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크립테이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립테이아는 고대 스파르타에서 아고게 훈련을 마친 젊은이들이 스파르타 전사로서의 자질을 시험받는 제도였다. 이들은 헤일로타이를 감시하고 억압하며, 폭동을 예방하고 인구를 통제하는 역할을 했다. 크립테이아의 활동 시기와 방식에 대해서는 여러 기록이 존재하며, 플라톤은 낮과 밤 모두 활동했다고 묘사한 반면, 플루타르코스는 밤에 활동하며 헬롯을 죽였다고 기록했다. 크립테이아는 군사적 역할 외에도 통과 의례적 성격을 지니며, 현대 대중문화에서도 종종 언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스파르타의 문화 - 라코닉
    라코닉은 스파르타인들의 간결한 언어 사용 방식에서 유래하여 핵심을 벗어나지 않는 화법을 의미하며, 메시지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는 효율적이고 철학적인 의사소통 방식이다.
  • 고대 스파르타의 문화 - 아고게
    아고게는 고대 스파르타에서 국가가 주도한 엄격한 군사 훈련 제도로, 소년들이 공동 생활하며 혹독한 훈련을 통해 복종, 인내,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여 강력한 군사력을 유지하는 스파르타 사회의 교육 시스템이었다.
  • 고대 스파르타의 군사 - 아르키다모스 2세
    아르키다모스 2세는 할아버지 레오튀키다스가 추방된 후 스파르타의 왕이 되었으며, 펠로폰네소스 전쟁 이전 수년간 왕으로 재위하며 페리클레스와 30년 평화 조약을 맺고 펠로폰네소스 전쟁 발발 전 협상에 참여했으나 실패하여 아티카를 침공하다 기원전 427년경 사망했다.
  • 고대 스파르타의 군사 - 호플리테스
    호플리테스는 고대 그리스의 중장보병을 일컫는 말로, 팔랑크스 대형을 이루어 전투를 벌였으며, 시민의 의무로서 갑옷, 방패, 창, 검 등의 장비를 갖추고 싸웠다.
  • 비밀경찰 - 중화인민공화국 국가안전부
    중화인민공화국 국가안전부는 중국 공산당의 지시를 받아 국내외 안보 위협에 대응하고 중국 사회주의 체제를 수호하는 중국 정부의 정보기관으로, 국내 반체제 세력 탄압 및 정보 통제, 국외 정보 수집 및 사이버 첩보 활동 등을 수행하며 논란이 되고 있다.
  • 비밀경찰 - 게슈타포
    게슈타포는 1933년 헤르만 괴링이 프로이센 비밀경찰을 재편성하여 나치 독일의 비밀 국가 경찰로 설립되었으며, 하인리히 힘러의 SS 보안국 하부 기관으로 편입 후 반체제 인사 탄압, 정치적 반대파 감시, 유대인 대량 학살 등에 관여하며 나치 공포 정치의 핵심 기관으로 활동, 전후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범죄 조직으로 규정되었다.
크립테이아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그리스어 명칭κρυπτεία (크립테이아)
로마자 표기Krypteia
라틴어 명칭Krypteia
성격무장 청년 비밀 조직
은밀한 작전 수행
활동 시기고대 스파르타
주요 역할헬롯 감시 및 통제
성년 의례 수행
군사 훈련
조직 및 구조
구성원스파르타 청년 (에페보이)
선발 방식매년 선발
엄격한 기준 적용
활동 기간1년
지휘 체계불분명
활동 내용
주요 임무헬롯에 대한 폭력 행사
헬롯 사회 불안정 유발
헬롯 반란 억제
스파르타 시민 의식 강화
은밀 작전야간 습격, 매복, 암살 등
군사 훈련전투 기술 연마
생활 방식생존 기술 훈련
자급자족 생활
은신 및 추적 기술 연마
역사적 맥락
배경스파르타 사회의 특성
헬롯 계급과의 갈등 심화
스파르타 청년 교육 과정의 일부
목적헬롯에 대한 공포감 조성
스파르타 지배 체제 유지
청년들의 전투 능력 향상
존속 시기고대 스파르타 사회 존속 기간과 유사
리쿠르고스 법의 일부로 추정
평가스파르타 체제의 중요한 요소
윤리적 논쟁의 대상
참고 문헌
참고 자료니컬러스 카틀리지의 저서
매시모 나피시의 저서

2. 역사와 기능

크립테이아는 고대 스파르타의 비밀스러운 조직으로, 그 역사와 기능에 대해 여러 기록과 해석이 존재한다. 크립테이아에 대한 기록은 주로 플루타르코스플라톤의 저술에서 찾아볼 수 있다.

플루타르코스는 《영웅전》의 〈리쿠르고스의 일생〉에서 크립테이아에 대해 상세히 묘사하고 있다.[30] 그는 크립테이아가 리쿠르고스의 법령 중 하나였을 가능성을 제기하면서도, 이 제도로 인해 리쿠르고스와 그의 정부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가 생겼을 것이라고 언급한다. 플루타르코스는 관리들이 때때로 젊은이들 중 가장 능숙한 자들을 비밀리에 시골로 파견하여 단검과 필수품만을 가지고 다니게 했으며, 낮에는 외딴 곳에 숨어 있다가 밤에는 헬롯들을 살해했다고 기록했다.

플라톤은 《법률》에서 크립테이아를 "놀라울 정도로 혹독한 강인함 훈련"이라고 언급하며, 젊은이들이 겨울에 맨발로 다니고 이불 없이 자며 스스로를 돌보고 밤낮으로 시골을 돌아다녔다고 묘사했다.[27][1]

헤로도토스투키디데스 또한 크립테이아를 암시하는 기록을 남겼다. 헤로도토스는 "스파르타인들은 밤에 죽인 자들을 죽였지만, 낮에는 아무도 죽이지 않았다"고 썼으며,[26] 투키디데스는 펠로폰네소스 전쟁 8년 차에 대한 기록에서 스파르타인들이 헬롯들의 수와 완고함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2,000명의 헬롯들을 제거했다고 언급했다.

이러한 기록들을 바탕으로, 크립테이아는 스파르타 사회에서 헬롯 인구를 통제하고 반란을 억압하는 기능을 수행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크립테이아의 정확한 기원과 운영 방식, 그리고 그 잔혹성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남아있다.

2. 1. 운영 방식

아고게에서 우수한 성적으로 훈련을 마친 일부 스파르타 젊은이들은 크립테이아를 통해 자신의 능력을 시험하고 전사로서의 가치를 증명할 기회를 얻었다.[38]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가을마다 스파르타의 에포로스헤일로타이에게 선전포고를 하여 스파르타 시민들이 처벌 없이 헤일로타이를 죽일 수 있게 하였다.[38] 밤이 되면 선발된 크립테스(크립테이아 요원)는 칼을 휴대한 채 라코니아 교외로 파견되어 마주치는 헤일로타이를 살해하고 필요한 식량을 획득했다. 이러한 관행은 헤일로타이의 폭동을 예방하고 인구를 억제하기 위한 것이었다.

크립테이아에 대한 여러 견해가 존재하는데, 플루타르코스와 헤라클레이데스 렘보스 등은 크립테이아를 일종의 비밀경찰로 보았다.[2] 이들은 스파르타의 지배 계급이 라코니아 시골을 순찰하고 비밀 살인을 통해 헤일로타이를 공포에 떨게 하기 위해 조직한 국가 안보 부대로 간주했다. 반면, 헤르만 쾨흘리와 빌헬름 막스무트를 포함한 다른 학자들은 크립테이아를 아테네의 ''에페비아''와 유사한 군사 훈련의 한 형태로 보았다.[3][4]

크립테이아 대원은 21세에서 30세 사이의 상류층 스파르타 남성으로, "가장 지능이 뛰어나다고 판단된 자들"로 선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 이들은 ''헤보네스''로 불렸으며, 스파르티아트 시민권에 앞서는 여러 사회적 범주 중 하나였다.[5] 이들은 아고게 훈련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스파르타 관리들이 미래의 잠재적 지도자로 지목한 자들이었다.[5]

플라톤에 따르면, ''크립타이''들은 겨울에도 신발을 신지 않고 숙소 없이 잠을 잤으며, 감독 없이 생존을 위해 자신에게만 의존했다.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이들이 특정 시기에 감시하는 수행원들을 두었을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한다.[11] 크립테이아 복무 기간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플라톤의 『법률』 주석서를 바탕으로 1년 복무가 요구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6][7]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크립테이아는 스파르타의 입법가 리쿠르고스가 설립했다.[8] 매년 가을, 스파르타의 에포로이는 헤일로타이 인구에 대한 전쟁을 선포했고, 이는 크립타이들이 처벌의 두려움 없이 헤일로타이를 사냥할 수 있게 하였다.[10] 선발된 크립타이들은 단검으로 무장하고 시골로 보내졌으며, 길을 가거나 풍족하다고 여겨지는 밭을 일구는 헤일로타이를 만나면 죽이라는 지시를 받았다. 이들은 특히 가장 강한 헤일로타이를 죽이고 필요한 음식을 가져가라는 지시를 받았다.[11]

이러한 관행은 헤일로타이의 반란 위협을 방지하고 인구를 통제하기 위한 것으로, 크립타이는 헤일로타이 마을과 주변 시골을 배회하며 노예 인구를 감시하고 불안과 반란을 예방 및 억압했다.

크립테이아의 활동 시간대에 대해 플라톤은 낮과 밤 모두 활동했다고 묘사한 반면,[13] 플루타르크는 낮에는 숨어 있다가 밤에 활동하여 만나는 헤일로타이를 죽였다고 말한다.[15] 이는 헤일로타이들이 스파르타인들이 제정한 통행금지법을 준수해야 했음을 시사한다.[14] 문제를 일으킨 헤일로타이들은 즉결 처형될 수 있었다. 이러한 잔혹한 탄압은 스파르타 엘리트가 노예 농민 인구를 성공적으로 통제할 수 있게 했다.

플루타르크는 리쿠르고스가 스파르타 헌법에 그러한 가혹한 관습을 포함시켰을 것이라고 확신하지 못했고, 크립테이아가 있다면 기원전 460년대 중반 스파르타 지진으로 인한 헤일로타이 반란 이후에 도입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1][15] 스파르타인들과 메세니아인들 사이의 10년간의 갈등에 앞서 스파르타 지도부는 전쟁에 참여한 2,000명의 헤일로타이를 은밀히 살해했는데, 크립테이아가 이 학살의 주범이었거나 실행에 관여했을 것이라고 추정된다.[14]

2. 2. 논란과 비판

크립테이아를 둘러싼 논쟁은 주로 크립테이아를 언급하는 몇 안 되는 기존 문헌들의 상이한 설명과 크세노폰의 《라케다이몬인의 정치제도》에 관련 언급이 전혀 없다는 사실에서 비롯된다.

Πλούταρχος|플루타르코스grc와 헤라클레이데스 렘보스(둘 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분실된 저서를 출처로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음) 및 일부 학자들(앙리-알렉상드르 발롱 등)은 크립테이아를 일종의 비밀경찰—스파르타 지배 계급이 라코니아 시골을 순찰하고 비밀 살인을 통해 헤로트들을 공포에 떨게 하기 위해 조직한 국가 안보 부대—로 보았다.[2] 반면 헤르만 쾨흘리와 빌헬름 막스무트를 포함한 다른 학자들은 이것을 아테네의 ''에페비아''와 유사한 군사 훈련의 한 형태로 보았다.[3][4]

플라톤에 따르면, ''크립타이''들은 겨울 동안 신발을 신지 않았고, 숙소 없이 잠을 잤으며, 감독 없이 생존을 위해 오직 자신에게만 의존했다. 일부 학자들은 그들이 특정 시간에 그들을 감시하는 수행원들을 두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11]

크립테이아 복무 기간은 대체로 알려지지 않았지만, 플라톤의 《법률》 주석서를 기반으로 1년 복무가 요구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6][7]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크립테이아는 리쿠르고스에 의해 설립되었다.[8] 하지만, 그 설립 시기에 대한 기록은 없다.[9] 매년 가을, 스파르타의 에포로이헬롯 인구에 대한 전쟁을 선포했고, 이는 그들이 처벌의 두려움 없이 헬롯을 사냥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10] 선발된 크립타이들은 단검으로 무장하고 시골로 보내졌으며, 길을 가거나 너무 풍족하다고 여겨지는 밭을 일구는 헬롯을 만나면 죽이라는 지시를 받았다. 그들은 특히 가장 강한 헬롯을 죽이고 필요한 음식을 가져가라는 지시를 받았다.[11]

이러한 관행을 채택한 이유는 혹사당하는 헬롯들의 억눌린 공격성을 줄이기 위한 것이었을 수 있다. 하지만 가장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견해는 헬롯의 반란 위협을 방지하고 그들의 인구를 통제하기 위해 채택되었다는 것이다. 일부 자료에 따르면, 크립타이는 헬롯 마을과 주변 시골을 배회하며 노예 인구를 감시했다.[12] 그들의 임무는 불안과 반란을 예방하고 억압하는 것이었다.

또 다른 논쟁점은 크립테이아가 활동했던 시간대이다. 플라톤은 그들이 낮과 밤 모두 활동했다고 묘사했다.[13] 반대로, 플루타르코스는 그들이 낮에는 숨어 있다가 밤에 활동하여 만나는 헬롯을 죽였다고 말한다.[15] 이는 헬롯들이 스파르타인들이 제정한 통행금지법을 준수해야 했음을 시사한다.[14]

문제를 일으킨 헬롯들은 즉결 처형될 수 있었다. 헬롯에 대한 이러한 잔혹한 탄압은 스파르타 엘리트가 노예 농민 인구를 성공적으로 통제할 수 있게 했다. 또한 크립테스(kryptēs)가 붙잡히면 채찍질을 받았기 때문에, 스파르타인들의 은밀함에 대한 명성에도 기여했을 수 있다.[12]

아리스토텔레스의 상실된 기록은 수 세기 후 플루타르크에 의해 부분적으로 부정되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기록에 대해 알려진 많은 내용을 제공하는 플루타르크는 리쿠르고스가 스파르타 헌법에 그러한 가혹한 관습을 포함시켰을 것이라고 확신하지 못했고, 크립테이아가 있다면 기원전 460년대 중반 스파르타의 지진으로 인한 헬롯 반란 이후에 도입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1][15] 스파르타인들과 메세니아인들 사이의 10년간의 갈등(헬롯 반란의 결과)에 앞선 사건에서 스파르타 지도부는 전쟁에 참여한 2,000명의 헬롯을 은밀히 살해했다. 크립테이아가 이 학살의 주범이었거나 적어도 그 실행에 어떤 식으로든 관여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14]

3. 군사적 역할

아고게를 우수하게 마친 일부 스파르타 젊은이들은 ‘크립테이아’를 통해 그들의 군사적 기술을 시험하고, 스파르타 전사로서의 가치를 증명할 기회를 얻었다.[38]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가을마다 스파르타의 에포로스헤일로타이에게 선전포고를 했다. 이는 스파르타 시민들이 처벌의 걱정 없이 헤일로타이를 죽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었다.[38] 밤이 되면, 선발된 크립테스(크립테이아 요원)는 라코니아 교외로 파견되어 마주치는 헤일로타이를 죽였다. 이들은 칼을 휴대하고 필요한 식량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관행은 헤일로타이의 폭동을 예방하고 인구를 억제하기 위한 것이었다.

크리프테이아를 둘러싼 논쟁은 크리프테이아를 언급하는 소수의 기존 텍스트에서 제시된 상이한 설명과 크세노폰의 『라케다이몬인의 정치제도』가 이를 전혀 언급하지 않는다는 사실에서 비롯된다.

플루타르코스와 헤라클레이데스 렘보스(둘 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분실된 저서를 출처로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음) 및 일부 학자들은 크리프테이아를 일종의 비밀경찰로 보았다.[2] 이는 스파르타의 지배 계급이 라코니아 시골을 순찰하고 비밀 살인을 통해 헤로트들을 공포에 떨게 하기 위해 조직한 국가 안보 부대였다. 반면, 헤르만 쾨흘리와 빌헬름 막스무트를 포함한 다른 학자들은 이것을 아테네의 ''에페비아''와 유사한 군사 훈련의 한 형태로 보았다.[3][4]

크리프테이아의 대원들은 아마도 21세에서 30세 사이의 상류층 스파르타 남성들로, "가장 지능이 뛰어나다고 판단된 자들"로 선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 이들은 ''헤보네스''로 알려져 있었으며, 완전한 스파르티아트 시민권에 앞서는 여러 사회적 범주 중 하나였다. 이들은 아고게에서의 훈련을 성공적으로 마쳐 스파르타 관리들이 미래의 잠재적인 지도자로 지목한 자들이었다.[5]

플라톤에 따르면, ''크리프타이''들은 겨울 동안 신발을 신지 않았고, 숙소 없이 잠을 잤다. 플라톤은 그들을 감독 없이 생존을 위해 오직 자신에게만 의존하는 존재로 묘사한다. 일부 학자들은 그들이 특정 시간에 그들을 감시하는 수행원들을 두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11]

크리프테이아에서의 복무 기간은 대체로 알려지지 않았지만, 플라톤의 『법률』의 주석서를 기반으로 1년의 복무가 요구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6][7]

플루타르크는 그의 저서 『클레오메네스』에서 크립테이아를 스파르타 군대의 한 부대로 묘사한다.[16] 호플리트 병사들이 갑옷을 착용하고 팔랑크스의 일부로 활동한 반면, 크립테이아 대원들은 단독으로 활동했고, 종종 낮에는 휴식을 취했으며, 아마도 나체 상태였고 단검만을 무기로 사용했을 것이다.[1] 셀라시아 전투 당시 스파르타 왕 클레오메네스 3세는 크립테이아 사령관 다모텔레스를 불러 그의 군대 후방과 측면의 상황을 관찰하고 알아보도록 명령했다.[17][18][19]

플루타르크의 기록과는 달리 아리스토텔레스와 플라톤의 기록은 크립테이아의 기능에 대한 전혀 다른 이해를 제공하기 때문에 여러 학자들은 크립테이아의 군대 내 역할에 대해 추측해왔다.[20] 플루타르크의 기록 때문에 크립테이아는 정찰, 특수 작전 또는 심지어 군사 경찰 부대로 묘사되어 왔다.[19][20] 그러나 장 뒤카는 아리스토텔레스와 플라톤으로부터 알려진 크립테이아에 대한 이해와 더 이상 플루타르크의 자료를 연관시켜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그는 크립테이아를 스파르타 군대의 하나의 부대로 정의하는 별개의 이해가 존재한다고 제안한다.[21]

플루타르크의 크립테이아에 대한 기록은 이 조직을 사령관이 있는 군사 부대로 묘사하는데, 이는 크립테이아가 독립적이고 감독관이 없다고 묘사한 아리스토텔레스와 플라톤의 해석과는 다르다. 뒤카는 또한 플루타르크의 기록에서 크립테이아가 맡은 관찰 임무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한다.[20] 즉, 크립테이아의 임무가 관찰이나 정보 제공이 아니라 고의적으로 헤로트들을 찾아내어 죽이는 것이었다는 아리스토텔레스와 플라톤의 해석과 다르다.

셀라시아 전투는 크립테이아의 해체 가능성에 대한 시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간주된다.[22] 클레오메네스 3세는 스파르타 혁명이 위기에 처하자 돈과 군 복무를 대가로 헤로트들을 해방하기 시작했다.[23] 많은 헤로트들의 해방과 스파르타의 셀라시아 전투에서의 패배로 헤로트 제도는 사라졌고, 명령에 따라 헤로트 인구가 없어지면서 크립테이아도 존재하지 않게 되었어야 했다. 하지만 셀라시아 전투 이후 크립테이아가 해체되었다는 것은 단지 추측일 뿐이다.[24]

플루타르크는 그의 『영웅전』 중 『리쿠르고스의 일생』에서 크리프테이아에 대해 언급했다.[30] 또한 『영웅전』에는 셀라시아 전투 당시 크리프테이아, 또는 적어도 크리프테이아의 지휘관이었던 인물에 대한 언급이 있을 수 있다.[31][32][33]

4. 의례적 성격

플루타르코스와 헤라클레이데스 렘보스(둘 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분실된 저서를 출처로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음) 등 일부 학자들은 크립테이아를 일종의 비밀경찰로 보았다. 이들은 크립테이아가 스파르타의 지배 계급이 라코니아 시골을 순찰하고 비밀 살인을 통해 헤로트들을 공포에 떨게 하기 위해 조직한 국가 안보 부대라고 주장했다.[2] 반면, 헤르만 쾨흘리(1815-1876)와 빌헬름 막스무트(1784-1866)를 포함한 다른 학자들은 크립테이아를 아테네의 ''에페비아''와 유사한 군사 훈련의 한 형태로 보았다.[3][4]

프랑스 역사가 앙리 장메르는 크립테이아의 비체계적이고 은밀한 활동이 스파르타 호플리트들의 규율 있고 질서 정연한 공동체 생활((Homonoia) 참조)과는 다르다고 지적한다. 장메르는 크립테이아가 고전적인 군사 조직보다 앞선 통과 의례였을 가능성을 제시하며, 스파르타의 전설적인 종교적 보수주의를 통해 보존되었을 수 있다고 말한다. 그는 일부 아프리카 비밀결사(늑대인간과 표범인간)의 입회식 의례와 비교한다.[25] 크립테이아 구성원들은 기관의 일원으로 복무하는 동안 장메르가 묘사한 스파르타 호플리트들과 공통점을 공유하지 않았을 수도 있지만, 결국 공동체로 돌아와 복잡한 스파르타 사회 시스템에 다시 통합되었다.[5]

5. 대중문화 속 크립테이아

영화 300의 한 장면
영화 300에서는 주인공이 통과의례로 무장하지 않은 노예 대신 애니마트로닉스 늑대를 사냥하여 죽인다.

크립테이아는 현대를 배경으로, 신입생을 노리는 프라테르니티(남학생 사교 클럽)로 위장한 그리스 비밀결사를 다룬 인디 공포 영화 플레지의 핵심 요소이다.[34]

키론 길런의 코믹북 시리즈 쓰리에서도 크립테이아가 간략히 언급된다. '쓰리' 1화에서 처음 등장하는 크립테이아는 맨몸에 단검만 들고 농사를 짓는 헬롯들을 기습 공격하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길런은 크립테이아를 통해 스파르타 제도의 잔혹함을 부각시키고, 그들의 기능을 "모든 직업이 금지된, 단 하나의 직업만 허용되는 삶의 통과의례"라고 설명한다. 매년 주인들은 헬롯들에게 전쟁을 선포하며, 그들이 피를 흘리면 더럽혀지지 않으므로 헬롯들을 굴복시키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고 묘사한다.[35] 스파르타의 저명한 역사가 중 한 명인 스티븐 호킨슨은 이 시리즈 전반에 걸쳐 길런의 역사 고문으로 참여했다. 호킨슨은 길런이 묘사한 크립테이아를 플라톤의 『법률』과 플루타르코스의 『리쿠르고스 전』이라는 두 가지 출처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의 "완벽한 혼합"이라고 평가한다.[35] 호킨슨에 따르면, 이 두 출처는 크립테이아를 서로 다르고 거의 모순되는 방식으로 묘사하기 때문이다. 플루타르코스에서 인용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기록은 크립테이가 헬롯을 사냥하는 것으로 묘사하는 반면, 플라톤의 기록은 헬롯 살해를 언급하지 않고 크립테이아를 지구력 훈련의 한 형태로 본다. 호킨슨은 이러한 상반된 기록들 때문에 현대 학자들이 크립테이아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채택하게 되었다고 주장한다.[35]

크립테이아는 또한 『불의 문』이라는 책에서도 언급된다. "동료(정식 시민)들 사이의 비밀 결사"이자 암살자이며 "쇠처럼 무자비하다"고 묘사된다. 저자는 또한 그들이 스파르타 군대 중 가장 젊고 강한 자들이라고 언급한다.

장애물 경주 시리즈인 스파르탄 레이스(Spartan Race)는 이벤트 리더를 "크립테이아"(Krypteia)라고 부른다.[36]

6. 현대적 평가


참조

[1] 서적 A Companion to Sparta Wiley Blackwell
[2] 서적 Explication d'un passage de Plutarque sur une loi de Lycurgue nommée la Cryptie (fragment d'une Histoire des Institutions politiques de la Grèce) https://books.google[...] Dupont
[3] 서적 Commentatio de Lacedaemoniorum cryptia
[4] 서적 Hellenische Altertumskunde aus dem Geschichtpunkt des Staates (Teil 1 & 2)
[5] 서적 A Companion to Sparta Wiley-Blackwell
[6] 서적 A Companion to Sparta Wiley-Blackwell
[7] 서적 Spartan Education: Youth and Society in the Classical Period The Classical Press of Wales
[8] 서적 Spartan Education: Youth and Society in the Classical Period The Classical Press of Wales
[9] 서적 Spartan Education: Youth and Society in the Classical Period The Classical Press of Wales
[10] 웹사이트 Plutarch • Life of Lycurgus http://penelope.uchi[...] 2021-02-05
[11] 서적 Spartans: A New History Wiley-Blackwell
[12] 서적 Sparta and Lakonia: A Regional History 1300-362 BC Routledge
[13] 웹사이트 Plato, Laws, Book 1, section 633c http://www.perseus.t[...] 2021-03-30
[14]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1890), CRYPTEIA http://www.perseus.t[...] 2021-03-09
[15] 웹사이트 Plutarch, Lycurgus, chapter 28 http://www.perseus.t[...] 2021-03-09
[16] 서적 Spartan Education: Youth and Society in the Classical Period The Classical Press of Wales
[17] 서적 Spartan Education: Youth and Society in the Classical Period The Classical Press of Wales
[18] 웹사이트 Plutarch, Cleomenes, chapter 28 http://www.perseus.t[...]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William Heinemann Ltd., London 1921
[19] 웹사이트 Krypteia: A Form of Ancient Guerrilla Warfare http://scholarworks.[...]
[20] 서적 Spartan Education: Youth and Society in the Classical Period The Classical Press of Wales
[21] 서적 Spartan Education: Youth and Society in the Classical Period The Classical Press of Wales
[22] 서적 Spartan Education: Youth and Society in the Classical Period The Classical Press of Wales
[23] 학술지 Cleomenes III and the Helots https://www.jstor.or[...] 1968
[24] 서적 Spartan Education: Youth and Society in the Classical Period The Classical Press of Wales
[25] 서적 La cryptie lacédémonienne
[26] 서적 Histories
[27] 웹사이트 Laws http://www.perseus.t[...]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 Heinemann Ltd.
[28] 서적 Spartan Education: Youth and Society in the Classical Period The Classical Press of Wales
[29] 서적 Spartan Education: Youth and Society in the Classical Period The Classical Press of Wales
[30] 서적 Life of Lycurgus
[31] 서적 Spartan Education: Youth and Society in the Classical Period The Classical Press of Wales
[32] 웹사이트 Plutarch, Cleomenes, chapter 28 http://www.perseus.t[...]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William Heinemann Ltd., London 1921
[33] 웹사이트 Krypteia: A Form of Ancient Guerrilla Warfare http://scholarworks.[...]
[34] 웹사이트 'Pledge': Film Review https://www.hollywoo[...] 2024-08-01
[35] 서적 Three Image Comics, Inc.
[36] 웹사이트 What is a Hurricane Heat? https://spartanrace.[...] 2021-04-03
[37] 논문 The Origins and Evolution of Ancient Spartan Identity in the Mani Peninsula, Greece https://www.thersite[...] 2019
[38] 서적 Life of Lycurgu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