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를라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를라크는 필리핀 타를라크주의 도시로, 1788년 팜팡가의 바콜로르에서 온 정착민들이 세웠다. 타를라크라는 이름은 '탈라힙' 풀을 의미하는 아에타족 용어에서 유래했다. 1872년 타를라크 주가 설립되면서 주도로 지정되었고, 1998년 시로 승격되었다. 타를라크는 타를라크 강을 따라 위치하며, 맥아더 하이웨이가 도시를 관통하여 교통의 요지이다. 2024년 기준 인구는 약 39만 명이며, 팜팡가어가 주로 사용된다. 주요 산업으로는 쇼핑몰을 포함한 상업 활동이 있으며, 타를라크 주립 대학교를 비롯한 교육 기관이 위치한 교육 중심지이기도 하다. 매년 1월에는 말라타를락 축제가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의 주도 - 세부
세부는 필리핀 중앙 비사야 지방의 섬이자 주요 도시이며, '물 속으로 뛰어들다'라는 의미의 세부아노어에서 유래, 스페인 식민지 시대를 거쳐 현재 필리핀 남부의 경제·문화 중심지로 발전했다. - 필리핀의 주도 - 칼리보
칼리보는 필리핀 아클란 주의 주도로 아클란 강 하류 평야에 위치하며, 아티-아티한 축제와 보라카이행 관문인 칼리보 국제공항으로 유명한 관광 중심지이다. - 필리핀의 도시 - 세부
세부는 필리핀 중앙 비사야 지방의 섬이자 주요 도시이며, '물 속으로 뛰어들다'라는 의미의 세부아노어에서 유래, 스페인 식민지 시대를 거쳐 현재 필리핀 남부의 경제·문화 중심지로 발전했다. - 필리핀의 도시 - 다바오
다바오는 필리핀 민다나오섬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다바오 강 유역의 원주민 거주지에서 시작하여 스페인과 미국 통치 시대를 거치며 발전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남부 민다나오의 중심 도시로 성장했으며, 풍부한 자연과 다양한 문화, 활발한 경제 활동을 특징으로 한다.
| 타를라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 |
![]() | |
![]() | |
| 공식 명칭 | Lungsod ng Tarlac |
| 별칭 | Home Of Sugar Rice and Everything Nice (설탕, 쌀, 그리고 모든 것이 좋은 곳) |
| 좌우명 | Magkaisa: Bawat Oras, Sama-Sama (단결: 매시간, 함께) |
| 건립 | 1788년 |
| 시 승격 | 1998년 4월 18일 |
| 고도 도시 | 2005년 10월 27일 |
| 관할 구역 | 바랑가이 |
| 바랑가이 수 | 76개 (바랑가이 목록 참조) |
| 시장 | 마리아 크리스티나 C. 앙헬레스 |
| 부시장 | 헤나로 M. 멘도사 |
| 하원 의원 | 크리스티안 텔 A. 얍 |
| 시의회 | 카트리나 테레사 C. 앙헬레스 피 제이 E. 바산간 주드 조셉 S. 다비드 에밀리 L. 파쿤라 엔리코 J. 데 레온 리처드 B. 디올라조 로버트 에이스 B. 마날랑 블라디미르 S. 로드리게스 네시토 N. 추아 세사르 P. 고 |
| 유권자 수 | 242,442 명 (2022년 필리핀 총선) |
| 정부 유형 | 지방 정부 |
| 해발 고도 | 24m |
| 최대 해발 고도 | 490m |
| 최소 해발 고도 | 14m |
| 면적 | 274.66 km² |
| 인구 (2020) | 387,945명 |
| 가구 수 | 95,802 |
| 인구 밀도 | 자동 |
| 인구 통계 | 타를라케뇨 (남성), 타를라케냐 (여성), 타를라케네안 |
| 시간대 | 필리핀 표준시 (PST) |
| UTC 오프셋 | +8 |
| 웹사이트 | 타를라크 시 공식 웹사이트 |
| 경제 지표 | |
| 빈곤율 | % (2018년) |
| 총 수입 | (2020년) |
| 총 자산 | (2020년) |
| 지출 | (2020년) |
| 부채 | (2020년) |
| 서비스 제공자 | |
| 전기 | }} |
| 기후 | |
| 기타 정보 | |
2. 역사


타를라크는 팜팡가 바콜로르에서 온 첫 정착민들이 1788년에 정착지를 세우면서 시작되었다.[2] 타를라크라는 이름은 ''탈라힙'' 풀 (''tall hay'' 라는 의미)을 뜻하는 아에타족 용어 ''말라-타를라크''에서 유래했다.[2] 바탄, 팜팡가, 잠발레스 등지에서 온 정착민들이 합류하면서 인구가 빠르게 늘었고, 캄팡가어가 주요 언어가 되었다. 주민들의 노력으로 도로와 마을이 건설되었다. 1872년 타를라크 주가 설립되면서 타를라크는 주도가 되었다.
2. 1. 초기 정착
타를라크의 첫 정착민들은 팜팡가 바콜로르에서 왔다. 그들은 이 지역을 개간하고 토지를 비옥하게 만든 후 1788년에 이곳에 정착지를 세웠다.[2] 타를라크라는 이름은 아에타족 용어인 ''말라-타를라크'' ('탈라힙' 풀)에서 유래된 스페인어식 명칭이다.[2] 현재 수도 주변 지역은 "타를라크 풀이 풍부한" 단어인 ''마타를라크'' 또는 ''말라타를라크''로 묘사되었다.[3] 이 작은 정착민 공동체는 바탄, 팜팡가, 잠발레스에서 온 정착민들이 이 지역으로 이주하면서 급격한 인구 증가를 경험했다. 팜팡가의 언어인 캄팡가어가 이 도시의 주 언어가 되었다. 그 후 수십 년 동안 주민들의 노력으로 도로와 바리오가 건설되었다.2. 2. 타를라크 주 설립 (1872)
타를라크의 첫 정착민들은 팜팡가의 바콜로르에서 왔다. 그들은 이 지역을 개간하고 토지를 비옥하게 만든 후 1788년에 이곳에 정착지를 세웠다. 타를라크라는 이름은 아에타족 용어인 ''타를라크''라고 불리는 ''탈라힙'' 풀에서 유래된 스페인어식 명칭이다.[2] 현재 수도 주변 지역은 "타를라크 풀이 풍부한" 단어인 ''마타를라크'' 또는 ''말라타를라크''로 묘사되었다.[3] 이 작은 정착민 공동체는 바탄, 팜팡가, 잠발레스에서 온 정착민들이 이 지역으로 이주하면서 급격한 인구 증가를 경험했다. 팜팡가의 언어인 캄팡가어가 이 도시의 모국어가 되었다. 그 후 수십 년 동안 주민들의 노력으로 도로와 바리오가 건설되었다. 1872년 타를라크주가 설립된 후 타를라크는 새로운 주의 주도로 지정되었다.2. 3. 시 승격 (1998)
1969년 6월 21일,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은 타를라크를 시로 전환하는 공화국법 5907호에 서명했지만, 주민투표에서 유권자들이 시 승격을 거부하여 실패했다.1990년 4월 21일, 부르고스, 다비드, 이바, 라브니, 라와카물라그, 루비간, 마아못, 마바바나바, 모리오네스, 파오, 산 후안 데 발데스, 술라, 빌라 아글리파이 바랑가이가 타를라크에서 분리되어 산호세시가 되었다. 이로써 타를라크의 면적은 274.66km2로 유지되었다.
1998년 3월 12일, 피델 V. 라모스 대통령이 타를라크를 타를라크 주의 구성 도시로 만드는 공화국법 8593호에 서명했다. 1998년 4월 18일 주민투표에서 시 승격이 통과되었고, 다음 날인 1998년 4월 19일 COMELEC에 의해 타를라크는 구성 도시로 선포되었다.
2005년 10월 27일,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대통령은 타를라크 시를 고도로 도시화된 도시(HUC)로 만드는 법령 940호에 서명했다.[4] 그러나 지방 정부의 반대로 2006년 2월 11일 주민투표에서 대다수의 유권자가 HUC 전환을 거부했다.[5]
3. 지리
타를라크 시는 타를라크주의 거의 중앙에 위치하며 해발 24m에서 서쪽 지역은 최대 50m에 이른다.[6]
3. 1. 위치 및 지형
이 도시는 타를라크주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타를라크 강을 따라 자리 잡고 있다. 북쪽으로는 헤로나와 산타 이그나시아, 서쪽으로는 산호세, 남쪽으로는 카파스와 콘셉시온, 동쪽으로는 빅토리아와 라 파스가 있다. 타를라크 시는 중앙 루손의 지역 중심지인 산페르난도, 팜팡가에서 북쪽으로 58km 떨어져 있으며, 마닐라에서는 북쪽으로 124km 떨어져 있다.타를라크 시는 해발 24m 정도에 위치해 있지만, 서쪽 지역의 넓은 부분에서는 50m에 달한다. 역사적으로 현재의 포락, 팜팡가의 일부였으며, 피나투보 산의 고대 폭발로 생성되지 않은 주의 몇 안 되는 토지 중 하나라고 여겨진다.
3. 2. 바랑가이
타를라크 시는 76개의 바랑가이로 정치적으로 세분된다.[6] 각 바랑가이는 푸록으로 구성되며, 일부는 시티오를 가지고 있다.| 아구소 | 알빈디아 | 아무카오 | 아르메니아 | 아스투리아스 | 아티옥 | 발란티 | 발레테 | 발리바고 I | 발리바고 II |
| 발링카나웨이 | 바나바 | 반톡 | 바라-바라스 | 바탕-바탕 | 비나우가난 | 보라 | 부에나비스타 | 부힐리트 | 부롯 |
| 칼링쿠안 | 카페한 | 카랑기안 | 카레 | 센트럴 | 쿨리팟 | 컷컷 I | 컷컷 II | 달라야프 | 델라 파스 |
| 돌로레스 | 라오앙 | 릭타산 | 로르데스 | 마비니 | 말리가야 | 말리왈로 | 마팔락시아오 | 마팔라드 | 마타탈라이브 |
| 파라이소 | 포블라시온 | 살라풍안 | 산 카를로스 | 산 프란시스코 | 산 이시드로 | 산 호세 | 산 호세 데 우르키코 | 산 후안 바티스타 (구 마타데로) | 산 후안 데 마타 (구 말라티키) |
| 산 루이스 | 산 마누엘 | 산 미겔 | 산 니콜라스 | 산 파블로 | 산 파스쿠알 | 산 라파엘 | 산 로케 | 산 세바스티안 | |
| 산 비센테 | 산타 크루스 | 산타 마리아 | 산토 크리스토 | 산토 도밍고 | 산토 니뇨 | 사팡 마라굴 | 사팡 타갈로그 | 세풍 칼자다 (파남푸난) | 시나이트 |
| 수이조 | 타리지 | 티바그 | 티바간 | 트리니다드 | 웅곳 | 빌라 바콜로 |
3. 3. 기후
타를라크 시의 기후는 열대 기후로, 건기와 우기가 뚜렷하게 구분된다. 연중 기온이 높으며, 특히 3월부터 5월까지가 가장 덥다. 4월의 평균 최고 기온은 34°C로, 서울의 한여름 기온과 비슷하거나 조금 더 높다.1년 중 가장 강수량이 많은 시기는 5월부터 10월까지로, 이 시기가 우기에 해당한다. 특히 7월과 8월에는 각각 245mm, 241mm의 많은 비가 내린다. 반면, 11월부터 4월까지는 건기로, 강수량이 적다. 특히 1월과 2월에는 월 강수량이 5mm에 불과하다.[9]
다음은 타를라크 시의 월별 평균 기온과 강수량을 나타낸 표이다.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 평균 최고 기온 (°C) | 30°C | 31°C | 33°C | 34°C | 33°C | 31°C | 29°C | 29°C | 29°C | 30°C | 30°C | 29°C |
| 평균 최저 기온 (°C) | 19°C | 19°C | 20°C | 22°C | 24°C | 24°C | 24°C | 24°C | 24°C | 22°C | 21°C | 20°C |
| 평균 강수량 (mm) | 5mm | 5mm | 10mm | 23mm | 136mm | 191mm | 245mm | 241mm | 200mm | 108mm | 36mm | 12mm |
| 평균 강수일수 | 2.6 | 2.5 | 4.4 | 8.3 | 20.9 | 24.4 | 27.4 | 26.9 | 25.0 | 18.2 | 9.2 | 3.6 |
4. 인구
2024년 인구 조사에서 타를라크시의 인구는 392,338명이며, 인구 밀도는 1제곱킬로미터 당 1,400명이다. 2010년 조사에서는 318,332명이었다.[8]
4. 1. 인구 통계
2020년 인구 조사에서 타를라크시의 인구는 1,503,456명이며, 2010년 조사에서는 1,273,240명이었다. 2024년 자료는 현재 없으므로, 가장 최근 자료인 2020년 기준 인구 밀도는 1제곱킬로미터 당 약 5,474명(2020년 인구 1,503,456명을 면적 274.66km²로 나눈 값)이다.
4. 2. 언어
팜팡가어와 팡가시난어는 타를라크 시와 그 주변 지역에서 주로 사용되는 언어이다. 이는 타를라크 시가 두 언어, 문화, 민족의 교차점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일로카노어와 타갈로그어 또한 사용되는데, 특히 일로카노족 및/또는 타갈로그족 민족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사용한다. 타갈로그어는 민족 간 의사 소통의 매개체 역할도 한다. 대부분의 주민이 팜팡가족이기 때문에, 팡가시난족, 일로카노족, 타갈로그족 대부분은 팜팡가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4. 3. 종교
필리핀 정부가 집계한 통계에 따르면, 타를라크에서 가장 지배적인 종교는 기독교이다. 기독교인 대다수는 로마 가톨릭 신자이며, 그 다음으로 이글레시아 니 크리스토 신자가 많다. 다른 기독교 그룹은 다양한 개신교 교파에 속해 있다. 무슬림 등 비기독교인도 일부 존재한다.5. 경제
타를라크 시는 필리핀 루손섬 중부에 위치한 도시로, 농업과 상업이 복합된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주요 작물로는 쌀과 사탕수수가 있다. 시내에는 SM 시티 타를라크, 플라자 루이시타 몰(현재 로빈슨 루이시타), 매직 스타 몰, 마이 메트로타운 몰, 팜 플라자 몰, 시티워크, 시티몰 등 여러 쇼핑몰과 상업 시설이 위치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10] 필리핀 통계청에 따르면, 타를라크 시의 빈곤율은 2000년대 이후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5. 1. 산업 및 경제 활동
타를라크 시에는 여러 쇼핑몰이 있다. 산로케의 맥아더 하이웨이에 위치한 타를라크 주 최초의 SM 슈퍼몰인 SM 시티 타를라크, 중부 루손 최초의 쇼핑 센터였던 플라자 루이시타 몰(현재 로빈슨 루이시타), 컷컷 바랑가이에 있는 로물로 대로변의 매직 스타 몰, 스토 크리스토 바랑가이에 있는 마이 메트로타운 몰, 맥아더 하이웨이 코너 F. 타네도 거리에 위치한 팜 플라자 몰, 산로케 바랑가이에 위치한 시티워크, 산 라파엘 바랑가이에 위치한 시티몰 등이 그 예이다.5. 2. 빈곤율
필리핀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타를라크 시의 빈곤율은 다음과 같은 추이를 보인다.[10]| 연도 | 2000년 | 2003년 | 2006년 | 2009년 | 2012년 | 2015년 | 2018년 |
|---|---|---|---|---|---|---|---|
| 빈곤율 (%) |
타를라크 시는 빈곤 문제 해결을 위해 지역 정부와 시민 사회가 협력하여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6. 교통
타를라크시는 남쪽에서 일로코스 지방과 코르디예라 행정 구역으로 가는 통근자들이 자주 이용하는 버스 정류장이다. 맥아더 하이웨이는 도시를 남북으로 관통하며, 잠발레스, 팡가시난, 바기오로 이어지는 도로들이 분기한다. 카밀링을 지나 팡가시난으로 가는 대부분의 버스는 바랑가이 산 로케를 따라 맥아더 하이웨이에서 갈라지는 로물로 하이웨이를 이용한다.
수빅-클라크-타를라크 고속도로(SCTEx)는 타를라크-팡가시난-라 유니온 고속도로(TPLEx) 및 중앙 루손 연결 고속도로(CLLEx)와 연결되어 이 지방의 수도를 지난다.
6. 1. 도로 및 고속도로
맥아더 하이웨이는 타를라크시를 남북으로 관통하며, 마닐라 수도권과 일로코스 지방, 코르디예라 행정 구역을 잇는 주요 도로이다. 남쪽에서 이들 지역으로 가는 대부분의 통근 버스는 타를라크시에 정차한다. 타를라크시를 경유하는 주요 버스 회사로는 팡가시난 솔리드 노스 트랜짓, Inc., 다구판 버스 컴퍼니, 필리핀 래빗, 빅토리 라이너, 파이브 스타, 퍼스트 노스 루손 트랜짓, 루손 시스코 트랜스포트, 제네시스, 산트란스, 비론 트랜짓, 파르타스 등이 있으며, 맥아더 하이웨이를 따라 이들 회사의 휴게소도 많이 위치해 있다.
잠발레스, 팡가시난, 바기오로 이어지는 도로들이 타를라크시에서 분기된다. 특히 카밀링에서 팡가시난으로 가는 대부분의 버스는 바랑가이 산 로케를 따라 맥아더 하이웨이에서 갈라지는 로물로 하이웨이를 이용한다.
수빅-클라크-타를라크 고속도로(SCTEx)는 타를라크-팡가시난-라 유니온 고속도로(TPLEx), 중앙 루손 연결 고속도로(CLLEx)와 연결되어 타를라크주를 지난다. 이 고속도로들은 카가얀 계곡, 아우로라, 누에바 에시하, 팡가시난, 라 유니온 등 북부 루손 지역과 마르코스 하이웨이 (TPLEx 경유, 케논 로드)로 가는 편리한 경로를 제공한다.
6. 2. 대중교통
타를라크시는 남쪽에서 일로코스 지방과 코르디예라 행정 구역으로 이동하는 통근자들의 일반적인 버스 정류장이다. 이 도시를 통과하는 버스 회사로는 팡가시난 솔리드 노스 트랜짓, Inc., 다구판 버스 컴퍼니, 필리핀 래빗, 빅토리 라이너, 파이브 스타, 퍼스트 노스 루손 트랜짓, 루손 시스코 트랜스포트, 제네시스, 산트란스, 비론 트랜짓, 파르타스 등이 있다. 시에스타와 모터웨이를 포함한 많은 버스 회사의 휴게소가 맥아더 하이웨이를 따라 위치해 있다.맥아더 하이웨이는 도시의 남쪽에서 북쪽 끝까지 이어지며, 마닐라 수도권과 일로코스 지방, 코르디예라 행정 지역 방면을 잇는 노선으로 이곳을 통과하는 시외버스 대부분이 타를라크에 정차한다.
7. 교육
타를라크는 필리핀 타를라크 주의 교육 중심지이며, 특히 타를라크 주립 대학교 본교가 있는 타를라크 시에는 여러 고등 교육 기관이 있다. 교육부 타를라크 시 학교 부서는 2013년 기준으로 87개의 초등학교와 13개의 고등학교를 운영하고 있다.[1]
타를라크 시에는 돈 보스코 기술 연구소, 성령 대학교, 타를라크 몬테소리 학교 등의 사립 학교들이 있다.
7. 1. 교육 시스템
타를라크 주립 대학교의 본교를 비롯한 여러 고등 교육 기관이 타를라크 시에 있다.교육부 타를라크 시 학교 부서는 2013년 기준으로 87개의 초등학교와 13개의 고등학교를 운영하고 있다.[1]
타를라크 시의 사립 학교로는 돈 보스코 기술 연구소, 성령 대학교, 타를라크 몬테소리 학교, Kian Tiak 학교, 에큐메니컬 크리스찬 칼리지가 있다.
7. 2. 주요 교육 기관
타를라크 주립 대학교의 본교가 타를라크시에 있으며, 이 외에도 여러 고등 교육 기관이 있다.타를라크 시의 사립 학교로는 돈 보스코 기술 연구소, 성령 대학교, 타를라크 몬테소리 학교, Kian Tiak 학교, 에큐메니컬 크리스찬 칼리지가 있다.
8. 관광
타를라크 시에는 다양한 관광 명소가 있다. 매년 1월에는 아에타족을 기념하는 말라타를락 축제(Malatarlak Festival)가 열린다.[1] 이 축제는 멜팅 팟 축제(Melting Pot Festival)로도 불렸으며, 현재는 카이사 축제(Kaisa Festival)로 불리고 있다.[1]
8. 1. 축제
말라타를락 축제(Malatarlak Festival)는 매년 1월 타를라크 시에서 열리는, 이 지방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축제 중 하나이다. 이 축제는 이 지방에 문명을 건설한 최초의 사람들인 아에타족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다.[1] 2011년에 당시 시장은 축제 이름을 멜팅 팟 축제(Melting Pot Festival)로 변경했지만, 여전히 이전 이름으로 기억되고 있다.[1] 타를라크 시의 축제 이름과 주제는 도시의 지도부에 따라 수년에 걸쳐 변경되어 왔는데,[1] 현 행정부(2016년 7월부터)에서는 지역 축제를 '마그카이사'(단결하다)라는 단어에서 파생된 '카이사 축제'(Kaisa Festival)라고 부르고 있다.[1]9. 자매 도시
타를라크 시는 필리핀 내 여러 도시 및 중화민국의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참조
[1]
문서
DILG detail
[2]
서적
Tarlac and the Revolutionary Landscape: Essays on the Philippine Revolution from a Localized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Center for Tarlaqueño Studies, Tarlac State University
[3]
웹사이트
Resources for Local Governance – Tarlac
http://lgu.pids.gov.[...]
2011-08-20
[4]
웹사이트
Proclamation No. 940, s. 2005
https://www.official[...]
2005-10-27
[5]
웹사이트
Several issues pertaining to the conversion of the City of Tarlac from a component city into a highly-urbanized city
https://dilg.gov.ph/[...]
[6]
웹사이트
An Act Creating Certain, Barrios in the Municipality of Tarlac, Province of Tarlac
http://lawph.com/sta[...]
LawPH.com
2011-04-12
[7]
웹사이트
Tarlac City: Average Temperatures and Rainfall
https://www.meteoblu[...]
Meteoblue
2020-05-05
[8]
웹사이트
Total Population by Province, City, Municipality and Barangay: as of May 1, 2010
http://www.census.go[...]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12-11-30
[9]
웹인용
Tarlac City: Average Temperatures and Rainfall
https://www.meteoblu[...]
Meteoblue
2020-05-05
[10]
웹인용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11]
문서
2000
[12]
문서
2003
[13]
문서
2006
[14]
문서
2012
[15]
문서
2015
[16]
문서
2018
[17]
문서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