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콩고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콩고어는 콩고 왕국의 언어였으며, 16세기부터 라틴 문자로 표기된 반투어 중 하나이다. 식민 시대에 콩고어를 기반으로 키투바어가 생겨났으며, 현재 콩고민주공화국의 공용어로 사용된다. 콩고어는 콩고민주공화국, 콩고 공화국, 앙골라, 가봉 등에서 사용되며, 아메리카 대륙으로 노예 무역을 통해 전파되어 여러 크리올어에 영향을 미쳤다. 콩고어는 19~20세기 선교사들에 의해 표준화되었으며, 말콤 구스리의 분류에 따르면 콩고어군은 H10 언어군에 속한다. 콩고어는 명사류, 동사 활용 등 문법적 특징을 가지며, 다양한 어휘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콩고 공화국의 언어 - 링갈라어
    링갈라어는 콩고 강 유역에서 발생한 반투어 기반 크레올어로, 콩고 민주 공화국과 콩고 공화국에서 널리 사용되며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가 풍부하고, 라틴 알파벳으로 표기된다.
  • 콩고 공화국의 언어 - 프랑스어
    프랑스어는 프랑스를 포함한 전 세계 29개국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로망스어군 언어로, 속라틴어가 갈리아어 및 프랑크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국제기구 공용어로서 외교 무대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현재 문화, 경제, 교육, 특히 아프리카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 앙골라의 언어 - 콰디어
    콰디어는 7개의 구두 모음과 3개의 비모음을 가지며, 다양한 자음 체계와 더불어 1, 2인칭 대명사 및 주격, 목적격, 소유격을 구분하고, 명사는 성과 수를 구분하는 언어이다.
  • 앙골라의 언어 - 포르투갈어
    포르투갈어는 로마 제국 시대 라틴어에서 기원하여 게르만족과 아랍인의 영향을 받으며 발전, 대항해시대를 거쳐 여러 대륙으로 확산되어 현재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로망스어이다.
  • 콩고 민주 공화국의 언어 - 링갈라어
    링갈라어는 콩고 강 유역에서 발생한 반투어 기반 크레올어로, 콩고 민주 공화국과 콩고 공화국에서 널리 사용되며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가 풍부하고, 라틴 알파벳으로 표기된다.
  • 콩고 민주 공화국의 언어 - 스와힐리어
    스와힐리어는 동아프리카 해안 지역의 반투어 기반 사바키어파 언어로, 아랍어, 페르시아어, 포르투갈어 등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라틴 알파벳으로 표기되고 탄자니아와 케냐의 공용어이자 동아프리카의 링구아프랑카이다.
콩고어
지도 정보
콩고어와 키투바어가 사용되는 지역 지도, 키투바어는 공용어. 키시콩고(일부 저자에 의해 키산살라라고도 불림)는 음반자콩고에서 사용되는 콩고어.
언어 정보
이름콩고어
고유 이름Kikongo
사용 국가콩고 민주 공화국 (콩고 중앙주)
앙골라
콩고 공화국
가봉
사용 지역중앙아프리카
사용자700만 명
모어 화자595만 5500명 (2021년 기준)
제2 언어 화자500만 명 (2021년 기준)
민족콩고족
어족니제르콩고어족
하위 어족대서양콩고어파
볼타콩고어군
베누에콩고어
반투어군
남부 반투어군
반투어군 (H구역)
콩고어군-야카어군
콩고어군(H.16)
문자라틴 문자
만돔베 문자
공용어국어 및 비공식 언어:
앙골라
언어 코드
ISO 639-1kg
ISO 639-2kon
ISO 639-3kon
Glottologyomb1244
Glottolog 명칭Yombe
하위 언어
코온고어kng
라리어ldi
산살바도르 콩고어kwy
욤베어yom
화자
nKongomuKongo
musi Kongo
muisi Kongo
mwisi Kongo
baKongobisi Kongo
besi Kongo
esiKongo
aKongo
언어kiKongo

2. 역사

1575년 포르투갈 왕실이 앙골라를 선포하기 전 이 지역에 존재하던 콩고 왕국의 언어였다. 1885년 베를린 회담에 따라 왕국의 나머지 영토는 세 지역으로 분할되어 유럽 열강들이 차지했는데, 이는 오늘날 콩고민주공화국, 콩고 공화국, 가봉의 일부이다. 16세기부터 일찍이 포르투갈 세력과 접촉한 이유로 콩고어는 라틴 문자로 표기된 최초의 반투 언어 중 하나이다. 다만 현대적 철자법이 확립된 것은 19세기~20세기 기독교 선교사들에 의해서이다.

식민 시대에 콩고어를 기반으로 성립한 크리올 언어인 키투바어(Kituba)는 오늘날 프랑스어와 함께 콩고 민주 공화국의 공용어 중 하나이다. 상황에 따라 콩고어 또는 키콩고어라는 말은 키투바어를 가리키기도 하여 용어에 혼동이 있다.

3. 지리적 분포

콩고어는 16세기부터 포르투갈의 영향을 받아 라틴 문자로 표기된 최초의 반투어 중 하나이다. 1575년 포르투갈 왕실이 앙골라를 선포하기 전 이 지역에 존재하던 콩고 왕국의 언어였다. 1885년 베를린 회담에 따라 콩고 왕국의 영토는 콩고민주공화국, 콩고 공화국, 가봉의 일부로 분할되었다.

식민 시대에 콩고어를 기반으로 성립된 크리올 언어인 키투바어(Kituba)는 오늘날 프랑스어와 함께 콩고 민주 공화국의 공용어 중 하나이다. 콩고어 또는 키콩고어라는 말은 키투바어를 가리키기도 하여 용어에 혼동이 있다.[5] 콩고 공화국 헌법은 ''Kituba''라는 이름을 사용하고,[2] 콩고민주공화국 헌법은 ''Kikongo''라는 용어를 사용한다.[3]

키콩고어와 키투바어는 콩고 공화국 남부, 콩고민주공화국 남서부, 앙골라 북부, 가봉 남서부에서 사용된다. 사용 지역은 다음과 같다.

지역언어
콩고 공화국 남부키콩고어(욤베어, 빌리어, 라디어, 순디어 등)와 키투바어: 쿠일루주, 니아리주, 부엔자주, 레쿠무주, 브라자빌 남부, 푸앵트누아르
콩고 공화국 남부키콩고어(라디어, 콩고 보코어 등): 풀주
콩고민주공화국 남서부키콩고어(욤베어, 탄두어, 니디부어, 마냥가어 등)와 키콩고 야 레타: 콩고 중앙주, 킨샤사의 일부
콩고민주공화국 남서부키콩고 야 레타: 퀴루주, 쿠앙고주, 마이-놈베주, 서쪽 끝 카사이주
앙골라 북부키콩고어(키시콩고어, 좀보어, 이빈다어 등): 카빈다주, 우이주, 자이르주, 벵고주 북부와 쿠안자 노르테주 북부
가봉 남서부키콩고어(빌리어): 냥가주, 응우니에주



콩고어 방언은 다음과 같다.


  • 중앙 콩고어 (kng-cen)
  • 남부 콩고어 (kng-sou)
  • 동부 콩고어 (kng-eas)
  • 엠보카어 (kng-mbo)
  • 서부 콩고어 (kng-wes)
  • 딩기어 (kng-ndi)
  • 남동부 콩고어 (kng-soe)
  • 부웬데어 (kng-bwe)
  • 엔잠바어 (kng-nza)
  • 라리어(Laari) - 콩고 공화국 수도 브라자빌과 그 주변에서 사용됨.[39]
  • * 가앙갈라어 (ldi-gha)
  • 산살바도르 콩고어(다른 이름: 이워요)

3. 1. 아메리카 대륙에서의 콩고어

대서양 노예 무역으로 수송된 많은 아프리카 노예들은 키콩고어를 사용했다. 그 영향은 아프리카 디아스포라의 많은 크리올어에서 볼 수 있다.

국가언어지역비고
브라질쿠포피아살투 지 피라포라
콜롬비아팔렌케로어산 바실리오 데 팔렌케
쿠바콩고어없음아프로쿠반 팔로 종교의 예배 언어
아이티아이티 크리올어아이티, 바하마, 쿠바, 도미니카 공화국, 미국rowspan="2" |
랑가주없음아이티 부두 종교의 예배 언어.
수리남사라마칸어보번 수리남, 브로코폰도, 파라마리보, 프랑스령 기아나, 네덜란드rowspan="2" |
미국굴라어굴라-기치 회랑 (노스캐롤라이나주,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조지아주, 플로리다주)
루이지애나 크리올어루이지애나주 및 인근 주들.


4. 콩고어 사용자

콩고어는 1575년 포르투갈 왕국앙골라를 건설하기 전 콩고 왕국의 언어였다. 1884년부터 1885년까지 열린 베를린 회의에서 주요 유럽 열강은 콩고 왕국을 세 지역으로 분할했다. 이 지역들은 현재 콩고민주공화국(콩고 중앙주와 반둔두주), 콩고 공화국, 가봉의 일부를 구성한다.

키콩고어는 크리올어인 키투바어(''Kikongo de l'État'' 또는 ''Kikongo ya Leta''라고도 불림)의 기반이 된다.[5] 콩고 공화국 헌법은 ''Kituba''라는 이름을 사용하고,[2] 콩고민주공화국 헌법은 ''Kikongo''라는 용어를 사용한다.[3] 콩고민주공화국 행정부에서는 키투바어(키콩고 야 레타)를 사용하는데, 이는 키콩고 야 레타가 종종 키콩고어(키탄두어, 키마니앙가어, 키니디부어 등)라고 잘못 불리기 때문이다.[4][5][6]

키콩고어와 키투바어는 다음 지역에서 사용된다.

국가지역언어
콩고 공화국 남부
콩고민주공화국 남서부
앙골라 북부카빈다주, 우이주, 자이르주, 벵고주 북부와 쿠안자 노르테주 북부키콩고어(키시콩고어, 좀보어, 이빈다어 등)
가봉 남서부냥가주, 응우니에주키콩고어(빌리어)



베를린 회의 이전에 이들은 스스로를 "Bisi Kongo"(복수)와 "Mwisi Kongo"(단수)라고 불렀다. 오늘날 그들은 스스로를 "콩고인"(복수)와 "Mukongo"(단수)라고 부른다.[7]


  • 키콩고어(Kikongo)
  • * 중앙 콩고어 (kng-cen)
  • * 남부 콩고어 (kng-sou)
  • * 동부 콩고어 (kng-eas)
  • * 엠보카어 (kng-mbo)
  • * 서부 콩고어 (kng-wes)
  • * 딩기어 (kng-ndi)
  • * 남동부 콩고어 (kng-soe)
  • * 부웬데어 (kng-bwe)
  • * 엔잠바어 (kng-nza)
  • 라리어(Laari) - 콩고 공화국 수도 브라자빌과 그 주변에서 사용됨.[39]
  • * 가앙갈라어 (ldi-gha)
  • 산살바도르 콩고어(다른 이름: 이워요)

5. 문자

콩고어는 라틴 문자로 표기된 가장 초기의 반투어였다.[8] 16세기부터 포르투갈 세력과 접촉한 이유로 콩고어는 라틴 문자로 표기된 최초의 반투 언어 중 하나이다. 포르투갈인들이 키콩고어 사전을 만들었는데, 이는 어떤 반투어에 대한 최초의 사전이었다.

1624년, 포르투갈 예수회 사제인 마테우스 카르도소(Mateus Cardoso)는 마르코스 조르제(Marcos Jorge)가 편찬한 포르투갈어 교리문답의 키콩고어 번역본을 편집하고 출판했다. 산살바도르(산살바도르)의 키콩고어 교사들이 번역을 맡았으며, 펠릭스 두 에스피리투 산투(Félix do Espírito Santo, 키콩고인)의 부분적인 작업이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높다.[8]

1879년 콩고에 도착한 침례교 선교사들(영국 출신)은 이 언어의 현대적인 철자법을 개발했다. 미국 선교사인 W. 홀먼 벤트리는 자신이 쓴 ''콩고어 사전 및 문법''을 1887년 미시간 대학교에서 출판하도록 했다. 벤트리는 아프리카인인 넬름보(Nlemvo)의 도움을 받아 "단어와 정의가 적힌 2만 5천 장의 종이를 분류하고 수정하는 등 사전을 편찬하는 데 사용한 방법"을 설명했다.[9] 결국 W. 홀먼 벤트리는 조앙 렘보(João Lemvo)의 특별한 도움을 받아 1905년 완전한 기독교 성경을 완성했다.

6. 표준화

19세기와 20세기에 영국, 스웨덴 등의 선교사들이 은도 느좌우 늚보(Ndo Nzuawu Nlemvo, 포르투갈어로 Dom João)와 미겔 네카카(Miguel NeKaka)와 같은 콩고어 언어학자, 복음 전파자들과 협력하여 키콩고어 표준화 작업을 진행했다.[10][11][12][13]

7. 언어학적 분류

말콤 구스리(Malcolm Guthrie)에 따르면, 키콩고어는 H10 언어군, 즉 콩고어군(Kongo languages)에 속한다. 같은 그룹의 다른 언어로는 베엠베어(H11)가 있다. '''Ethnologue''' 16판에서는 딩기어(H14)와 엠보카어(H15)를 키콩고어의 방언으로 분류하지만, 별개의 언어일 가능성도 인정한다.

바스틴(Bastin), 쿠페즈(Coupez), 맨(Man)의 키콩고어 분류(테르뷔렌(Tervuren) 분류)는 구스리의 분류보다 최근 것이며 더 정확하다.[15][16][17] 그들의 분류에 따르면, 키콩고어는 다음과 같은 방언들을 가지고 있다.

키콩고어군 H16



참고: 키시콩고어는 콩고어군의 원형어가 아니다. 모든 키콩고어 변종이 서로 상호 이해 가능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시빌리어는 키욤베어와 이워요어 화자들에게 키시콩고어나 키마니앙가어 화자들보다 더 잘 이해되며, 키마니앙가어는 보코와 킨탄두의 키콩고어 화자들에게 시빌리어나 이워요어 화자들보다 더 잘 이해된다.

키콩고어(Kikongo)


8. 음운론

닿소리 음소
colspan="2" |양순음치경음연구개음
비음mn(ŋ)
파열음무성음ptk
무성 전비음화ᵐpⁿtᵑk
유성음bd(ɡ)1
유성 전비음화ᵐbⁿdᵑɡ2
마찰음무성음fs
무성 전비음화ᶬfⁿs
유성음vz
유성 전비음화ᶬvⁿz
유음wlj



모음 음소
전설 모음후설 모음
고모음iu
중모음eo
저모음a



# /ɡ/ 음소는 존재하지만, 드물게 사용된다.

# 비음으로 들릴 수도 있다.

대조적인 모음 길이가 존재한다. /m/과 /n/은 또한 전비음화 자음과 대조되는 음절적 변이형을 갖는다.

9. 문법

키콩고어는 명사 접두사에 따라 18개의 명사류로 구분되는 체계를 가지고 있다. 대부분 단수와 복수 형태로 짝을 이루지만, 지소와 부정사 류는 복수형이 없다.[18][19][20][21][22][23][24][25][26][27][28][29][30] 명사 접두사는 키콩고어 변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7류의 경우 라리어에서는 'ci'가, 키시콩고, 키욤베 등에서는 'ki'가 사용된다.

동사 활용은 인칭 대명사에 따라 동사 접두사를 변경하여 이루어진다. 모든 키콩고 방언이 동일한 인칭 대명사, 동사 접두사, 동사를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31]

콩고어 인칭 대명사
대명사번역
Mono
Ngeye
Yandi그/그녀
Kima그것
Yeto / Beto우리
Yeno / Beno너희들
Yawu / Bawu (or Bau)그들
Bima그것들



아래는 현재 시제 '있다'(키콩고어 ''kukala'' 또는 ''kuba'') 동사와 '가지다'(키콩고어 ''kuvua'') 동사의 활용 예시이다.

키콩고어 '있다' 동사 현재 시제 활용
활용
(Mono) ngiena / Mono ngina나는 있다
(Ngeye) wena / Ngeye wina / wuna / una너는 있다
(Yandi) wena / Yandi kena / wuna / una그/그녀는 있다
(Kima) kiena그것은 있다
(Beto) tuena / Yeto tuina / tuna우리는 있다
(Beno) luena / Yeno luina / luna너희들은 있다
(Bawu) bena / Yawu bena그들은 있다
(Bima) biena그것들은 있다



키콩고어 '가지다' 동사 현재 시제 활용
활용
(Mono) mvuidi나는 가지고 있다
(Ngeye) vuidi너는 가지고 있다
(Yandi) vuidi그/그녀는 가지고 있다
(Beto) tuvuidi우리는 가지고 있다
(Beno) luvuidi너희들은 가지고 있다
(Bawu) bavuidi그들은 가지고 있다


9. 1. 명사류

키콩고어는 명사 접두사에 따라 명사를 분류하는 18개의 명사류 체계를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명사류는 단수와 복수로 짝을 이루지만, 지소와 부정사 류는 복수형을 허용하지 않는다.[18][19][20][21][22][23][24][25][26][27][28][29][30]

명사 접두사특징예시
1mu-, n-인간muntu/muuntu/mutu/muutu (사람, 인간)
2ba-, wa-, a-1류의 복수형bantu/baantu/batu/baatu/wantu/antu (사람들, 인간들)
3mu-, n-식물, 무생물 등muti/nti (나무), nlangu (물)
4mi-, n-, i-3류의 복수형miti/minti/inti (나무들), milangu/minlangu (물들)
5di-, li-신체 부위, 채소 등didezo/lideso/lidezu/didezu (콩)
6ma-액체, 5류의 복수형 등madezo/medeso/madeso/madezu (콩들), maza/maamba/mamba/maampa/masi/masa (물)
7ki-, ci- (tchi/tshi), tsi- (ti), i-언어, 무생물 등kikongo/cikongo/tsikongo/ikongo (콩고어), kikuku/cikuuku/tsikûku (부엌)
8bi-, i-, yi-, u-7류의 복수형bikuku/bikuuku/bikûku (부엌들)
9Ø-, n-, m-, yi-, i-동물, 애완동물, 공예품 등nzo/nso (집), ngulu (돼지)
10Ø-, n-, m-, si-, zi-, tsi-9류, 11류의 복수형si nzo/zi nzo/zinzo/tsi nso (집들), si ngulu/zi ngulu/zingulu (돼지들)
11lu-동물, 공예품, 장소, 태도, 특성, 감정 등lulendo (자부심), lupangu/lupaangu (토지)
13tu-7류, 11류의 복수형tupangu/tupaangu (토지들)
14bu-, wu-공예품, 장소, 태도, 특성 등bumolo/bubolo (나태)
15ku-, u-부정사kutuba/kutub'/utuba (말하다), kutanga/kutaangë/utanga (읽다)
15aku-신체 부위kulu (발), koko/kooko (손)
6ma-15a류의 복수형malu (발들), moko/mooko (손들)
4mi-15a류의 복수형miooko/mioko (손들)
16va-, ga- (ha), fa-지소 (근접, 정확)va nzo (집 근처), fa (위에), ga/ha (위에), va (위에)
17ku-지소 (원거, 대략)ku vata (마을에), kuna (저기에)
18mu-지소 (내부)mu nzo (집 안에)
19fi-, mua/mwa-소형어미fi nzo (작은 집), fi nuni (새끼 새), mua (or mwa) nuni (새끼 새)



명사 접두사는 키콩고어 변종에 따라 바뀔 수도 있고 안 바뀔 수도 있다. 예를 들어 7류의 경우, 명사 접두사 ''ci''는 civili, iwoyo 또는 ciladi (lari)에서 사용되고, 명사 접두사 ''ki''는 kisikongo, kiyombe, kizombo, kimanianga 등에서 사용된다.

9. 2. 동사 활용

콩고어 인칭 대명사
대명사번역
Mono
Ngeye
Yandi그/그녀
Kima그것 (사물/동물/물건, 예: 탁자, 칼 등)
Yeto / Beto우리
Yeno / Beno너희들
Yawu / Bawu (or Bau)그들
Bima그것들 (사물/동물/물건, 예: 탁자들, 칼들 등)



모든 키콩고 방언이 동일한 인칭 대명사를 사용하는 것은 아니며, 동사 활용 시 인칭 대명사는 강세 대명사가 된다[31].

현재 시제 '있다'(키콩고어 ''kukala'' 또는 ''kuba''; ''kuena'', ''kwena'', ''kuwena''로도 쓰임) 동사(''mpanga''는 키콩고어) 활용[31]:

키콩고어 '있다' 동사 현재 시제 활용
활용
(Mono) ngiena / Mono ngina나는 있다
(Ngeye) wena / Ngeye wina / wuna / una너는 있다
(Yandi) wena / Yandi kena / wuna / una그/그녀는 있다
(Kima) kiena그것은 있다 (사물/동물/물건, 예: 탁자, 칼 등)
(Beto) tuena / Yeto tuina / tuna우리는 있다
(Beno) luena / Yeno luina / luna너희들은 있다
(Bawu) bena / Yawu bena그들은 있다
(Bima) biena그것들은 있다 (사물/동물/물건, 예: 탁자들, 칼들 등)



현재 시제 '가지다'(키콩고어 ''kuvua''; ''kuba na'' 또는 ''kukala ye''로도 쓰임) 동사(''mpanga''는 키콩고어) 활용:

키콩고어 '가지다' 동사 현재 시제 활용
활용
(Mono) mvuidi나는 가지고 있다
(Ngeye) vuidi너는 가지고 있다
(Yandi) vuidi그/그녀는 가지고 있다
(Beto) tuvuidi우리는 가지고 있다
(Beno) luvuidi너희들은 가지고 있다
(Bawu) bavuidi그들은 가지고 있다



키콩고어에서 시제의 인칭별 활용은 ''동사 접두사''(굵게 표시됨)를 변경하여 이루어진다. 이 ''동사 접두사''는 인칭 대명사이기도 하다. 모든 키콩고 방언이 동일한 동사 접두사와 동사를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10. 어휘

Kiambote, yengekng (kiaku, kienokng) / mbot'akukng / mbotienokng (mboti'enokng) / mbote zenokng / mbotekng / mbotikng / mbotokng / buekekng / buekanukng)는 "안녕하세요, 좋은 아침"을 뜻한다.[32] Malafu, malavukng는 알코올 음료, diambakng는 대마, binkutu, binkutikng는 옷을 의미한다. Ntoto, mutotokng는 흙, 바닥, 땅, 지구를, nsi, tsi, sikng는 국가, 주, 지역을 뜻한다. Vata, gata, divata, digata, dihata, diɣata, bualakng (또는 bwalakng), bual'kng (또는 bwal', bualë, bwalëkng), bula, hata, ɣatakng는 마을, mavata, magata, mahata, maɣata, mala, maalakng는 마을들을 의미한다. Nzokng는 집, zulu, yulu, yilukng는 하늘, 꼭대기, 위를 뜻한다. Maza, masa, mamba, maamba, masi, nlangu, mazi, maampakng는 물, tiya, mbasu, mbawukng는 불, makayakng는 잎(예: 대마 잎)을 의미한다.

Bakala, yakalakng는 남자, 남편, nkento, mukento, nkiento, ncyento, nciento, ntchiento, ntchientu, ntchetu, ntcheetu, ncetu, nceetu, mukietu, mukeetu, mukeetokng는 여자를 뜻한다. Mukazi, nkazi, nkasi, mukasikng는 배우자(아내), mulumi, nlumi, nnunikng는 배우자(남편)를 의미한다. Muanakng (또는 mwanakng) ndumba, ndumbakng는 젊은 여자, 미혼의 젊은 여성을 뜻한다. Nkumbukng / zinakng / li zinakng / dizinakng / liginakng는 이름을 의미한다.[33] Kudia, kudya, kulia, kulyakng는 먹다, kunua, kunwakng는 마시다, nenekng는 크다, fiotikng는 작다를 뜻한다. Mpimpakng는 밤, lumbukng는 낮을 의미한다. Kukovola, kukofola, kukofula, kukoola, kukogola, kukohola, kukosulakng는 기침하다, kuvana, kugana, kuhana, kuɣanakng는 주다, nzola, zolakng는 사랑, luzolo, luzolukng는 사랑, 의지를 뜻한다. Kutanga, kutaangëkng는 읽다, kusoneka, kusonikë, kusonika, kusonik', kutinakng는 쓰다, kuvova, kuta, kuzonza, kutuba, kutub', kugoga, kuɣoɣa, kuhoha, utubakng는 말하다, 이야기하다, kuzola, kutsolo, kuzolo, uzolakng는 사랑하다를 의미한다. Ntangukng는 시간, 태양, 시간을, kuseva, kusega, kuseɣa, kuseha, kusefa, kusefë, kusef', kuseyakng는 웃다, nzambikng는 신, luzitukng는 존경, lufua, lufwakng는 죽음을 뜻한다. Yi ku zolelekng / i ku zolelekng[34] / ngeye nzolelekng / ni ku zololokng (또는 ni ku zolelekng) (Ladildi) / minu i ku zolezekng (Ibindakng) / mi ya ku zolakng (Vilikng) / minu i ku tidikng (Cabindan Yombekng) / mê nge nzololokng (또는 mê nge nzolelekng) (Ladildi) / minu i ku zolezekng (Cabindan Woyokng) / minu i ba ku zolakng (Linji, Lingekng) / mi be ku zol'kng (또는 mi be ku zolëkng) (Vilikng) / me ni ku tirikng (Beembekng) / minu i ku tilikng는 "당신을 사랑합니다"를 의미한다.

요일과 숫자는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요일
키시콩고어와 키잠보어콩고 공화국
border
욤베어
라디(라리)어빌리어[35]이빈다어탄두어키싱곰베어와 키마니앙가어
월요일KyamosikngUn'tôneyomBudukaldi / NsilaldiUn'tônekngTchikundakngKintetekngKiamondekng / Kiantetekng
화요일KyazolekngN'siluyomNkêngeldiN'silukngTchimualikng / TchimwalikngKinzolekngKianzolekng
수요일KyatatukngUn'dukayomMpikaldiUndukkngTchintatukngKintatukngKiantatukng
목요일KyayakngN'soneyomNkôyildiN'sonekngTchinnakngKinyakngKianyakng
금요일KyatanukngBukonzuyomBukônzoldiBukonz'kngTchintanukngKintanukngKiantanukng
토요일KyasabalakngSab'lyomSabaldi / SabalaldiSab'lkngTchisabalakngSabalakngKiasabalakng
일요일KyalumingukngLuminguyomLumînguldi / NsonaldiLumingukngTchilumingukngLumingukngKialumingukng



숫자 (1-10)
키시콩고어와 키잠보어라디(라리)어탄두어솔롱고어욤베어베엠베어빌리어키싱곰베어와 키마니앙가어이빈다어
1MosikngMosildiMosikngMosikng / KosikngMosiyomMosikngMuek'kng / MesikngMosikngMuekakng / Tchimuekakng
2ZolekngZoleldiZolekngZolekngWadiyomBoolokng / BiolekngWalikngZolekngWalikng
3TatukngTatuldiTatukngTatukngTatuyomTatukng / BitatukngTatukngTatukngTatukng
4YakngYaldiYakngYakngYayomNakng / BinakngNakngYakngNakng
5TanukngTanuldiTanukngTanukngTanuyomTaanukng / BitanekngTanukngTanukngTanukng
6SambanukngSambanuldiSambanukngNsambanukng / SambanukngSambanuyomSaambanukng / Saamunukng / SamnekngSamunukngSambanukngSambanukng
7Nsambuadikng (Nsambwadikng) / Nsambuadiakng (Nsambwadiakng)Nsambuadildi (Nsambwadildi)Sambuadikng (Sambwadikng)Nsambuadikng (Nsambwadikng) / Sambuadikng (Sambwadikng)Tsambuadiyom (Tsambwadiyom)TsambekngSambualikng (Sambwalikng)Nsambuadikng (Nsambwadikng) / NsambodiakngSambualikng (Sambwalikng)
8NanakngNanaldi / Mpoomoldi / MpuomôldiNanakngNanakngDinanayomMpoomokngNanakngNanakngNanakng
9Vuakng (Vwakng) / Vuekng (Vwekng)Vualdi (Vwaldi)Vuakng (Vwakng)Vuakng (Vwakng)Divuayom (Divwayom)WakngVuakng (Vwakng)Vuakng (Vwakng)Vuakng (Vwakng)
10KumikngKumildiKumikng / Kumi dimosikngKumikngDikumiyomKumikngKumikngKumikngKumikng



콩고어는 대서양 노예 무역으로 인해 아메리카 대륙으로 전파되었으며, 여러 크리올어에 영향을 주었다. 브라질의 쿠포피아, 콜롬비아의 팔렌케로어, 쿠바의 콩고어/반투어(아프로쿠반 팔로 종교의 예배 언어), 아이티의 아이티 크리올어와 랑가주(아이티 부두 종교의 예배 언어), 수리남의 사라마칸어, 미국의 굴라어와 루이지애나 크리올어 등이 그 예이다.

라리어(Laari)는 콩고 공화국 수도 브라자빌과 그 주변에서 사용되는 콩고어의 방언이다.[39]

11. 콩고어에서 유래한 영어 단어


  • 미국 남부 영어 단어 "goober"(땅콩을 의미)는 콩고어 ''nguba''에서 유래했다.[36]
  • 미국 대중음악에서 "funk" 또는 "funky"라는 단어는 콩고어 ''Lu-fuki''에서 유래했다고 일부 사람들이 말한다.[37]
  • 쿠바 춤인 맘보라는 이름은 "신들과의 대화"를 의미하는 반투어에서 유래했다.
  • 플로리다주 템파의 부시가든즈 템파베이에 있는 롤러코스터 쿰바는 "포효"를 의미하는 콩고어에서 이름을 따왔다.
  • "침팬지"라는 단어는

12. 예시

필로망 쿠볼라(Filomão CUBOLA)에 따르면, 피오테(Fiote)어로 번역된 세계인권선언 제1조는 다음과 같다.[38]

:"''Bizingi bioso bisiwu ti batu bambutukanga mu kidedi ki buzitu ayi kibumswa. Bizingi-bene, batu, badi diela ayi tsi-ntima, bafwene kuzingila mbatzi-na-mbatzi-yandi mu mtima bukhomba.''"

:"모든 인간은 자유롭고 존엄과 권리에 있어 평등하게 태어난다. 인간은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며, 형제애의 정신으로 서로 대해야 한다."[38]

참조

[1] 서적 King Leopold's Ghost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2] 웹사이트 Constitution de 2015 https://mjp.univ-per[...] 2020-12-14
[3] 웹사이트 Constitution de la République Démocratique du Congo https://www.wipo.int[...] 2020-12-14
[4] 서적 Kituba; Basic Course Department of State
[5] 백과사전 Kikongo-Kituba https://www.britanni[...] 2020-12-14
[6] 서적 Bundu dia Kongo, une résurgence des messianismes et de l’alliance des Bakongo? Universiteit Gent, België
[7] 서적 Kongo Political Culture: The Conceptual Challenge of the Particular Indiana University Press
[8] 서적 Le catéchisme kikongo de 1624. Reeédtion critique Brussels
[9] 웹사이트 Dictionary and Grammar of the Kongo Language, as Spoken at San Salvador, the Ancient Capital of the Old Kongo Empire, West Africa: Preface http://www.wdl.org/e[...] 2013-05-23
[10] 서적 Dictionary and grammar of the Kongo language as spoken at San Salvador, the ancient capital of the old Kongo Empire Baptist Missionary Society, The University of Michigan
[11] 서적 Nkanda wa bilekwa bianza uzayulwanga mpangulu ye nkadulu au Svenska missionsförbundet, S.M.S., Matadi
[12] 서적 Dictionnaire kikongo-français, avec une étude phonétique décrivant les dialectes les plus importants de la langue dite Kikongo Librairie Falk fils
[13] 웹사이트 Publications en kikongo Bibliographie relative aux contributions suédoises entre 1885 et 1970 http://www.diva-port[...] 2023-10-31
[14] 문서 Maho 2009
[15] 서적 Fronted-infinitive constructions in Kikongo (Bantu H16): verb focus, progressive aspect and future KongoKing Research Group, Department of Languages and Cultures, Ghent University, Université Libre de Bruxelles
[16] 서적 The Kongo Kingdom: The Origins, Dynamics and Cosmopolitan Culture of an African Pol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서적 L'ancien royaume du Congo et les Bakongo, séquences d'histoire populaire L'harmattan
[18] 서적 ETUDE GRAMMATICALE DE L'IWOYO (ANGOLA) UNIVERSITE RENE DESCARTES PARIS - UFR DE LINGUISTIQUE GENERALE ET APPLIQUEE
[19] 서적 Nominalisations en kìsìkongò (H16): Les substantifs predicatifs et les verbes-supports Vánga, Sála, Sá et Tá (faire) Facultat de Filosofia i Lletres, Universitat Autonoma de Barcelona
[20] 서적 Les classificateurs BU (CL. 14), GA (CL. 16), KU (CL. 17) et MU (CL. 18) dans l’expression de la localisation en kikongo (lari) Institut National des Langues et Civilisations Orientales (INALCO)
[21] 서적 Eléments pour une approche comparée des emprunts lexicaux du civili du Gabon, du Congo-Brazzaville et du Cabinda : proposition d’ un modèle de dictionnaire UNIVERSITE OMAR BONGO – Faculté des Lettres et Sciences Humaines – Département des Sciences du Langage, Libreville
[22] 서적 Grammaire du Kiyombe Edition Goemaere – Bruxelles – Kinshasa
[23] 서적 COURS DE KIKONGO Maison d’éditions AD. WESMAEL-CHARLIER, Namur
[24] 서적 Sur les classes nominales et le nombre dans une langue bantu Cahiers d’Études africaines
[25] 서적 CAMINHOS DA GRAMÁTICA IBINDA Cabinda (Angola)
[26] 서적 Abécédaire du kouilou zaab’ ku tub’ tchi vili L’HARMATTAN
[27] 서적 Corpus lexical dos verbos em iwoyo e português, proposta de um dicionário bilingue de verbos em português e iwoyo Faculdade de Ciências Sociais e Humanas da Universidade NOVA de Lisboa
[28] 서적 DICTIONNAIRE BEEMBE–FRANÇAIS SIL-Congo
[29] 서적 Petit guide d’orthographe et de grammaire KUNYI (KUNI) SIL-Congo
[30] 서적 Gramática da língua do Congo (kikongo) (dialecto kisolongo) Composto e Impresso nas oficinas da Imprensa, Nacional de Angola
[31] 웹사이트 Kikongo grammar, first part https://www.ksludoti[...] 2020-11-25
[32] 문서 Kikongo greetings
[33] 문서 Kongo naming conventions
[34] 문서 Variations of "I love you" in Kikongo
[35] 문서 Old Vili days of the week
[36] 웹사이트 Bartleby.com: Great Books Online -- Quotes, Poems, Novels, Classics and hundreds more http://www.bartleby.[...] 2017-07-21
[37] 서적 Flash Of The Spirit: African & Afro-American Art & Philosophy
[38]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 Fiote (Angola) https://www.ohchr.or[...] 2022-09-07
[39] 논문 ラーリ語動詞アクセント試論 https://hdl.handle.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