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끼리주둥이고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끼리주둥이고기는 서아프리카와 중앙 아프리카의 강에 서식하는 물고기로, 머리에 코끼리 코와 같은 돌출부가 특징이다. 이 돌출부는 입의 연장부로, 전기 수용 감각 기관과 전기장을 생성하여 먹이를 찾고, 어두운 곳에서 항해하며, 짝을 찾는 데 사용된다. 최대 20cm까지 성장하며, 뇌의 크기가 크고 뇌의 산소 소비량이 높다. 지역에서는 식용으로 사용되며, 수족관에서도 사육된다. 수족관에서는 어둡고 식물이 무성한 환경을 선호하며, 작은 벌레와 모기 유충을 먹고, 400L 이상의 수조에서 동족과 함께 사육하지 않는 것이 좋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2년 기재된 물고기 - 도화돔
- 1862년 기재된 물고기 - 실비늘치
- 골설어목 - 칼고기과
칼고기과는 칼고기목에 속하며, 몸이 가늘고 길쭉하며 꼬리지느러미가 뒷지느러미와 융합된 물고기 과로,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분포하고 일부 종은 둥지를 짓고 알을 보호하며, 화석 기록은 백악기 후기 인도에서 발견된다. - 골설어목 - 민물나비고기
민물나비고기는 골설어목 민물나비고기과에 속하는 유일한 종으로, 나비처럼 큰 가슴지느러미로 활공하며 서아프리카에 서식하고 관상어로 인기가 높지만, 서식지 파괴로 위협받고 있으며 모델 생물로서의 잠재력도 가진 종이다. - 알베르트 귄터가 명명한 분류군 - 황어
황어는 잉어과에 속하는 회유어로 한국, 중국 등지에 분포하며 잡식성이고 산란기에는 붉은 혼인색을 띠며 식용, 낚시 대상 등으로 활용된다. - 알베르트 귄터가 명명한 분류군 - 가는장어속
가는장어속은 뱀장어목 곰치아목에 속하는 어류 속으로, 붉은장어와 오렌지장어 등 6종이 속해 있으며 진흙장어과에 속한다.
코끼리주둥이고기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Gnathonemus petersii |
명명자 | 귄터, 1862 |
보존 상태 | LC (최소 관심) |
보존 상태 기준 | IUCN3.1 |
이명 | Gnathonemus brevicaudatus (Pellegrin, 1919) Mormyrus petersii (Günther, 1862) |
생물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아문 | 척추동물아문 |
상강 | 악구상강 |
강 | 조기어강 |
목 | 골설어목 |
아목 | 칼고기아목 |
과 | 코끼리고기과 |
아과 | 모미루스아과 |
속 | 그나토네무스속 |
종 | 코끼리코고기 |
2. 특징
페터스 코끼리주둥이고기는 서아프리카와 중앙 아프리카의 강, 특히 하부 나이저강 유역, 오군강 유역 및 상부 차리강에 서식한다. 주로 진흙이 많고 물살이 느린 강이나, 물에 잠긴 나뭇가지처럼 숨을 곳이 있는 웅덩이를 선호한다.
몸 색깔은 짙은 갈색에서 검은색을 띠며, 몸통은 옆으로 납작하다. 평균 크기는 23cm에서 25cm 정도이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는 몸 뒷부분에 위치하며 길이가 서로 비슷하고, 꼬리지느러미는 두 갈래로 갈라져 있다. 아래쪽 부속지에는 두 개의 줄무늬가 있다.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이름처럼 머리에 달린 코끼리 코와 같은 길쭉한 돌출부이다. 하지만 이것은 실제 코가 아니라 아래턱이 길게 늘어난 입의 일부로, '슈나우젠오르간'(Schnauzenorgande)이라고 불린다.[3] 이 기관은 매우 민감하며 자기 방어, 의사소통, 항해뿐만 아니라 진흙 속의 벌레나 곤충 같은 먹이를 찾는 데 사용된다. 이 돌출부와 몸 전체 표면에는 전기 수용 감각 기관이 덮여 있다.
코끼리주둥이고기는 근육 세포에서 진화한 특수한 전기 세포를 이용해 몸 주위에 약한 전기장을 만들어낸다. 이 전기장을 이용해 먹이를 찾고, 어둡거나 탁한 물속에서 길을 찾으며, 짝을 찾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한다.
수명은 약 6년에서 10년 정도이다.
2. 1. 전기 수용 능력

코끼리주둥이고기는 약전기 어류로, 꼬리에 있는 전기 기관으로 짧은 전기 펄스를 생성하여 기질 속에서 움직이는 먹이와 벌레를 감지할 수 있다. 몸 주위의 전기수용은 전기를 전도하거나 저항하는 물체에 의해 만들어지는 전기장의 다양한 왜곡을 감지할 만큼 민감하다.[4] 이 물고기가 생성하는 약한 전기장은 물고기 수조에 두 개의 전극을 놓고, 오디오 증폭기 또는 압전 이어버드에 연결하여 들을 수 있다.[5]
최대 전장 20cm. 본종의 "코끼리 코"로 여겨지는 특징적인 돌기는 실제로는 코가 아니라, 아래턱 부분이 튀어나온 것이다. 이 긴 턱을 가진 주둥이는 먹이를 잡기 어려워 보이지만, 이는 수저가 진흙인 곳에 서식하기 때문에 먹이가 되는 진흙 속 생물을 포식하기 쉽다고 생각된다. 또한, 발전을 하는 물고기로도 알려져 있다. 꼬리자루 부위에 발전 기관을 가지고 있으며, 미약한 전류를 흘려 레이더처럼 사용한다.
전장을 지각하기 때문인지 그 뇌는 크고, 신체에 대한 뇌의 중량 비율은 3% 정도로, 2% 전후의 인간을 웃돈다. 또한, 뇌에 의한 산소 소비량의 비율은 60% 정도가 된다. 이는 일반적인 척추동물의 뇌 산소 소비량 2~8%, 인간의 약 20%라는 수치를 크게 넘는 것으로, 척추동물 중에서 최대이다. 이는 변온성에 의해 산소 소비를 억제한 신체에, 매우 큰 머리를 가지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2. 2. 뇌
코끼리주둥이고기는 전장을 감지하는 능력 때문인지 그 뇌가 크며, 신체 대비 뇌의 중량 비율은 약 3% 정도로, 2% 전후인 인간보다 높다. 또한, 뇌가 사용하는 산소 소비량은 전체 소비량의 약 60%에 달한다. 이는 일반적인 척추동물의 뇌 산소 소비량(2~8%)이나 인간의 약 20%라는 수치를 크게 넘어서는 것으로, 척추동물 중에서 가장 높은 비율이다. 이렇게 뇌의 산소 소비량이 높은 이유는 변온성으로 인해 신체 자체의 산소 소비는 억제되는 반면, 머리가 매우 크기 때문으로 여겨진다.3. 생태
페터스 코끼리코 물고기는 서아프리카와 중앙 아프리카의 강, 특히 하부 나이저강 유역, 오군강 유역 및 상부 차리강에 서식한다. 진흙이 많고 물살이 느린 강이나, 물에 잠긴 나뭇가지처럼 숨을 곳이 있는 웅덩이를 선호한다. 몸 색깔은 짙은 갈색에서 검은색이며 옆으로 납작하다. 평균 크기는 23cm에서 25cm 사이이며, 최대 전장은 20cm까지 자란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는 몸 뒷부분에 있으며 길이가 같다. 꼬리지느러미는 두 갈래로 갈라져 있고, 하부 부속지에는 두 개의 줄무늬가 있다.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머리에 있는 코처럼 생긴 돌출부인데, 이는 실제 코가 아니라 아래턱이 길게 늘어난 민감한 입의 연장부이다. 이 주둥이는 Schnauzenorgan|슈나우젠오르간de이라고 불리며[3], 자기 방어, 의사소통, 항해에 이용되고, 진흙 속에 사는 벌레나 곤충 같은 먹이를 찾는 데 사용된다. 진흙 바닥에 서식하기 때문에 이 긴 주둥이가 먹이를 잡는 데 유리한 것으로 보인다.
이 주둥이와 몸 전체에는 전기 수용 감각 기관이 덮여 있다. 꼬리자루 부근에는 근육 세포에서 진화한 특수한 전기 세포로 이루어진 발전 기관이 있어 약한 전기장을 만들어낸다. 이 전기장을 레이더처럼 사용하여 먹이를 찾고, 어둡거나 탁한 물속에서 길을 찾으며, 짝을 찾는 데 활용한다.
코끼리주둥이고기는 몸 크기에 비해 뇌가 매우 크다. 몸무게 대비 뇌 무게 비율이 3% 정도로, 약 2%인 사람보다 높다.[8] 또한 뇌가 소비하는 산소의 양이 전체 산소 소비량의 60%에 달하는데, 이는 일반적인 척추동물의 2~8%나 사람의 약 20%를 훨씬 넘어서는 수치로 척추동물 중 가장 높다. 이는 변온성이라 몸 자체의 산소 소비는 적은데 비해 머리가 매우 크기 때문으로 추정된다.[9] 수명은 약 6년에서 10년 정도이다.
4. 인간과의 관계
코끼리주둥이고기는 원산지 일부 지역에서 식용으로 이용되며, 지역 신화에도 등장한다. 독특한 외형 때문에 수족관이나 아쿠아리움에서 전시용으로 인기가 있다.
일본에서는 흔히 '엘리펀트 노즈 피쉬'라고 하면 이 종을 가리키지만, 이 명칭은 모르미루스과에 속하며 비슷한 특징을 가진 여러 물고기를 통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코끼리 코 모양의 주둥이가 없는 '고래 엘리펀트 노즈'(Brienomyrus nigereng) 같은 종도 엘리펀트 노즈 피쉬로 불리는 경우가 있어 혼동될 수 있다.
4. 1. 사육
피터스 코끼리주둥이고기는 미국의 수족관 상점에서 가장 흔하게 구할 수 있는 담수 코끼리주둥이고기 중 하나이다. 수족관에서는 소심하며, 조명이 어둡고 수초가 무성한 환경을 선호하며, 200L 이상의 수조에서 잘 자란다. 바닥재는 부드러운 모래 기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파이프나 속이 빈 통나무 등을 넣어주면 물고기가 숨거나 섬세한 주둥이로 바닥을 훑는 데 도움을 준다.
먹이로는 작은 벌레(주로 혈충)나 모기 유충 같은 수생 무척추동물을 먹지만, 냉동 사료나 플레이크 형태의 사료도 먹는다. 특징적인 주둥이 때문에 먹이를 먹는 속도가 느리므로, 활동적이고 먹이를 빨리 먹는 다른 물고기와 함께 기르면 먹이 경쟁에서 밀려 충분히 먹지 못할 수 있다.
사육 시 물은 중간 정도의 경도를 유지하고, pH는 6.8에서 7.2 사이, 온도는 26°C에서 28°C 사이가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사육 상태에서는 온순하지만 다른 종에게 공격성을 보일 수도 있다. 일부 개체는 다른 물고기와 함께 공동 수족관 환경에서 잘 지내기도 한다. 그러나 동족에게는 매우 공격적인 경향을 보이는데, 특히 400L 미만의 수조에서는 더욱 그렇다. 따라서 한 수조에 한 마리만 키우는 것이 좋다. 또한, 약한 전기를 내어 시력을 보완하는 동족이나 다른 유사 종에 대해서는 서로의 전기장이 간섭하여 공격적으로 변할 수 있으므로, 충분히 넓은 수조가 아니라면 함께 사육하기 어렵다. 함께 기를 수 있는 어종은 공격성이 없고 먹이를 천천히 먹는 종류로 한정된다.
코끼리주둥이고기는 어두운 곳에서도 시력이 좋다. 눈은 광자 결정, 포물선 거울, 막대 세포와 원추 세포의 복합적인 배열을 이용하여 빛을 감지한다.[6]
이 종은 사육 상태에서 번식된 적이 없으며, 이는 수족관에서 구할 수 있는 모든 개체가 야생에서 잡힌 것이라는 의미이다.[7] 이 때문에 소유자는 물고기가 잘 자라도록 특정 수질 조건을 유지해야 한다.
일본에서는 단순히 '엘리펀트 노즈 피쉬'라고 부르면 주로 이 종을 가리키지만, 모르미루스과 중 비슷한 특징을 가진 여러 종을 통칭하는 이름으로도 '엘리펀트 노즈 피쉬'라는 명칭이 사용된다. 그중에는 '고래 엘리펀트 노즈'(Brienomyrus nigereng 등 여러 종 포함)처럼 특징적인 코끼리 코 모양의 주둥이가 없음에도 엘리펀트 노즈로 취급되는 종도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식용으로 사용되며 신화에도 등장한다.
참조
[1]
ITIS
2007-07-03
[2]
논문
Brain and body oxygen requirements of Gnathonemus petersii, a fish with an exceptionally large brain
http://jeb.biologist[...]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1996
[3]
논문
The Schnauzenorgan-response of Gnathonemus petersii
2009-09-22
[4]
간행물
"Active electrolocation of objects in weakly electric fish"
http://jeb.biologist[...]
1999
[5]
논문
Book reviews
https://link.springe[...]
2023-11-28
[6]
웹사이트
AAAS
https://www.science.[...]
2021-12-01
[7]
웹사이트
Aquarium availability
https://www.aquarium[...]
2022-01-03
[8]
서적
Biological Psychology
[9]
논문
Brain and body oxygen requirements of Gnathonemus petersii, a fish with an exceptionally large brain
http://jeb.biologist[...]
2015-12-22
[10]
웹인용
코끼리고기류 [mormyrid]
http://100.daum.net/[...]
2014-03-19
[11]
URL
http://www.trofish.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