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덕은 고대 이집트, 그리스, 로마, 인도, 종교, 철학 등 다양한 문화와 시대에 걸쳐 중요한 개념으로 다루어져 왔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마아트가 진실, 정의 등을 의인화했으며,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은 신중함, 용기, 절제, 정의를 사주덕으로 제시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덕을 부족함과 과잉의 중간 상태인 황금 중용으로 정의했다. 로마에서는 'Virtus'를 통해 남자다움, 명예, 시민으로서의 의무를 강조했다.
동양에서는 유교에서 인, 의, 예, 지, 신의 오덕을, 도교에서는 도를 따르는 능력을 덕으로 보았다. 불교에서는 팔정도를 통해 실천적 덕목을 제시하며, 기독교에서는 믿음, 소망, 사랑의 세 가지 신학적 덕을 강조했다. 이슬람교는 신에 대한 복종과 선행을, 유대교는 율법 준수를 덕의 핵심으로 여긴다.
현대 철학에서는 데카르트가 덕을 올바른 추론으로, 칸트가 도덕적 원칙에 따라 행동하는 것으로, 니체가 강자의 덕과 약자의 악덕을 구분하여 설명했다. 벤저민 프랭클린은 13가지 덕목을 제시하며 실천을 강조했다. 현대 심리학에서는 긍정 심리학을 통해 6가지 덕목과 24가지 성격 강점을 제시하여 인간의 건강한 성격을 분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리스토텔레스주의 - 미메시스
미메시스는 고대 그리스어로 모방을 뜻하며, 플라톤은 불완전한 모방으로 비판한 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예술의 본질로 긍정적으로 평가했고, 이후 다양한 분야에서 재해석되어 활용되고 있다. - 아리스토텔레스주의 - 미덕
- 덕 - 정의
정의는 각자에게 그의 몫을 돌려주려는 의지이자 불평등이 없는 상태를 추구하는 가치로, 서양에서는 사법적 의미가, 동양에서는 도덕적 당위성을 포함하며, 권리 행사와 제한에 적용되는 원리이다. - 덕 - 양심
양심은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행동을 결정하는 내적 도덕적 인식으로,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연구되며 개인의 도덕적 판단과 사회적 행동, 그리고 초국가적 문제와도 관련되어 문학과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루어진다. - 철학 용어 - 원질
원질은 물질의 기본 요소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자연과학, 입자물리학, 철학에서 사용되며, 윌리엄 프라우트가 처음 제안했고 현대 입자물리학에서는 쿼크와 렙톤, 철학에서는 아르케, 프라크리티, 법, 오행, 이기, 도 등과 관련된다. - 철학 용어 - 종말론
종말론은 죽음, 심판, 인류와 우주의 궁극적 운명을 다루는 신학 및 철학 분야로, 다양한 종교와 사상에서 독특한 종말관을 제시하며, 종교적 경전 해석, 과학기술 발전, 역사의 법칙성 논의 등과 연관되어 복잡한 해석을 갖는다.
| 덕 | |
|---|---|
| 도덕, 윤리적 가치 | |
| 정의 | 타인에게 공정하고 올바르게 대하는 마음 |
| 관용 | 타인의 생각이나 행동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마음 |
| 용기 | 어려움이나 위험에 맞서는 굳센 마음 |
| 지혜 | 사물의 이치를 깨닫고 옳고 그름을 분별하는 능력 |
| 자제 | 자신의 감정이나 욕망을 억제하는 능력 |
| 인내 | 괴로움이나 어려움을 꿋꿋하게 견디는 마음 |
| 겸손 | 자신을 낮추고 남을 존중하는 태도 |
| 정직 | 진실을 말하고 속이지 않는 태도 |
| 성실 | 맡은 일에 최선을 다하는 태도 |
| 책임감 | 자신의 행동에 책임을 지는 태도 |
| 덕 (德) | |
| 의미 | 사람이 갖추어야 할 바람직한 성향, 도덕적 이상을 실현하는 능력 |
| 특징 | 신뢰와 존경을 얻음 인간 관계 및 조직 운영에 기여 |
| 예시 | 기품 의지 온정 이성 충성 용기 명예 성실 자신감 겸손 건강 낙천주의 |
| 아레테 (ἀρετή) | |
| 의미 | 탁월성, 미덕, 기능적 탁월성, 도덕적 탁월성 등 다양한 의미를 포괄하는 고대 그리스의 개념 |
| 어원 | '최고의 기능' 또는 '특정 목적에 가장 적합한 것'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 |
| 플라톤 | 플라톤은 아레테를 지혜, 용기, 절제, 정의의 네 가지 주요 미덕으로 정의 |
| 아리스토텔레스 | 아리스토텔레스는 아레테를 "영혼의 합리적인 부분의 탁월성"이라고 정의하며, 이는 습관과 실천을 통해 개발될 수 있다고 주장 |
| 비르투스 (virtūs) | |
| 의미 | 용기, 덕, 능력, 탁월성 등을 의미하는 고대 로마의 개념 |
| 어원 | 라틴어 단어 "vir" (남자)에서 파생 |
| 특징 | 남성다움 힘 용기 탁월성 가치 |
| 중요성 | 로마인들에게 비르투스는 훌륭한 시민이자 지도자가 되기 위한 필수적인 자질로 여겨짐 |
2. 역사
고대 이집트인들은 마아트 여신을 통해 진실, 균형, 질서, 법, 도덕, 정의의 덕을 의인화했다.[2] maat|마아트egy라는 단어는 이러한 개념들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마아트는 우주의 질서, 별과 계절의 운행, 인간과 신들의 행동을 규제하는 존재로 여겨졌다. 마아트의 반대 개념은 이세페트로, 혼돈, 거짓, 불의를 상징했다.[3]
고대 그리스의 플라톤은 사주덕으로 신중함(지혜), 용기, 절제, 정의를 제시했다.[4] 특히 신중함(지혜)을 강조하여 다른 덕들을 조화롭게 이끄는 중요한 덕으로 보았다.[6] 아리스토텔레스는 덕을 중용으로 정의하여, 부족과 과잉 사이의 적절한 중간 상태에 있으며 이성적인 판단을 통해 실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0][11]
고대 로마인들은 'Virtus'라는 단어를 통해 남자다움, 명예, 시민의 의무 등을 포함하는 덕의 개념을 발전시켰다.[1] 로마의 덕은 개인적 영역과 공적 영역으로 나뉘어 다양한 덕목들이 강조되었다.[12]
| 라틴어 | 영어 | 설명 |
|---|---|---|
| Abundantia|아분단티아la | 풍요 또는 번영 | 모든 사회 계층에 충분한 식량과 번영이 있다는 이상. 공적 덕목. |
| Auctoritas|아욱토리타스la | 정신적 권위 | 경험, Pietas|피에타스la, Industria|인두스트리아la를 통해 구축된 사회적 지위 감각. 치안 유지를 위한 치안 판사의 능력에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졌다. |
| Comitas|코미타스la | 유머 | 태도의 편안함, 정중함, 개방성 및 친절함. |
| Constantia|콘스탄티아la | 인내 또는 용기 | 군사적 지구력뿐만 아니라 역경에 직면했을 때의 일반적인 정신적, 육체적 인내. |
| Clementia|클레멘티아la | 자비 | 온화함과 부드러움, 그리고 이전의 위반을 제쳐두는 능력. Clementia|클레멘티아la로 의인화됨. |
| Dignitas|디그니타스la | 존엄 | 자존감, 개인적 자존감 및 자기 존중감. |
| Disciplina|디스치플리나la | 규율 | 군사적 우수성에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됨; 또한 법률 시스템 준수 및 시민의 의무 유지. Disciplina|디스치플리나la로 의인화됨. |
| Fides|피데스la | 선한 의지 | 정부와 상업(공공 업무) 모두에서 상호 신뢰와 상호 거래. 위반은 법적 및 종교적 결과를 의미하며 Fides|피데스la로 의인화되었다. |
| Firmitas|피르미타스la | 끈기 | 마음의 강인함, 그리고 흔들리지 않고 손에 든 목적을 고수하는 능력. |
| Frugalitas|프루갈리타스la | 절약 | 생활 방식의 경제성과 단순성. |
| Gravitas|그라비타스la | 진지함 | 당면한 문제의 중요성 감각; 책임감과 진지함. |
| Honestas|호네스타스la | 존경심 | 존경할 만한 사회 구성원으로서 나타내는 이미지와 명예. |
| Humanitas|후마니타스la | 인류 | 세련됨, 문명, 학습, 일반적으로 교양 있는 것. |
| Industria|인두스트리아la | 근면 또는 근면함 | 열심히 일함. |
| Innocencia|인노첸시아la | 이타심 | 인정이나 개인적 이득을 예상하지 않고 베푸는 것. 부패하지 않겠다는 확고한 의지, 개인적 이익을 위해 공직을 남용하는 것을 피하는 것이 중요. |
| Laetitia|라에티티아la | 기쁨 또는 환희 | 감사의 축하, 종종 위기의 해결. 공적 덕목. |
| Nobilitas|노빌리타스la | 고귀함 | 훌륭한 외모의 사람, 명예를 받을 만한 사람, 매우 존경받는 사회적 지위, 그리고 또는 출생의 귀족, 공적 덕목. |
| Justitia|유스티티아la | 정의 | 행위에 대한 도덕적 가치 감각; Iustitia|유스티티아la 여신으로 의인화, 그리스 테미스의 로마 대응물. |
| Pietas|피에타스la | 충실함 | 종교적 경건함 이상; 사회적, 정치적, 종교적으로 자연 질서에 대한 존중. 애국심, 신에 대한 경건한 의무 이행, 다른 인간 존경. |
| Prudentia|프루덴티아la | 신중함 | 선견지명, 지혜, 개인적 분별력. |
| Salubritas|살루브리타스la | 건강 | 일반적인 건강과 청결, Salus|살루스la 신으로 의인화됨. |
| Severitas|세베리타스la | 엄격함 | 자제력, gravitas|그라비타스la의 덕목과 직접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간주됨. |
| Veritas|베리타스la | 진실성 | 다른 사람과의 정직한 거래, Veritas|베리타스la 여신으로 의인화됨. 모든 덕목의 근본으로 여겨짐. |
| Virtus|비르투스la | 남자다움 | 용기, 탁월함, 용기, 인격, 가치. Virla는 라틴어로 "남자"를 의미한다. |
고대 인도에서는 다르마(dharmasa) 또는 아람(aṟamta)이라는 개념을 통해 덕을 설명했다. 바루바르는 쿠랄 문학을 저술하면서 아람(aṟamta)을 덕의 초석으로 삼았으며, 정의를 아람의 한 측면 또는 산물로 간주했다.[13][14] 바루바르는 정의를 신성한 기원이 아닌 보편적인 행복으로 이끄는 조화로운 삶의 방식으로 묘사했다.[13]
중세 유럽 시기,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샤를마뉴는 자신의 대관식에 즈음하여 기사도 덕목 목록을 발표했다.[15]
- 신과 이웃을 사랑하고, 가난한 자와 낯선 이에게 자선을 베풀 것
- 병자와 죄수에게 자비를 베풀고, 어떤 사람에게도 해를 끼치거나 동의하지 말 것
- 용서를 구하고, 포로를 구하며, 억압받는 자를 도울 것
- 과부와 고아의 권리를 옹호하고, 정의로운 판결을 내리며, 어떤 잘못에도 동의하지 말 것
- 분노를 오래 품지 말고, 먹고 마시는 데 과도함을 피하며, 겸손하고 친절할 것
- 주군을 충실히 섬기고, 훔치거나 거짓 맹세를 하지 말 것
- 질투, 증오, 폭력은 인간을 하나님의 왕국으로부터 분리시킨다는 것을 명심할 것
- 교회를 옹호하고 그 권리를 증진할 것
2. 1. 고대 이집트
마아트(또는 마'아트)는 진실, 균형, 질서, 법, 도덕, 정의의 고대 이집트 여신이었다. maat|마아트egy라는 단어는 이러한 개념을 지칭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 마아트는 또한 별, 계절, 인간과 신들의 행동을 규제하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신들은 창조의 순간 혼돈에서 우주의 질서를 세웠다. 그녀의 (이념적) 상대는 이세페트로, 이는 혼돈, 거짓, 불의를 상징했다.[3]
2. 2. 고대 그리스-로마
플라톤은 사주덕으로 신중함(지혜), 용기, 절제, 정의를 제시했다.[4] 그는 특히 신중함(지혜)을 강조하며, 다른 덕목들을 조화롭게 이끄는 중요한 덕으로 보았다.[6] 아리스토텔레스는 덕을 중용(中庸)으로 정의했다.[10] 그는 덕이 부족과 과잉 사이의 적절한 중간 상태에 있으며, 이성적인 판단을 통해 이를 실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1]로마인들은 'Virtus'라는 단어를 통해 남자다움, 명예, 시민의 의무 등을 포함하는 덕의 개념을 발전시켰다.[1] 로마의 덕은 개인적 영역과 공적 영역으로 나뉘어 다양한 덕목들이 강조되었다.[12]
| 라틴어 | 영어 | 설명 |
|---|---|---|
| Abundantia|아분단티아la | 풍요 또는 번영 | 모든 사회 계층에 충분한 식량과 번영이 있다는 이상. 공적 덕목. |
| Auctoritas|아욱토리타스la | 정신적 권위 | 경험, Pietas 및 Industria를 통해 구축된 사회적 지위 감각. 치안 유지를 위한 치안 판사의 능력에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졌다. |
| Comitas|코미타스la | 유머 | 태도의 편안함, 정중함, 개방성 및 친절함. |
| Constantia|콘스탄티아la | 인내 또는 용기 | 군사적 지구력뿐만 아니라 역경에 직면했을 때의 일반적인 정신적, 육체적 인내. |
| Clementia|클레멘티아la | 자비 | 온화함과 부드러움, 그리고 이전의 위반을 제쳐두는 능력. Clementia로 의인화됨. |
| Dignitas|디그니타스la | 존엄 | 자존감, 개인적 자존감 및 자기 존중감. |
| Disciplina|디스치플리나la | 규율 | 군사적 우수성에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됨; 또한 법률 시스템 준수 및 시민의 의무 유지. Disciplina로 의인화됨. |
| Fides|피데스la | 선한 의지 | 정부와 상업(공공 업무) 모두에서 상호 신뢰와 상호 거래. 위반은 법적 및 종교적 결과를 의미하며 Fides로 의인화되었다. |
| Firmitas|피르미타스la | 끈기 | 마음의 강인함, 그리고 흔들리지 않고 손에 든 목적을 고수하는 능력. |
| Frugalitas|프루갈리타스la | 절약 | 생활 방식의 경제성과 단순성. |
| Gravitas|그라비타스la | 진지함 | 당면한 문제의 중요성 감각; 책임감과 진지함. |
| Honestas|호네스타스la | 존경심 | 존경할 만한 사회 구성원으로서 나타내는 이미지와 명예. |
| Humanitas|후마니타스la | 인류 | 세련됨, 문명, 학습, 일반적으로 교양 있는 것. |
| Industria|인두스트리아la | 근면 또는 근면함 | 열심히 일함. |
| Innocencia|인노첸시아la | 이타심 | 인정이나 개인적 이득을 예상하지 않고 베푸는 것. 이 개념의 핵심은 부패하지 않겠다는 확고한 의지, 개인적 이익을 위해 공직을 남용하는 것을 피하는 것이었는데, 이는 개인의 복지뿐만 아니라 공동체의 복지에 해로운 로마적 가치에 대한 심각한 모욕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이다. |
| Laetitia|라에티티아la | 기쁨 또는 환희 | 감사의 축하, 종종 위기의 해결. 공적 덕목. |
| Nobilitas|노빌리타스la | 고귀함 | 훌륭한 외모의 사람, 명예를 받을 만한 사람, 매우 존경받는 사회적 지위, 그리고 또는 출생의 귀족, 공적 덕목. |
| Justitia|유스티티아la | 정의 | 행위에 대한 도덕적 가치 감각; Iustitia 여신으로 의인화, 그리스 테미스의 로마 대응물. |
| Pietas|피에타스la | 충실함 | 종교적 경건함 이상; 사회적, 정치적, 종교적으로 자연 질서에 대한 존중. 애국심, 신에 대한 경건한 의무 이행, 다른 인간, 특히 질서 정연한 사회에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후원자와 고객 관계의 측면에서 존경하는 것에 대한 아이디어를 포함한다. |
| Prudentia|프루덴티아la | 신중함 | 선견지명, 지혜, 개인적 분별력. |
| Salubritas|살루브리타스la | 건강 | 일반적인 건강과 청결, Salus 신으로 의인화됨. |
| Severitas|세베리타스la | 엄격함 | 자제력, gravitas의 덕목과 직접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간주됨. |
| Veritas|베리타스la | 진실성 | 다른 사람과의 정직한 거래, Veritas 여신으로 의인화됨. Veritas는 Virtus의 어머니이기 때문에 모든 덕목의 근본으로 여겨졌고; 정직한 삶을 사는 사람은 덕이 있을 수밖에 없었다. |
| Virtus|비르투스la | 남자다움 | 용기, 탁월함, 용기, 인격, 가치. Virla는 라틴어로 "남자"를 의미한다. |
2. 3. 고대 인도
고대 인도에서는 다르마(dharmasa) 또는 아람(aṟamta)이라는 개념을 통해 덕을 설명했다. 다르마는 신성한 덕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바루바르는 이를 영적인 준수보다는 보편적인 행복으로 이끄는 조화로운 삶의 방식으로 묘사했다.[13] 바루바르는 쿠랄 문학을 저술하면서 아람(aṟamta)을 초석으로 삼았다.[14] 바루바르는 정의를 아람(aṟamta)의 한 측면 또는 산물로 간주했다.[13] 이전에는 정의를 신성한 미스터리로 여기는 사람들도 있었지만, 바루바르는 정의 개념을 정의하는 데 신성한 기원은 필요하지 않다고 주장했다.[13] V. R. Nedunchezhiyan에 따르면, 바루바르에게 정의는 "옳고 그름의 기준에 대한 지식을 가진 사람들의 마음에 깃들며, 마찬가지로 사기는 사기를 낳는 마음에 깃든다."[13]2. 4. 중세 유럽
8세기,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샤를마뉴는 자신의 대관식에 즈음하여 다음과 같은 기사도 덕목 목록을 발표했다.[15]- 신을 사랑하라
- 이웃을 사랑하라
- 가난한 자에게 자선을 베풀어라
- 낯선 이를 환대하라
- 병자를 방문하라
- 죄수에게 자비를 베풀어라
- 어떤 사람에게도 해를 끼치거나, 그런 행위에 동의하지 말라
- 용서를 바라듯이 용서하라
- 포로를 구하라
- 억압받는 자를 도우라
- 과부와 고아의 권리를 옹호하라
- 정의로운 판결을 내리라
- 어떤 잘못에도 동의하지 말라
- 분노를 오래 품지 말라
- 먹고 마시는 데 과도함을 피하라
- 겸손하고 친절하라
- 주군을 충실히 섬기라
- 훔치지 말라
- 거짓 맹세를 하지 말며, 다른 사람도 그렇게 하지 못하게 하라
- 질투, 증오, 폭력은 인간을 하나님의 왕국으로부터 분리시킨다
- 교회를 옹호하고 그 권리를 증진하라.
3. 종교적 전통
고대 로마인들은 '남자'를 뜻하는 virla에서 파생된 라틴어 단어 virtusla를 사용하여 "신체적 강인함, 용감한 행동, 도덕적 정직함 등 남자의 모든 훌륭한 자질"을 가리켰다. 프랑스어 단어 vertu프랑스어와 virtu프랑스어는 이 라틴어 어근에서 유래했다. "virtue"라는 단어는 "13세기에 영어로 차용"되었다".[1]
유교에서 덕은 인간의 도덕적 탁월성을 나타내며, 인, 의, 예, 지, 신의 오덕이나 효, 제, 충의 실천으로 나타난다. 덕은 인간의 도덕성에서 발전하여 통치의 근본 원리로 여겨졌으며, 치세자의 뛰어난 덕에 의한 교화로 질서가 안정된다고 생각했다.[48][49] 전한 시대에 유교는 "유교"라고 불리지 않고, 주로 법가 사상의 법치나 형벌에 대항하는 의미에서 "덕교"라고 불렀다.
도교에서 De중국어 개념은 유교에 비해 더 미묘하며, 도 ("도")를 따름으로써 개인이 실현하는 "덕" 또는 능력을 의미한다.[26] 도교의 덕은, 근본적인 실재인 '''도'''가 만물의 자연을 생성하고 낳아 기르는 로고스의 작용을 나타낸다. 『노자』는 그 이름을 『도덕경』이라고도 한다.
불교 수행은 팔정도에 간략하게 설명되어 있으며, 이는 점진적인 덕목 목록으로 간주될 수 있다.[21] 불교의 네 가지 brahmavihara(범천의 마음)는 유럽적 의미에서 덕목으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덕을 갖추는 것의 정점인 Pāramitāpi(바라밀)가 있다. 불교의 덕에는 성질로서의 덕(guṇa|구나sa), 행위로서의 덕(vṛtta|브릿타sa), 과보로서의 덕(puṇya|푼야sa) 등이 있다.[50]
기독교에서는 믿음, 소망, 사랑을 세 가지 신학적 덕으로 강조한다. 기독교 학자들은 종종 네 가지 고전적인 주요 덕(신중함, 정의, 절제, 용기)을 신학적 덕에 추가하여 칠주덕(七主德)을 제시한다. 기독교 전통에서 용기 또는 강인함은 성령의 선물이다.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에는 죄에 대한 여러 모델이 등장하여 7가지 대죄와 이에 반대되는 칠주덕을 나열했다.
| 악덕 | 라틴어 | 덕 | 라틴어 |
|---|---|---|---|
| 교만 | Superbiala | 겸손 | Humilitasla |
| 시기 | Invidiala | 친절 | Benevolentiala |
| 폭식 | Gulala | 절제 | Temperantiala |
| 색욕 | Luxuriala | 정결 | Castitasla |
| 분노 | Irala | 인내 | Patientiala |
| 탐욕 | Avaritiala | 자비 | Caritasla |
| 나태 | Acediala | 근면 | Industriala |
이슬람교에서 꾸란은 신의 말씀을 담은 글이며, 덕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무함마드는 인간으로서 덕을 실천한 이상적인 본보기로 여겨진다. 이슬람에서 덕은 공동체가 함께 신에게 복종하는 가운데 실천된다. 신자들은 삶의 모든 곳에서 "선행을 명령하고 악행을 금지"해야 한다.(al-amr bi-l-maʿrūf wa-n-nahy ʿani-l-munkarar)[19] 죄와 반대되는 덕은 thawābar (영적 공적 또는 보상)으로 불린다.
유대교에서 하느님을 사랑하고 그분의 율법, 특히 십계명을 지키는 것은 유대교에서 덕을 이야기할 때 핵심이 된다. 랍비 힐렐 하자켄은 황금률에 대한 고전적인 표현을 제시한 1세기 인물이다. 유대교를 가장 간결하게 요약해달라는 요청에 힐렐은 "너에게 혐오스러운 것은 네 이웃에게 행하지 말라. 이것이 토라 전체이다. 나머지는 해설이니 가서 배우라."라고 대답했다.[20]
3. 1. 유교
유교에서 덕은 인간의 도덕적 탁월성을 나타내며, 구체적으로 인, 의, 예, 지, 신의 오덕이나 효, 제, 충의 실천으로 나타난다. 덕은 인간의 도덕성에서 발전하여 통치의 근본 원리로 여겨졌으며, 치세자의 뛰어난 덕에 의한 교화로 질서가 안정된다고 생각했다.[48][49] 전한 시대에 유교는 "유교"라고 불리지 않고, 주로 법가 사상의 법치나 형벌에 대항하는 의미에서 "덕교"라고 불렀다. 유교 사상에서 중요한 규범적 가치는, 출생이 아니라 그 사람의 덕이 나타난 실제 결과에 따라 사회적 지위가 결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3. 2. 도교
도교에서 De중국어 개념은 유교에 비해 더 미묘하며, 도 ("도")를 따름으로써 개인이 실현하는 "덕" 또는 능력을 의미한다.[26] 중국 사상의 중요한 규범적 가치 중 하나는 개인의 사회적 지위가 출생이 아닌, 개인이 보여주는 덕의 양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26]도교의 덕은, 근본적인 실재인 '''도'''가 만물의 자연을 생성하고 낳아 기르는 로고스의 작용을 나타낸다. 『노자』는 그 이름을 『도덕경』이라고도 한다.
3. 3. 불교
불교 수행은 팔정도에 간략하게 설명되어 있으며, 이는 점진적인 덕목 목록으로 간주될 수 있다.[21] 팔정도는 다음과 같다.- 정견: 사성제를 깨달음
- 정사유: 생각을 올바르게 하기
- 정정: 마음의 건전한 집중
불교의 네 가지 brahmavihara(범천의 마음)는 유럽적 의미에서 덕목으로 간주될 수 있다.
- Maitrī|메타pi/Maitrīsa: 모든 사람에 대한 자애. 모든 중생이 예외 없이 행복하기를 바라는 것이다.[22]
- Karuṇāsa: 연민. 모든 중생이 고통에서 벗어나기를 바라는 것이다.[22]
- Muditāpi: 자신이나 타인의 성취에 대한 이타적인 기쁨. 모든 중생의 행복과 덕을 함께 기뻐하는 건전한 태도이다.[22]
- Upekkhāpi/Upekṣāsa: 평정심. 친구, 적, 낯선 사람을 구별하지 않고 모든 중생을 동등하게 대하는 것을 의미한다. 망상, 정신적 둔함 또는 동요에 압도되지 않는 명확하고 평온한 마음 상태이다.[23]
또한 특정 덕을 갖추는 것의 정점인 Pāramitāpi(바라밀)가 있다. 테라바다 불교의 팔리 경전의 ''불교왕사''에는[24] 10 바라밀 (dasa pāramiyopi)이 있다. 대승 불교의 법화경 (''묘법연화경'')에는 6 바라밀이 있으며, 십지경 (''Dasabhumika'') 경에는 4개의 Paramitaspi가 더 열거되어 있다.
불교의 덕에는 성질로서의 덕(guṇa|구나sa), 행위로서의 덕(vṛtta|브릿타sa), 과보로서의 덕(puṇya|푼야sa) 등이 있다.[50]
3. 4. 기독교
기독교에서는 믿음, 소망, 사랑을 세 가지 신학적 덕으로 강조한다. 이 목록은 고린도전서 13:13에서 유래한다. 같은 장에서는 사랑을 이 세 가지 중 가장 큰 것으로 묘사하며, "오래 참고... 온유하며... 시기하지 않으며 자랑하지 않으며, 교만하지 않으며 무례하지 않다."라고 정의한다.[18] 기독교의 사랑은 때로는 자비라고 불리며, 때로는 신과 인류에 대한 사랑을 우정이나 육체적 애정과 같은 다른 종류의 사랑과 구별하기 위해 그리스어 단어 ''아가페''가 사용된다.기독교 학자들은 종종 네 가지 고전적인 주요 덕(신중함, 정의, 절제, 용기)을 신학적 덕에 추가하여 칠주덕(七主德)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이 일곱 가지는 ''가톨릭 교회 교리서'' 1803-1829절에서 설명하는 덕이다. 기독교 전통에서 용기 또는 강인함은 성령의 선물이다.
410년에 아우렐리우스 프루덴티우스 클레멘스는 그의 저서 ''영혼의 싸움''에서 일곱 가지 "천상의 덕"을 나열했는데, 이는 악덕과 덕 사이의 갈등에 대한 우화적 이야기이다. 여기에는 fidesla(믿음), pudicitiala(정절), pacienciala(인내), mens humilisla(겸손), spesla(희망), sobrietasla(절제), ratiola(이성), operatiola(헌신), paxla(평화), concordiala(조화), sapientiala(지혜)가 있었다.[18]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에는 죄에 대한 여러 모델이 등장하여 7가지 대죄와 이에 반대되는 칠주덕을 나열했다.
| 악덕 | 라틴어 | 덕 | 라틴어 |
|---|---|---|---|
| 교만 | Superbiala | 겸손 | Humilitasla |
| 시기 | Invidiala | 친절 | Benevolentiala |
| 폭식 | Gulala | 절제 | Temperantiala |
| 색욕 | Luxuriala | 정결 | Castitasla |
| 분노 | Irala | 인내 | Patientiala |
| 탐욕 | Avaritiala | 자비 | Caritasla |
| 나태 | Acediala | 근면 | Industriala |
3. 5. 이슬람교
이슬람교에서 꾸란은 신의 말씀을 담은 글이며, 덕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무함마드는 인간으로서 덕을 실천한 이상적인 본보기로 여겨진다. 이슬람에서 덕은 공동체가 함께 신에게 복종하는 가운데 실천된다.신자들은 삶의 모든 곳에서 "선행을 명령하고 악행을 금지"해야 한다.(al-amr bi-l-maʿrūf wa-n-nahy ʿani-l-munkarar)[19] 무슬림들은 인류가 신의 뜻을 알고 따를 수 있는 능력을 받았다고 믿는다.
하디스에 따르면 안 나와스 빈 삼안은 "선지자 무함마드는 '덕은 좋은 태도이며, 죄는 의심을 불러일으키고 사람들이 그것을 알기를 바라지 않는 것이다'라고 말했다."라고 전했다.
또한 하디스에서 와비사 빈 마바드는 "나는 신의 메신저에게 가서 그가 나에게 물었다: '덕에 대해 묻기 위해 왔는가?' 나는 그렇다고 대답했다. 그러자 그는 말했다: '그것에 대해 네 마음에 물어보아라. 덕은 영혼을 만족시키고 마음을 편안하게 하는 것이며, 죄는 의심을 일으키고 마음을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니, 비록 사람들이 그것을 합법이라고 선언하고 그런 문제에 대해 반복해서 판결을 내릴지라도 그렇다.'"라고 전했다.
죄와 반대되는 덕은 thawābar (영적 공적 또는 보상)으로 불린다. 덕을 나타내는 다른 이슬람 용어로는 faḍlar ("은혜"), 타크와ar ("경건"), ṣalāḥar ("의로움")이 있다. 무슬림들은 신이 개인의 죄는 용서하지만, 다른 사람에게 잘못하거나 불의를 저지른 것은 피해자만이 용서할 수 있다고 믿는다.
3. 6. 유대교
하느님을 사랑하고 그분의 율법, 특히 십계명을 지키는 것은 유대교에서 덕을 이야기할 때 핵심이 된다. 잠언의 처음 여덟 장에서는 지혜를 의인화하여, 덕의 근원일 뿐만 아니라 하느님의 최초이자 최고의 창조물로 묘사한다.랍비 힐렐 하자켄은 황금률에 대한 고전적인 표현을 제시한 1세기 인물이다. 그는 유대교 전통에서 매우 유명하며, 미쉬나와 탈무드의 발달과 관련이 있어 유대교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으로 꼽힌다. 유대교를 가장 간결하게 요약해달라는 요청에 힐렐은 "너에게 혐오스러운 것은 네 이웃에게 행하지 말라. 이것이 토라 전체이다. 나머지는 해설이니 가서 배우라."라고 대답했다.[20]
4. 현대 철학
고대 로마인들은 'virtus'(virtusla)라는 단어를 사용했는데, 이 단어는 '남자'를 뜻하는 'vir'(virla)에서 유래했으며, "신체적 강인함, 용감한 행동, 도덕적 정직함 등 남자의 모든 훌륭한 자질"을 의미했다. 프랑스어 단어 'vertu'(vertu프랑스어)와 'virtu'(virtu프랑스어)는 이 라틴어 어근에서 유래했다. "virtue"라는 단어는 13세기에 영어로 차용되었다.[1]
벤저민 프랭클린은 "도덕적 완벽"을 추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13가지 덕목을 제시하고 실천했다.[43]
| 번호 | 덕목 | 내용 |
|---|---|---|
| 1 | 절제 | 둔감해질 정도로 먹거나 흥분할 정도로 마시지 않는다. |
| 2 | 침묵 | 다른 사람이나 자신에게 유익한 것만 말하고, 하찮은 대화는 피한다. |
| 3 | 정돈 | 모든 물건은 제자리에 두고, 각 업무는 정해진 시간에 한다. |
| 4 | 결심 | 해야 할 일을 수행하기로 결심하고, 결심한 것은 반드시 실행한다. |
| 5 | 검소 | 다른 사람이나 자신에게 도움이 되는 일에만 돈을 쓰고, 낭비하지 않는다. |
| 6 | 성실 | 시간을 낭비하지 않고, 항상 유용한 일에 종사하며, 불필요한 행동은 하지 않는다. |
| 7 | 성실 | 해로운 속임수를 쓰지 않고, 순수하고 정당하게 생각하며, 말과 행동을 일치시킨다. |
| 8 | 정의 | 피해를 주거나 의무를 소홀히 하여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다. |
| 9 | 중용 | 극단을 피하고, 분노를 적절히 조절한다. |
| 10 | 청결 | 몸, 옷, 거처를 깨끗하게 유지한다. |
| 11 | 평온 | 사소한 일이나 피할 수 없는 사고에 흔들리지 않는다. |
| 12 | 정조 | 건강이나 자손을 위해서만 성행위를 하고, 둔감, 쇠약, 평판에 해를 끼치는 행위는 하지 않는다. |
| 13 | 겸손 | 예수와 소크라테스를 본받는다. |
4. 1. 데카르트
합리주의 철학자 르네 데카르트는 덕을 올바른 추론으로 정의하고, 인간은 최고선을 추구해야 한다고 보았다. 데카르트는 제논을 따라 최고선을 덕과 동일시했는데, 이는 확고한 축복 또는 즐거움을 낳는다고 생각했다.[39] 에피쿠로스는 최고선을 쾌락으로 보았지만, 데카르트는 덕이 육체적 쾌락보다 더 나은 정신적 쾌락을 낳기 때문에 제논의 가르침과 모순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39]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이 운명의 좋은 것에 달려 있다고 보았으나, 데카르트는 이러한 것들이 행복에 기여하지만, 자신의 통제 밖에 있는 경우가 많고, 자신의 정신은 완전히 통제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39]4. 2. 칸트
이마누엘 칸트는 그의 저서 ''미와 숭고의 감정에 대한 관찰''에서 진정한 덕은 일반적으로 믿어지는 것과는 다르다고 말한다. 칸트의 관점에서, 마음이 좋고, 자비로우며, 동정심이 있는 것은 진정한 덕이 아니다. 사람을 진정으로 덕 있게 만드는 것은 도덕적 원칙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다.칸트는 예를 들어 설명한다. 만약 당신이 길에서 어려운 사람을 만났을 때, 당신의 동정심이 당신을 그 사람을 돕도록 이끌었다면, 당신의 그러한 반응은 당신의 덕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다. 이 예에서, 당신은 모든 어려운 사람들을 돕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당신은 부당하게 행동한 것이며, 그것은 원칙과 진정한 덕의 영역 밖에 있는 것이다. 칸트는 진정으로 덕이 있는 사람들을 구별하기 위해 사기질의 접근 방식을 적용한다. 칸트에 따르면, 다양한 기질을 가진 모든 사람들 중에서, 우울한 정신 상태를 가진 사람이 가장 덕이 있으며, 그의 생각, 말, 그리고 행동은 원칙적이다.
4. 3. 니체
프리드리히 니체는 덕을 사람들 간의 계급 질서라는 관점에서 바라보았다. 니체에게 강자의 덕은 약하고 노예적인 사람들에게는 악덕으로 여겨지며, 따라서 니체의 덕 윤리는 주인과 노예 도덕의 구별을 기반으로 한다. 니체는 괴테와 베토벤과 같은 "고귀한 인간"의 덕을 옹호한다. 그가 그들에게서 칭찬하는 덕은 그들의 창조력이다 ("나의 이해에 따르면 진정 위대한 창조력을 가진 사람들, 정말 위대한 사람들"[40]).니체에 따르면 이러한 고귀한 유형의 사람들은 고독하며, "통합 프로젝트"를 추구하고, 자신을 존경하며, 건강하고 삶을 긍정한다.[41] 무리와 섞이는 것은 사람을 비열하게 만들기 때문에 고귀한 유형은 "본능적으로 군중, 다수, 대다수로부터 구원받는 요새와 은밀함을 갈망한다…".[42] "고귀한 유형"은 또한 그들의 삶을 위한 "조직화된 아이디어"의 형태로 "본능적으로 무거운 책임을 추구"하며, 이는 그들을 예술적이고 창조적인 작업으로 이끌고 심리적 건강과 힘을 부여한다.[41] 고귀한 유형이 "건강하다"는 니체의 언급은 신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심리적 회복력과 강인함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고귀한 유형"의 사람은 자신의 삶의 영원 회귀를 기꺼이 받아들이고 이를 영원히 무조건 긍정하기 때문에 삶을 긍정한다.
''선악의 저편''의 마지막 부분에서 니체는 고귀한 덕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고독을 가장 높은 덕 중 하나로 꼽는다.
> 그리고 당신의 네 가지 덕인 용기, 통찰력, 공감, 고독을 통제하라. 고독은 우리에게 덕이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사람들이 접촉하는 것("사회")이 불가피하게 일을 불결하게 만든다는 것을 보여주는 숭고한 깨끗함을 향한 경향과 충동이기 때문이다. 언젠가, 어딘가에서 모든 공동체는 사람들을 "비열하게" 만든다.
니체는 또한 정직함을 덕으로 본다.
> 진정한 정직함, 이것이 우리의 덕이고 우리가 그것을 제거할 수 없다고 가정한다면, 우리 자유 정신들은 – 그렇다면 우리는 우리가 가진 유일한 덕, 즉 우리 자신을 '완벽하게' 만드는 데 지치지 않고, 우리가 가진 모든 사랑과 악의를 가지고 그 위에 작업하기를 원할 것이다. 이 늙어가는 문화와 그 지루하고 암울한 진지함 위에 조롱의 금빛 푸른 저녁 빛처럼 그 영광이 드리워지도록!
4. 4. 벤저민 프랭클린
벤저민 프랭클린은 "도덕적 완벽"을 추구하기 위해 13가지 덕목을 제시하고 실천했다.[43] 그는 각 덕목을 얼마나 잘 지켰는지 매일 확인하기 위해 공책에 체크리스트를 작성했다.이 덕목들은 벤저민 프랭클린의 자서전에 소개되어 있다.
| 번호 | 덕목 | 내용 |
|---|---|---|
| 1 | 절제 | 둔감해질 정도로 먹거나 흥분할 정도로 마시지 않는다. |
| 2 | 침묵 | 다른 사람이나 자신에게 유익한 것만 말하고, 하찮은 대화는 피한다. |
| 3 | 정돈 | 모든 물건은 제자리에 두고, 각 업무는 정해진 시간에 한다. |
| 4 | 결심 | 해야 할 일을 수행하기로 결심하고, 결심한 것은 반드시 실행한다. |
| 5 | 검소 | 다른 사람이나 자신에게 도움이 되는 일에만 돈을 쓰고, 낭비하지 않는다. |
| 6 | 성실 | 시간을 낭비하지 않고, 항상 유용한 일에 종사하며, 불필요한 행동은 하지 않는다. |
| 7 | 성실 | 해로운 속임수를 쓰지 않고, 순수하고 정당하게 생각하며, 말과 행동을 일치시킨다. |
| 8 | 정의 | 피해를 주거나 의무를 소홀히 하여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다. |
| 9 | 중용 | 극단을 피하고, 분노를 적절히 조절한다. |
| 10 | 청결 | 몸, 옷, 거처를 깨끗하게 유지한다. |
| 11 | 평온 | 사소한 일이나 피할 수 없는 사고에 흔들리지 않는다. |
| 12 | 정조 | 건강이나 자손을 위해서만 성행위를 하고, 둔감, 쇠약, 평판에 해를 끼치는 행위는 하지 않는다. |
| 13 | 겸손 | 예수와 소크라테스를 본받는다. |
5. 현대 심리학
긍정 심리학 분야의 선구적인 연구자인 크리스토퍼 피터슨과 마틴 셀리그만은 건강하고 안정적인 성격을 구성하는 요소보다 기능 장애에 초점을 맞추는 심리학의 경향에 내재된 결함을 인식하고, "성격 강점과 미덕" 목록을 개발하기 시작했다.[45] 3년간의 연구 끝에 24가지 특성이 "문화 전반에서 놀라울 정도로 유사하며, 역사적, 문화적 수렴을 강력하게 시사[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 여섯 가지 미덕 범주는 용기, 정의, 인간애, 절제, 초월, 지혜이다. 일부 심리학자들은 이러한 미덕들을 더 적은 범주로 묶을 수 있다고 제안한다. 예를 들어, 동일한 24가지 특성은 단순히 인지 강점, 절제 강점, 사회적 강점으로 분류될 수 있다.[46]
참조
[1]
서적
The Merriam-Webster new book of word histories
https://archive.org/[...]
Merriam-Webster Inc.
[2]
서적
Maat, the Moral Ideal in Ancient Egypt: A study in classical African ethics
Routledge
[3]
서적
Cosmos, Chaos and the World to Come: The Ancient Roots of Apocalyptic Faith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3]
서적
Religion and Cultural Memory
https://archive.org/[...]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6
[4]
학술지
Review of ''Virtues and Vices and Other Essays in Moral Philosophy''
[5]
웹사이트
Cardinal Virtues of Plato, Augustine and Confucius
http://www.theplaton[...]
[6]
서적
The Virtue of Prudence
Peter Lang
[7]
학술지
The cardinal virtues and Plato's moral psychology
[8]
학술지
The Unity of the Virtues in the ''Protagoras''
1972-03-00
[9]
서적
Meno
[10]
서적
Nicomachean Ethics
https://standardeboo[...]
[11]
서적
The Cambridge Dictionary of Philoso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12]
웹사이트
Roman virtues
http://www.novaroma.[...]
2022-05-04
[13]
서적
First All India Tirukkural Seminar Papers
University of Madras
[14]
서적
Why Should Thirukkural Be Declared the National Book of India?
Unique Media Integrators
2017-02-00
[15]
웹사이트
The origins of Chivalry
http://www.baronage.[...]
2018-11-17
[16]
서적
ʻAbdu'l-Bahá: The Centre of the Covenant of Baháʼu'lláh
https://archive.org/[...]
George Ronald
[17]
웹사이트
The Covenant and Covenant-breaker
http://bahai-library[...]
2006-06-14
[18]
서적
Allegories of the Virtues and Vices in Mediaeval Art
https://archive.org/[...]
W.W. Norton & Company
[19]
백과사전
Encyclopaedia of Islam Online
Brill Publishers
2009
[20]
문서
Babylonian Talmud
[21]
서적
Encyclopedia of Buddhism
https://books.google[...]
Routledge
[22]
웹사이트
Buddhist Studies for Secondary Students, Unit 6: The Four Immeasurables
https://www.buddhane[...]
Buddhanet.net
2014-01-01
[23]
웹사이트
A View on Buddhism, The four immeasurables: Love, Compassion, Joy and Equanimity
http://buddhism.kala[...]
2006-08-19
[24]
서적
The Pali Text Society's Pali-English Dictionary
1921
[24]
웹사이트
A Treatise on the Paramis, from the Commentary to the Cariyapitaka
https://www.accessto[...]
2005
[25]
학술지
The evolution of the pre-Confucian meaning of jen and the Confucian concept of moral autonomy
[26]
서적
Religion in Chinese Society: a study of contemporary social functions of religion and some of their historical factor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1
[27]
웹사이트
The Analects of Confucius: Lunyu II.1 (17)
http://www.afpc.asso[...]
[28]
서적
Comparative Ethics in Hindu and Buddhist Traditions
Motilal Banarsidass Publ.
1978
[29]
서적
The Evolution of Hindu Ethical Ideal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Hawaii Press
[29]
서적
Encyclopedia of Ethics
Routledge
[30]
서적
Dharma: Hindu Approach to a Purposeful Life
Periplus Line LLC
2013-11-00
[31]
웹사이트
puNya
http://spokensanskri[...]
2010
[32]
서적
What Is Hinduism?
Himalayan Academy Publications
[33]
서적
Classical Indian Ethical Thought: A Philosophical Study of Hindu, Jaina, and Buddhist Morals
https://archive.org/[...]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34]
학술지
Bhagavad Gītā as Duty and Virtue Ethics
[34]
서적
Hinduism
Mittal Publications
1993-01-01
[35]
학술지
The Concept in Hinduism of 'Just War'
[35]
학술지
Comparing the Golden Rule in Hindu and Christian Religious Texts
[36]
서적
The Pacifist Impulse in Historical Perspectiv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96-01-01
[37]
웹사이트
5 Fundamentals of Jainism Sri
https://medium.com/b[...]
2017-06-03
[38]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Sikh Studies
Oxford University Press
[39]
서적
Descartes. His moral philosophy and psychology
https://archive.org/[...]
New York University Press
[40]
서적
The Will to Power
Vintage
[41]
백과사전
Nietzsche's Moral and Political Philosophy
https://plato.stanfo[...]
[42]
서적
Beyond Good and Evil
Vintage
[43]
서적
The Autobiography of Benjamin Franklin
[44]
서적
Emotion and Psyche
John Hunt Publishing
2010-09-16
[45]
서적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46]
학술지
The structure of virtue: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dimensionality of the virtues in action inventory of strengths
Elsevier BV
[47]
웹사이트
徳とは
https://kotobank.jp/[...]
[48]
서적
金文形義通解
中文出版社
[49]
서적
西周金文字詞関係研究
上海古籍出版社
[50]
서적
広説佛教語大辞典
(불명)
[51]
웹사이트
功徳
https://kotobank.jp/[...]
[52]
백과사전
덕
[[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세계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