박물관



케르소네소스의 고대 유적은 현재 세바스토폴 교외에 위치해 있으며, 1827년부터 러시아 정부에 의해 발굴되었다. 현재는 고고학 공원으로 보호받으며 인기 있는 관광 명소이다.

건물은 그리스, 로마, 비잔틴 문화의 영향을 혼합하고 있다. 방어벽은 대략 3.5km 길이였고, 너비는 3.5~4 미터, 높이는 8~10 미터였으며, 탑의 높이는 10~12 미터였다. 벽은 약 30ha 면적을 둘러쌌다. 건물에는 로마 원형 극장과 그리스 신전이 있다. 이 유적이 14세기 이후로 사람이 살지 않았다는 사실은 비잔틴 시대의 삶을 중요하게 보여주는 유적임을 나타낸다.[4]

도시의 통제를 받는 주변 토지, 즉 초라(chora)는 수 킬로미터에 달하는 고대 농지였으나 현재는 황폐해졌으며, 포도주 압착기 유적과 방어 유적이 남아 있다. 고고학자들에 따르면, 증거는 지역 주민들이 노예가 되는 대신 농업 노동을 하는 대가를 받았음을 시사한다.

발굴된 묘비는 그리스 묘제와는 다른 매장 관행을 암시한다. 각 돌은 가족 전체가 아닌 개인의 무덤을 표시하며, 장식에는 매장 조각상이 아닌 허리띠와 무기 같은 물건만 포함된다. 고고학자들이 발견한 무덤의 절반 이상에서 아이들의 뼈가 발견되었다. 불에 탄 잔해는 도시가 약탈당하고 파괴되었음을 시사한다.

2007년, 케르소네소스는 우크라이나 7대 불가사의 투표에서 5위를 기록했다.

2009년 2월 13일, 유리 예하누로프 우크라이나 국방부 장관은 러시아 흑해 함대에 자동차 보관소를 해당 부지에서 다른 곳으로 옮길 것을 요청했다. 러시아 흑해 함대 자동차 보관소의 위치는 이 유적을 유네스코 세계 유산 목록에 등재하는 데 걸림돌 중 하나였다.[9]

2017년, 고고학자들은 세바스토폴 외곽에서 신들의 형상이 새겨진 고대 그리스 제단의 파편을 발견했다.[10][11]

2022년, 연구자들은 케르소네소스 북부의 묘지에서 발견된 인골을 분석했는데, 이는 식민지 초기 (기원전 5세기에서 4세기 사이)에 속한다. 사망한 개인의 대부분은 다리를 가슴에 구부려 웅크린 자세로 매장되었고, 소수는 팔다리를 쭉 뻗은 자세로 등을 대고 매장되었다. 연구자들은 대부분의 개인들이 매장 자세와 상관없이 유전적으로 서로 유사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결과는 흑해 북부 지역의 매장 자세가 사망자의 조상에 의해 결정되었다는 널리 퍼진 견해에 도전하는데, 웅크린 매장은 지역 타우리아인에 속하고, 뻗은 매장은 그리스 식민지인에 속한다는 것이다.[12]

1935년 바실리카는 케르소네소스에서 발굴된 가장 유명한 바실리카이다. 원래 이름은 알려져 있지 않아서 "1935"는 발굴된 해를 가리킨다.[13] 이 바실리카는 6세기에 초기 기독교 시대의 작은 사원을 대체하는, 역사가들이 회당으로 추정하는 이전 사원 부지에 세워졌을 것으로 보인다.[14] 1935년 바실리카는 종종 케르소네소스를 대표하는 이미지로 사용된다. 그 사진은 우크라이나 지폐에도 등장한다.[13]

박물관에는 고고학 유적지 외에도 서기 5년부터 15세기까지의 소규모 유물 약 20만 점이 있으며, 이 중 5,000점 이상이 현재 전시되어 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15]

  • 케르소네소스 시민의 서약(기원전 3세기)을 포함한 고대 문서,[16] 디오판토스를 기리는 포고령(기원전 2세기) [17]
  • 동전 컬렉션
  • 흑백 조약돌과 색색의 돌로 만든 모자이크
  • 고대 도자기
  • 고대 및 중세 주판, 부조, 고대 벽화의 잔해를 포함한 건축 조각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고전 고고학 연구소와 현지 고고학 공원은 1992년부터 이 유적지를 조사해 왔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이 유적지를 잠정적인 세계 문화 유산 목록에 포함시켰다. 그러나 이 유적지는 도시의 추가적인 잠식과 해안 침식의 위험에 처해 있다.

2013년, 고대 그리스 도시의 유적과 그 도시가 통제했던 영토는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이 세계 문화 유산은 케르소네소스 도시와 6개의 농지를 포함하는 7개의 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이 유적지는 유네스코 기준 (ii), 즉 고대 그리스인, 로마인, 비잔틴인 간의 문화 교류에 대한 "뛰어난 물리적 증거"와 (v), 즉 이러한 고대 사회가 농지를 조직한 방식을 잘 보존된 사례로 인정받아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유네스코는 이 지역들이 이 지역에 거주했던 고대 인구의 문화적 생활 방식과 토지 이용을 보여준다고 간주한다.[18]

2014년, 크림 반도는 러시아에 의해 합병되었지만, 유네스코는 크림과 그 유산 유적지를 우크라이나에 속하는 것으로 계속 인정할 것이라고 밝혔다.[19]

고대 유적지 안팎으로 현대식 건물이 들어서고, 이러한 개발 압력을 막을 자금 부족으로 인해 케르소네소스 유적지는 심각한 위험에 처해 있다.[20]

2010년 10월에 발행된 글로벌 헤리티지 펀드(Global Heritage Fund)의 보고서인 ''사라져가는 우리의 유산 구하기''(Saving Our Vanishing Heritage)에서, 케르소네소스를 관리 부실과 개발 압력을 주요 원인으로 지목하며, 전 세계 12곳의 돌이킬 수 없는 손실과 파괴의 위험에 처한 유적지 중 하나로 선정했다.[21]

2015년 7월 29일, 세바스토폴 주지사 세르게이 메냐일로(Sergey Menyaylo)는 논란 속에 타브리다 케르소네소스 국립 보호구역의 책임자인 안드레이 쿨라긴을 해고했다. 그는 이후 케르소네소스에 있는 성 블라디미르 러시아 정교회 대성당의 수석 사제인 세르게이 할류타를 보호구역의 새로운 책임자로 임명했다. 이 조치는 보호구역 직원들의 거센 항의를 불러일으켰고, 직원 109명 전원이 신임 책임자 아래에서 근무하는 것을 만장일치로 거부했다. 이 분쟁은 메냐일로가 2014년 러시아의 크림 병합 직후 러시아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에 의해 주지사로 임명되었다는 점 때문에, 특히 정치적 함의와 관련하여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22] 직원들은 메냐일로와 쿨라긴 간의 갈등이 쿨라긴이 보호 구역 내 건설 작업에 필요한 허가 없이 메냐일로 주지사가 승인한 보호구역 영토 내 도로 건설 프로젝트에 대해 불만을 제기한 7월 11일에 시작되었다고 주장했다. 결국, 직원들과 지역 주민들의 압력으로 인해 세르게이 신부는 사임했다.[23]

3. 4. 현재 연구



케르소네소스의 고대 유적은 현재 세바스토폴 교외에 있으며, 1827년부터 러시아 정부에 의해 발굴되었다. 오늘날에는 고고학 공원으로 보호받으며 관광 명소로 자리 잡고 있다.

건물은 그리스, 로마, 비잔틴 문화의 영향을 혼합하고 있다. 방어벽은 길이 3.5km, 너비 3.5~4 미터, 높이 8~10 미터였으며, 탑의 높이는 10~12 미터였다. 벽은 약 30ha 면적을 둘러쌌다. 건물에는 로마 원형 극장과 그리스 신전이 있다. 14세기 이후 사람이 살지 않아 비잔틴 시대의 삶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4]

도시 주변 토지(초라)는 수 킬로미터에 달하는 고대 농지였으나 현재는 황폐해졌으며, 포도주 압착기 유적과 방어 유적이 남아 있다. 고고학자들은 지역 주민들이 노예가 되는 대신 농업 노동을 하는 대가를 받았다는 증거를 발견했다.

발굴된 묘비는 그리스 묘제와는 다른 매장 관행을 보여준다. 각 돌은 가족 전체가 아닌 개인의 무덤을 표시하며, 장식에는 매장 조각상이 아닌 허리띠와 무기 같은 물건만 포함된다. 발견된 무덤의 절반 이상에서 아이들의 뼈가 발견되었다. 불에 탄 잔해는 도시가 약탈당하고 파괴되었음을 시사한다.

2007년, 케르소네소스는 우크라이나 7대 불가사의 투표에서 5위를 기록했다.

2009년 2월 13일, 유리 예하누로프 우크라이나 국방부 장관은 러시아 흑해 함대에 자동차 보관소를 해당 부지에서 다른 곳으로 옮길 것을 요청했다. 러시아 흑해 함대 자동차 보관소의 위치는 이 유적을 유네스코 세계 유산 목록에 등재하는 데 걸림돌 중 하나였다.[9]

2017년, 고고학자들은 세바스토폴 외곽에서 신들의 형상이 새겨진 고대 그리스 제단의 파편을 발견했다.[10][11]

2022년, 연구자들은 케르소네소스 북부의 묘지에서 발견된 인골을 분석했는데, 이는 식민지 초기 (기원전 5세기에서 4세기 사이)에 속한다. 사망한 개인의 대부분은 다리를 가슴에 구부려 웅크린 자세로 매장되었고, 소수는 팔다리를 쭉 뻗은 자세로 등을 대고 매장되었다. 연구자들은 대부분의 개인들이 매장 자세와 상관없이 유전적으로 서로 유사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결과는 흑해 북부 지역의 매장 자세가 사망자의 조상에 의해 결정되었다는 견해에 도전하는데, 웅크린 매장은 지역 타우리아인에 속하고, 뻗은 매장은 그리스 식민지인에 속한다는 것이다.[12]

박물관에는 고고학 유적지 외에도 서기 5년부터 15세기까지의 소규모 유물 약 20만 점이 있으며, 이 중 5,000점 이상이 현재 전시되어 있다. 주요 전시품은 다음과 같다:[15]

  • 케르소네소스 시민의 서약(기원전 3세기)을 포함한 고대 문서,[16] 디오판토스를 기리는 포고령(기원전 2세기)[17]
  • 동전 컬렉션
  • 흑백 조약돌과 색색의 돌로 만든 모자이크
  • 고대 도자기
  • 고대 및 중세 주판, 부조, 고대 벽화의 잔해를 포함한 건축 조각

4. 논란과 문제점



케르소네소스 고대 유적은 현재 세바스토폴 교외에 위치해 있으며, 1827년부터 러시아 정부에 의해 발굴되었다. 오늘날에는 고고학 공원으로 보호받으며 인기 있는 관광 명소이다. 건물은 그리스, 로마, 비잔틴 문화의 영향을 혼합하고 있으며, 방어벽은 대략 3.5km 길이였고, 너비는 3.5~4 미터, 높이는 8~10 미터였으며, 탑의 높이는 10~12 미터였다. 벽은 약 30ha 면적을 둘러쌌다. 건물에는 로마 원형 극장과 그리스 신전이 있었다. 이 유적이 14세기 이후로 사람이 살지 않았다는 사실은 비잔틴 시대의 삶을 중요하게 보여주는 유적임을 나타낸다.[4]

도시 통제 하의 주변 토지(초라, chora)는 수 킬로미터에 달하는 고대 농지였으나 현재는 황폐해졌으며, 포도주 압착기 유적과 방어 유적이 남아 있다. 고고학자들에 따르면, 증거는 지역 주민들이 노예가 되는 대신 농업 노동을 하는 대가를 받았음을 시사한다.

발굴된 묘비는 그리스 묘제와는 다른 매장 관행을 암시한다. 각 돌은 가족 전체가 아닌 개인의 무덤을 표시하며, 장식에는 매장 조각상이 아닌 허리띠와 무기 같은 물건만 포함된다. 고고학자들이 발견한 무덤의 절반 이상에서 아이들의 뼈가 발견되었다. 불에 탄 잔해는 도시가 약탈당하고 파괴되었음을 시사한다.

2007년, 케르소네소스는 우크라이나 7대 불가사의 투표에서 5위를 기록했다.

2009년 2월 13일, 유리 예하누로프 우크라이나 국방부 장관은 러시아 흑해 함대에 자동차 보관소를 해당 부지에서 다른 곳으로 옮길 것을 요청했다. 러시아 흑해 함대 자동차 보관소의 위치는 이 유적을 유네스코 세계 유산 목록에 등재하는 데 걸림돌 중 하나였다.[9]

2017년, 고고학자들은 세바스토폴 외곽에서 신들의 형상이 새겨진 고대 그리스 제단의 파편을 발견했다.[10][11]

2022년, 연구자들은 케르소네소스 북부 묘지에서 발견된 인골을 분석했는데, 이는 식민지 초기 (기원전 5세기에서 4세기 사이)에 속한다. 사망한 개인 대부분은 다리를 가슴에 구부려 웅크린 자세로 매장되었고, 소수는 팔다리를 쭉 뻗은 자세로 등을 대고 매장되었다. 연구자들은 대부분의 개인들이 매장 자세와 상관없이 유전적으로 서로 유사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결과는 흑해 북부 지역의 매장 자세가 사망자의 조상에 의해 결정되었다는 널리 퍼진 견해에 도전하는데, 웅크린 매장은 지역 타우리아인에 속하고, 뻗은 매장은 그리스 식민지인에 속한다는 것이다.[12]

참조

[1] 웹사이트 Syll. 360: The oath of the citizens of Chersonesos https://web.archive.[...] attalus.org 2015-05-20
[2] 간행물 The Oath of Chersonesos and the Chersonesean Economy in the Early Hellenistic Period Oxbow 2005
[3] 웹사이트 Ancient Greek City of Chersonesus in Crimea Founded 2,500 Years Ago https://greekreporte[...] 2022-12-01
[4] 문서 Chersonese
[5] 서적 The Jews of Khazari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06-09-27
[6] 간행물 '3. Chersonnèse' https://archive.org/[...] Dictionnaire d'Histoire et de Géographie ecclésiastiques 1953
[7] 웹사이트 Hierarchia Catholica Medii Aevi http://sul-derivativ[...]
[8] 서적 Annuario Pontificio 2013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13
[9] 뉴스 Yekhanurov Calls On Russia's Black Sea Naval Fleet To Move Its Automobile Depot From Khersones Tavriiskyi National Reserve https://web.archive.[...] Ukrainian News Agency 2009-02-13
[10] Youtube Ancient Greek Altar Discovered In Crimea https://www.youtube.[...]
[11] Youtube Russia: Ancient altar with figures of Greek gods found in Sevastopol https://www.youtube.[...]
[12] 논문 Comparing individuals buried in flexed and extended positions at the Greek colony of Chersonesos (Crimea) using cranial metric, dental metric, and dental nonmetric traits https://onlinelibrar[...] 2022-01
[13] 웹사이트 Ancient Chersoneses in Crimea: Dilettante travel http://www.freewebs.[...] 2012-04-01
[14] 웹사이트 Базиліка зникне в морі? ("Will the Basilica disappear into the sea?") http://dt.ua/SCIENCE[...] 2007-06-02
[15] 웹사이트 Chersonesus Taurica https://archive.toda[...] Restgeo.com 2012-04-01
[16] 웹사이트 Syll.³ 360 http://www.attalus.o[...]
[17] 웹사이트 IOSPE³ 3.8 http://iospe.kcl.ac.[...]
[18] 웹사이트 The Ancient City of Tauric Chersonese and its Chora https://whc.unesco.o[...] 2018-11-03
[19] 웹사이트 ЮНЕСКО и впредь будет считать Крым территорией Украины | УНИАН https://web.archive.[...] 2014-04-10
[20] 뉴스 Managing the Archaeological Heritage at the National Preserve of Tauric Chersonesos: Problems and Perspectives https://web.archive.[...] Ukrainian Museum 2009-09-28
[21] 웹사이트 GHF https://web.archive.[...] Global Heritage Fund 2012-08-31
[22] 웹사이트 '"Указ Президент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от 14 апреля 2014 года № 242 «Об исполняющем обязанности Губернатора города Севастополя"" (in Russian).' https://web.archive.[...] 2022-08-25
[23] 웹사이트 "Херсонес" возвращается в лоно Минкульта" https://web.archive.[...] 2016-0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