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쿠르비타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쿠르비타신은 박과 식물에 포함된 스테로이드 계열의 화학 물질로,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치환기와 이중 결합 위치에 따라 분류된다. 쿠쿠르비타신은 생합성 과정을 통해 생성되며, 유방암 세포 증식 억제 및 간 해독 작용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쿠쿠르비타신은 독성을 포함한 생물학적 특성으로 인해 염증, 암, 심혈관 질환, 당뇨병 등의 치료제 개발을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쿠쿠르비타신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할 경우 '독성 호박 증후군'으로 불리는 식중독을 유발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테로이드성 배당체 - 카란틴
- 독 - 중독
중독은 유해 물질 노출로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상태로, 급성·만성, 외인성·내인성으로 분류되며, 다양한 물질이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예방을 위해 안전 수칙 준수와 응급 처치가 중요하다. - 독 - 백린
백린은 네 개의 인 원자가 정사면체 구조로 결합된 불안정한 분자로, 자연 발화성과 독성을 지니며, 인산 전구체 등으로 사용되지만 백린탄의 성분으로 논란이 된다. - 스테로이드 -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은 세포막 구성 성분이자 스테로이드 호르몬 및 담즙산의 전구체인 지질로, 체내에서 합성되어 리포단백질을 통해 운반되며, 혈중 수치는 심혈관 질환과 관련되어 "나쁜 콜레스테롤"과 "좋은 콜레스테롤"의 균형이 중요하다. - 스테로이드 - 스테로이드 호르몬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콜레스테롤에서 합성되어 생식샘과 부신에서 생성되는 지용성 호르몬으로, 세포 내 수용체와 결합하여 유전자 전사를 조절함으로써 생식 기능, 혈당 조절, 전해질 균형 등 다양한 생리작용을 조절하며, 합성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오남용과 환경호르몬은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쿠쿠르비타신 | |
---|---|
개요 | |
유형 | 트라이테르페노이드 |
맛 | 쓴맛 |
설명 | |
발견 장소 | 박과의 식물에서 발견 |
건강 관련 | |
독성 | 일부는 독성이 있을 수 있음 |
주의사항 | 쓴맛이 강한 호박이나 오이 등은 섭취를 피해야 함 |
잠재적 효능 | 항암 효과에 대한 연구 진행 중 |
추가 정보 | |
관련 질병 | 구토 설사 복통 |
2. 생합성
Zhang 등(2014)은 쿠쿠르비타신 C 생합성 경로에서 9개의 오이 유전자를 확인하고 4가지 촉매 단계를 규명했다.[7] 이들은 또한 잎과 과실에서 각각 이 경로를 조절하는 전사 인자 ''Bl''(쓴 잎)와 ''Bt''(쓴 열매)를 발견했다. Bi 유전자는 전체 식물에 쓴맛을 부여하며, ''애기장대''에서 탈리아놀 생합성과 관련된 유전자 클러스터와 유사한 오페론 유사 유전자 클러스터와 유전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열매의 쓴맛은 Bi와 우성 Bt(쓴 열매) 유전자 모두를 필요로 한다. 재배 오이 열매의 쓴맛이 없는 것은 가축화 과정에서 선택된 대립 유전자 bt에 의해 부여된다. Bi는 옥시도스쿠알렌 시클라제(OSC) 유전자 계열의 구성원이다. 계통 발생 분석에 따르면 Bi는 스쿼시(''서양 호박'', ''Cucurbita pepo'')의 쿠쿠르비타디에놀 합성 효소 유전자 CPQ의 정상 동계 유전자이다.[7]
쿠쿠르비타신은 치환기와 이중 결합의 위치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으며, 실제로는 이러한 유도체도 식물에 포함되어 있다. 쿠쿠르비타신은 피토케미컬 생성 성분으로, 유방암 세포 증식 억제와 간 해독 작용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34]
3. 종류
오이, 멜론, 수박 등의 꼭지 부분에는 쿠쿠르비타신이 소량 포함되어 있어 쓴맛이 거의 느껴지지 않지만,[23] 여주에는 다량 함유되어 있어 모모르데신과 함께 강렬한 쓴맛을 낸다. 유럽에 서식하는 버섯의 일종인 ''Leucopaxillus gentianeus''에도 쿠쿠르비타신 B가 함유되어 쓴맛을 낸다.
수세미오이나 박 등의 일부 줄기에서 드물게 쿠쿠르비타신을 많이 생산하는 경우가 있어, 쓴맛을 참고 섭취하면 식중독(구토, 설사 등)을 유발할 수 있다.[23] 호리병박[23]이나 주키니[24]도 식중독 사례가 있으므로, 쓴맛이 강하게 느껴지면 섭취를 중단하는 것이 안전하다. 모모르데신은 식중독을 일으키는 독성은 없다.
3. 1. 쿠쿠르비타신 A
오이, 멜론, 수박 등의 꼭지 부분에 포함되어 있지만, 일반적으로 함유량이 적어 쓴맛까지는 느껴지지 않는다.[23] 반면, 여주에는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다른 쓴맛 성분인 모모르데신도 포함되어 있어 강렬한 쓴맛의 원인이 된다.
박과 오이속 식물의 일부 등에 포함되어 있다.
3. 2. 쿠쿠르비타신 B
3. 3. 쿠쿠르비타신 C
오이에서 추출되는 Cucurbitacin|쿠쿠르비타신영어 C는 특히 쓴맛이 강하지만 항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3. 4. 쿠쿠르비타신 D
트리코산테스 키릴로비(Trichosanthes kirilowii) 및 쿠쿠르비타 안드레아나(Cucurbita andreana) 등 여러 식물에서 발견된다.[4][8]
박과 가래속의 하늘타리 등에 포함되어 있다.
3. 5. 쿠쿠르비타신 E
쿠쿠르비타신 E(α-엘라테린)는 ''윌브란디아 에브락테아타''의 뿌리에서 발견되는 피토케미컬이다. 벼룩잎벌레에 대한 강력한 섭식 억제제이며, 세포 부착을 억제한다.[4] 쿠쿠르비타 안드레아나와 같은 식물에서도 발견된다.[8]
다음은 쿠쿠르비타신 E 및 관련 화합물이 추출되는 식물들이다.
박과 윌브란디아속 식물의 일부 등에서 발견된다.
3. 6. 쿠쿠르비타신 F
3. 7. 쿠쿠르비타신 G
3. 8. 쿠쿠르비타신 H
쿠쿠르비타신 H는 쿠쿠르비타신 G의 입체 이성질체이며, ''Wilbrandia ebracteata''의 뿌리에서 추출된다.[4]
3. 9. 쿠쿠르비타신 I
쿠쿠르비타신 I(엘라테리신 B)는 ''헴슬레이아 엔데카필라''에서 추출되며 10 mg/72 g,[15] 또한 ''에크발리움 엘라테리움'',[4] ''콜로신스 수박'',[4] ''쿠쿠르비타 안드레아나''[8]에서 추출되며, 벼룩잎벌레의 섭식을 억제한다.[4]
3. 10. 쿠쿠르비타신 J
쿠쿠르비타신 J는 ''쓴냉이(Iberis amara)''에서 발견된다.[4]
3. 11. 쿠쿠르비타신 K
쿠쿠르비타신 K는 쿠쿠르비타신 J의 입체 이성질체이다.[10] 꽃갓냉이속(Iberis amara)에서 유래되었다.[4] 쿠쿠르비타신 K 2-O-β-글루코피라노사이드는 하늘타리속(Trichosanthes tricuspidata)에서 유래되었다.[4]
3. 12. 쿠쿠르비타신 L
쿠쿠르비타신 L 또는 23,24-디히드로쿠쿠르비타신 I[4]
3. 13. 쿠쿠르비타신 O
''Brandegea bigelovii''에서 쿠쿠르비타신 O가 추출되었다.[4]
3. 14. 쿠쿠르비타신 P
쿠쿠르비타신 P는 브란데게아 비겔로비이에서 유래한다.[4] 쿠쿠르비타신 P는 박과 브란데게아 속 식물의 일부 등에 포함되어 있다.
3. 15. 쿠쿠르비타신 Q
박과 브란데게아속 식물의 일부 등에 포함되어 있다.
3. 16. 쿠쿠르비타신 R
쿠쿠르비타신 R은 실제로는 23,24-디하이드로쿠쿠르비타신 D이다.[4]
3. 17. 쿠쿠르비타신 S
브리오니아 디오이카에서 추출된다.[4]
3. 18. 쿠쿠르비타신 T
콜로신스 박(''Citrullus colocynthis'') 열매에서 추출된다.[4]
4. 연구 및 독성
쿠쿠르비타신에 대한 피토케미컬 생성 성분은 유방암 세포증식억제와 간 해독작용에 도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34]
쿠쿠르비타신은 독성을 포함한 생물학적 특성과 염증, 암, 심혈관 질환, 당뇨병 등의 치료제 개발에 잠재적인 약리학적 사용을 위한 기초 연구가 진행 중이다.[4][2][3][16]
쿠쿠르비타신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는 것과 관련된 독성은 때때로 "독성 호박 증후군"이라고 불린다.[17][18] 2018년 프랑스에서 쓴 호박으로 만든 수프를 먹은 여성 2명이 식중독에 걸려 메스꺼움, 구토, 설사 증상을 보였고, 몇 주 후에는 탈모 증상도 나타났다.[19] 쓴 호박 섭취로 인한 중독에 대한 또 다른 프랑스 연구에서도 유사한 급성 질환이 발견되었지만 사망자는 없었다.[20] 식물 내 독소의 높은 농도는 야생 쿠쿠르비타과 종과의 교배 또는 고온 및 가뭄으로 인한 식물 성장 스트레스의 결과일 수 있다.[22]
오이, 멜론, 수박 등의 꼭지 부분에 포함되어 있지만, 일반적으로 함유량이 적어 쓴맛까지는 느껴지지 않는다.[23] 반면, 여주에는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다른 쓴맛 성분인 모모르데신 (momordicin)도 포함되어 있어 강렬한 쓴맛의 원인이 된다. 또한, 유럽에 서식하는 버섯의 일종인 ''Leucopaxillus gentianeus''의 쓴맛 성분으로도 알려져 있다(성분은 쿠쿠르비타신 B).
수세미오이나 박 등의 일부 줄기에서 드물게 쿠쿠르비타신을 많이 생산하는 것이 섞여 유통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자가 재배한 것을 쓴맛을 참으면서 먹은 식중독 사례(구토나 설사 등)도 있다. 이상하게 쓴 것은 먹는 것을 멈추는 것이 안전하다.[23] 식중독 사례에는, 그 외 호리병박[23]이나 주키니[24]에 의한 것도 있다. 모모르데신에는 식중독을 일으키는 독성은 없다.
5. 각주
오이, 멜론, 수박 등의 꼭지 부분에 포함되어 있지만, 일반적으로 함유량이 적어 쓴맛까지는 느껴지지 않는다.[23] 반면, 여주에는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다른 쓴맛 성분인 모모르데신(momordicin)도 포함되어 있어 강렬한 쓴맛의 원인이 된다. 또한, 유럽에 서식하는 버섯의 일종인 ''Leucopaxillus gentianeus''의 쓴맛 성분으로도 알려져 있다(성분은 쿠쿠르비타신 B).
수세미오이나 박 등의 일부 줄기에서 드물게 쿠쿠르비타신을 많이 생산하는 것이 섞여 유통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자가 재배한 것을 쓴맛을 참으면서 먹은 식중독 사례(구토나 설사 등)도 있다. 이상하게 쓴 것은 먹는 것을 멈추는 것이 안전하다.[23] 식중독 사례에는, 그 외 호리병박[23]이나 주키니[24]에 의한 것도 있다. 모모르데신에는 식중독을 일으키는 독성은 없다.
참조
[1]
웹사이트
Gift in Zucchini und Kürbis
https://www.sueddeut[...]
2015-08-21
[2]
논문
Cucurbitacins - a promising target for cancer therapy
2013-01
[3]
논문
Cucurbitacin B and its rapidly emerging role in the management of systemic malignancies besides lung carcinomas
2013-05
[4]
논문
Cucurbitacins and cucurbitane glycosides: structures and biological activities.
2005-06
[5]
논문
Cucurbitacins of Colocynthis vulgaris
https://dx.doi.org/1[...]
1988-01-01
[6]
논문
Cucurbitacins – An insight into medicinal leads from nature
2015-05-05
[7]
논문
Plant science. Biosynthesis, regulation, and domestication of bitterness in cucumber
2014-11
[8]
논문
A new cucurbitacin profile forCucurbita andreana: A candidate for cucurbitacin tissue culture
1993-06
[9]
논문
New cucurbitacins from Phormium tenax and Marah oreganus
1978
[10]
논문
Cucurbitane and hexanorcucurbitane glycosides from the fruits of Cucurbita pepo cv dayangua
2007
[11]
논문
Two new cucurbitane-type triterpenoid saponins isolated from ethyl acetate extract of Citrullus colocynthis fruit
2015
[12]
논문
Cucurbitacins from the Leaves of Citrullus colocynthis (L.) Schrad
2015-09
[13]
논문
Cucurbitacins – An insight into medicinal leads from nature
2015-01-01
[14]
논문
Cucurbitane triterpenoids from Momordica charantia and their cytoprotective activity in tert-butyl hydroperoxide-induced hepatotoxicity of HepG2 cells
2010-12
[15]
논문
Octanorcucurbitane and cucurbitane triterpenoids from the tubers of Hemsleya endecaphylla with HIV-1 inhibitory activity
2008-01
[16]
논문
Cucurbitacins - An insight into medicinal leads from nature
2015
[17]
논문
189. Toxic Squash Syndrome: A case series of diarrheal illness following ingestion of bitter squash, 1999-2011
2012
[18]
웹사이트
Poisoned by Bitter Squash, Two Women Lose Their Hair
https://www.livescie[...]
Live Science
2018-03-28
[19]
논문
Hair Loss Associated With Cucurbit Poisoning
2018-05
[20]
논문
Poisoning by non-edible squash: retrospective series of 353 patients from French Poison Control Centers
2018-08
[21]
논문
Squash Containing Toxic Cucurbitacin Compounds Occurring in California and Alabama
1984-04
[22]
논문
Photosynthetic response of bottle gourd [Lagenaria siceraria (Molina) Standl.] to drought stress: Relationship between cucurbitacins accumulation and drought tolerance
2018
[23]
논문
ゴーヤーより苦いヘチマやユウガオにご注意
http://www.pref.okin[...]
沖縄県衛生環境研究所
2010-06
[24]
논문
ズッキーニによる有症苦情事例の原因物質の解明
https://web.pref.hyo[...]
兵庫県立健康生活科学研究所健康科学研究センター
[25]
웹인용
ゴーヤーより苦いヘチマやユウガオにご注意!
http://www.eikanken-[...]
沖縄県衛生環境研究所
2013-05-16
[26]
뉴스
授業でひょうたん食べ児童17人がおう吐・腹痛
http://www3.nhk.or.j[...]
NHK
2013-07-04
[27]
문서
아주대학교병원-가정의학과,여름 과일로 건강한 여름 나기
http://hosp.ajoumc.o[...]
[28]
문서
Int J Health Sci (Qassim). 2013 Jan; 7(1): 77–89.doi: 10.12816/0006025 PMCID: PMC3612419 PMID: 23559908 Cucurbitacins – A Promising Target for Cancer Therapy Dr. Abdullah A. Alghasham
https://www.ncbi.nlm[...]
[29]
저널
Cucurbitacins - a promising target for cancer therapy
[30]
저널
Cucurbitacin B and Its Rapidly Emerging Role in the Management of Systemic Malignancies Besides Lung Carcinomas
[31]
저널
Cucurbitacin D induces growth inhibition,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in human endometrial and ovarian cancer cells
[32]
저널
Cucurbitacin I elicits anoikis sensitization, inhibits cellular invasion and in vivo tumor formation ability of nasopharyngeal carcinoma cells
[33]
저널
Cucurbitacin Q: A selective STAT3 activation inhibitor with potent antitumor activity
[34]
문서
Cucurbitacin B and cancer intervention: Chemistry, biology and mechanisms (Review)Authors: Sukant Garg Sunil C. Kaul Renu Wadhwa ,Published online on: November 10, 2017 https://doi.org/10.3892/ijo.2017.4203 Pages: 19-37
https://www.spandid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