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콜 (화장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콜은 '눈에 바르는 가루'를 의미하는 아랍어 '쿠훌'에서 유래된 화장품이다. 고대 이집트에서 기원전 3100년경부터 사용되었으며, 눈 질환으로부터 보호하고 햇빛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콜은 지역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제조되었으며, 아프리카, 중동, 남아시아 등지에서 다양한 문화적 의미를 지닌 채 사용되어 왔다. 전통적인 콜은 납을 주성분으로 하여 납 중독의 위험이 있었으나, 현대에는 납 성분이 없는 제품도 판매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납 함유 가능성으로 인해 콜의 수입 및 판매가 불법으로 규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다리 문화 - 히에라콘폴리스
  • 화장품 - 자외선 차단제
    자외선 차단제는 태양의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며, 피부암 예방 및 피부 노화 방지 효과가 있고, 자외선 차단 지수(SPF)로 효능을 나타내며 물리적, 화학적, 천연 차단제로 분류된다.
  • 화장품 - 활석
    활석은 페르시아어에서 유래된 규산염 광물로 층상 구조와 부드러운 특성을 가지며, 제지, 플라스틱, 화장품 등에 사용되지만 석면과의 관련성으로 안전성 문제가 제기되기도 한다.
콜 (화장품)
개요
종류눈 화장품
용도눈 강조
관련 용품아이라이너, 아이섀도우, 마스카라
정의
정의눈꺼풀 안쪽 가장자리에 바르는 화장품
다른 이름카잘, 알-카할, 카홀, 코흘, 수르마, 안잔, 칸마시
역사 및 문화
기원고대부터 사용됨
용도눈을 보호
눈을 강조
종교 의식
문화권남아시아
중동
북아프리카
아프리카 뿔 지역
성분
주성분안티몬
방연광
말라카이트
구리 화합물

식물성 기름
안전성
잠재적 위험납 중독 위험
규제일부 국가에서 규제

2. 어원

'콜'(Kohl)이라는 단어는 아랍어 '쿠훌'(كحل|''kuḥl''ar)에서 유래했으며, '눈에 바르는 가루'를 의미한다. 이 단어는 황안티몬광을 의미하는 아카드어 𒎎 ಪ್ರಾರಂಭ𒁉𒍣𒁕|guẖlu(m)akk에서 파생되었다. 시리아어 단어 /와도 어원을 공유한다. 아랍 방언 발음의 음역 변형에는 (콜) 또는 (쿨)이 있다.

영어 단어 '알코올(alcohol)'은 (중세 라틴어와 프랑스어를 거쳐) 아랍어에서 차용된 단어이다. 원래는 "안티몬의 가루"라는 의미였으며, 현대적 의미는 18세기부터 사용되었다.

3. 역사

콜은 나카다 3기 시대(기원전 3100년경)부터 모든 사회 계층의 이집트인들이 사용했으며, 원래는 눈 질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었다.[1][2] 또한 눈 주변을 어둡게 하면 강한 햇빛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는 믿음도 있었다.[3]

고대 이집트 제18왕조티이 여왕(기원전 1410–1372년)을 위해 새겨진 콜 용기


갈레나 눈 화장(후에 아랍어로 화장품을 뜻하는 아카드어에서 유래하여 '콜'로 불림)은 고대 이집트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고대 문헌에 따르면 윗눈꺼풀은 검은색으로, 아랫눈꺼풀은 녹색으로 칠했는데, 이는 검은색 갈레나와 녹색 공작석의 사용을 묘사하고 있다. 선사 시대 타시안 문화의 고대 무덤은 이집트에서 갈레나의 초기 사용을 보여주며, 이는 바다리 문화 시대부터 그레코로만 세계에 이르기까지 지속된 관습이었다. 검은색 갈레나와 녹색 공작석은 현지에서 발견되기도 했지만, 서아시아, 콥토스, 푼트 지역에서도 수입되었다.[4]

고대 이집트 테베의 무덤 벽화에서 콜을 착용한 여성들 (기원전 1420–1375년)


제18왕조의 여성 파라오 하트셉수트는 탄 유향을 갈아서 콜 아이라이너를 만들었는데, 이는 수지를 사용한 최초의 기록이다.[5] 유향 자체는 신왕국 시대(기원전 1500년경)에 고대 푼트 지역으로의 원정을 통해 얻어졌다.[6] 계피 껍질과 향료 성분과 같은 화장품 재료는 구리 콜 스틱과 함께 향수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탐라파르니의 폼파리푸와 칸다로다이 (고대 스리랑카) 마을에서 고대 이집트로 수출되었다.[7][8][9][10]

선구적인 무슬림 학자 이븐 아비 샤이바는 법률 편찬에서 이전 권위자들의 설명을 인용하여 눈에 콜을 바르는 방법을 설명했다.[11]

3. 1. 중동 및 북아프리카

베르베르인과 셈어를 사용하는 북아프리카중동의 여성들은 얼굴에 콜을 발랐다. 아랫입술에서 턱까지, 그리고 코의 콧대까지 수직선을 그렸다. 원래 아랫입술에서 턱까지의 선은 여성이 결혼했는지 여부를 나타냈다. 얼굴에 콜을 사용하는 이러한 형태는 아라비아 반도에서 유래되었으며 7세기에 북아프리카에 도입되었다.[12]

예멘에서도 콜은 오랫동안 화장품으로 사용되었다. 어머니들은 아이가 태어난 직후 아이들의 눈에 콜을 발랐는데, 어떤 사람들은 이것이 "아이의 눈을 강하게 한다"고 믿었고, 다른 사람들은 아이가 악마의 눈에 의해 저주받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믿었다.[13]

3. 2. 아프리카의 뿔

''indha kuul''( "아이섀도" )를 한 소말리아 여성


아프리카의 뿔에서 아이섀도 사용은 고대 푼트 왕국까지 거슬러 올라간다.[4] 소말리아, 지부티, 에티오피아, 에리트레아 여성들은 화장 목적으로, 눈을 정화하고, 속눈썹을 길게 하고, 햇빛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해 오랫동안 아이섀도(''kuul'')를 사용해 왔다.[14][15]

3. 3. 서아프리카

콜은 풀라니족, 하우사족, 투아레그족, 요루바족서아프리카의 많은 민족들이 사용한다.[16][17][18] 사헬과 사하라 지역의 무슬림 주민들도 사용하며, 결혼식, 축제, 외출 시 남녀노소 모두 사용한다.

3. 4. 남아시아

인도의 여러 지역에서 콜은 '카잘'(kājalhi)이라고 불린다. 남인도(특히 카르나타카)에서는 지역 전통에 따라 전통적인 치료법으로 여겨진다.

일부 인도 아유르베다 (즉, 고대 인도 약초 의학) 제조 회사들은 눈 건강을 위한 캄퍼 및 기타 약초를 첨가한다.

콜을 하고 있는 손녀와 함께 있는 바라나시 음식 판매상


인도에서 아들에게 콜을 바르는 타밀나두 여성


펀자브 문화에서 '카잘'은 특별한 날에 주로 남성이 눈 주변에 착용하는 전통적인 의례용 염료이다. 보통 아내나 어머니가 발라준다.

일부 사람들은 나쁜 징조와 악마의 눈(nazar)을 막기 위해 '카잘' 점을 찍는다.

메이크업 아티스트가 오디시 춤 공연 전에 작업하는 모습


콜은 또한 인도의 바라타나티얌 및 오디시 춤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무용가들은 눈의 제스처와 움직임에 주목하기 위해 눈에 콜을 짙게 바른다.

4. 제조 방법

전통적으로 콜은 백단향 페이스트를 천 심지와 피마자 기름으로 태워 그을음을 모으고 지방을 첨가하여 만든다.[1] 지역에 따라 다양한 약초나 향료가 첨가되기도 한다.

콜을 만들 때 사용되는 재료들은 현지인들에게 약효가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아유르베다 및 싯다 의학과 같은 인도 치료법에 사용된다.[1]

5. 건강 문제

전통적으로 콜은 황화 납(갈레나)을 주성분으로 만들어져 납 중독의 위험이 있었다.[19] 콜을 눈에 바르면 혈중 납 농도가 높아져 납 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와, 반대로 혈중 납 수치 증가와 관련이 없다는 상반된 연구 결과도 존재한다.[19]

납 오염된 콜 사용은 혈류 내 납 수치를 높여 납 중독을 유발한다.[24][25][26][27] 납 중독은 빈혈, 성장 지연, 낮은 IQ, 경련 등을 일으키며, 심하면 사망에 이른다. 중동 및 남아시아에서는 철 결핍성 빈혈 등이 흔해 납 중독으로 인한 빈혈이 더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27]

최근에는 납 성분이 없는 콜 제품도 판매되지만, 여전히 납 성분 제품이 유통되어 주의가 필요하다. '콜'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지만 실제로는 납이 없는 제품도 있다. 파키스탄에서는 수르마 등 눈 화장품이 납 노출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며,[28] 2016년 임산부 손톱 분석 결과 일부에서 고농도 납이 검출되기도 했다.[28]

한편, 2010년 프랑스 연구진은 고대 이집트인이 사용한 특정 중금속 아이 메이크업(콜)에 의학적 효능이 있을 수 있다고 발표했다. 콜의 납 화합물이 산화 질소 생성을 유도해 면역 반응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29][30] 에베르스 파피루스 기록처럼 고대 이집트인은 콜을 눈병 예방 목적으로 사용했으며, 화장품이자 약용으로도 활용했다.[31][32]

5. 1. 법적 규제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콜을 승인된 색소 첨가제 목록에 포함시키지 않았으며, 함유 가능성 때문에 콜 사용을 안전하지 않다고 간주한다.[33] 따라서 미국으로 콜을 수입하거나 판매하는 것은 불법이다.[33] 콜은 납 중독을 유발할 수 있는 납 노출 위험 때문에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참조

[1] 간행물 Ophthalmology of the Pharaohs: Antimicrobial Kohl Eyeliner in Ancient Egypt https://discovermaga[...] 2021-12-05
[2] 논문 Kajal (Kohl): A dangerous cosmetic 2010
[3] 논문 Availabilit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traditional eye cosmetics ('kohls') used in the United Arab Emirates of Dubai, Sharjah, Ajman, Umm Al-Quwain, Ras Al-Khaimah, and Fujairah https://pubmed.ncbi.[...] 2006-03
[4] 문서 Studies in Ancient Technology Brill Archive
[5] 서적 A Historical Atlas of Oman https://books.google[...] Rosen 2014-09-05
[6] 서적 Frankincense & Myrrh: Through the Ages, and a complete guide to their use in herbalism and aromatherapy today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2016-11-11
[7] 서적 A history of medicine in Sri Lanka from the earliest times to 1948 https://books.google[...] Sri Lanka Medical Association 2019-06-22
[8] 서적 The evolution of an ethnic identity: the Tamils in Sri Lanka c. 300 BCE to c. 1200 CE https://books.google[...] M.V. Publications for the South Asian Studies Centre, Sydney 2005
[9] 서적 International Journal of Dravidian Linguistics Department of Linguistics, University of Kerala. 2009
[10] 서적 Holman Illustrated Bible Dictionary https://books.google[...] B&H Publishing Group 2019-06-22
[11] 서적 Seeing the Face, Seeing the Soul: Polemon's ''Physiognomy'' from Classical Antiquity to Medieval Islam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2] 문서 Many Mirrors: Body Image and Social Relations
[13] 논문 Composition of eye cosmetics (kohls) used in Cairo 2004-02
[14] 문서 Somalia in word and image Foundation for Cross Cultural Understanding 1986
[15] 문서 Ancient and medieval Ethiopian history to 1270 Printed by United Printers 1972
[16] 문서 Infant lead poisoning associated with use of tiro, an eye cosmetic from Nigeria--Boston, Massachusetts, 2011 2012
[17] 문서 Literary style in Yoruba riddles 1949
[18] 문서 My journey through African Heritage Kenway Publications 2004
[19] 논문 Kohl (surma): retrospect and prospect 2009-01
[20] 문서 Influence of deposition voltage on properties of lead sulfide thin film 2008
[21] 논문 Kohl: a hazardous eyeliner
[22] 논문 Kohl: a lead-hazardous eye makeup from the Third World to the First World 1991-08
[23] 논문 Composition of eye cosmetics (kohls) used in Oman 1998-04
[24] 논문 Alkohl use in Saudi Arabia: Extent of use and possible lead toxicity 1992-10
[25] 논문 Determinants of blood lead levels in Saudi Arabian schoolgirls 1999-04
[26] 논문 Is eye cosmetic a source of lead poisoning? 1992-07
[27] 논문 Factors associated with elevated blood lead concentrations in children in Karachi, Pakistan
[28] 논문 External lead contamination of women's nails by surma in Pakistan: Is the biomarker reliable? 2016-11-01
[29] 논문 Finding Out Egyptian Gods' Secret Using Analytical Chemistry: Biomedical Properties of Egyptian Black Makeup Revealed by Amperometry at Single Cells 2010-01
[30] 뉴스 Cleopatra's eye makeup Warded Off Infections?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31] 간행물 Ophthalmology of the Pharaohs: Antimicrobial Kohl Eyeliner in Ancient Egypt https://www.discover[...] 2012-04-20
[32] 논문 Finding Out Egyptian Gods' Secret Using Analytical Chemistry: Biomedical Properties of Egyptian Black Makeup Revealed by Amperometry at Single Cells
[33] 웹사이트 Kohl, Kajal, Al-Kahal, Surma, Tiro, Tozali, or Kwalli: By Any Name, Beware of Lead Poisoning https://www.fda.gov/[...]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7-10-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