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드 로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클로드 로랭은 1604년 또는 1605년 로렌 지방에서 태어난 프랑스 화가로, 풍경화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그는 이탈리아에서 활동하며 풍경화를 전문적으로 그렸으며, 빛과 공간의 묘사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로랭은 풍경의 요소들을 조화롭게 배치하여 역동적인 구성을 만들었으며, 자신의 작품을 '진실의 책'에 기록했다. 그의 화풍은 후대 풍경 화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작품은 현재 세계 유수의 미술관에서 소장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00년대 출생 - 샤를 소렐
샤를 소렐은 17세기 프랑스의 작가이자 역사가로, 특히 소설 《프랑시옹의 희극 이야기》와 《엉뚱한 양치기》를 통해 당대 문학을 비판하고 새로운 시도를 모색한 소설가로서 이름을 남겼다. - 1600년대 출생 - 예레미야 버로우즈
예레미야 버로우즈는 17세기 영국의 청교도 설교자이자 신학자로서 웨스트민스터 총회에 참여하여 독립교회 운동을 이끌었으며, 설교와 저술 활동을 통해 청교도 신학 사상을 전파하고 교회의 독립성과 신앙의 자유를 옹호했다. - 보주주 출신 - 모리스 바레스
모리스 바레스는 프랑스의 작가이자 정치인으로, 민족주의 사상과 개인주의 문학, 그리고 반유대주의적 견해와 극우 성향으로 논쟁적인 인물이다. - 보주주 출신 - 자크 조르주
자크 조르주는 HEC 파리를 졸업하고 1989년 힐스버러 참사와 관련하여 논란을 일으킨 인물이며, 2004년 2월에 사망했다. - 1682년 사망 - 알레산드로 스트라델라
알레산드로 스트라델라는 바로크 시대 이탈리아 작곡가로, 오페라, 칸타타, 오라토리오 등 다수의 작품을 남겼으며 콘체르토 그로소 형식의 선구자로 여겨지지만, 방탕한 사생활과 갈등으로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하여 그의 삶은 여러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1682년 사망 - 바르톨로메 에스테반 무리요
바르톨로메 에스테반 무리요는 17세기 스페인 바로크 화가로, 세비야에서 활동하며 종교화와 풍속화 등 다양한 장르에서 뛰어난 솜씨를 보였고, 특히 어린이와 성모 마리아를 묘사한 작품으로 유명하며, 그의 작품은 세계 유수의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클로드 로랭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클로드 젤레 (Claude Gellée) |
출생 | 1600년 또는 1604/5년, 로렌 공국 샤마뉴 |
사망 | 1682년 11월 21일 또는 11월 23일, 교황령 로마 |
생애 및 활동 | |
분야 | 회화 |
사조 | 바로크 |
국적 | 프랑스 |
활동 시기 | 17세기 |
서명 | |
![]() |
2. 생애
클로드 로랭의 초기 전기는 요아힘 폰 잔드라르트의 ''도이체 아카데미''(1675)와 필리포 발디누치의 ''치마부에 이후의 디자이너 교수의 소식''(1682–1728)에 실려 있다. 잔드라르트와 발디누치는 모두 클로드와 개인적인 친분이 있었지만, 잔드라르트는 클로드의 경력 초반에, 발디누치는 사망 직전에 만나 약 50년 정도의 간격이 있었다. 잔드라르트는 클로드를 잘 알고 잠시 함께 살았지만, 발디누치는 클로드와 친밀하지 않았고, 클로드의 조카에게서 정보를 얻었다.[7]
클로드의 묘비에는 출생 연도가 1600년으로 표기되어 있지만, 동시대 자료는 1604년 또는 1605년경으로 추정한다.[8]
클로드는 여행 중 마르세유, 제노바, 베네치아에 잠시 머물렀으며 프랑스, 이탈리아, 바이에른에서 자연을 연구했다. 잔드라르트는 1620년대 후반에 클로드를 만났는데, 당시 클로드는 해돋이와 해질녘에 야외에서 스케치를 하고 그 자리에서 유화 연구를 하는 습관이 있었다고 한다. 1629년 클로드의 첫 연대별 그림인 ''가축과 농부가 있는 풍경''(필라델피아 미술관)은[11] 이미 잘 발달된 스타일과 기법을 보여준다. 그 후 몇 년 동안 클로드의 명성은 꾸준히 높아졌으며, 로마 주재 프랑스 대사(1633년)와 스페인 국왕(1634–35년)의 의뢰로 입증되었다. 발디누치는 귀도 벤티볼리오 추기경의 의뢰가 특히 중요하다고 보고했는데, 클로드가 그린 두 풍경화에 감명을 받은 추기경이 교황 우르바노 8세에게 클로드를 추천했다.[12] 1635–1638년에 교황을 위해 네 점의 그림이 제작되었는데, 두 점은 크고 두 점은 구리에 작게 그려졌다.[13]
이 시점부터 클로드의 명성은 확고해졌다. 그는 이탈리아와 국제적으로 많은 중요한 의뢰를 수행했다. 1636년경부터 자신의 작품을 목록화하기 시작하여 거의 모든 그림에 대해 완성된 대로 펜과 수채화 그림을 그렸지만, 항상 변형된 버전은 아니었고, 대부분 그림 뒷면에 구매자의 이름을 적었다. 현재는 구매자들을 충분히 명확하게 식별할 수 없는 경우도 있었다. 클로드는 이 책을 ''진실의 책(Liber Veritatis)''이라고 명명했다.[5]
1650년에 클로드는 비아 파올리나(오늘날 비아 델 바부이노)의 옆집으로 이사하여 사망할 때까지 그곳에서 살았다. 클로드는 결혼하지 않았지만 1658년에 고아 소녀 아네스를 입양했는데, 아네스는 클로드가 같은 이름의 하녀와 낳은 딸일 가능성이 있다. 1662년(드니 젤레의 아들 장)과 1680년경(멜키오르 젤레의 아들 조셉)에 클로드의 형제들의 아들들이 집에 합류했다.[10] 1663년 클로드는 통풍으로 고생했는데,[14] 심각하게 병들어 유서를 작성했지만 회복했다. 1670년 이후 그림을 덜 그렸지만, 그 이후에 완성된 작품에는 유명한 수집가 카밀로 마시모 추기경을 위해 그린 ''페르세우스와 산호의 기원이 있는 해안 풍경''(1674),[15] 로렌초 오노프리오 콜론나 공자가 의뢰한 ''아스카니우스가 실비아의 사슴을 쏘는 장면''과 같은 중요한 그림이 포함되어 있다.[16] 클로드는 1682년 11월 23일에 자신의 집에서 사망했다. 원래 트리니타 데이 몬티에 묻혔지만, 1840년에 생 루이 데 프랑세로 유해가 옮겨졌다.[10]
클로드는 사망 당시 그림 4점만 소유했지만, 대부분의 드로잉은 소유했다. ''진실의 책'' 외에도 많은 드로잉이 제본된 책으로, 목록에는 12권의 제본된 책과 느슨한 시트의 큰 "케이스" 또는 폴더가 언급되어 있다. 5~6권의 큰 제본된 책이 상속인에게 남겨졌는데, 여기에는 ''티볼리 북'', ''캄파냐 북'', ''초기 스케치북'', ''동물 앨범''이 포함되어 있다. 이 책들은 현재 모두 해체되어 흩어졌지만, 시트가 번호가 매겨져 있어 학자들에 의해 대부분 내용이 재구성되었다.[17]
2. 1. 초기
클로드 로랭은 1604년 또는 1605년경 로렌 공작령에 속했던 보주 산맥의 작은 마을인 샤마뉴에서 태어났다.[8] 그는 장 젤레와 안 폽도즈의 다섯 아들 중 셋째였다.필리포 발디누치에 따르면 클로드의 부모는 그가 열두 살 때 모두 사망했고, 이후 프라이부르크에서 상감 세공을 전문으로 하는 예술가인 형 장 젤레와 함께 살았다. 장은 클로드에게 그림의 기초를 가르쳤다. 클로드는 이후 이탈리아로 건너가 처음에는 나폴리에서 고프레도 발스|Goffredo Wals프랑스어를 위해 일했고, 그 후 로마에서 아고스티노 타시의 작업실에 합류했다.[7]
그러나 클로드의 어린 시절에 대한 요아힘 폰 잔드라르트의 설명은 상당히 다르며, 현대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이 설명이 더 정확하다고 생각하거나, 두 설명을 조합하려고 시도한다. 잔드라르트에 따르면 클로드는 마을 학교에서 공부를 잘하지 못했고 제빵사 견습생이 되었다. 클로드는 동료 요리사 및 제빵사들과 함께 로마로 여행을 갔고, 결국 타시의 하인 겸 요리사로 고용되었는데, 타시는 어느 시점에서 그를 견습생으로 바꾸어 그림과 회화를 가르쳤다.[9]
클로드의 1620년대 이전 삶에 대한 세부 사항은 여전히 불분명하지만, 대부분의 현대 학자들은 그가 1620–1622년경에 발스에게, 1622/23년부터 1625년경까지 타시에게 견습을 받았다는 데 동의한다. 발디누치는 1625년에 클로드가 클로드 데뤼에와 함께 훈련하기 위해 로렌으로 돌아와 잃어버린 프레스코 도안의 배경을 작업했지만, 1626년 또는 1627년에 그의 작업실을 비교적 빨리 떠났다고 보고한다. 그는 로마로 돌아와 스페인 계단과 트리니타 데이 몬티 근처인 비아 마르구타에 있는 집에 정착하여 생애의 나머지 기간 동안 그 동네에 머물렀다.[10]
2. 2. 전성기
1627년 로랭은 로마로 돌아와 귀도 벤티볼리오를 위해 그린 두 점의 풍경화로 교황 우르바노 8세를 후원자로 삼았다.[12] 1637년경부터 풍경 화가, 해경 화가로서의 명성을 높여갔다. 같은 프랑스 출신인 니콜라 푸생과도 교류가 있었으며, 로마 교외를 함께 여행했다. 두 사람 모두 풍경 화가로 불리지만, 푸생의 풍경은 인물의 배경인 반면, 로랭의 그림에서는 인물이 한 쪽에 작게 그려질 뿐, 그림의 진정한 주제는 육지, 바다, 하늘이다. 다른 화가에게 인물 묘사를 종종 의뢰했으며, 그 중에는 자크 쿠르투아와 필리포 라우리가 포함된다. 그림 구매자들에게 그는 자신은 풍경을 팔았지만 인물은 덤이라고 말하곤 했다.

로랭은 같은 주제의 반복을 피하고 자신의 작품의 질 좋은 복제품을 제공하기 위해, 각국에 보내진 자신의 거의 모든 작품을 수채화 드로잉으로 복제하고 뒷면에 구매자의 이름을 기재했다. 이 드로잉들을 모아 책을 냈고, 이 책을 로랭은 『진실의 책(Liber Veritatis)』이라고 이름 지었다.[5] 이 귀중한 작품은 동판화로 복제 출판되어 후대의 풍경 화가들에게 모범이 되었다. 통풍으로 고생한 그는 1682년 11월 21일 또는 23일에 사망하여 트리니타 데이 몬티에 묻혔다. 그의 막대한 유산은 조카와 양딸(조카딸일 가능성 있음)에게 남겨졌다.
3. 화풍과 주제
1627년 로마로 돌아온 로랭은 귀도 벤티보글리오를 위해 그린 두 점의 풍경화로 교황 우르바노 8세의 후원을 받았다.[38] 1637년경부터 풍경화가이자 해경 화가로서 명성을 높였다. 프랑스 출신 니콜라 푸생과 교류하며 로마 교외를 함께 여행하기도 했다. 푸생의 풍경화는 인물의 배경인 반면, 로랭의 그림에서는 인물이 작게 그려지고 육지, 바다, 하늘이 진정한 주제였다. 자크 쿠르투아, 필리포 라우리 등 다른 화가에게 인물 묘사를 의뢰하기도 했다. 그는 그림 구매자들에게 풍경을 팔고 인물은 덤으로 제공한다고 말했다.[25]
로랭은 제자들에게 친절하고 근면했으며, 예리한 관찰력을 가졌다고 전해진다. 요아힘 폰 잔드라르트는 로랭의 생애에 관한 권위자이며, 필리포 발디누치는 로랭과 가까웠던 사람들에게서 정보를 얻어 다양한 이야기를 전한다. 존 컨스터블은 로랭을 "세상이 지금까지 본 가장 완벽한 풍경 화가"라고 극찬했다.[38]
3. 1. 영향
클로드의 화풍은 이탈리아, 특히 로마에서 북방 매너리즘 양식으로 훈련받은 북방 예술가들이 이끌어온 풍경화 전통에서 비롯되었다. 마티스 브릴과 그의 형제 파울 브릴은 풍경화를 전문으로 그렸으며, 처음에는 대형 프레스코의 배경으로 사용했다. 한스 로텐하머와 아담 엘스하이머도 브릴과 관련된 북방 풍경 화가였지만, 브릴보다 훨씬 전에 로마를 떠났다.이들은 작은 캐비닛 그림 장르를 도입했는데, 종종 구리판에 그려졌으며, 인물들은 주변 풍경에 압도되었고, 풍경은 종종 전경의 인물들 바로 뒤에 빽빽한 숲으로 묘사되었다. 파울 브릴은 더 큰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는데, 여기서 요소 간의 크기와 균형, 그리고 사용된 풍경 유형이 클로드의 미래 작품과 더 유사해졌다.
클로드는 16세기 중후반 베네토에서 나타난 풍경화 장르에 대한 새로운 관심의 영향을 받았다. 이는 베네치아 출신의 화가 도메니코 캄파뇰라와 람베르트 수스트리스에서 시작되었다. 이 전통이 다른 북방 출처와 통합되면서, 도메니키노와 같은 볼로냐 예술가들은 신화, 종교, 문학에서 가져온 "Landscape with..."라는 주제와 장르 장면을 그렸다. 안니발레 카라치의 ''이집트 도피 풍경''(c. 1604)은 17세기 초 이탈리아 최고의 풍경화 중 하나이지만,[19] 클로드보다는 푸생의 선구자일 가능성이 더 높다.
로랭은 풍경과 건축이 빈 공간과 균형을 이루는 역동적이고 조화로운 구성을 만들기 위해 풍경의 요소를 배치하기 위해 종종 중앙 및 대각선 그리드를 사용했다.[20]
17세기 중반까지 로마에서는 풍경이 진지하게 다루어야 할 화제로 여겨지지 않았다. 그러나 아담 엘스하이머와 파울 브릴 등이 풍경을 주제로 한 작품을 그렸고,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드로잉[37]이나 발다사레 페루치의 장식적 프레스코화에서도 풍경이 주제가 되었다. 주요 이탈리아 화가가 본격적인 작품에서 풍경을 주제로 한 것은 안니발레 카라치와 그의 제자 도메니키노 부터였다.
로랭은 제자들에게 친절하고 근면했으며, 매우 예리한 관찰력을 가지고 있었다고 전해진다. 요아힘 폰 잔드라르트가 로랭의 생애에 관해서는 권위자이며, 필리포 발디누치는 로랭과 가까웠던 몇몇 사람들에게 정보를 얻어 다양한 사건을 이야기하고 있다. 존 컨스터블은 로랭을 "세상이 지금까지 본 가장 완벽한 풍경 화가"라고 칭하며 극찬했다.[38]
3. 2. 초기 작품

클로드의 초기 작품은 아고스티노 타시(파울 브릴의 제자였을 가능성이 있음)와 아담 엘스하이머의 영향을 받았으며, 후기 작품보다 대체로 작은 편이다. 타시의 영향은 클로드의 초기 대형 작품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며,[11] 1631년경의 몇몇 소품은 엘스하이머의 화풍을 연상시킨다.[11] 클로드는 초기에 선배들보다 더 많은 인물을 포함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는 로저 프라이가 "악명 높게 허약하다"고 평할 정도로 인물 묘사가 서툴렀음에도 불구하고 이루어졌다.[21]
후기 작품에 비해 인물들은 단순한 장르적 인물, 즉 장면에 어울리는 양치기, 여행자, 선원 등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았다. 1630년대 초, 클로드는 이집트 도피(1631년경)[22], 파리스의 심판[23]과 같은 종교적, 신화적 주제를 그리기 시작했다. 이 두 작품은 "…의 풍경" 장르에서 매우 흔한 주제였다. 특히 《파리스의 심판》의 짝은 매우 초기의 항구 장면으로, 클로드가 이후 작품 활동 내내 사용할 전형적인 구도인 키 큰 고전적 건물들이 이미 등장하고 있다.[24]
3. 3. 인물과 건축물
클로드 로랭의 그림 대부분은 인물을 포함하고 있지만, 클로드 자신을 포함하여 인물 묘사가 약하다는 점은 항상 인식되어 왔다. 발디누치에 따르면, 그는 풍경화에 대한 대가를 청구했지만 인물은 무료로 제공했다고 농담했다고 한다.[25] 잔드라르트에 따르면 그는 인물 묘사를 개선하기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지만 성공하지 못했다고 한다. 그는 어떤 작품에서 인물을 다른 사람에게 넘겨 그리게 했다고 종종 생각되었지만, 현재는 그러한 경우가 거의 없다는 데 일반적으로 동의한다. 발디누치는 이와 관련하여 필리포 라우리를 언급했지만, 그는 1623년에 태어났고 1640년대부터나 그러한 작업을 맡았을 것이다.[25] 1642년작, 런던 코톨드 갤러리 소장, LV 67의 작은 ''티볼리의 상상적인 풍경''의 기마 인물은 그의 마지막 인물 중 하나로, 당시의 의상을 입고 있다. 그 이후로는 모두 "목가적인 의상" 또는 17세기의 고대 의상에 대한 아이디어를 착용했다.[26]말년에 그의 인물은 점점 더 길어지는 경향이 있었는데, 그의 마지막 그림인 ''아스카니우스가 실비아의 사슴을 쏘는 장면''에서 극에 달했다. 심지어 소장처인 애슈몰린 박물관조차도 "사냥꾼들은 불가능할 정도로 길쭉하며, 특히 아스카니우스는 터무니없이 머리가 크다"고 말한다.[27]
클로드는 자신의 생애 동안 계속해서 지어지고 있던 르네상스와 바로크 양식의 로마 건축물을 묘사한 지형 묘사 장면을 거의 그리지 않았지만, 상상의 건물을 짓기 위해 종종 이를 차용했다. 그의 그림 앞부분에 등장하는 건물 대부분은 일반적으로 고전적인 스타일의 웅장한 상상의 사원과 궁전이지만, 니콜라 푸생의 그림에서 볼 수 있는 고고학적 엄밀성을 시도하지는 않았다. 고대와 현대의 실제 건물에서 요소를 차용하여 만들어냈으며, 고대 궁전의 외관이 어떠했는지에 대한 지식이 부족했기에 그의 궁전은 많은 고객이 살았던 르네상스 후기 로마 궁전과 더 유사하다. 배경에서 나무 위로 종종 나타나는 탑과 같이 덜 명확하게 보이는 건물은 그가 로마 주변에서 보았을 법한 토착 건축물 및 중세 건축물과 더 유사하다.
내셔널 갤러리의 ''해안가'' (1644, NG5)에서 파르네세 정원과 로마 포럼 사이에 1570년경에 지어진 문을 확대한 궁전 외관은 티투스 개선문 옆에 있는데, 여기서는 다른 궁전의 일부인 것으로 보인다.[30] 그 뒤로 클로드는 빌라 파르네시나와 팔라초 세나토리오를 포함하여 로마 주변의 여러 건물에서 차용한 궁전을 반복해서 사용했다.[31]
3. 4. 해양
클로드 로랭은 시대착오적인 묘사에 크게 개의치 않았는데, 이는 항구를 그린 장면 속 배들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주제나 등장인물의 의상이 현대, 신화, 로마, 중세 역사 중 어디에서 유래했든, 대형 선박은 대개 최신 상선과 동일한 모습을 하고 있다. 노를 젓는 대형 갤리선도 보이는데, 예를 들어 버질의 글에서 갤리선을 언급한 작품인 《팔란테움 시 앞에 아이네이아스의 도착 풍경》(일명 "알티에리 클로드" 중 하나, 앵글시 애비)이 있다.[32] 배경의 배들은 고대 설정을 반영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런던에 있는 《시바 여왕의 출항이 있는 해항》(1648년, NG 14)에서는 구도 중심에 있는 배는 현대식인 반면, 다른 배들은 그렇지 않다.[33]클로드 로랭은 1637년경부터 풍경화가이자 해경 화가로서 빠르게 명성을 얻었다.
4. 평가와 유산
클로드 로랭은 그림에서 태양 자체를 빛의 근원으로 포함시키는 혁신을 보였다. 그의 작품 '시바 여왕의 출항'에서 이러한 특징을 볼 수 있다.[34]
로마에서는 폴 브릴, 지로라모 무지아노, 페데리코 주카로, 그리고 이후 아담 엘스하이머, 안니발레 카라치, 도메니키노 등이 드로잉과 그림에서 풍경을 두드러지게 표현했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나 발다사레 페루치도 개인 드로잉이나 장식적인 프레스코에서 풍경을 다루었지만, 클로드 시대에 이르러서야 풍경이 로마 문화에서 완전히 자율적인 미학적 관점을 반영했다고 할 수 있다.
클로드는 낭만주의 이전 시대에 살았음에도 불구하고, 살바토르 로사와 달리 후세에 존경받을 만한 무인 파노라마를 묘사하지 않았다. 그는 성과 마을에서 멀지 않은 들판과 계곡의 목가적인 세계를 그렸으며, 바다 수평선은 번잡한 항구의 배경에서 묘사되었다. 그의 그림에는 반신, 영웅, 성자들이 등장하지만, 이는 고귀한 주제의 그림에 대한 대중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그의 드로잉과 스케치북은 그가 무대 연출에 더 관심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클로드 로랭은 제자들에게 친절하고 성실했으며, 예리한 관찰력을 가진 인물로 묘사되었다. 그러나 그는 죽을 때까지 글을 읽지 못했다.
존 컨스터블은 클로드를 "세계가 본 가장 완벽한 풍경 화가"라고 칭송하며, 그의 풍경에서 "모든 것이 사랑스럽고, 모든 것이 쾌활하고, 모든 것이 쾌적함과 평온함이며, 마음의 고요한 햇살"이라고 극찬했다.[35]
5. 주요 작품
연도 | 제목 | 소장 | ||||||||||||||||||||||||||||||||||||||||||||||||||||||||||||||||||||||||||||||||||||||||||||||||||||||||||||||||||||||||||||||||||||||||||||||||||||
---|---|---|---|---|---|---|---|---|---|---|---|---|---|---|---|---|---|---|---|---|---|---|---|---|---|---|---|---|---|---|---|---|---|---|---|---|---|---|---|---|---|---|---|---|---|---|---|---|---|---|---|---|---|---|---|---|---|---|---|---|---|---|---|---|---|---|---|---|---|---|---|---|---|---|---|---|---|---|---|---|---|---|---|---|---|---|---|---|---|---|---|---|---|---|---|---|---|---|---|---|---|---|---|---|---|---|---|---|---|---|---|---|---|---|---|---|---|---|---|---|---|---|---|---|---|---|---|---|---|---|---|---|---|---|---|---|---|---|---|---|---|---|---|---|---|---|---|---|---|---|
1630 | 상인들이 있는 풍경 (난파선) | 미국 국립 미술관, 워싱턴 D.C. | ||||||||||||||||||||||||||||||||||||||||||||||||||||||||||||||||||||||||||||||||||||||||||||||||||||||||||||||||||||||||||||||||||||||||||||||||||||
1635 | 이집트로의 도피 | 인디애나폴리스 미술관 | ||||||||||||||||||||||||||||||||||||||||||||||||||||||||||||||||||||||||||||||||||||||||||||||||||||||||||||||||||||||||||||||||||||||||||||||||||||
1636 | 목동이 있는 풍경 | 내셔널 갤러리, 런던 | ||||||||||||||||||||||||||||||||||||||||||||||||||||||||||||||||||||||||||||||||||||||||||||||||||||||||||||||||||||||||||||||||||||||||||||||||||||
1636 | 여울 |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 ||||||||||||||||||||||||||||||||||||||||||||||||||||||||||||||||||||||||||||||||||||||||||||||||||||||||||||||||||||||||||||||||||||||||||||||||||||
1637 | 빌라 메디치가 있는 항구 | 우피치 미술관 | ||||||||||||||||||||||||||||||||||||||||||||||||||||||||||||||||||||||||||||||||||||||||||||||||||||||||||||||||||||||||||||||||||||||||||||||||||||
1638 | 모세의 발견 | 프라도 미술관 | ||||||||||||||||||||||||||||||||||||||||||||||||||||||||||||||||||||||||||||||||||||||||||||||||||||||||||||||||||||||||||||||||||||||||||||||||||||
1638 | 전원 풍경 | 미니애폴리스 미술관 | ||||||||||||||||||||||||||||||||||||||||||||||||||||||||||||||||||||||||||||||||||||||||||||||||||||||||||||||||||||||||||||||||||||||||||||||||||||
1638 | 산타 마리넬라 항구가 있는 풍경 | 프티 팔레 | ||||||||||||||||||||||||||||||||||||||||||||||||||||||||||||||||||||||||||||||||||||||||||||||||||||||||||||||||||||||||||||||||||||||||||||||||||||
1639 | 해항 | 내셔널 갤러리, 런던 | ||||||||||||||||||||||||||||||||||||||||||||||||||||||||||||||||||||||||||||||||||||||||||||||||||||||||||||||||||||||||||||||||||||||||||||||||||||
1639 | 해질녘의 해항 (오디세우스) | 루브르 박물관 | ||||||||||||||||||||||||||||||||||||||||||||||||||||||||||||||||||||||||||||||||||||||||||||||||||||||||||||||||||||||||||||||||||||||||||||||||||||
1639 | 마을 축제 | 루브르 박물관 | ||||||||||||||||||||||||||||||||||||||||||||||||||||||||||||||||||||||||||||||||||||||||||||||||||||||||||||||||||||||||||||||||||||||||||||||||||||
c. 1639 | 캄파냐의 풍경 | 왕립 컬렉션 | ||||||||||||||||||||||||||||||||||||||||||||||||||||||||||||||||||||||||||||||||||||||||||||||||||||||||||||||||||||||||||||||||||||||||||||||||||||
1639 | 오스티아에서 성 파울라 로마나의 출항 | 프라도 미술관 | ||||||||||||||||||||||||||||||||||||||||||||||||||||||||||||||||||||||||||||||||||||||||||||||||||||||||||||||||||||||||||||||||||||||||||||||||||||
1641 | 성 우르술라의 출항 | 내셔널 갤러리, 런던 | ||||||||||||||||||||||||||||||||||||||||||||||||||||||||||||||||||||||||||||||||||||||||||||||||||||||||||||||||||||||||||||||||||||||||||||||||||||
1642 | 클레오파트라의 타르수스 상륙 | 루브르 박물관 | ||||||||||||||||||||||||||||||||||||||||||||||||||||||||||||||||||||||||||||||||||||||||||||||||||||||||||||||||||||||||||||||||||||||||||||||||||||
1642–43 | 클레오파트라의 타르수스 상륙 | 루브르 박물관 | ||||||||||||||||||||||||||||||||||||||||||||||||||||||||||||||||||||||||||||||||||||||||||||||||||||||||||||||||||||||||||||||||||||||||||||||||||||
트로이 여인들이 함대에 불을 지르는 장면 |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 |||||||||||||||||||||||||||||||||||||||||||||||||||||||||||||||||||||||||||||||||||||||||||||||||||||||||||||||||||||||||||||||||||||||||||||||||||||
개울과 두 개의 다리 | ||||||||||||||||||||||||||||||||||||||||||||||||||||||||||||||||||||||||||||||||||||||||||||||||||||||||||||||||||||||||||||||||||||||||||||||||||||||
야곱의 여행 | ||||||||||||||||||||||||||||||||||||||||||||||||||||||||||||||||||||||||||||||||||||||||||||||||||||||||||||||||||||||||||||||||||||||||||||||||||||||
천사의 방문 | ||||||||||||||||||||||||||||||||||||||||||||||||||||||||||||||||||||||||||||||||||||||||||||||||||||||||||||||||||||||||||||||||||||||||||||||||||||||
산타 트리니타 데이 몬티 교회의 모습 (드로잉) | 에르미타주 미술관 | |||||||||||||||||||||||||||||||||||||||||||||||||||||||||||||||||||||||||||||||||||||||||||||||||||||||||||||||||||||||||||||||||||||||||||||||||||||
성곽이 있는 해항 | 하워드 대학교 미술관 | |||||||||||||||||||||||||||||||||||||||||||||||||||||||||||||||||||||||||||||||||||||||||||||||||||||||||||||||||||||||||||||||||||||||||||||||||||||
1644 | 해질녘 티볼리의 모습 | 샌프란시스코 미술관 | ||||||||||||||||||||||||||||||||||||||||||||||||||||||||||||||||||||||||||||||||||||||||||||||||||||||||||||||||||||||||||||||||||||||||||||||||||||
1645 | 머큐리가 아폴로의 소를 훔치는 풍경 | 도리아 팜필리 미술관 | ||||||||||||||||||||||||||||||||||||||||||||||||||||||||||||||||||||||||||||||||||||||||||||||||||||||||||||||||||||||||||||||||||||||||||||||||||||
![]() | ||||||||||||||||||||||||||||||||||||||||||||||||||||||||||||||||||||||||||||||||||||||||||||||||||||||||||||||||||||||||||||||||||||||||||||||||||||||
1645 | 키팔루스와 프로크리스가 다이아나에 의해 재회하는 풍경 | 내셔널 갤러리, 런던 | ||||||||||||||||||||||||||||||||||||||||||||||||||||||||||||||||||||||||||||||||||||||||||||||||||||||||||||||||||||||||||||||||||||||||||||||||||||
1645–46 | 파리스의 심판 | 미국 국립 미술관 | ||||||||||||||||||||||||||||||||||||||||||||||||||||||||||||||||||||||||||||||||||||||||||||||||||||||||||||||||||||||||||||||||||||||||||||||||||||
1646–47 | 일출 |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 ||||||||||||||||||||||||||||||||||||||||||||||||||||||||||||||||||||||||||||||||||||||||||||||||||||||||||||||||||||||||||||||||||||||||||||||||||||
1648 | 시바 여왕의 출항 | 내셔널 갤러리, 런던 | ||||||||||||||||||||||||||||||||||||||||||||||||||||||||||||||||||||||||||||||||||||||||||||||||||||||||||||||||||||||||||||||||||||||||||||||||||||
1648 | 이삭과 리브가의 결혼 | 내셔널 갤러리, 런던 | ||||||||||||||||||||||||||||||||||||||||||||||||||||||||||||||||||||||||||||||||||||||||||||||||||||||||||||||||||||||||||||||||||||||||||||||||||||
1648 | 파리스와 오이노네가 있는 풍경 | 루브르 박물관 | ||||||||||||||||||||||||||||||||||||||||||||||||||||||||||||||||||||||||||||||||||||||||||||||||||||||||||||||||||||||||||||||||||||||||||||||||||||
1648 | 춤추는 인물들이 있는 풍경 (방앗간) | 도리아 팜필리 미술관 | ||||||||||||||||||||||||||||||||||||||||||||||||||||||||||||||||||||||||||||||||||||||||||||||||||||||||||||||||||||||||||||||||||||||||||||||||||||
1648–50 | 라 크레센차의 모습 |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 ||||||||||||||||||||||||||||||||||||||||||||||||||||||||||||||||||||||||||||||||||||||||||||||||||||||||||||||||||||||||||||||||||||||||||||||||||||
c. 1650 | 아폴로와 쿠마에의 시빌이 있는 풍경 | 에르미타주 미술관 | ||||||||||||||||||||||||||||||||||||||||||||||||||||||||||||||||||||||||||||||||||||||||||||||||||||||||||||||||||||||||||||||||||||||||||||||||||||
1651 또는 1661 | 이집트로의 도피 중 휴식 | 에르미타주 미술관 | ||||||||||||||||||||||||||||||||||||||||||||||||||||||||||||||||||||||||||||||||||||||||||||||||||||||||||||||||||||||||||||||||||||||||||||||||||||
1654 | 머큐리와 바투스가 있는 풍경 | 스위스 개인 소장 | ||||||||||||||||||||||||||||||||||||||||||||||||||||||||||||||||||||||||||||||||||||||||||||||||||||||||||||||||||||||||||||||||||||||||||||||||||||
1654 | 하갈과 천사가 있는 풍경 | 더니든 공공 미술관 | ||||||||||||||||||||||||||||||||||||||||||||||||||||||||||||||||||||||||||||||||||||||||||||||||||||||||||||||||||||||||||||||||||||||||||||||||||||
1657 | 아키스와 갈라테아가 있는 풍경 | 젬알데갈러리 | ||||||||||||||||||||||||||||||||||||||||||||||||||||||||||||||||||||||||||||||||||||||||||||||||||||||||||||||||||||||||||||||||||||||||||||||||||||
1660 | 아폴로와 머큐리가 있는 풍경 | 윌리스 컬렉션 | ||||||||||||||||||||||||||||||||||||||||||||||||||||||||||||||||||||||||||||||||||||||||||||||||||||||||||||||||||||||||||||||||||||||||||||||||||||
1663 | 춤이 있는 풍경 (이삭과 리브가의 결혼) (드로잉) | |||||||||||||||||||||||||||||||||||||||||||||||||||||||||||||||||||||||||||||||||||||||||||||||||||||||||||||||||||||||||||||||||||||||||||||||||||||
1664 | 큐피드의 궁전 밖의 프시케가 있는 풍경 (마법의 성) | 내셔널 갤러리, 런던 | ||||||||||||||||||||||||||||||||||||||||||||||||||||||||||||||||||||||||||||||||||||||||||||||||||||||||||||||||||||||||||||||||||||||||||||||||||||
![]() | ||||||||||||||||||||||||||||||||||||||||||||||||||||||||||||||||||||||||||||||||||||||||||||||||||||||||||||||||||||||||||||||||||||||||||||||||||||||
1667 | 에우로파의 강탈이 있는 해안 풍경 | 왕립 컬렉션 | ||||||||||||||||||||||||||||||||||||||||||||||||||||||||||||||||||||||||||||||||||||||||||||||||||||||||||||||||||||||||||||||||||||||||||||||||||||
1668 | 하갈의 추방 | 알테 피나코테크 | ||||||||||||||||||||||||||||||||||||||||||||||||||||||||||||||||||||||||||||||||||||||||||||||||||||||||||||||||||||||||||||||||||||||||||||||||||||
1672 | 야곱이 천사와 씨름하는 풍경 또는 밤 | 에르미타주 미술관 | ||||||||||||||||||||||||||||||||||||||||||||||||||||||||||||||||||||||||||||||||||||||||||||||||||||||||||||||||||||||||||||||||||||||||||||||||||||
1674 | 해항 | 알테 피나코테크 | ||||||||||||||||||||||||||||||||||||||||||||||||||||||||||||||||||||||||||||||||||||||||||||||||||||||||||||||||||||||||||||||||||||||||||||||||||||
1675 | 아이네아스의 상륙 | 앵글시 수도원 | ||||||||||||||||||||||||||||||||||||||||||||||||||||||||||||||||||||||||||||||||||||||||||||||||||||||||||||||||||||||||||||||||||||||||||||||||||||
1680 | 헬리콘 산의 아폴로와 뮤즈들 | 보스턴 미술관 | ||||||||||||||||||||||||||||||||||||||||||||||||||||||||||||||||||||||||||||||||||||||||||||||||||||||||||||||||||||||||||||||||||||||||||||||||||||
![]() | ||||||||||||||||||||||||||||||||||||||||||||||||||||||||||||||||||||||||||||||||||||||||||||||||||||||||||||||||||||||||||||||||||||||||||||||||||||||
1682 | 아스카니우스가 실비아의 사슴을 쏘는 장면 | 애시몰린 박물관 | ||||||||||||||||||||||||||||||||||||||||||||||||||||||||||||||||||||||||||||||||||||||||||||||||||||||||||||||||||||||||||||||||||||||||||||||||||||
해항의 모습 | 헌팅턴 도서관 | |||||||||||||||||||||||||||||||||||||||||||||||||||||||||||||||||||||||||||||||||||||||||||||||||||||||||||||||||||||||||||||||||||||||||||||||||||||
1662 | 머큐리, 아르구스, 로가 있는 풍경 (레이드지에 에칭) | 유타 미술관 | ||||||||||||||||||||||||||||||||||||||||||||||||||||||||||||||||||||||||||||||||||||||||||||||||||||||||||||||||||||||||||||||||||||||||||||||||||||
Village Fête | ||||||||||||||||||||||||||||||||||||||||||||||||||||||||||||||||||||||||||||||||||||||||||||||||||||||||||||||||||||||||||||||||||||||||||||||||||||||
-- | ||||||||||||||||||||||||||||||||||||||||||||||||||||||||||||||||||||||||||||||||||||||||||||||||||||||||||||||||||||||||||||||||||||||||||||||||||||||
Seaport with the Embarkation of Saint Ursula | ||||||||||||||||||||||||||||||||||||||||||||||||||||||||||||||||||||||||||||||||||||||||||||||||||||||||||||||||||||||||||||||||||||||||||||||||||||||
-- | ||||||||||||||||||||||||||||||||||||||||||||||||||||||||||||||||||||||||||||||||||||||||||||||||||||||||||||||||||||||||||||||||||||||||||||||||||||||
Landscape with the Finding of Moses | ||||||||||||||||||||||||||||||||||||||||||||||||||||||||||||||||||||||||||||||||||||||||||||||||||||||||||||||||||||||||||||||||||||||||||||||||||||||
-- | ||||||||||||||||||||||||||||||||||||||||||||||||||||||||||||||||||||||||||||||||||||||||||||||||||||||||||||||||||||||||||||||||||||||||||||||||||||||
진실의 서 137, 다리의 전투가 있는 해안 풍경 | ||||||||||||||||||||||||||||||||||||||||||||||||||||||||||||||||||||||||||||||||||||||||||||||||||||||||||||||||||||||||||||||||||||||||||||||||||||||
![]() |
제목 | 제작 연도 | 소장처 |
---|---|---|
상인들이 있는 풍경 (난파선) | 1630 | 미국 국립 미술관, 워싱턴 D.C. |
이집트로의 도피 | 1635 | 인디애나폴리스 미술관 |
목동이 있는 풍경 | 1636 | 내셔널 갤러리, 런던 |
여울 | 1636 |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뉴욕 |
빌라 메디치가 있는 항구 | 1637 | 우피치 미술관, 피렌체 |
모세의 발견 | 1638 | 프라도 미술관, 마드리드 |
전원 풍경 | 1638 | 미니애폴리스 미술관 |
산타 마리넬라 항구가 있는 풍경 | 1638 | 프티 팔레 |
해항 | 1639 | 내셔널 갤러리, 런던 |
해질녘의 해항 (오디세우스) | 1639 | 루브르 박물관, 파리 |
마을 축제 | 1639 | 루브르 박물관, 파리 |
캄파냐의 풍경 | 1639년경 | 왕립 컬렉션 |
오스티아에서 성 파울라 로마나의 출항 | 1639 | 프라도 미술관, 마드리드 |
성 우르술라의 출항 | 1641 | 내셔널 갤러리, 런던 |
클레오파트라의 타르수스 상륙 | 1642 | 루브르 박물관, 파리 |
클레오파트라의 타르수스 상륙 | 1642–43 | 루브르 박물관, 파리 |
트로이 여인들이 함대에 불을 지르는 장면 | 1643년경 |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뉴욕 |
개울과 두 개의 다리 | ||
야곱의 여행 | ||
천사의 방문 | ||
산타 트리니타 데이 몬티 교회의 모습 | 에르미타주 미술관, 상트페테르부르크 | |
성곽이 있는 해항 | 하워드 대학교 미술관, 워싱턴 D.C. | |
해질녘 티볼리의 모습 | 1644 | 샌프란시스코 미술관 |
머큐리가 아폴로의 소를 훔치는 풍경 | 1645 | 도리아 팜필리 미술관, 로마 |
키팔루스와 프로크리스가 다이아나에 의해 재회하는 풍경 | 1645 | 내셔널 갤러리, 런던 |
파리스의 심판 | 1645–46 | 워싱턴 D.C.의 미국 국립 미술관 |
일출 | 1646–47 |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뉴욕 |
시바 여왕의 출항 | 1648 | 내셔널 갤러리, 런던 |
이삭과 리브가의 결혼 | 1648 | 내셔널 갤러리, 런던 |
파리스와 오이노네가 있는 풍경 | 1648 | 루브르 박물관, 파리 |
춤추는 인물들이 있는 풍경 (방앗간) | 1648 | 도리아 팜필리 미술관, 로마 |
라 크레센차의 모습 | 1648–50 |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뉴욕 |
아폴로와 쿠마에의 시빌이 있는 풍경 | 1650년경 | 에르미타주 미술관, 상트페테르부르크 |
이집트로의 도피 중 휴식 | 1651 또는 1661 | 에르미타주 미술관, 상트페테르부르크 |
머큐리와 바투스가 있는 풍경 | 1654 | 스위스 개인 소장 |
하갈과 천사가 있는 풍경 | 1654 | 더니든 공공 미술관, 더니든 |
아키스와 갈라테아가 있는 풍경 | 1657 | 젬알데갈러리, 드레스덴 |
아폴로와 머큐리가 있는 풍경 | 1660 | 윌리스 컬렉션, 런던 |
춤이 있는 풍경 (이삭과 리브가의 결혼) | 1663 | |
큐피드의 궁전 밖의 프시케가 있는 풍경 | 1664 | 내셔널 갤러리, 런던 |
에우로파의 강탈이 있는 해안 풍경 | 1667 | 왕립 컬렉션, 런던 |
하갈의 추방 | 1668 | 알테 피나코테크, 뮌헨 |
야곱이 천사와 씨름하는 풍경 또는 밤 | 1672 | 에르미타주 미술관,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
해항 | 1674 | 알테 피나코테크, 뮌헨 |
아이네아스의 상륙 | 1675 | 앵글시 수도원, 영국 |
헬리콘 산의 아폴로와 뮤즈들 | 1680 | 보스턴 미술관 |
아스카니우스가 실비아의 사슴을 쏘는 장면 | 1682 | 애시몰린 박물관, 옥스퍼드 |
해항의 모습 | 헌팅턴 도서관, 샌마리노, 캘리포니아 | |
머큐리, 아르구스, 로가 있는 풍경 | 1662 | 유타 미술관 |
참조
[1]
문서
Kitson
[2]
문서
technically part of the Holy Roman Empire
[3]
문서
Kitson
[4]
서적
The drawings of Claude : with an essay by Roger E. Fry and notes on the drawing reproduced
https://archive.org/[...]
London: Burlington magazine
1907
[5]
문서
Kitson
[6]
문서
Kitson, Sonnabend & Whiteley
[7]
문서
Sonnabend, Whiteley
2011
[8]
문서
Sonnabend, Whiteley
2011
[9]
문서
Sonnabend & Whiteley
[10]
문서
Sonnabend, Whiteley
2011
[11]
문서
Kitson
[12]
문서
Sonnabend, Whiteley
2011
[13]
문서
Kitson
[14]
문서
Sonnabend, Whiteley
2011
[15]
웹사이트
Claude Lorrain / Coast View with Perseus and the Origin of Coral
http://lelorrain.lou[...]
[16]
문서
Kitson, Wine (1994)
[17]
문서
Sonnabend & Whiteley, Kitson
[18]
서적
Girolamo Muziano: dalla Maniera alla Natura, 1532–1592
Ugo Bozzi Editore
2008
[19]
문서
Wine
2001, 1994
[20]
서적
Art of drawing
Sterling
2003
[21]
문서
Fry
[22]
문서
Kitson, Duke of Rutland
[23]
문서
Kitson
[24]
문서
Kitson, Sonnabend & Whiteley, Duke of Buccleuch
[25]
문서
Wine, Blunt
1994, 2001
[26]
문서
Kitson
[27]
웹사이트
Ashmolean Press summary
http://www.ashmolean[...]
2016-04-17
[28]
문서
Kitson
[29]
웹사이트
Wine
https://www.national[...]
2001
[30]
문서
Wine
1994
[31]
문서
Wine, Image
2001
[32]
문서
Wine
1994
[33]
문서
Wine
2001
[34]
서적
Art, a world history
Harry N. Abrams
[35]
웹사이트
CONSTABLE : impressions of land, sea and sky – John CONSTABLE – Landscape with goatherd and goats, after Claude
http://www.nga.gov.a[...]
[36]
서적
"The Grand Tour and after 1660–1840," in ''The Cambridge Companion to Travel Writing''
2002
[37]
웹사이트
Royal Collection
http://www.royalcoll[...]
[38]
웹사이트
Constable
http://www.nga.gov.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